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네시아 남부 술라웨시 부기스 (Bugis) 사회의 트랜스베스타이트 제사장 빗수 (Bissu) 와 젠더 관계

        송승원(Song, Seungwon)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남부 술라웨시에 수립되었던 부기스 왕조들의 트랜스베스 타이트 제사장인 빗수와 이들을 뒷받침하는 양성 경외 사상, 그리고 봉건 계급 제도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양성 경외 사상은 전통 시대에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인도, 오스트로네시아어 사용권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젠더를 한 몸에 지녔기에 주술적 권능이 뛰어났다고 알려진 빗수는 왕실과 귀족의 의례를 주관하며, 그들의 번영을 빌어주고, 평민과 차별되는 귀족들의 "고귀한 지위"를 사회에 각인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오스트로네시아어권에서 여성이 가진 계보 계승자, 의례 주관자로서의 문화는 부기스 전통 사회에서도 발견되며, 빗수도 이슬람과 유럽 문화가 이식되기 이전에는 남장여성의 숫자가 월등히 많았다. 이후 가부장적인 이슬람과 기독교적 유럽 문화가 유입되면서 빗수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봉건제도가 지속되었으므로 빗수도 유지되었지만 여성 빗수의 수가 거의 사라지고, 조상신을 모시는 의례에 이슬람적 요소들이 혼용되었다. 봉건질서가 사라진 공화국 시기에 여러 차례 존재의 위기를 겪었고, 수하르토 정권의 붕괴 이후 지방문화의 한 축으로 다시 부활했지만 빗수가 가진 본질적 의미, 즉 봉건 질서를 떠받치는 의례의 주관자로서의 정체성은 사라지고, 개인적 의례를 주관하는 존재로 그 명맥을 이어 나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ssu, transvestite ritual specialists in the Bugis kingdoms in southern Sulawesi, Indonesia, and their supporting ideologies of the reverence for the androgynous beings and feudal hierarchical orders. The veneration for the androgyny is found widely in Southeast Asia, India, and the Austronesia-speaking worlds. The bissu, known as having dual sexes in their bodies and spiritual powers, were in charge of conducting rituals for the aristocratic group and the royal families. Through the rituals, the bissu reconfirmed the "noble" status of the aristocrats and prayed for their prosperities. In the Austronesian cultures upon which the Bugis culture was originally based, the roles of women as the guardians of genealogies and ritual conductors were noticeable. The bissu in pre-Islamic era were mostly women in men"s attires. With the Islamic and Christianity-based European cultural influences, the bissu were exposed to numerous changes. They managed to survive because the feudal order was maintained, but the number of male bissu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Islamic elements were fused in their rituals. They had almost disappeared due to a series of oppressions during the Sukarno"s and Suharto"s eras, but revived back in the post-Suharto period, when the traditional customs were revitalized as the cultural assets for the regions in the decentralized era. Yet,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 bissu as the guardians of the feudal order lost its meaning, and they have simply served for the individual rituals.

