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비대면 SW수업에서 교수실재감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

        송연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learner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SW classes at a university, and the preferr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structor’s presence. Methods In total, 106 students in University H’s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were asked to assess the instructor’s presence. A mixed methodology of qualitative data and network analyses was us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1) rankings in terms of the instructor’s presence were in the order of “teaching-design-teacher’s presence and facilitation.” Subcategory items for each category ranked as follows: “teaching: subject feedback,” “design: effective use of media,” “instructor’s presence: concern for learners,” and “facilitation: sharing meaning and understanding.” (2) Learners’ perceptions were primarily a fear of programming classes and the expectation that learning alone would be difficult and accompanied by a sense of isolation, the need for self-examination of one’s own learning process and problem-solving strategy with the instructor’s help, and a strong interest in a non-face-to-face learning reflection journal as an interactive tool; and (3) in the “design” category of the instructor’s presence, the top three keywords with high-link centrality were “class-course-difficulty.” In the category of “facilitating,” they were “question-feedback-sharing.” In the category of “teaching,” the top keywords were “instructor-feedback-question,” and in the “instructor’s presence” category, they were “question-learning journey-record.”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presented: first, the instructor’s digital-based class design competency; second, teaching-learning with other students using an e-scaffolding strategy; third, instructor feedback regarding the digital environment and cours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he need for effort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xchanges of e-learning reflection journals.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인식수준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변호승 ( Ho Seung By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1

        이 연구는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 DT)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요구 및 수준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도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97명(남 40명, 여57명) 이었다. 요구분석조사를 위한 도구는 기존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역량을 디지털교과서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 및 해석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영역은 교사 ``본인의 교수·학습방법``이었으며, 현 수준이 가장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학교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개선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리더십 항목들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구성원 간 역할 분담``, ``창의성을 배양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교수·학습 방법``,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대처 능력``,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보조 인력 지원``, ``디지털교과서 효과 측정을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 개발``, ``장애 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자원 지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인 학교 도입을 위해 테크놀로지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achers` perception for technology leadership when utilizing the Digital Textbook (D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40 males and 57 females) working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hat implemented digital textbooks in 2009. Needs assessment instrument was revised based on previous instruments. Perception was calculated using Borich formula.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of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recognized ``teachers` instructional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area, while the least recognized area was ``support by the school``. The highest technology leadership needs by categories included ``role setting between members when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s``, ``instructional methods to cultivate creativity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troubleshooting digital textbook problems``, ``additional staff support in case of problems``,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e digital textbook``, and ``support of digital textbook resour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pecific methods to enhance technology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in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아동문화콘텐츠에 재현된 전통문화

        宋蓮玉(Song, Yun-Ok)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0 No.-

        현재 세계 최대의 아동도서 시장인 중국에서 가장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분야는 그림책이며, 그중에서도 전통문화 그림책은 글로컬리즘의 실천방식으로 가장 각광받으며 다양한 문화콘텐츠로도 변용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 정체성을 규정하며, 그 고유성을 구조화하고 있는지, 그것이 아동에게 어떻게 설득되며 어떠한 콘텐츠로 소비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의 특성을 재현성, 현재성, 소비성이라고 개념화하여,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전통문화 그림책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그림책의 텍스트와 파라텍스트를 통해 그림책에서 재현되고 있는 전통문화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무엇을 전통문화라고 보여주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전통문화 그림책 주인공의 욕망과 행동결과를 통해 전통의 이데올로기의 현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의 기대독자를 통해 전통의 소비성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중국 전통문화 그림책의 서술자는 대부분 3인칭 성인 서술자였으며, 계몽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었다. 그림 서술자는 전통예술 형식을 차용하여 전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다양한 전통예술 형식을 활용한 파라텍스트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그림책에는 순종을 전제로 한 훈계, 혹은 검증된 지식을 전달하는데 유리한 수직적 서열이 존재했다. 둘째, 주인공의 욕망과 갈등을 고찰하여 전통이 누구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가, 지금 왜 전통이 필요한가를 통해 전통의 현재성을 고찰하였다. 그림책은 전통적인 윤리관과 처세를 강조하고, 가부장적 질서를 옹호했으며, 한족 중심의 농경문화를 민족의 정체성으로 삼았다. 문화유산 경쟁에서 24절기를 선점하려는 국가적 욕망도 있었다. 셋째, 기대독자와 문화콘텐츠 변용양상을 통해 전통의 소비성을 고찰한 결과 “게임⋅만들기+그림책” 형식의 명절선물 세트, 모래그림 쇼, 입체 북, 오디오 북, 유치원의 미니수업(微課), 초등 교과과정, 박물관의 문화강좌, 체험활동으로 변용되어 소비되고 있었다. 중국의 전통 이데올로기는 성인 중심의 계몽의도, 도시인을 위한 문화 마케팅, 톱다운 방식의 중국 문화정책을 의도하며, 다양하고 재미있는 아동문화 콘텐츠로 변용되어 소비되면서 아동에게 내재화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raditional Chinese ideologies being reproduced in picture books. The reason is that the most remarkable growth area in China, the world’s largest children’s book market, is picture books, and among them, traditional culture picture books are in the spotlight as a practice of glocalism, and are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the text narr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radition through paratext. The narra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picture books are mostly third-person adult narrators holding to an enlightening attitude. The pictorial narrators wanted to show tradition by borrowing traditional art forms. Paratexts use various traditional art forms very well. However, in the picture books, there are discipline for obedience or vertical hierarchy in favor of delivering proven knowledge. Second, the nowness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s of whose desire the tradition represents and why the tradition is needed now. The picture books emphasize traditional ethics and the trend, defend patriarchal order, and make the Han Chineses’ agrarian culture Chinese identity. There is also an attempt to preempt the 24 seasonal divisions in the cultural heritage competition. Third, the consumption of tradition was examined through expected readers and cultural content transformations. There are various forms of cultural transformation: sand painting show, three-dimensional book, audio book, kindergarten mini clas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eum cultural lectures, hands-on activities, and holiday gift sets consisting of game, making kits and picture books. Chinese traditional ideologies in picture books are shown in the aspects of the enlightenment in the viewpoint of adults, cultural marketing for urbanites and top-down Chinese cultural policies, and are consumed in the various forms of interesting children’s cultural content.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을 양적ㆍ질적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S대학교 교원 59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적으로, 교원 23명을 대상으로 행위사건면접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s: BEI)를 실시하였다. 1차 자료는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은 해석적 판독 방식인, 문장단위로 사례 절편화하기, 개념화하기, 범주화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 분석결과,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행도가 가장높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으로 동일했으며,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교수역량은 ‘교수학습 자료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의준비 영역(방향이 서지 않는 수업목표 설정,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강의진행 영역(소통되지 않는 수업,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학생들, 학습내용 소화에 대한 의문, 열심히 가르쳐야 한다는 강박), 강의정리 영역(평가 및 피드백에 맞서는 학생들, 강의에 대한 매너리즘) 등 총 3개 영역에서 8개의 강의 저해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에게 유용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마련에 대한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ement needs and lecture inhibiting factors by identify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university CTL support program. To this end,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ing competency survey given to 59 faculty members of “S University,” and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ehavior Event Interviews (BEI) with 23 faculty members.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on the primary data to analyze needs, while the secondary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terpretive reading methods consisting of the fragmentation,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xamples by sentence units. The results of the primary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aculty evaluate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both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that is presently being practiced be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most needed improvement was the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condary data, the following eight lecture inhibiting factors were deduced in three areas: lecture preparation (lack of direction in lecture objective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lecture progression (lack of communication during lectures, students’ lack of concentration, questionable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mpulsive need to teach zealously), and lecture conclusion (students disagreeing with evaluation and feedback, attitudes towards the lecture). Based on these results, detailed plans for support programs that would be useful to faculty a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 태평양전쟁 하의 조선여성들의 삶: 분열과 대립

