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선현 ( Sun Hyun Kim ),조영주 ( Young Joo Cho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섭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 임상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DSM-IV의 진단기준에 따라 섭식장애 진단을 받고 정신과 진료를 받고 있는 여성 11명을 선정하 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주 2회 평균 90분 동안 총 12회기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임상미술치료가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실시 전, 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 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식 이태도척도(Eating Attitude Test), 신체존중감 척도(Body-Esteem Scale),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뇌기능 분석 BQ(Brain Quotient)에서 자기조절지수 SPQ(Self Regulation Qiotient), 항스트레스지수 SQ(Stress Quotient), 브레인지수 BQ(Brain Quotient), 자아존중감 그림척도(Self-Esteem Drawing Scale) 점수를 사전, 사후 비교 평가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측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 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식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신체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 가 입증되었다, 넷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다섯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기조절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여섯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일곱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한 효 과가 입증되었다. 여덟째,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그림검사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 에서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 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섭식장애 환자를 위한 임상미술치료의 잠재적 치료가치가 기대되며, 향후 전향적 대 규모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oup clinical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ating disorder patients. 11 female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eating disorder in accordance to the diagnosis standard of DSM-IV undergoing psychotherapy were appoin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linical art therap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wice a week for an average time of 90 minutes and the examination was carried out prior to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s for the measurement tool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Self Regulation Quotient, Stress Quotient, Brain Quotient, Self-Esteem Drawing Scale in Rosenberg Self-Esteem Scale, Eating Attitude Test, Body-Esteem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rain Quotient were compared and evaluated before and after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s quantitative perspectives is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eating attitude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ody-esteem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Fo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symptoms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elf regulation quotient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tress quotient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Seven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rain quotient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Eigh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scores of self-portrait drawing test of eating disorder patients, significant effect was verifi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eating disorder patients. Based on this study, the potential treatment value of clinical art therapy for eating disorder patients is expected and in the future, a prospective large-scaled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 임상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및 영성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중심으로-

        박지은 ( Ji Eun Park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및 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독교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청소 년 시기에는 정신적, 육체적, 영적으로 전인격적인 성장이 이뤄지는 단계로 급격한 성장을 이루게 되고 그 가운데 많은 혼란스러움을 겪는다. 이런 혼란한 시기에 영적 안녕감 증진은 청소년들의 영적 성장을 이루어 줄 것이며 이런 영적 성장은 그들의 불안한 정서와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영적인 그림에 대해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영적인 인지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 탕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임상미술치료의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임상미술치료가 그들의 영적 안녕감 증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 A와 B로 나눠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A는 수원 지역 소재 종교가 없는 청소년 30명, 기독교 청소년 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 B는 S교회 의 기독교 청소년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 A는 영적인 주제(죽음,영혼,영성)에 대해 그림을 그리도록 하였으며 실험집단 B는 2014년 3월부터 4월까 지 주 1회 60분동안 8회기로 임상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영적안녕감 검사와 신앙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사전.사 후에는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동적 학교생활화(KSD)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독 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는 사전.사후에 그림 분석을 실시하고 질적 변 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신앙성숙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를 통해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신앙 성숙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상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 증진 및 신앙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이런 영향들이 청소년들의 전인격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길 기대한다. An adolescent period is the stage in which one grows rapidly mentally, physically, and spiritually toward whole personality growth and experiences much confusion along the way. In this period of confusion, the promotion of spiritual well-being enables adolescents to attain spiritual growth, and the spiritual growth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overcoming their instable sentiments and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dolescents’ spiritual drawing to examine their spiritual awarenes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set up the clinical art therapy for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at effects the clinical art therapy exerts on the promotion of their spiritual-well-being. In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Group A and Group B. Group A was composed of 30 non-Christian adolescents and 30 Christian adolescents living in the Suwon region, and this researcher presented them the spiritual themes (death, soul, spirituality) and had them draw pictures freely. Group B was composed of 15 Christian adolescents of S Church. And this researcher conducted clinical art therapy on them once a week for 60 minutes for 8 sessions from March 2014 to April 2014. As measurement tool, spiritual well-being test and spiritual maturity test were conducted, and in a total of 8 sessions of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pre and post Kin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KHTP)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were conducted. The average score of the pre and post tests were calculated from the data collected in this research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WIN 18.0 program. And pre and pos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inetic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KHTP) and the qualitative changes were analyzed.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linical art therapy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motion of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Second, clinical art therapy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piritual maturity of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een through this research that clinical art 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motion of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also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piritual maturit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clinical art therapy exert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motion of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maturity of adolescents and these effects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whole personality and the adolescents’ quality of life will be raised.