      • KCI등재

        인도네시아 영화 〈공유하는 남편〉의 의미구조와 담론분석

        송승원(Song, Seungwon)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2

        인도네시아 영화 〈공유하는 남편 (Berbagi Suami)〉은 일부다처와 섹슈얼리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보여주고, 또한 유도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러한 주제들은 수하르토 집권기의 권위주위적인 정치 문화 속에서 미디어의 주제가 되지 못하였지만, 개혁기의 탈중앙적이고 보다 자유로운 정치문화 속에서 다양한 시각으로 표현되고 있다. 수하르토 집권기에 법적으로 용인된 제도인 일부다처제는 그 실행에 있어 많은 국가적 제약을 받았고, 따라서 그 존재는 일부다처를 찬성하는 측에서도, 반대하는 측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공유하는 남편〉은 일부다처에 반대하는 대중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또한 비슷한 시기에 상영된 〈사랑의 구절 (Ayat-ayat Cinta)〉 등의 영화는 일부다처제를 옹호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동시대에 제작되었고, 크게 히트를 친 두 개의 영화가 일부다처를 그토록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았다는 점은 일부다처의 시행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논란거리임을 보여준다. 〈공유하는 남편〉은 개혁기에서 수하르토 집권기 시대에 표현이 저지되었던 섹슈얼리티와 일부다처에 대한 논의를 미디어에 옮겨 공론화한 실험작이다. 이것은 수하르토 집권기의 질서가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와 국가관을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속에서 등장한 하나의 목소리였으며, 미디어가 사회적 담론 생성의 기수로 그 역할의 폭이 넓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Berbagi Suami, an Indonesian movie released in 2006, shows where the social discourses on the matters of polygyny and sexuality are directed to. These themes, which had not been the subjects of the media under Suharto’s authoritarian regime, emerged as important themes in the liberalized and de-centralized reformasi era after the fall of Suharto. The polygyny was legally authorized under the New Order regime but was under various state sanctions in its practices. Thus, the law received criticisms both from the pro- and anti-polygyny groups. The Berbagi Suami reflects the anti-polygyny sentiment. Yet, some contemporaneous movies, particularly the Ayat-ayat Cinta, are in favor of the practice. The popularity of the two movies which show contrasting views on polygyny reveals that the public debate on the polygyny began in a serous manner in society. The Berbagi Suami is a pioneering work which intended to gather public opinion on the future of the polygyny practice. The movie itself is a societal movement which emerged in the new era, when the old order of the New Order regime crumbled, and new sets of social and state orders needed to be established. It also represents that the roles of media as the generator of the social discourses have been expanded in the reformasi era.

      • KCI등재후보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 교사의 수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승원(Seungwon Song),양수진(Sujin Ya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수학 상위반과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가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수준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경향점수 기반으로 매칭하고,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으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둘째, 상위반과는 달리 수학 하위반의 수준별 수업 참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수학상위반의 수준별 수업의 참여는 교사의 수업 활동을 매개로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 하위반의 경우 수준별 수업 참여 여부가 수학 교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수업 활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Using the data from KELS2005, we carried out propensity score matching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bility grouping classes and who did not. GLM(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s positive for high-level students in a math class. However, although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in a math class of low level, ability grouping has a negative effect on low-level students.

      • KCI등재

        경향점수 추정 모형에 따른 매칭 및 인과효과 검정 결과 비교 : 다층자료의 모의분석

        송승원(Seungwon Song),강상진(Sang-Jin Kang),이규민(Guemin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경향점수의 추정과 인과효과 검정에서 분석 자료의 다층구조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동일한 모집단에서 반복 표집하여 생성한 모의표본 자료를 분석하는 실험을 통하여, 다층구조를 무시한 로지스틱 모형과 다층구조를 반영하는 로지스틱 다층모형으로 각각 추정한 경향점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추정된 경향점수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경향점수매칭 및 인과효과 검정결과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로지스틱 다층모형으로 추정된 경향점수가 로지스틱 모형으로 추정된 경향점수보다 더 큰 변산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당 경향점수를 기준으로 매칭된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례 수는 로지스틱 모형의 경우보다 더 작았다. 매칭 후 경향점수, 학교 및 학생수준 공변수의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동등성 정도는 학생수준 공변수의 경우 로지스틱 모형이, 학교수준 공변수의 경우 로지스틱 다층모형이 두 집단의 분포를 보다 유사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시한 인과효과 검정 결과, 로지스틱 다층모형의 경우 대다수의 데이터 세트에서 처치효과가 없었다고 분석된 반면, 로지스틱 모형의 경우 100개의 데이터 세트 모두 처치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인과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비실험연구의 데이터가 위계적 구조의 자료인 경우, 두 모형은 전혀다른 결론에 도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는 로지스틱 모형과 다층로지스틱 모형의 선택은 분명하지 않으며, 두 모형에 의한 교차타당화 작업이 요청된다. 또한 경향점수 추정에서 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의실험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ultilevel structure of data on the estimation of propensity score and causal inference. By analyzing multilevel data sets repeatedly sampled 100 times from the statistically recovered population data,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matching and those of causal inference when the logistic multilevel- and regression model were applied in estimating the propensity sc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tributions of propensity scores, and the number of matched data sets all differ when the propensity scores were estimated by the two models. In the case of matching students level covariates, logistic regression model performed better than logistic multilevel model in matching the covariate distribution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However, in case of school level covariates, we found the opposite results, in which multilevel model performed better. The results also showed two models influenced differently on the causal inference. Therefore this study reports that two models lead to different conclusion in causal inference via propensity score matching under the circumstance when the data are hierarchical. We suggest that cross validation is needed when causal inference is made based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the analysis of multilevel data.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imulation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adequacy of a model to estimate the propensity score.

