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차이어와 성차별어에 관한 고찰

        송하일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는 사회언어학의 한 분야인 성별 언어에 관심을 갖고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성차이어와 사회문화적, 후천적 원인에 의한 성차별어의 기준점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법률적, 역사적으로 남녀 간의 성별어에 관한 인식과 가치관과 언어사용의 실태를 분석하고 성별어의 특징을 분석, 분류하고 성차별의 실태를 인식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차별어도 인권의 관점에서 남녀 간의 언어 상의 차이의 인정과 차별과 역차별의 논란 제기 속에서 합리적이고 평등관에 입각한 성별어에 관한 개념과 그 언어 차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 이를 중등교육 현장에서 교수 - 학습 지도안을 통해 상대적 평등관에 입각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모둠식 탐구학습을 통해 성차별어와 성차이어에 관한 가설과 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언어 생활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 학습자로 하여금 성차별어와 성차이어에 대한 논란과 주장 속에서 합리적인 방안을 찾고자 하고 언어에 나타난 차별 양상을 통해 그에 반영된 전통적 사회문화의 가치관을 파악하고 비판적 안목을 기르게 함을 제안하였다.

      • 바람직한 부부관계를 위한 기독교적 상담 연구

        송하 호남신학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고 가정을 선물로 주셨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허락하신 가정이 부부간의 갈등과 이혼율의 증가로 인해 점점 파괴되어 가고 있다. 이혼의 문제는 비단 사회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에서도 대두되고 있다. 교회는 이러한 이혼의 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도들의 요청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본 논문은 하나님이 세우신 창조질서를 지키고 "하나님이 짝지어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마19:6)라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순종하기 위해 예방상담의 필요성을 기술하며,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상담의 이론적 근거를 연구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으로 본 논문의 목적과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 범위를 서술하였다. 2장은 성경적 부부관계를 이해하며 기본적인 부부관계를 기술하고, 제3장에서는 부부관계 증진에 있어서 갈등의 원인들을 분석했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기독교적 상담접근으로 게리콜린스의 혼전상담과 부부의 분노상담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부부의 갈등 중의 하나인 의사소통의 문제를 사티어의 의사소통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갈등예방과 해소를 위한 성장 프로그램으로 하워드 클라인벨의 계획적인 결혼 생활 방법(IMM)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부부의 정체성을 성경에서 찾아봄으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람직한 부부관을 정립하려 하였다.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를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가정을 선물로 주셨다. 하나님께서는 부부에게 생육하고 번성의 복을 주시기 위하여 먼저 부모를 떠나라 하시고 한 몸이 되어 연합하라 명령하셨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부족한 부분도 수용하라 하시고 가정의 질서를 세우시며 바울로 통하여 바람직한 부부관계를 말씀하신다. 둘째, 결혼에 대한 잘못된 기대가 부부갈등의 기초적인 원인을 제공한다. 즉 결혼에 대한 잘못된 환상은 부부의 관계를 저하시킨다. 부부의 문제와 갈등은 결혼 후에 나타난 것이 아니다. 부부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결혼에 대한 잘못된 신념에서 시작된다. 잘못 형성된 배우자의 기대가 결혼 생활에서 무너지게 되면 부부갈등의 골은 더욱 더 깊어진다. 셋째, 여성의 사회참여의 확대로 남녀 성역할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변화로 인한 새로운 갈등들은 가사분담이나 자녀양육의 문제로 나타나는데 성 역할의 갈등의 요인이 자라온 환경에서 습득된 남성과 여성의 콤플렉스에서 기초한다. 넷째, 혼전상담으로 부부 위기를 극복하게 하고, 부부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부부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혼전상담은 결혼에 대한 잘못된 신념을 수정을 하고 남편의 역할과 아내의 역할을 미리 학습함으로 결혼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혼식 준비를 구체적으로 구상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섯째, 생활 속에 나타날 수 있는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는 기법을 살펴보았다. 갈등과 분노는 대체적으로 함께 느낀다. 분노의 감정은 부부관계를 더욱 멀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는 방법은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분노의 조절은 자신이 분노하는 것을 인식하는데서 시작한다. 분노의 근본적 원인인 불합리한 신념을 깨닫고 그것을 수정하는 작업은 분노를 조절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분노의 감정이 조절되었다면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의 표현은 멀어진 부부관계를 잇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섯째, 의사소통의 기법을 익힘으로서 대화의 수준을 높이고 부부 친밀감을 증진하고자 한다. 부부의사소통은 성공적인 결혼생활의 열쇠임에도 잘못된 의사소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부부들을 본다. 이러한 부부들에게 의사소통의 자세와 기술은 관계를 증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곱째, 하워드 클라인벨의 '계획적인 결혼생활 방법'(IMM)을 통해 갈등을 예방하고 그 문제를 해소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하고자 하였다.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이 계획적인 결혼생활 방법은(IMM) 희망을 일깨우게 될 것이며 신뢰와 이해의 다리를 건설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한국교회는 부부의 갈등과 가정의 붕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부부의 갈등을 겪고 있는 성도들이 상담을 요청할 때 그들에게 실직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모든 문제를 영적인 문제로만 접근하여 더욱 더 짐을 지우는 실수를 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우(愚)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먼저 목회자가 가정의 문제, 특히 부부갈등으로 인한 아픔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며 그 원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찾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보기에는 현재에 직면하고 있는 결혼의 위기와 이혼의 증가 중 특히 결혼 초기의 이혼과 노인층의 이혼의 증가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자존감이 낮은 남녀의 만남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들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상대방에게 보여주지 않고 서로를 속임으로서 결혼 후의 갈등을 예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둘째 잘못된 결혼의 기대를 갖고 결혼에 돌입한다는데 있다. 셋째 결혼 생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의견의 차이를 수용하지 못하고 배우자가 사랑하지 않음으로 생각하고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기 때문이다. 넷째 직계존속의 갈등은 부부관계를 더욱더 멀어지게 한다. 다섯째 멀어진 부부사이의 대화는 더욱더 어렵게 되고, 대화시간의 부족은 서로 오해하게 하며 부부간의 갈등을 깊어지게 만든다. 여섯째 나의 배우자는 하나님께서 짝지어준 배우자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이 배우자의 선택을 잘못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위의 갈등의 원인들로 부부들이 위기를 겪는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부부갈등의 해결책으로 먼저 성경의 올바른 부부 관을 정립하여야 하며 교육하여야 한다. 둘째 결혼에 대한 잘못된 기대를 수정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결혼 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들을 예방하는 혼전상담이 필요하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셋째 갈등 후에 일어날 수 있는 분노에 대하여 대처하는 것은 부부관계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을 통하여 기대를 수정하고 갈등을 인식하여도 실제적인 생활에서 문제는 나타나기 때문이다. 넷째 IMM은 부부관계증진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계획적인 결혼생활 방법은 갈등을 최소화하며 지혜롭게 대처하고 해결하기 위한 상담방법이다. 다섯째 의사소통의 방법을 익힘으로 부부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올바른 의사소통의 방법은 부부의 친밀감을 높여줄 것이다. 부부간에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대화법은 부부관계에서 꼭 필요한 것 중에 하나이다. 필자가 기술한 혼전상담과 분노상담, 그리고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과 IMM의 상담이 기독교 목회사역에 있어 갈등함으로 가정 붕괴의 위기에 있는 부부들에게 적용된다면 크리스찬 가정과 일반부부들의 이혼을 줄이고 가정생활에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 연구로 가정 붕괴의 위기에 있는 부부들과 이를 돕고자하는 목회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규제현황 연구

