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모-자 상호관계 향상에 미치는 사례연구

        송숙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관계인 모-자 관계는 아동기의 문제행동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아동기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자 상호관계의 향상의 미치는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감소와 모-자 상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촉진하기 위해 통합미술치료(인지행동미술치료, 미술치료,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어머니의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OOOOO아동심리센터에서 D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1명의 남자아동으로 정신과에서 ADHD 판명이 난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2월 5일 ~ 2010년 12월 17일까지 대상아동은 주 1회 매회기별 각 5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45회기를 실시하였고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은 주1회 매회기별 50분씩 13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와 직접관찰에 의한 주의집중도 변화-회기별 착석시간, 모-자 체계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합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모-자 상호 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자 상호관계의 평가도구로는 모-자 언어적, 비언어적 체계진단 검사를 실시하여 협동과 의사소통, 의견수렴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가. 변화한 내용을 평가 및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미술치료 프로그램을 ADHD 아동에게 실시함으로써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이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의 결과 사전검사에서 주의집중문제는 25점 감소하였고 공격성은 21점 감소, 사회적 미성숙은 13점 감소되었다. 둘째, 통합미술치료 프로그램을 ADHD 아동에게 실시함으로써 ADHD 아동의 주의집중도를 알 수 있는 회기별 착석시간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통합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주의집중도 착석시간 척도는 초기는 10분~30분, 14회기부터는 30분~50분, 34회기부터는 40분~ 50분을 유지하여 통합미술치료가 주의집중도를 알 수 있는 착석시간을 증가 시켰다. 셋째, 가족체계진단검사를 적용한 모-자 체계진단검사를 실시하여 통합미술치료 프로그램과 어머니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결과 모-자 상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통합미술치료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모-자 언어적, 비언어적 협동화(체계진단검사) 결과 ADHD 아동 개인만으로는 활동정도에서 충동적이고 과잉행동적인 모습이 감소하였으며 어머니와의 관계변화를 알 수 있는 협동 · 의사소통 · 의견수렴이 사전에는 서로 무관심하고 비판적이었으나 사후에는 의견을 내놓으며 의사소통이 원만해졌으며, 지지와 강화의 모습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해동을 감소시키고 주의집중도는 증가시켰으며 모-자 상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시사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ADHD로 소아 정신과에서 판정받은 한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동질 환아의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양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아동이 다니고 있는 학교에서도 어머니의 부모교육과 같은 프로그램 접근이 있다면 아동의 학업문제와 대인관계 문제들이 좀 더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치료되었을 것 같다. 셋째, 기본적인 부모교육 상담을 하였으나 ADHD 부모의 집단 미술치료를 통해서도 아동들에 대한 부모들의 대처능력 강화와 낮아진 자존감, 부모로서의 효능 감의 측면에서도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 이며 집단을 통해 같은 힘든 점들을 나눔으로써 많은 위로와 힘이 되고 또 서로를 통해 통하고 배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이런 쪽의 연구도 이루어졌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 중년여성의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송숙희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men. 263 middle-aged women from 40 to 60 (M=48.51)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ith 101 items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for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indica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classification of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ird, it was found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of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as a predictive variable and depression as a criterion variable. Fift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s a predict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criterion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Sixth,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which indic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appeared in order emotional, somatic, and cognitive awareness. But, psychological well-being appeared in order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s of the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hich has been lacking in research, and provided data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balance and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rough somatic, emotional and cognitive awareness in clinical fie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as discussed along with academic and clin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신체적 알아차림, 정서적 알아차림, 인지적 알아차림이 중년여성의 우울 및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0∼60세 중년여성 263명(M=48.51세)이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는 101개 문항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 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의 결과 신체적 알아차림, 정서적 알아차림, 인지적 알아차림은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심리적 안녕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한 40대·50대 연령을 구분한 집단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단순회귀분석를 통해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 각각의 독립변인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우울을 준거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심리적 안녕을 준거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나타내는 표준화 계수에 의하면 정서적 알아차림, 신체적 알아차림, 인지적 알아차림의 기술 순으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알아차림, 정서적 알아차림, 인지적 알아차림 기술 순으로 심리적 안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대해 논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중년여성의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임상 현장에서 신체적·정서적·인지적 알아차림을 통해 중년여성의 심리적 균형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상담 도우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송숙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울증, 그로 인한 자살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학생을 가르치기 전에 우선 학생의 상태를 충분히 파악하여야 한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해결하고 교육해야 하는데,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상담을 통해 해결하여 비로소 학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담 도우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재 운용중인 상담 시스템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심리검사와 온ㆍ오프라인 상담신청 부분을 주로 성능 개선해 보았다. 시스템의 성능은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만족도를 검증하여 여러 요소별로 모두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본 시스템의 주요 개선된 기능으로는 심리검사를 등록 및 삭제하도록 하였고, 심리검사 답변 개수를 원하는 데로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단답형으로도 답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리검사 후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서 검사 결과에 따른 해석을 제시하도록 위험한 수치가 나오는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그래프로 눈에 띠게 표시하여 상담전문가가 이를 쉽게 알고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를 파악하여 자신을 좀 더 알게 하고, 자신의 심리검사 결과를 상담전문가에게 알려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 학생들이 먼저 상담을 신청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상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형태의 심리검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검사결과의 해석 및 지도방법 제시를 좀 더 자세히 해주는 기능이 필요하다. A melancholia, the suicide which is caused by it is becoming the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Before teaching students, the teacher must know enough condition of the student first of all. If there was a problem, he must solve it and then educate students. In this study I consult and solve the problems which the students have by implementation of a consultation helper system. This study mainly improve a psychological test and on/off-line consultation application. I got a good reaction by question about the efficiency on system. The main function of this system are that psychological test is able to be redigested or deleted, to be selected the question item number and to be replied style of a description. After the psychological test, it was suggested the interpr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a consultative client. The critical test result was checked remarkable graph. So consultation specialist can easily know and manage it. Meaningly the study is not only a person grasps his psychology and know himself little more, but also the consultation specialist know the test result. And actually considering a difficulty to apply consultation, it becomes more effective. I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in future in order to be possible a various psychological test. It is necessary the function interpreting the test result and suggesting the teaching method in detail.

