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구역구분의 기준에 관한 연구

        송주일(Song Ju Il),윤세의(Yoon Sei Eui)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2 No.2B

        현재의 하천구역구분은 평가자의 주관에 의해 경험적으로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구분되고 있다. 보전지구를 구분할 때에는 하천의 자연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기술자들의 결과가 일치하지만, 복원지역과 친수구역을 구분할 때에는 도시하천과 전원하천이 혼재하는 경우 그 구분의 기준을 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우선 보전지구 정비지구로 구분하고 정비지구를 다시 복원지구와 친수지구로 구분하고자 한 기존 연구(송주일과 윤세의, 2008)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20개 도시하천의 46개구간, 29개 전원하천의 47개 구간, 19개 산지하천의 48개 구간 등 총 141개 구간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구역구분에서 보전지구 또는 친수지구를 구분하는데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화된 기준에 따라 하천을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iver areas are classified as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depending on engineers' opinions from their experiences at present. For conservation zones, almost all engineers have the same opinions because natur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for 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ide a basis in classifying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in mixed areas by urban and reral stream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an application of a previous study(Song & Yoon, 2008) that suggested two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classify conservation or maintenance zones, and reclassify maintenance zones into restoration or recreation zones.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techniques of river zones were used to estimate 46 reaches of 20 urban streams, 47 reaches of 29 rural streams, and 48 reaches if 19 mountainous streams to achieve a porpose of this study. The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were reasonably divided by results of the suggested techniques. A possibility that quantified criterion could be used to classify river zones was proven in this study.

      • 소하천 시설물의 치수안정성 및 방재성 강화 필요성 연구

        송주일,김정수,윤세의,Song. Ju-Il,Kim. Jung-Soo,Yoon. Sei-Eui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Various characteristics of creek were not considered in designing creek for a long time. As result of that, a lot of reverse functions have been present in creek. In this study, a presentation of creek damage was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river form creek design standards were analyzed. The damage of creeks accounts for 37.3 percent of total damage of rivers over the last 6 years. Besides, government should spend more money in restoring creeks. Considering that maintenance rate of domestic creeks is 37 %, counterplan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the damage of creeks. There are many kinds of causes in destroyed creek round. Specially, most damage was secondary that was caused by increase of flood elevation according to decrease in conveyance, local scour around structures, and failures because of inappropriate structures such as bridge, culvert, crossbeam, and drop in creek. These destroy types are in bend area. However, current creek design standards do not suggest solutions to prevent damages. Currently, there are no standards for bridge, and appropriate hight and width of culvert. Standards for crossbeam and drop could not reflect characteristics of creek. Therefore, it is need to improve the creek design standards for appropriate design and construction. That could improve flood control and prevention of creeks.

      • KCI등재

        도시하천의 복원과 관리를 위한 하천평가기법 개발

        송주일(Song Ju Il),이준호(Lee Joon Ho),윤세의(Yoon Sei Eui)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3B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하천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도시하천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ㆍ외 하천평가에 대한 문헌 및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비교ㆍ분석하였으며, 예비하천조사를 실시하고 도시하천의 특성 및 하천의 치수기능 등을 고려하여 하천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자를 도출하였다. 도시하천 평가기법은 상위단계, 중간단계, 하위단계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상위단계에서 하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제방, 하천, 생태환경의 3개 특성으로 구분하고, 중간단계에서는 3개 특성이 변형되고 훼손된 정도를 설명할 수 있는 10개의 평가부문(제방, 수로, 흐름, 하상, 비인공화 정도, 저수로변과 홍수터, 하천주변, 동물상, 식물상, 수질)으로 나누었으며, 하위단계에서는 도출된 53개의 평가항목을 구성요소로하여 단계적 평가가 가능한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특성간, 평가부문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하여 하천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와 복원정도를 고려하여 수원천, 안양천, 중랑천을 대상하천으로 선정하고 평가를 실시하여 도시하천 평가기법의 적용성과 평가정보의 가치 수준을 확인하였다. 평가결과는 항목지수, 부문지수, 특성지수, 총괄지수 및 평가등급으로 하천의 상태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평가기법에 따른 하천평가결과는 하천이 변형되고 훼손된 부분과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도시하천의 복원과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Urban Stream Assessment Technique (USAT) was suggested to give information about present urban stream condition. Domestic and foreign stream evaluation methods were analyzed and some streams were previously investigated to decide evaluation factors that could evaluate stream condition and have concern with characteristics and flood control of urban stream. The USAT consisted of three steps. High step has three characteristics concerned with functions of stream such as flood risk, stream, and ecology. In middle step, three characteristics were subdivided by ten features to describe changes and degradations of urban stream. Low step consisted of fifty three factors that explain the present condition of ten features. A survey of river experts was conducted to reflect weight among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The weights were calculated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USAT was carried out to check over application of that in Suwon, Anyang, and Joongrang stream. The results of stream evaluation were expressed by factor index, feature index, characteristic index, total index, and evaluation grade. The results of the USAT were useful to realize changed and degraded areas. It is expected that the USAT can be used as base investigation for restoring and managing urban streams.