        송하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Demand and interest in prevention and consumer-centered smart healthcare, which can manage health in everyday life, are increasing due to innovation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4th industry, aging of the population, and COVID-19 pandemic. In Korea, it is helping to be regulated as a medical device based on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guidelines, but there is a clear limit to the regulation of medical devices because the term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of smart healthcare are unclear both in Korea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gulations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Among the total 170,852 cases that have been certification and approval as medical devices by the MFDS and have been disclosed to the electronic civil service counter of medical devices, items and products corresponding to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urpose of use, principle of action, method of use, and performance of medical devices based on the keyword derivation results. In addition to the guidelines published by MFDS to derive key words for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classification, a total of 16,927 web data between January 2018 and December 2020 were collected as keywords for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are software using AI and Big Data technology, product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oregulation devices, remote and ICT fusion u-healthcare products, products for bio-signal measurement and recording, robot products for rehabilitation, products with Wireless technology, and products for personal use. This was found to be 68 items out of about 2,590 items of [Regulations for Product Classification of Medical Device and Class by Product] according to [enforcement degree of medical device ac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ecur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medical device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fac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medical devices industry that have not establishe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abroad.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studies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regulations, systems and policies are continuously needed. 4차산업 관련 기술의 혁신과 인구의 고령화 현상 그리고 최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개인이 일상에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예방·소비자 중심의 스마트 헬스케어(Smart healthcare)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련 가이드라인을 발간해 의료기기로 인증 및 허가받도록 규제하고 있지만 국·내외에서 스마트 헬스케어의 용어, 정의, 분류가 불분명한 실정으로 의료기기 규제에 분명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 확보를 위해 국내 규제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로 인증 및 허가받아 의료기기 전자민원창구에 정보공개 되어있는 총 170,852건 중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품목 및 제품을 키워드 도출 결과를 기준으로 의료기기의 사용목적, 작용원리, 사용방법, 성능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류를 위한 키워드 도출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 외에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를 키워드로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의 웹 데이터 총 16,927건을 수집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는 AI(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제품, 신경재활 및 신경조절 장치, 원격 및 ICT 융복합 유헬스케어 제품, 생체신호측정 및 기록을 위한 제품, 재활 등을 목적으로 한 로봇 제품, Wireless(무선) 기술이 적용된 제품, 개인사용을 목적으로 한 제품에 해당되며 「의료기기 시행규칙」에 따른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의 약 2,590개의 품목 중에서 68개의 품목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외에서 정의 및 분류 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산업 분야가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가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규제현황 및 제도와 정책을 포함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파고지의 UCP1 조절 활성 성분