      • 이변량 분위수의 비교

        송숙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compare two different bivariate quantiles of the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 and the Gumbel's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Two quantiles are the North South bivariate quantiles based on the cumulative probabilities of bivariate distribution and the geometric quantiles. First we find the North South quantile for given , then compute and four cumulative probabilities corresponding to the North South quantile. We consider many different combinations of and correlation coefficient.

      • 특별보충과정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송숙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ssons to allow efficient operation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nd provide students with effective supplementary lessons.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the operation method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differ by background factors? Second, does teachers understanding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 differ by their background? Answers for the above questions were found by related documents and survey. For the study 351 elementary teachers from 16 schools in Kangwon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the survey, χ2(Chi-square) 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with the result, using the SPSS program.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nly stipul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 course but not the appropriate ways to implement it, giving schools freedom to adopt their own systems. At the initial stage of implementing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operation plans for each cities and provinces were made but there had not been any follow-up guidelines or operation plans.As the study result shows, the operation methods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vary from school to school. Although schools have more leeway to choose systems they prefer, many schools are confused about finding the operation method of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because there is no support from higher up organizations such as detailed guidelines, effective promotion activities and training.Such confusion is also found in Basic Education for All policy, which is implemented along with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original purpose of implementing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is to provide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classes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re only focused o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e Basic-Education-for-All system was designed as an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insufficient scholastic ability focusing on basic reading, writing and math skills, whereas th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 i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weakness in particular areas in a certain subject. However, in reality,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re carried out both for children with insufficient scholastic ability and those who have problems only in particular areas in a certain subject. It is understandable that homeroom teachers want to us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for children with insufficient scholastic ability due to his or her responsibility as a teacher, but it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 two systems are implemented separately.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clarify the purpose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The fact that there are not enough guidelines and support from the higher organization is proven by demand from teachers for adjustment in teaching hours and decrease in workload.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ose who teach lower-grade students or have a lot of teaching experience have more time to teach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compared to those who teach upper-grade students and have less experience. The study finds that the disparity comes from different amount of teaching hours and workload allocated to teachers.To minimize the scholastic disability of students through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teachers need to come up with carefully chosen instruction plans and specialized teaching process. However, when teachers provid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they do not have positive nor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need to teach students based on their specific needs, to monitor students progress and to create a favorable education environment by changing a study. Their perception level is rather average. The phenomenon is more distinct among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More systematic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re needed for upper-grade students because their problems have been accumulated for long time. However, in many cases teachers with less experience are in charge of these students.