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상미술치료가 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신정원 ( Jung Won Shin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이중문화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에게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해 문화적응스트레스, 정신건강의 호전과 우울 감소,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향상시키는 연구이다. 대상은 서울의 B다문화센터, 경기도 남양주시의 P다문화센터에 결혼 이주여성들이며 임상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0명인 총 22명으로 구성하여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매회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진단검사, 문화적응 스트레스척도, Beck의 우울척도, 삶의 질을 사용했으며 임상미술치료의 실시 전과 종결 후에 자아존중감 그림검사(SEDS)와 만다라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임상미술치료 실시 결과는 임상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 수준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삶의 질,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상 수준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은 임상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호전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완화, 삶의 질 향상, 우울정도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38-45)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on marriage migrant women suffering from dual culture stress, by improving their culture adapt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self-wor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rriage migrant women of Seoul B Multi-culture center and Gyeong Gi Province Namyangjoo City P Multiculture center. The total 22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12 women) that received clinical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10 women) that did not receive clinical art therapy. Clinical art therapy was carried out once every week from March 2012 until June 2012, a total of 12 session, lasting 60 minutes each session. Psychognosis test, culture adaptation stress measure, Beck`s depression scale,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SEDS and the Mandara drawing test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WIN15.0. Clinical art therapy results show that clinical art therapy was quantitatively significant in enhancing the mental health, culture adaptation stress, quality of life and levels of depression on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self-ego level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clinical art therapy had a positive infl uence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relieving culture adaptation stress,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decreasing their degree of depression and enhancing their self-worth.

      • KCI등재

        한국의학도서관(韓國醫學圖書館)에 있어서의 도서선택방법(圖書選擇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인용문헌(引用文獻)의 계수(計數)와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신정원,Shin, Jung-Won 한국비블리아학회 197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edical literature in Korean libraries and specifically to help to select medical books and periodicals by determining the value and life of medical literature by means of citation counting and analysis. This report will present methods of calculation and data collection to measure the importance, half life of medical literature and the authority of author for Korean medical libraries. The writer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data covering a two-year period, 1970-1971, using about 16,899 citations in 1,032 articles of the above journals. The references and citations are counted and analyzed by the number of authors, periodicals. books and publication dates. By the following ratio. calculated by the citation counting and analysis, we can decide the rates of medical periodicals to books, foreign literature to domestic literature and literature of the most numerously cited. authors, for the selecting method of Korean Medical libraries. (1) It is disclosed that 61 main authors are cited 9 times. Most of them are Western authors, they are cited 14,374 times which represents 88.6 % of the total citations. (2) The cited medical literature is classified as follows: The ratio of cited medical periodicals to the cited medical books is 82.0%. (The books at a rate of 18.0%.) Therefore, the wnter concentrated the efforts on the analysis of periodicals. (3) Classification of the periodicals by countries indicates that about 11.2% of total citations are made from Korean medical literature. The medical activities in Korea are dependent on the advanced foreign countries at ratio of 88.8%. Of the foreign medical periodicals cited, Japanese literature represents only 4.5% while literature of European countries and America constitutes 84.3%. (4) If medical journals are arranged in order of decreasing productivity of articles on a given subject, they may be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98 titles of key journals to cover 60% of inform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and 60 titles for an average of 50%. (5)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life of medical literature in Korea, the writer has calculated the half lives of periodicals and books as follows: Kinds of Literature 1. Periodicals 2. Books 3. Whole literature Half-lives 7.75 years 4.11 years 6.37 years (6) The half lives of domestic and Japanese literature in the medical science are comparatively short.

