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E 순환학습모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송수연 광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만 5세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5E 순환학습모형에 기초한 과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 적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과학에 대한 개념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과학적 과정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 형성과 과학적 탐구능력, 문제해결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유아과학교육의 경향을 반영하여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유아의 효과적인 과학교육을 위하여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5E 순환학습모형을 활용한 체계적인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tific education program using 5E learning cycle model for 5-year-old childre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concept, experiencing scientific process, forming positive scientific attitude, and importa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systematic science education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5E learning cycle model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by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ffectiv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 Change of growth ratio and espression of inductive proteins in Lactobacillus plantarum L67 under cold stress

        송수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cell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H, salts and temperature may affect the mechanism of stress resistance. We report the surviv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L67 after freeze-thaw cycles,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csp genes (cspC, cspL and cspP) and ATPase activity in response to cold stress. A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for cells growth at 37°C and under cold stress at 5°C for 6 h was perform with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and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Mass Spectrometry. As a result, only 56% of L. plantarum L67 cells without cold stress survived after four consecutive freeze-thaw cycles. However, 78% of L. plantarum L67 cells survived after the incubation temperature was downshifted to 5°C for 6 h under freeze-thaw conditions. In qRT-PCR and proteomic analysis, quantification of transcript levels of cspP gene was increased after reduction of the incubation temperature to 5°C. And 12 expressions of proteins were identified. These proteins were classified in to six groups: energy (25%), cell growth (25%), unknown function (25%), signal transduction (9%), stress response (8%) and transcription (8%). Spot 4 and spot 18 are related to Pantothenate kinase and synthetase. Spot 5 has homology with Putative YqaJ. The function of this protein domain is to digest DNA. Spot 22 has homology with multi sensor signal transduction histidine kinase. Spot 19 was identified as a protein of stress response, while Spot 7 was related to arsenate. Spot 24 is as regulatory protein, involved with regulated transcription. Spot 2 was identified as transposase protein which is involved in DNA binding. Spot 15 was associated with the homology phage integrase family protein. Spot 3 is recognized as Faecalibacterium, the function of which was unknown. Spot 6 and spot 11 are as yet unknown. This result indicates that exposing L. plantarum cells to low temperatures helps the cells to survive through subsequent freeze-thaw processes. Moreover, it may represent a further example of mechanisms for stress responses in Lactobacillus plantarum.

      • 국내·외 박물관 전시 및 교육에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탐색 연구

        송수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물관은 학습자에게 있어서 자유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개인의 경험과 선택을 통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 기관이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물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어 맥락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박물관의 교육적 특징에 따라 박물관은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에 적합한 환경으로 주목 받아 왔으며, 기존 공교육의 교육적 한계를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참여·체험적 교육을 가능하게 하였다. 나아가 성인, 가족, 다문화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과 문화향유가 가능한 평생교육 기관으로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디지털 도구의 활용이 현대사회의 필수적인 능력이 된 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성장은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를 비롯하여 교육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박물관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구성주의 박물관의 교육적 특징과 학습자의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박물관 전시 및 교육 분야에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현황을 분석을 통해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박물관에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후, 국내·외 박물관 전시 및 교육 분야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외 박물관 전시 및 교육 분야에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하여 박물관 내에 디지털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진 조직 구성과 박물관 인력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연수가 필요할 것이며, 디지털 시대의 박물관 특성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수법, 즉 페다고지적 측면에서는 상시적 학습과 BYOD 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박물관 관련 온라인 자원 및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프로젝트 기반 학습으로의 발전 방향이 제시되었다. 더불어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한 박물관 디지털 정보를 생산, 확장, 공유하는 박물관 인력과 관람객을 대상으로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워크숍 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박물관 현장에서의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시 실제 박물관 인력 및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seum is a typical non-formal education organization which provides fre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and enables them to do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ir personal experience and choice. In addition, education using displays of museum makes learners participate and communicate so that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which allows them to have contextual learning. Due to the educational features of museum, it has gotten attention for its appropriate environment for learner centered learning, which is emphasized in constructionism. This enables participational and experiential learner centered education that the public education has not taken care of. Furthermore, It is also recognized as a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that is a place for cultural enjoyment and where various kind of educations for adult, family and multi-cultural visitors are possible. Mean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akes practical use of digital device a required skill for living, and it hugely affects on the education field and other social areas. For this reason, museums are making different kinds of attempt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educational features of constructionism museum using modern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digital technology use in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exhibition and education sectors, and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To accomplish that,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as studied. And then the status of digital technology use in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exhibition and education sector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ose sectors is suggested. The outcome shows that for the invigoration of programs which use digital technology, creating organization that is specialized for digital expertise, and education program for building up digital literacy of museum personnels are needed. It is also confirmed that building infrastructures to realize the features of museum in the digital era is needed.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aspect of teaching method, the need of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s or online resources related with museum and developing programs, which BYOD and all time learning are available, are verified. And a development direction that recommends the use of project based learning is suggested. This article also suggests digital literacy educations or workshops for museum personnels who are producing, expanding and sharing digital information of museum using digital technology. They are not only for museum personnels, but also for ordinary visitors as well.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museum workers or researchers can get practical help for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that use digital technology in museum.