      • KCI등재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송승원(Song Seungwon),김미현(Kim Mihyun),강예지(Kang Ye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단계에 진입한 여대생들의 진로성숙도의 변화패턴을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다수의 이질적인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개인, 가정, 학교변수들이 잠재집단 구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7, 9, 10차(2011, 2014, 2016년) 자료 중 4년제 대학에 재학했던 또는 재학하고 있는 여학생을 분석하였다. 진로성숙도는 총 5가지 하위영역(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자신에 대한 지식, 진로행동, 독립성)으로 나누어졌으며, 진로 성숙도 변화에 따른 여대생들의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일에 대한 태도 영역은 급격한 감소집단, 유지집단, 감소집단, 자신에 대한 지식영역은 감소집단, 유지집단, 증가집단, 진로행동 영역은 유지집단과 증가집단, 독립성영역은 감소집단과 증가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계획성 영역은 잠재집단 발견되지 않았다. 개인, 가정, 학교변수가 잠재집단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개인변수 중에서는 예비적 직업탐색, 해외경험, 미래에 대한 기대, 자아개념, 인지성향욕구가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일에 대한 태도, 자신에 대한 지식, 진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학교변수 중에서는 대학소속감이 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반면 가정변수 중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categorized into heterogeneous latent classes the patterns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entering adulthood by applying Growth Mixture Model (GMM)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o carry out this, we analyze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have attended a four-year college in the 7th, 9th, and 10th wave from KELS2005. Career maturity consists of five sub-domains (plan, attitude toward work, knowledge about oneself, career behavior, and independency). GMM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the change in career maturity and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each sub-doma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omain of attitude toward work was divided into sharp-decrease group, maintenance group, and decrease group; knowledge about oneself into decrease group, maintenance group, and increase group; career behavior into maintenance group, and increase group; independency group into decrease group and increase group; plan into neither latent group. After verifying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level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were found expectations for future, preliminary job seeking, overseas experience, the need for cognition, and self-concept to have major influence; among the family variables were emotional support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among the school variables were the belonging to college, the location of colleg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탐색 연구

        강호수(Kang, Ho Soo),김지혜(Kim, Ji-Hye),송승원(Song, Seungwon),김한나(Kim, Han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주요 특성들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OECD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08 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의 설문 자료를 이용해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하나의 변인으로 통합해 분석해 본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변인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적인 교사학습공동체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각각의 독립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전 공유, 성찰, 실천의 탈사유화, 협력의 네 가지 요인이 종속 변인인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한 가지 구성요소인 학생의 학습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나타내는 변인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개인 변인 분석 결과,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유한 교사들이 학사 학위를 취득한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본 연구는 현재 교직 사회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저하된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제시하고 그 구성 요인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We used the sample of 2,172 teachers of 131 Korean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08 implemented b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 composite vari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among the five cor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ur characteristics which were shared vision, reflection, de-privatization of practice,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 efficacy. In contrast, ‘focus on learning’ variabl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 Further, the highest educational degree as one of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With respect to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we hope that this study be used as a basic research to provide w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current teacher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