        송하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파고지(Cullen corylifolium.)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예로부터 심장질환, 염증질환, 고혈압, 신염, 피부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파고지의 성분 중 하나인 bavachin이 포도당섭취를 향상시킨다는 내용의 논문이 보고되었고, neobavaisochalcone은 adipogenesis를 억제한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다. 파고지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분획으로부터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6가지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학 구조는 UV-Vis, IR, NMR, Mass 등의 분광학적 분석법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1, 2번 화합물의 구조는 coumarin 계열의 화합물로, 3, 6번 화합물은 isoflavone 계열의 화합물로, 5번 화합물은 coumestan 계열의 화합물로 각각 동정하였다. isopsoralen (1), psoralen (2), neobavaisoflavone (3), bavachin (4), psoralidin (5), corylifol A (6) 화합물에 대하여 UCP1 조절 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6가지의 파고지 성분 중 neobavaisoflavone과 corylifol A는 10, 20 μM에서 농도의존적으로 UCP1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psoralidin은 20 μM에서 UCP1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neobavaisoflaovne과 corylifol A는 백색지방의 갈색지방화를 유도하여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비만치료제의 선도물질로써, psoralidin은 UCP1의 발현을 억제하여 hypermetabolic condition 환자의 근소실, 죽상경화증, 간지방증등을 치료하기 위한 선도물질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medicinal plant, Cullen corylifolium (Fabaceae) has been used in alternative medicine as an aphrodisiac and a tonic, and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eases, inflammatory dieases, hypertension, nephritis, and skin die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bavachin of Cullen corylifolium improves gulcose uptake and neobavaisochalcone inhibits adipogenesis. We isolated 6 compounds from the EtOAc soluble fraction of the ethanolic extract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data analysis as follows; psoralen (1), isopsoralen (2), psoralidin (3), bavachin (4), neobavaisoflavone (5), corylifol A (6). Neobavaisoflavone and corylifol A increased the expression of UCP1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le psoralidin decreased the expression of UCP1 in C3H10T1/2. In summary, the neobavaisoflavone and corylifol A from Cullen corylifolium might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psoralidin for the treatment of hypermetabolic conditions such as burns, massive trauma and cancer.