      • 재해위험지역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송주일 ( Song Juil ),김영철 ( Kim Young-cheol ),이진석 ( Lee Jinseok ),김한태 ( Kim Ha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최근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급경사지 및 저수지 등 미정비 재해위험지구에서의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 및 마을 상류부에 위한 재해위험지구에 의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재해위험저수지, 급경사지 붕괴우려지역 등을 지정, 정비계획 수립, 예산 마련 등 실제 정비를 통해 재해위험을 해소하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재해위험지역 주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비구조적 대책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 재해예·경보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지만 계측데이터의 저장 및 활용의 한계, 미흡한 예·경보 기준을 적용하는 등 문제점 또한 존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예·경보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를 개선하는 IoT기반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계측되는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구조로 DB화하여 대상지역에 현실적인 예·경보 기준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리수문 분석을 통해 최적의 계측기 위치를 선정하고, 강우량, 지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속한 주민대피가 이뤄질 수 있는 경보기준 또한 마련하였다. 유사시 대피방송이 이뤄지기까지 의사결정의 과정과 이후 대응상황을 고려하여 유관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자체의 통합관제센터의 통합플랫폼과 연계구축하여 24시간 통합감시 및 무중단 재난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재해위험지역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송주일 ( Song Juil ),김영철 ( Kim Young-cheol ),이진석 ( Lee Jinseok ),김한태 ( Kim Ha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최근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급경사지 및 저수지 등 미정비 재해위험지구에서의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 및 마을 상류부에 위한 재해위험지구에 의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재해위험저수지, 급경사지 붕괴우려지역 등을 지정, 정비계획 수립, 예산 마련 등 실제 정비를 통해 재해위험을 해소하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재해위험지역 주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비구조적 대책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 재해예·경보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지만 계측데이터의 저장 및 활용의 한계, 미흡한 예·경보 기준을 적용하는 등 문제점 또한 존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예·경보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를 개선하는 IoT기반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계측되는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구조로 DB화하여 대상지역에 현실적인 예·경보 기준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리수문 분석을 통해 최적의 계측기 위치를 선정하고, 강우량, 지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속한 주민대피가 이뤄질 수 있는 경보기준 또한 마련하였다. 유사시 대피방송이 이뤄지기까지 의사결정의 과정과 이후 대응상황을 고려하여 유관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자체의 통합관제센터의 통합플랫폼과 연계구축하여 24시간 통합감시 및 무중단 재난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재해위험지역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송주일 ( Song Juil ),김영철 ( Kim Young-cheol ),이진석 ( Lee Jinseok ),김한태 ( Kim Ha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최근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급경사지 및 저수지 등 미정비 재해위험지구에서의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 및 마을 상류부에 위한 재해위험지구에 의한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재해위험저수지, 급경사지 붕괴우려지역 등을 지정, 정비계획 수립, 예산 마련 등 실제 정비를 통해 재해위험을 해소하기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재해위험지역 주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비구조적 대책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 재해예·경보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지만 계측데이터의 저장 및 활용의 한계, 미흡한 예·경보 기준을 적용하는 등 문제점 또한 존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예·경보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를 개선하는 IoT기반 재난대응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계측되는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구조로 DB화하여 대상지역에 현실적인 예·경보 기준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리수문 분석을 통해 최적의 계측기 위치를 선정하고, 강우량, 지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속한 주민대피가 이뤄질 수 있는 경보기준 또한 마련하였다. 유사시 대피방송이 이뤄지기까지 의사결정의 과정과 이후 대응상황을 고려하여 유관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자체의 통합관제센터의 통합플랫폼과 연계구축하여 24시간 통합감시 및 무중단 재난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