      • KCI등재

        시선과 권력

        신정원(Shin Jung Won) 한국여성학회 2000 한국여성학 Vol.16 No.1

        영화가 어떻게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생산하고 유지시키는가에 대한 비판은 서구의 여성주의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이 점에 대한 핵심적 논의는 영화가 남성의 응시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관점에서 여성은 보여지고, 대상화되고, 소비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남성적 응시’라는 용어로 비판되는 가부장적 시선이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 하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영화가 한국의 여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대상화하고 소비하는가를 설명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논문의 전반부는 성리학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서 남성적 시선 혹은 세계관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의 철학적 기반이 무엇인지를 다루고 있다. 그 다음으로, 그러한 철학적 혹은 이론적 기반이 전통적인 시각 매체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논의했다. 끝으로 90년대 후반의 한국 영화 가운데 여성을 주요 인물로 다루고 있는 몇몇 영화가 어떻게 남성적 시선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남성적 시선에 의해 표현되고 규정되는 여성의 이미지가 한국 영화를 계속해서 지배한다면, 그러한 영화들은 현실의 여성들에게 영화 속의 인물들과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을 재구성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문제점을 비판하고 극복하는 데 이 논문이 하나의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Visual media(photography, film, television, etc.) have expanded tremendous influence over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is especially true with film, which offers viewers diverse accessibility through movie theaters, television, the Internet, and so on.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film has possibility to help raise the consciousness about women's problems to all of Korean society. However, film can also produce and reproduce the patriarchal ways of thinking that have long existed in Korean society. Western feminist film theorists have criticized the ways film can reproduce patriarchal points of view in terms of 'male gaze' in the context of western culture. They have criticized film itself and film industry for its consistent focus on the male gaze; therefore, women are used, viewed, and objectified in films. This article primarily concentrates on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 of the structure of patriarchal ways of thinking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 order to articulate the male dominated vision, I deal with Neo-Confucian thought, which has had an important effect on Chosun until today. Then, I have analyzed how the male-dominated thought is combined with visual expressions. Finally,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I have pointed out that in Korean films of the late 1990s, male desire and male point of view designs the female characters found in Korean films. Thus, those films reinforce a male-dominated way of seeing the world. If the male point of view continues to dominate Korean films, women in the film industry will continue to serve the male vision, and women in the real world may identify themselves with those distorted images. I believe that this article can show one possibility to criticize and solve the problem of male-dominated vision.

      • KCI등재
      • WAP에서 무선 PKI기반의 효율적인 인증서 검증

        신정원(Shin Jung-Won),최승권(Choi Seong-Kwon),지홍일(Ji Hong-Il),이병록(Lee Byong-Rok),조용환(Cho Yong-Hwan)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무선 인터넷에서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데이터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보안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무선 인터넷을 위한 보안 프로토콜은 인증과 키 교환을 주목적으로 하며 주로 WPKI(WAP Public Key Infrastructure)을 가정하고 인증서를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이에 무선 환경을 고려한 PKI의 효율적인 인증서 검증을 논의하고자 한다. To data service is offered successfully including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in radio Internet, security problem should be solved. Security protocole for radio internet does certification and key exchange by leitmotif and designed because suppose WPKI(W AP Public Key Infrastructure) mainly and use certificate. Wish to discuss efficient certificate verification of PKI that consider radio surrounding hereupon.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시스템이론에서 본 『주역(周易)』의 6효(爻)구조 연구 -천(天)· 지(地)· 인(人) 삼재지도(三才之道)를 중심으로-