      • 사회과체험학습의 의미 및 구성방향 탐색

        송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23

        Recognizing that there are important elements to be understood for adequate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larify the meanings of experi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o explore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is perceived to be personal-subjective involvement, and its subject is the inside of the person who has the experience, and therefore it has vividness and intenseness and is used limitedly to personal or individual affairs. When pure experiences obtained from consciousness are used in learning, the learning involves activities for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Experiential learning is executed through the cyclic proces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through the process, the learner maintains the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gets free from self?consciousness, and attains the joy of self?reward and the enrichment of life. That is, the nature of experiential learning is internaliz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is context,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comprehends all types of learning that prepare the learners to continue Social Studies through their entire life. If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is preparation for a life that continues Social Studies spontaneously, citizens to be raised through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should be active practitioners who can apply Social Studies knowledge to social phenomena. The contents of experiential learning are also rather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obtained from going through a social life. Therefore, Social Studies teachers need to associate the materials of learning to social practices and provide the learners with many opportunities to utilize knowledge that they have learned. In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he use of the body means putting learned practical knowledge into actions, and through this,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should enable the learners to feel selfefficacy and enrich their personal social life. For this, all the class members should have human meetings with one another, and in the democratic classroom atmosphere,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can achieve the internal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internalized state can be called ‘flow.’ How can learners feel flow in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his question may illuminate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Thus,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experience and flow, the present researcher assumed that if the learners and the teachers work together in the four elements of experience (process, structure, selfness and physicality) the learners can reach the state of flow in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For this, Social Studies experiential learning needs to clarify the goals of education (selfness), to integrate the contents of education structurally (structure), to implement learning based on physicality throughout the whole course of education (physicality) and to go through continuous qualitative changes (process), and ultimately to enable Social Studies learners to live a rich social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체험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악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있다는 인식하에 체험의 의미, 체험학습의 의미, 사회과 체험학습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사회과 체험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을 탐색하여 봄으로써 사회과 체험학습의 효과적인 실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체험은 1인칭적 주관적 경험으로 인식되며 인간의 내면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생생함과 강렬함을 가지며 삶과 관련된 개별적인 또는 개성적인 경험에 한정해서 사용한다. 의식으로부터 획득된 순수 경험을 학습에 활용할때는 체험을 표현해보고 이해해보는 활동을 수반해야 한다. 체험학습은 체험-표현-이해라는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런 전 과정이 몸과 마음이 어우러지면서 자의식이 상실되고 이를 통해 자기 스스로의 보상의 기쁨으로 삶을 윤택하게 하는 학습의 본질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체험학습은 교과의 내면화를 이루어내는 학습의 본질을 나타내는 개념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사회과 체험학습은 사회과적 삶을 평생 동안 살아가도록 학습자를 준비시키는 모든 학습형태가 될 것이다. 사회과 체험학습을 사회과적 삶을 자실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사회과 체험학습을 통해 길러내야 할 시민은 알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알고 있는 사회과적 지식을 사회적 현상에 적용시켜 볼 수 있는 적극적 실천인이 되어야 한다. 교육내용 또한 실제적으로 사회에 부딪혀 봄으로써 알게 되는 실천적 지식의 성격이 짙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회과 교사는 학습의 소재를 사회적 실제와 관련시킬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들에게 배운 지식을 실제로 활용해보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주어야 한다. 사회과 체험학습에서 몸을 사용한다는 것은 학습 한 실천적 지식을 행동화 해 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사회과 체험학습은 자기 효능감을 스스로 느껴 개인의 사회과적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실의 모든 구성원들끼리 인간적 만남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런 민주적 교실 분위기 속에서 사회과 체험학습은 교과의 내면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이 교과의 내면화된 상태를 몰입(Flow)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사회과 체험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몰입을 느낄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사회과 체험학습의 방법적면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체험과 몰입의 유사성을 근거로 체험의 네가지 구성요소(과정성, 구조성, 자기성, 신체성)에 근거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가 함께 노력해 나간다면 사회과 체험학습에서 학습자가 몰입의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사회과 체험학습은 교육목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고(자기성), 교육내용을 구조적으로 통합할 필요가 있으며(구조성), 교육의 전과정에서 신체성을 기반으로 학습이 전개되어야 하며(신체성), 이러한 학습의 전 과정은 계속적인 질적 변화의 과정(과정성)을 거쳐 최종적으로 사회과 학습자들이 사회과적 삶을 윤택하게 살아가게 하는 데 그 최종목적이 있다.