      •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채리 ( Chae Ri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변화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내 위치한 S 유치원 7세(만 5∼6세) 유아 중 대상으로 분리불안 과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을 재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은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주1∼2 회, 평균 50∼60분씩 총 11회에 걸쳐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C-TRF(한국판 유아행동 평 가척도-교사용), K-CBCL(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부모용)와 동적학교생활화(KSD), 집-나무-사랍(HTP)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양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won 부호순위 검정(Wilcow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 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가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회기별 부적응 횟수 기록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집-나무-사람(HTP)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동적 학교 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한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회기별 부적응 행동변화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미술치료의 분리불안 및 부적응 유아의 치료가치가 기대되며, 향후 대규모의 임상연구와 유아의 발달과정에 따른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ositively clinical art therapy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selected as its subjects children with problems of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mong 5- or 6-year-old children attending S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elected subjects receive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ith total 11 sessions, for 50 to 60 minutes averagely, once or twice a week, for three months from March till May, 2014. As the testing tools, C-TRF (the Korean edition for teachers), K-CBCL (the Korean edition for parents), Kinetic School Drawing (KSD), and Human-Tree-Person (HTP).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SPSSWIN 18.0 was employed, and Wilcown Signed Rank Test, one of the nonparametric tests, was utilized, and the significant level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fixed as a=.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o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it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in quantitative analysi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how clinical art therapy influenced the records of maladjustment frequenc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y sessions, it was proved to show significant effect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TP,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KSD,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verify clinical art therap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f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also it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maladjusted behavior, too, by sessions. The above findings imply clinical art therapy is expected to have therapeutic value on children showing separat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and follow-up study based on large-scale clinical research will be needed according to a child’s developmental process afterwards.

      • 심리부검에서 임상미술치료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선현 ( Sun Hyun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우리나라의 자살율은 199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10년간의 자살자 수는 약 2배가량 늘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대 우리사회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에서 정부에서는 ‘자살예방종합대책-5개년 계획’을 세워 자살율 감소와 정신보건서비스를 강화하고자 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자살자수와 자살사망률은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자살예방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자살예방사업 분석 결과, 국내의 자살예방사업에서는 민간자원을 활용한 대상 밀착형 지지서비스의 제공과 공공-민간-지역사회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각 기관의 협력적 전략이 필요함을 도출해내었다. 특히 심리부검을 통해 실제적인 자살율 감소 및 자살예방의 효과를 보고 있는 핀란드의 사례를 들어, 국내심리부검 적용에서의 임상미술치료 필요성을 시사하고, 자살예방사업의 일환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임상미술치료의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자료 분석과 선행된 임상미술치료 연구를 통해, 전문화된 민간자원의 활용과 자살예방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실질적인 자살예방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임상미술치료가 국내 심리부검 적용에 거부감을 줄이고 자살원인 규명과 자살예방 프로그램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5-12) Since 1992 the suicide rate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years and past 10 years the numbers of suicide cases were doubled. While there are needs for contingency plan for tackling mental health crisis in our society, Korean government has set ‘5 years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to countermeasure suicide crisis as well as strengthen overall mental health sector. However more active and effective policy is required to be tackle suicide issues. This study analyze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in developed country. The result shows that successfu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have closely associated in community level,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and resources. Finland has implemented psychological autopsy as a major effort to reduce suicide rate and it has proven to be successful. This study suggests that clinical art therapy can serve func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data analysis, implementing private resources and suicide prevention network is the major contributing efforts to tackle suicide crisis. Moreover, amending Clinical art therapy can play a major role in uncovering the cause of suicide and implicating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 임상미술치료가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완화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선현 ( Sun Hyun Kim ),김소희 ( So Hee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목적: 이 연구는 임상미술치료가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파주시의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10명이었으며, 호스피스 환자와 연구자간의 일대일의 개인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에 동의한 호스피스 환자에게 한회기당 30분씩, 총 15일 동안 한 환자에게 5회기의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임상미술치료의 실시 전ㆍ후에 시각적 통증평가 척도(VAS), 한국어 판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 척도(K-MQLS),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KHTP)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에서 실시하였다. 그림에 대한 질적분석은 융의 심리학을 바탕으로 표현된 공간, 이미지의 상징과 Kubler Ross의 죽음에 대한 심리적 단계인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단계를 구성된 그림과 대화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달의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세부항목별로 식욕, 기분상태, 다른 이에 대한 관심 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증은 매 회기별 유의미한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미술치료는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 감소, 전반적인 삶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불면증, 기분상태, 식욕 등의 세부항목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심리적, 영적 측면에서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의 미술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에 그 연구적 가치가 있으며, 호스피스 환자의 완화요법으로서의 임상미술치료가 그 치료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art therapy as a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in a hospice care by giving them a chance to express their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issues and look back their life through artwork. Methods: Participants were 10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over 20 years old and admitted to the hospice choice. Each participant had a total of five sessions were held individually two times a week for half hour each.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administered as before and after the all 5 sessions and Korean version-McMaster Quality of Life Scale (K-MQLS), and Kinetic House-Tree-Person (KHTP) were administered as pre-session and post-session measurements only twic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s’ affect before and after each session(P<0.001)and quality of life level before and after the therapy(P=0.001).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clinical art therap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hospice patien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overall quality of life, the finding showe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appetite, sleep and mood. In addition, clinical art therapy gave patients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feelings. Clinical art therapy as a palliative treat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ospice patients’ quality of life.