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udents and parents would not be interested or participate enthusiastically in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taught by teacher with less experience due to the fact that less experienced teacher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in applying their teaching techniques to adjust curriculum levels. Furthermore, there are not enough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ask some questions about special supplementary lesson methods or to express their opinion on how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let alone training and consultative bodies to develop professional teaching techniques for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This signifies that there is no room for development for th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 system at the moment. The government, which should control and support the system, needs to pay keen attention to this fact.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re used to prevent students from lagging too far behind than other students in class, but one should see broader picture than the system itself. To manage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ability, issues in implementing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should be resolved first. As mentioned above, less experienced teachers should have more professional teaching skills, whereas school supervisors should examine the negative influences that various school events and trivial works have on teachers who should focus most of their energy on teaching in class. 이 연구는 특별보충과정의 일반적인 실태와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특별보충과정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며, 학습결손이 있는 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보충학습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특별보충과정 운영의 실태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문헌연구와 설문지 조사를 통해 해결하였다. 설문 조사는 강원도 소재 16개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35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Chi-square)검증과 F-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보충과정 운영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제도의 설치 근거만을 명시하고 적절한 시행 방안도 제시하지 않고 모든 것을 학교 자율에 맡기고 있다. 특별보충과정 시행 초기에 각 시도별 특별보충과정 운영 계획을 마련한 이후에 지속적인 지침이나 운영 계획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 결과에도 나타나지만 특별보충과정의 운영 실태는 학교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별보충과정에 대한 구체적 운영 방안을 학교 자체에 일임함으로써 학교에 자율권을 준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급 기관의 구체적인 지침이나 적절한 홍보나 연수 등의 지원 활동이 없어 각 학교에서는 적절한 운영 방안을 찾지 못하는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특별보충과정과 동시 운영되고 있는 기초학력책임지도제와의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특별보충과정의 지도 교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수준별 교육과정에 적용을 받고 있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모든 과목을 고르게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이 나와야 하나 실제 응답에서는 국어와 수학을 위주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초학력책임지도제는 기초학습부진아를 위한 제도적 장치이며 기초적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 확보에 관심이 있으며, 특별보충과정 경우 해당 교과의 특정영역에 학습결손을 보충하려는데 관심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특별보충과정을 통해 기초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지도와 교과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지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담임교사로서 담당하고 있는 학생에 대한 책임감으로 기초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지도를 이 시간을 통해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나 두 가지 제도의 취지에 따라 학습의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분명히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위학교에서 특별보충과정 지도의 목적을 더욱 분명히 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상급 기관의 지침이나 지원책이 부족하다는 점은 수업 시수의 적정화, 업무의 경감 등을 교사들이 요구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입증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집단별로 수업 시수가 적은 저학년 교사 혹은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수업 시수가 많은 고학년 교사나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들에 비해 특별보충과정 지도를 함에 있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수업 시수와 업무의 문제로 나타나는 것이 연구 결과로 밝혀졌다. 둘째, 특별보충과정이 학습자의 학습결손을 최소화되기 위한 기본 조건은 교사의 치밀한 지도 계획과 전문적인 안목을 가진 지도 과정의 수행이다. 그러나 교사들이 실제 특별보충과정을 지도함에 있어 학습자의 특성에 알맞게 지도해주거나 학습자의 과제 수행 정도를 확인 및 학습집단 편성의 변화를 통한 적절한 학습환경을 조성해주는 인식의 수준은 긍정이나 부정의 정도가 아닌 보통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 집단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학습결손의 누적이 심화된 고학년 학생에게 더욱 치밀한 특별보충과정 지도가 요구되나 현실적으로는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들이 주로 고학년을 맡고 있다. 저경력 교사는 학습자 특성 분석에 따른 교과내용 수준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수업기술의 적용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학부모 역시 특별보충과정에 적극적인 참여 의지나 흥미도가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별보충과정 지도에 요구되는 전문적 수업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연수나 협의회가 부족하고, 교사들이 특별보충과정의 운영에 대한 의문점을 질의하거나 제도적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기회가 없는 것은 특별보충과정이라는 제도가 발생한 이후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해석은 특별보충과정 운영을 장학하고 지원해야 하는 정책당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특별보충과정에 대해 정규 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결손의 누적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보는 것이 주된 관점이나 이러한 관점보다 좀더 넓은 관점이 요구된다. 즉 초등학교 학력 관리 체계 측면에서 특별보충과정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접근해야 한다.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저경력 교사에게 전문적 수업기술이 요구되며 학교 관리자들에게는 학교의 행사나 교사에게 주어지는 잡무가 정규 교과를 치밀하게 가르쳐야 하는 교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파악이 요구된다.