        신정원 ( Shin Jung-w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周易』 卦·爻의 구조에 나타난 天·地·人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시스템적 관점을 연구한다. 『주역』은 자연의 온갖 변화무쌍한 것을 卦로 그려 본뜨고 그를 통해 만물의 실정을 추리하였다. 옛날에 包犧氏가 ‘우러러 하늘의 象을 관찰하고 굽어 땅의 法을 관찰하여 ··· 가까이는 자신에게서 취하고 멀리는 물건에서 취하여’ 비로소 八卦를 제작하였다는 것은 『주역』이 중국 고대의 철학과 과학을 대표하는 저작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 비교하고 있는 시스템이론은 계통론(系統論)으로도 번역되었는데 그 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전체관이다. 시스템관점은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 개체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를 바라보며 그들 간의 유기적 연관성을 중요시 한다. 『주역』에서 천·지·인 삼재는 각각 음양(陰陽)·강유(剛柔)·인의(仁義)의 道로 여섯 방면을 대표하여 6효로 구성되었다. 6효의 천·지·인 삼재지도에 나타난 경계와 구분, 구조와 기능 등은 사물과 사회를 등급 짓고 각자의 위치와 소속을 밝혔으며 그들 사이의 모순과 상호작용은 사물의 생성과 발전을 촉발하여 통일된 전체를 구성한다. 이것이 이 논문에서 말하고 있는 『주역』의 ‘시스템 관점’이다. 6효에 나타난 천·지·인의 상호관계는 자연에 소속하지만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생성하고 현상하는 모습이 시간과 공간의 구조에서 다양하고도 복잡한 층위를 갖는다. 그것은 새로운 질서의 모습이고 발전된 통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주역』의 가치를 순환론·전체론·형상사유(形象思維) 등과 같은 시스템원칙을 통해 설명한다. 지금까지 『주역』을 연구하고 해석한 주된 전통은 정치와 도덕 철학적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그 외의 의의를 연구한 것은 드물다. 최근 들어 『주역』의 과학기술적 내용이 여러 자연과학 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유감스럽게도 그 시도들은 『주역』에 내재된 근본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은 『주역』을 시스템론적으로 고찰하여 그것에 관한 전통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를 통해 현대의 과학과 기술 및 사회과학분야와의 적용 가능 지점을 고찰하여 주역연구의 지평을 확대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주역 구조와 기능의 역할에 대한 현대적 분석을 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This paper contemplates the perspectives of system theory in Zhouyi周易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guà卦 and yao爻 and the relationship among Heaven·Earth·Man(天·地·人). Zhouyi infers real states of all things by modeling the kaleidoscope of all natural creatures to draw gua. “Fuxi observed the form of heaven and the law of the earth … taking them from himself nearby and objects from a distance ··· to make bagua. (包犧氏 仰則觀 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近取諸身, 遠取諸物’ ··· ‘作八卦’”. This explains how bagua八卦 was made after observing the natural objects. This also proves why Zhouyi became the representative book of philosophy and science from Ancient China. The adumbrative concepts of system theory cited in this paper is ‘wholism (整體觀), which is to view the entire structure taking count of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m instead of separating the situation and objects. Heaven·Earth·Man representing the way of yin and yang陰陽·sturdiness and gentleness剛柔·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formed the 6 yao in Zhouyì. The boundary,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function in the ways of Heaven·Earth·Man in 6 yao reveal the grades of all things and society, individual positions and affiliation while the contradiction and interchange among them provoke creations and changes to form a unified whole. This is the major perspective of ’system’ stat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Heaven·Earth·Man in 6 yao belongs to the nature yet not fixed. It forms a complicated and diverse stratum in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It reflects a new order and forms an advanced and unified organization. This paper elaborates the value of Zhouyi through the fundamentals of system theory such as the perspectives of circulation(圜道觀), wholeness(整體觀) and figuration(形象思維). The traditional studies of Zhouyi in Korea have concentrated on the political and ethical perspectives so that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demonstrating the other significance of Zhouyi. Some of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many fields of natural sciences were influenced by Zhouyi. But regrettably, they still seemed to face difficulties in apprehending the true meanings of the fundamentals in Zhouyi. This paper is intended to widen the studies of Zhouyi by articulating the possible application of Zhouyi concepts to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y and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 미학의 가능성

        신정원(Shin Jung-Won)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0

        뉴미디어아트는 20세기 후반 과학 기술의 변화를 예술에 도입하여 등장한 예술장르이며 이는 예술의 전통과 관습을 타파하면서 파격적인 실험을 해 온 20세기 초부터의 전위적 예술 정신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분야이다. 1980년대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 이후 디지털 미디어는 급격하면서도 다채로운 예술의 변화를 주도해 왔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주제, 형식, 소재들이 예술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예술의 형식과 창작방식, 존재 방식, 감상 방식에 있어서 뉴미디어는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완결되지 않은 작품, 관조의 방식으로는 경험할 수 없는 작품들에 직면하여 관람자들은 작품이란 무엇인지,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게 되며 이는 예술작품의 새로운 존재론 인식론을 요청한다. 이 논문은 뉴미디어아트의 창작과 감상에 있어 목격되는 새로운 심미적(aesthetic) 경험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예술의 융합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를 예술 이론의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초창기 뉴미디어 이론가들의 논의에서 개념 규정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또한 뉴미디어아트의 감상이 전통적으로 미학이 논의 대상으로 해 온 미적 경험과 어떻게 다른지, 이런 경험을 탐구하는 뉴미디어아트의 미학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심미적 경험의 융합과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diversity and freshness of art observed in the modern society raise the necessity to re-define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Since 20C, art has produced a lot of innovative and shocking results that cannot be found in previous days. This new phase was caused by the digitalization. Not only new themes and types of material are coming into the art territory, but also the form of art, the creation, the existence and the appreciation are changing now through the new media. The change of experience and existence of works of art requires new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ation of them. In this paper, I’m going to contemplate it philosophically what kind of change is required for the essential question of aesthetics, “what is art?” through the new media art which is approaching to the center of change in modern art. More concretely, it will be discussed how the creation method ,and the function of artist and appreciators are changing in the new media art, and how these features are accepted to the conceptualization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