      •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수도권 어린이집과 지방 지역아동센터 유,아동 비교-

        김선현 ( Sun Hyun Kim ),최순주 ( Soon Ju Choi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ㆍ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수도권 어린이 집과 제천 지역아동센터 유ㆍ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씩 총 10회기의 유ㆍ아동 자아존중감 향상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과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d ANOVA)을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설문지 분석과 의학검사인 타액검사와 관련된 질적 자료를 제시하였고,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첫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으로 자아존중감은 수도권과 제천의 유ㆍ아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자기조절력 능력은 수도권에 비해 제천의 유ㆍ아동이 향상되어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진행 후 제천의 유ㆍ아동이 수도권 유ㆍ아동에 비해 분노조절능력이 향상되어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후 타액검사에서 코티졸 농도가 낮아지며 공격성이 많이 감소되는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KHTP검사와 동적가족화(KFD)개인의 활동 결과물을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가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양상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ㆍ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미술치료는 실제 현장에서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elf-esteem in small children.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designed to improve self-esteem in small children was performed on 50 small children of nurser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cheon for 60 minutes once a week for a total of ten time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wo-way repeated measured ANOVA were used to present the ex-ante and ex-post questionnaire analysis and qualitative data associated with a saliva test, a medical test, and the empirical test was all verified at .05 significance level. Firstly, when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comple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was seen in children in the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in those in Jecheon while a bigger improvement in ability to maintain self-control was seen in children in Jecheon than in those in the metropolitan area, thu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 임상미술치료가 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신정원 ( Jung Won Shin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이중문화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결혼 이주여성에게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해 문화적응스트레스, 정신건강의 호전과 우울 감소,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 향상시키는 연구이다. 대상은 서울의 B다문화센터, 경기도 남양주시의 P다문화센터에 결혼 이주여성들이며 임상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0명인 총 22명으로 구성하여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매회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정신진단검사, 문화적응 스트레스척도, Beck의 우울척도, 삶의 질을 사용했으며 임상미술치료의 실시 전과 종결 후에 자아존중감 그림검사(SEDS)와 만다라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임상미술치료 실시 결과는 임상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 수준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삶의 질,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양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상 수준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은 임상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호전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완화, 삶의 질 향상, 우울정도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38-45)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on marriage migrant women suffering from dual culture stress, by improving their culture adaptation stress and mental health, reducing depression and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self-wor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rriage migrant women of Seoul B Multi-culture center and Gyeong Gi Province Namyangjoo City P Multiculture center. The total 22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 group (12 women) that received clinical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10 women) that did not receive clinical art therapy. Clinical art therapy was carried out once every week from March 2012 until June 2012, a total of 12 session, lasting 60 minutes each session. Psychognosis test, culture adaptation stress measure, Beck`s depression scale,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SEDS and the Mandara drawing test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clinical art therapy.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WIN15.0. Clinical art therapy results show that clinical art therapy was quantitatively significant in enhancing the mental health, culture adaptation stress, quality of life and levels of depression on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self-ego levels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clinical art therapy had a positive infl uence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relieving culture adaptation stress,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decreasing their degree of depression and enhancing their self-worth.