        송연옥 ( Song Youn-ok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2

        During the Pacific War, Korean male intellectuals under the wartime total mobilization system converted and collaborated with Japan’s war of aggression, interpreting Naisen Ittai as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their status and escape from national discrimination. However, female intellectuals supported the war based on different logic. Believing that the enhancement of national strength by Japan would realize the modern family, they started from the enlightenment of modern home economics and strived to become wise homemakers and responsible family heads, aligning with the nation’s and the era’s demands, to exhibit agency as citizens (imperial subjects). Activities of intellectual women advocating for lifestyle improvements, frugal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during the war were carried out in pro-Japanese women’s organizations overseen by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Chōsen, but contrary to the exaggerated propaganda of the Governor-General, they did not significantly mobilize or achieve success. This was disconnected from the daily lives of ordinary Korean women. While individual intellectual women might be visible with their names and careers, the majority of common women remained obscured within their families or clans, sharing the same interests. Prior to improvement or savings, their lives were threatened in the colonial reality, leading to a significant divergence in the war perceptions of common and intellectual women. This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division and conflict between common and intellectual women in terms of gender and nationalism.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정책 분석: 교육정보화백서를 중심으로(2008~2019년)

        송연옥 ( Song-Yeon O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전개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2019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발행한 교육정보화백서 12건을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로 분류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정보화 정책 주요 이슈는 교육 및 학습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정부에서만 확인되는 주제어는, 이명박 정부 ‘가정’, ‘원격’, ‘품질’, 박근혜 정부 ‘기술’, ‘온라인’, ‘정책’, ‘활동’, 문재인 정부 ‘ICT’,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학교’ 등이었다. 둘째, 의미 연결망의 경우 역대 정부 모두 교육, 학습, 지원에 대한 연결성이 가장 높았다. 셋째, n-gram의 경우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원격, 사이버, 온라인과 학습, 수업 활동에, 문재인 정부는 ‘소프트웨어-교육’, ‘서비스-지원’에 보다 더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CONCOR 분석 결과 정부별 상위 키워드의 수가 가장 많이 포함된 군집으로 이명박 정부 ‘학생 지원 시스템’, 박근혜 정부 ‘온라인 학습’, 문재인 정부 ‘정보화 연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변동성 측면을 고려한 논의, 정책적 공조 체계 마련, 학습격차 완화를 위한 제도 마련, 정부에서 먼저 손 내미는 소통노력, 교육의 기본가치를 지키기 위한 내실 다지기 등 향후 교육정보화 정책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issue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12 white papers on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issued annually from 2008 to 2019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were classified in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for network text analysis (NT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issue of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common to the three administrations was education and learning support. Keywords that appeared only in the policy of a specific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home,” “remote,” and “quality” for the Lee administration; “technology,” “online,” “policy,” and “activities”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CT,” “software,” “program,” and “school” for the Moon administration. Second, in terms of the semantic network, all three administrations showed the highest connectivity for education, learning, and support. Third, the n-gram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previous administrations placed more emphasis on remote, cyber, online and learning, class activities, while the Moon administration focused more on software education and service support. Finally, through the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CONCOR) analysis, the clusters containing the highest number of top keywords for each administration were as follows: “student support system” for the Lee administration, “online learning” for the Park administration and “informatization training” for the Moo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