      • 중학교 함수 지도에 관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송숙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daily lives we may encounter two interrelated changing in their quantities in relation to each other. In this case function is very useful to describe their relations. A function is not only an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 to analyze a number of natural and social phenomenon. But it also serves as essential mathematical concept to help us to understand other mathematical conceptions. In this respect, we may as well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it. The key-point of the current school's mathematics is how to organize real life and mathematics. In the seventh curriculum, we can make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of solving problems which happen in nature and society through the basic concept or principle. Therefore, this thesis is that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function through the phenomena and cases in the daily life based o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at we can improve the ability of solving problems through the mathematical modeling.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는 두 양이 서로 관련을 가지고 변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함수는 바로 이와 같이 관련을 가지고 변하는 두 양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데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 주변의 여러 가지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을 파악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학적 수단일 뿐만 아니라, 수학 자체의 다른 여러 가지 개념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핵심적인 수학의 개념이므로 좀 더 바람직한 함수의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학교수학에서 중요시되는 것이 수학과 일상생활과의 접목이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기초적인 개념이나 원리를 토대로 자연이나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사건을 통해서 함수를 이해하고,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두고 전개하였다.

      • F. J. Haydn의 piano sonata H.23에 관한 분석적 고찰

        송숙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論文은 Franz Joseph Haydn(1732-1809) 의 피아노 소나타 H. 23의 分析硏究이다. F. Haydn은 古典派의 형성 시기에 걸쳐 활동한 作曲家로서 그의 중요한 업적은, 바로크 말기의 요소로 18세기 음악을 살찌우고 疾風怒濤 운동에서 낭만적 맥박을 흡수했으며, 교향곡과 현악 4중주를 통하여 古典 소나타 양식을 完成한 것이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교향곡이나 4중주곡에 비하면 대체로 가벼운 樣式이지만 아주 세련되고 個性的이다. 소나타 H. 23은 1773 년에 Esterha´zy 家의 Nikolaus 公에게 헌정된 것으로 이 作品을 分析해 보면 그의 구애받지 않는 作曲態度를 엿볼 수 있다. 제 1 악장은 재현부의 제 1 주제 다음에 連結句가 생략되고 연이어 제 2 주제가 시작된다. 제 2 악장은 浪漫的인 흐름의 旋律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半音階的 진행을 사용한 것은 浪漫的 性格을 짙게 나타내고 있다. 제 3 악장은 두 주제의 性格이 對照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單一性을 띄며, 똑같은 주제의 계속되는 反復으로 인하여 소나타 形式이라기 보다는 론도 形式에 가까운 느낌을 준다. 로코코의 가벼운 樣式으로 되어있는 이 曲을 演奏함에는 特別한 注意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運動範圍를 건반 가까이로 좁혀야 하며 폐달사용에 있어서는 극히 필요한 부분만 簡潔하게 사용하는 것이 效果的이다. 때때로 바로크의 흔적이 엿보이는 점과 낭만주의를 暗示하는 요소들의 使用도 빼놓을 수 없는 이 曲의 매력이라는 것을 기억해둬야 한다. This is a study on F.J. Haydns piano sonata H.23. Franz Jaseph Haydn was the composer who taked his active part through the period that the classical style was forming. His major achievements in music were to develope the style which characterized the middle part of the 18C with the materials of the last period of Baroque, to accept the romantic elements from the "Strum und Drang" and to complete the classical style of Sonata through the symphony and the string quartet. Even though its style is lighter than symphony or string quartet, his piano sonata is very confined and characteristic. His piano sonata H.23 was composed for prince Nikolaus, Estherhazy in 1773.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work, we can find his unrestricted attitude in composition. For example, in recapitualtion of the 1st movement, two themes are connected directly without help intermediate. Additionally, in the third movement, we find two themes to be identified and his general trend of phrase forming to be free. This work contains the traces of Bareque and the materials predicting the Roman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