      • 보육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과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과 다문화 감수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용인, 안산, 안성시에 재직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감수성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을 조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을 조사한 결과, 다문화 관련 수업을 수강한 보육교사보다는 수강하지 않은 보육교사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연수 경험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지도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다문화가정 지도 경험이 없는 보육교사보다 많아 보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을 지도해야 할 상황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수준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수준은 전체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교육역량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관련수업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다문화 교육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연수 경험유무에 따른 다문화 교육역량 차이는 다문화연수를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환경구성·정서지원기술 요인을 제외하고 다문화 교육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지도 경험유무에 따른 다문화 교육역량 차이는 다문화가정 지도를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못한 집단보다 다문화 교육인식·편견인식과 다문화용어지식 요인을 제외하고 다문화 교육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감수성 중 상호작용 참여도, 상호작용 자신도, 상호작용 주의도가 증가할수록 다문화 교육역량이 증가하였지만, 문화차이 존중도와 상호작용 향유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문화 감수성 하위요인과 다문화 교육역량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감수성 중 상호작용 참여도와 상호작용 자신도가 증가할수록 다문화 교육인식인 다문화 교육인식·편견인식이 증가하였다. 다문화 감수성 중 상호작용 참여도, 상호작용 자신도, 상호작용 주의도가 증가할수록 다문화 교육지식인 다문화 교육지식, 국내다문화가정지식, 다문화용어지식이 증가하였다. 다문화 감수성 중 상호작용 참여도, 상호작용 자신도, 상호작용 주의도가 증가할수록 다문화 교육 기술인 다문화교수기술, 환경구성·정서지원기술, 부모상담기술이 증가하였다. 넷째,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문화 감수성 중 상호작용 참여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역량이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 주의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지식이 증가하였다. 보육교사들이 자신과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함에 있어 상대에게 기울이는 주의력이 좋을수록 다문화 교육의 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 자신도와 상호작용 향유도가 높을수록 국내다문화가정지식이 증가하였다. 상호작용 참여도와 상호작용 주의도가 높을수록 다문화교수기술이 증가하였지만, 부모상담기술은 다문화 감수성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역량과 관련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선행연구 결과를 인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역량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 이루어진다면 다문화 교육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안산, 안성시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하였다. 위 변인들은 다문화가정이 많아지는 현 시점에서 꼭 필요한 다문화적 역량이므로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한 연구가 진행되어 일반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산출하고 의미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양적연구뿐만 아니라 각 기관별, 교사별 현장상황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질적연구를 함께 적용한다면 더 정확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method for enh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of childcare teachers empirically. For the purpose,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ir multicultural experienc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with 204 teachers of Children’s Houses in Yongin, Ansan, and Anseong of Gyeonggi province as targe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our investigation on multicultural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in this research,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more childcare teachers who did not take class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those who did take such classes, indicating that many childcare teachers are lacking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It also turned out that there are more childcare teachers who had multicultural family guidance experience than those who did not have such multicultural family guidance experience, indicating that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require guidance in childcare sites. The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low overall, but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 overal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based on multicultural experience, the group that experienced multicultural classes had highe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A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training, the group that experienced multicultural training turned out to have highe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except for technical factors of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emotional support. A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based on multicultural family guidance experience, the group that had multicultural family guidance experience turned out to have highe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than the group that did not have such experience except for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tion of prejudice and multicultural terminology knowledge factor.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of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increased as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confidence in interaction, and attention paid to interaction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iscovered between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 and enjoyment of interaction. Also,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sinc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confidence in intereaction, and attention paid to interaction increased,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multicultural family knowledge in Korea, and multicultural terminology knowledge turned out to increase. Also,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confidence in interaction, and attention paid to interaction increased, multicultural education skill or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emotional support skill, and parental consultation skill turned out to increas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the higher is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multicultual education capacity also turned out to increase, and the higher is attention paid to interaction, multicultural eudcation knowledge turned out to increase. In interacting with people with different culture, the more attention childcare teachers pay to other people, their knowledge on the aim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turned out to increase. The higher are confidence in interaction and enjoyment of interaction, knowledg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ar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and attention paid to interaction,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increased, but parental counseling skil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sub-factors.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with childcare teachers as target, there are limitations on quoting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If there are more subsequent research with childcare teachers as target, it will help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city. Second, in this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was analyzed with the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Yongin, Ansan, and Anseong of Gyeonggi province as target. Since the above variables are multicultural competencies that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al families at present when their number is increas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cover broader areas and to generalize our findings. Third, as the data of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re was a limitation in calculating the result and understanding its meaning. In subsequent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more accurate research by applying not only quantitative research but also qualitative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situation and specificity of each institution and teacher involved.