      • 임상미술치료의 기초학문으로서 예술심리학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전망

        이모영 ( Mo Young Lee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예술심리학이 미술의 치유적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의 정립에 얼마나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연구문제를 살펴보고, 이 이론들이 미술치료 이론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존의 예술심리학 이론들은 미술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거에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시각적 사고에 대한 예술심리학적 논의에 의하면 이미지, 즉 그림은 언어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마음의 측면에 접근할수 있도록 하고,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감각적 닺을 제공하여, 문제를 더욱 다양하고 깊이있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정서적분위기를 고취하여 자기관여를 증가시켜, 더욱 자신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돕는다. 그리고 이미지는 자유롭게 사고하고 상상하도록 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함으로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미술의 치유적효과에 대한 예술심리학적 논의는 그동안 미술치료의 연구에서 등한시되어 온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거에 실제적기초를 제공해 줌으로써 미술이 지니고 있는 power에 의한 미술치료 이론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또한 다른 유형의 심리치료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함으로써 미술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는데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27-37) This study intended to have a theoretical review on how useful insight the psychology of art can provid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healing effect of art. For this, the study primarily examined the major theories and research issues of the art psychology and analyzed roles such theories play for the advancement of art therapy theory, particularly their potentials and lim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theories in the past had limits in providing the realistic basis for the theoretical grounds for argument for the healing effect of art. Second, the image, the picture, lets viewers approach the aspect of the mind that cannot be reached linguistically, provides them with the sensible anchor to concentrate the mind to handle issues more variously and in depth, and arouses emotional mood and increases self-involvement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issues according to the art-psychology discussion on visual thinking. Furthermore, the image lets viewers think and imagine freely to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and experience the insight about their own issues. Such art-psychology discussions on the healing effect of art provides the realistic basis for the theoretical grounds of argument about the effect of art therapy that has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art therapy and is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rt therapy theory based on the power of art.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tensifying the academic identity of art therapy through the differences from other types of psychological therapies.

      •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가 대 동작 기능(GMFM)에 미치는 효과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이창학 ( Chang Hak Lee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4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가 대 동작 운동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의 뇌성마비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아동 한 명당 주 2회 각 30분씩 12주간 총 24회기에 걸쳐 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한 앉은 자세와 서기 자세에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하지의 기능적 움직임이 개선되고 앉은 자세에서의 안정성과 서고 걷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척도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뇌성마비아동의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 GMFM)의 총점을 실험 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향상 폭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 동작 운동기능평가를 기능별로 나누어 본 결과, 눕기와 뒤집기 기능, 앉기 기능,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기능, 서기 기능, 걷기, 달리기, 도약 기능은 실험군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진행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하지의 기능적 운동을 접목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 활동에의 참여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치료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뇌성마비아동의 대 동작 기능인 눕기와 뒤집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걷기와 달리기 도약 등의 모든 대 동작 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art therapy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o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n experimental group of 1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 control group of 10 children also with cerebral palsy.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in a sitting posture and in a standing posture to elicit the functional motion of the lower limb for a total of 24 sessions for 30 minutes at a time. The sessions were don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each of the children.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motion of the lower limb and stability in the sitting posture and standing and walking,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cale was used in the same conditions.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total scores of GMFM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art therapy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improved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mparis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by function showed that the functions of lying down and turning, sitting, crawling on four limbs, kneeling, standing up, walking, running, and jumping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his showed that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engrafted with the functional exercise of the lower limb, motivated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participate in exercise activities. Said therapy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ll the gross motor functions including lying down and turning, sitting, crawling on four limbs, kneeling, standing up, walking and running, and jumping.

      • 그림을 통한 시야확장 및 형태지각, 공간지각 평가도구

        김선현 ( Sun Hyun Kim ),김민영 ( Min Young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13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8 No.2

        CAT-VPT(Clinical Art Therapy Visual Perception Test) 는 환자의 시야확장 및 색채의 인지 평가를 위해 개발되어진 도구이다. 현재 임상미술치료에서 시야확장 및 공간개념, 색채인지를 한 그림 안에서 평가하는 도구는 없으며 본 연구는 좌우, 상하, 중심, 외곽부분에 시야의 발달정도가 어느 정도 미치는지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시야확장 및 공간개념을 그림의 위치 및 크기를 좌표를 통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발달정도를 볼 수 있다. 또한 기본색 3가지와 중간색 6가지를 사용하여 색인지가 어느 정도 가능한지 알수 있도록 하였다. 시·공간 인지능력은 도구와 그와 관련된 물체를 사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주고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료적 역할을 담당하는 미술치료 안에서의 척도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좀 더 객관적인 방식의 평가를 통해 시지각 장애의 정도를 파악하여 세분화 된 치료계획을 세우고, 적용시킴으로서 미술치료가 가지고 있는 재활 치료적 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평가도구로 CAT-VPT(Clinical Art Therapy Visual Perception Test) 를 임상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임상미술치료학연구 2013;8(2):46-50) CAT-VPT(Clinical Art Therapy Visual Perception Test) is a diagnostic measurement tool which developed as assessing patient`s expanditory perception and color cognitive function. Within current paradigm of clinical art therapy there is no evident record of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patient`s color function and spacial recognition function. The aim of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mplementation CAT-VPT, assessing over-all visual perception(left to right, top to bottom etc). patient`s visual perception as well as spacial recognition function. Three primary colors and six secondary colors were used as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change. Spacial and visual cognitive assessment tool can affect the paient`s overall physical functioning abilities and development. There are increase of further searches on this topic, and assessment tool such as CAT-VPT can contribute in the fi eld of clinical ar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