      • Ionic Liquids 에 대한 CO2의 용해도 측정 및 모델링을 통한 시스템 해석

        송하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but most of VOCs are toxic. VOCs are sometimes accidentally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where they can damage soil and ground water. Butthe non-volatility of ionic liquid would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reason, the ionic liquids (IL’s) receive attention recently as a green solvent. Ionic liquids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Ionic liquids are electrically conductive and have extremely low vapor pressure. Many have low combustibility, good thermal stability, a wide liquid range. In this reason, the ionic liquids (IL’s) receive attention recently as a green solvent for reaction and separation. Solubilities of CO2 in ILs, 1-butyl-1-methylpyrrolidinium trifluoromethanesulfonate([BMP][TfO]) , trihexyltetradecylphospho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P14,6,6,6][Tf2N]) , 1-butyl-1-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BMP][Tf2N]), 1-hexyl-1-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HMP][Tf2N]), 1-octyl-1-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OMP][Tf2N]) and 1-butyl-1-methylpyrrolidinium methylsulfate([BMP][MeSO4]) have been experimentally studied for development of a separation process using supercritical CO2. The range of temperature for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is from 303.15 K to 373.15 K. The modified Lydersen-Joback-Reid method has been applied to correlate the experimental data. 화학 및 석유화학 공정에서 널리 쓰는 휘발성 유기용매(VOCs)가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밝혀지면서 이들 물질의 사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휘발성 유기용매를 대신할만한 Green Solvent의 개발의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Green Solvent 로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 이온성 액체와 초임계 CO2이고 이온성 액체와 초임계 CO2의 장점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Hybrid system이 개발된다면 완벽한 친환경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추출공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휘발성 유기용매를 대신하여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공정의 설계를 위해 이온성 액체에 대한 CO2의 용해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모델링하여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BMP][TfO], [BMP][Tf2N], [HMP][Tf2N], [OMP][Tf2N], [P14,6,6,6][Tf2N], [BMP][MeSO4]의 여섯 종류의 이온성 액체에 대해 30℃에서 100℃까지 10℃간격으로 순수한 CO2의 용해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온성 액체를 구성하고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종류에 따른 CO2의 용해도를 측정함으로써 CO2의 용해도에 미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영향을 규명하였고 이를 Modified-Joback-Reid Method와 PR-EoS를 이용하여 correlate하였다.

      • 커뮤니티 활성화 중심 창작지원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송하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3

        현대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소득수준의 증가는 사람들의 예술참여를 부각 시키고 있으며,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소수의 전유물이었던 예술향유가 일반 시민으로 확대되면서 미술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 있는 창작지원시설은 지역의 정체성과 맥락성의 관계가 다소 낮아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맥락성, 연계성, 소통성 3가지를 반영하여 지역주민 커뮤니티 활성화가 될 수 있는 창작지원 시설을 계획한다. 첫째 건물의 맥락성을 주기 위하여 기존 공간의 재활용을 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는 입면 재료를 사용하여 입면을 조화롭게 하여 장소성을 건물에 담아내고자 한다. 둘째 연계성을 주기 위하여 입면 재료의 투명함, 외부 매개공간을 두어 외부에서 내부로 지역주민들의 관람 동선을 유입함과 동시에 내부에서는 높은 층 고 계획과 부분적인 보이드 공간을 두어 어느 공간에서도 지역주민과 예술과들의 연계가 이루어지게 하며, 새로운 감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내부에서 작업공간을 투명하게 두어 오픈하고, 행사에 따라서 주민들에게 작업장을 개방한다. 또 한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의 휴게 공간 사용 동선을 동일 선상에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공간을 공유하면서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창작지원시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작공간에서 예술인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들과의 소통이 원활해지면, 예술가들은 사람들에게 더 나은 예술을 돌려줄 수 있을 것이고, 사람들은 문화 예술의 주체가 되기를 기대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활성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제시할 것이다.

      • PARP in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 PARP에 의한 해당과정과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구

        송하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After renal injury, selective damage occurs in the proximal tubules as a result of inhibition of glycolysis; but the molecular mechanism is not known.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ctivation plays a critical role of proximal tubular cell death in several renal disorders. Here, we studied the role of PARP on glycolytic flux in pig kidney proximal tubule epithelial LLC-PK1 cells using XFp extracellular flux analyzer. Poly(ADP-ribosyl)ation by PARP activation was increased by 10 mM glucose in LLC-PK1 cells, but treatment with 3-aminobenzamide as a PARP inhibitor does-dependently prevented the PARP activation induced by glucose. Treatment with 1 mM 3-aminobenzamide significantly enhanced extracellular acidification rate increased by glucose, but not oligomycin; indicating that PARP inactivation increases only glycolytic activity during glycolytic flux including basal glycolysis, glycolytic activity, and glycolytic capacity in kidney proximal tubule epithelial cells. Glucose increased the activities of glycolytic enzymes including hexokinase, phosphoglucose isomerase, phosphofructokinase-1,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enolase, and pyruvate kinase in LLC-PK1 cells. Furthermore, PARP inactivation selectively augmented the activities of hexokinase, phosphofructokinase-1,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PARP activation regulates glycolytic activity through poly(ADP-ribosyl)ation of hexokinase, phosphofructokinase-1,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in kidney proximal tubule epithelial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