      • 남창 계면조 가곡 거문고 선율 연구 : 노래·피리와의 선율비교를 중심으로

        송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melody relation between song, Piri, and Geomungo of Namchang Gyemyeonjo Gagok and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Geomungo. The range of study includes the 13 songs from the seven original songs(i.e., Chosudaeyeop, Isudaeyeop, Junggeo, Pyeonggeo, Dugeo, Samsudaeyeop, Soyong) of Namchang Gyemyeonjo Gagok to 6 ariettas(i.e., Eonnong, Pyeongnong, Gyerak, Pyeonsudaeyeop, Eonpyeon, Taepyeongga), and as the study method, the movement was divided into Chodu or Ilgak, the part of melody linked with the first sentence, and Idu, with the second sentence, and a phrase to compare the process of the main tone of each phrase and examine the melody relation between song, Piri, and Geomungo. Moreover, based on the repeated melody and the end of the line of Geomungo, the melodic features and the use in the melody re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the entire Namchang Gyemyeonjo Gagok phrases was 352. Among them, the phrase of the single-progression melody relation was 313 and that of the composite-progression was 39. Among the single-progress phrases, the ensemble phrases proceeded in the same structural melody as the melody between song, Piri, and Geomungo took the largest portion of 94, about 28%, while the phrases of Piri-different-type were 60, about 17%, of individual type were 59, about 16%, of song-different-type were 54, about 15%, and of Geomungo-different-type were 46, about 13%, in order. In case of the Piri-different-type melody relation which took the second largest portion after the ensemble phrases showed the same process of song and Geomungo melody, and Geomungo-different-type also implied that it proceeded with the independent melody of Geomungo.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Geomungo played the main role of melody along with song in Gagok, with the strong presence while proceeding independently like the individual type and Geomungo-different-type phrases, and took the pivotal role in Gagok. Chosudaeyeop, Isudaeyeop, Junggeo, Pyeonggeo, Dugeo, and Soyong that belonged to the original Gagok showed the phrases with the ensemble melody relation mostly, while Samsudaeyeop showed the song-different-type phrases most often. Among the ariettas, the ensemble phrases appeared most often in Eonnong, Gyerak, and Taepyeongga, whereas the phrases of ensemble and Geomungo-different-type melody relations appeared at the same rate in Pyeongnong. In Pyeonsudaeyeop, Piri-different-type and individual phrases appeared frequently in the same ratio, and in Eonpyeon, the Piri-different-type phrases appeared most often. The phrases with the composite-progression melody relation that showed the two melody relation in one phrase was about 11% of the entire phrases, which wasn’t a big take-up, but it showed that song, Piri, and Geomungo formed the melody relation in various ways. The form of musical performance of Gagok consists of a song and an instrumental concert but the accompanied instrument not only took the role of accompaniment but also had the organic melody progression maintaining the complementary and equal relation with the song which proceeded as the main melody. Second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lodic features based on several fixed ostinatos that appeared repeatedly in the accompanied melody of Geomungo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tinguishing melody among the accompanied Geomungo melodies of Namchang Gyemyeonjo Gagok was eight including 󰊱(㣩-僙-㑖), 󰊲(僙-㑖), 󰊳(㑣-㑖-僙), 󰊴(㑖-僙), 󰊵(太-黃-㑣-㑖), 󰊶(僙-㣩-僙), 󰊷(㑖-㑣-㣩-僙-㑖), and 󰊸(黃-㑣-㑖-黃-㑣). These melodies either appeared many times in one musical piece or the same melodies appeared in many different musical pieces. The melody of Geomungo contrasted to the free melodies of song and Piri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in the ensemble-type melody relation. Meanwhile, in the Geomungo-different-type melody relation, Geomungo showed a strong presence proceeding with its unique melody or played the role of dividing and maintaining the beat, while a tune was usually prolonged by song and Piri. The melodic progression of song and Piri was showy with many main points and decorative tones compared to Geomungo, and the tunes that deviated from the mode such as ‘太’ and ‘無’ appeared often. This more played the role of main points which appeared and decorated before and after the tunes of “黃·仲·林” rather than the major compositional notes which formed melodies. Among Geomungo melodies, there was the end with constant regularity. The end notes are five including “㑣下”(Muhyeon), “㣩中”(Gwaesangcheong), “㣩”, “㣴文”(Munhyeon), and “僙”, and can be divided into 13 types depending on the melody and progression from the inside of the end phrase to the end note. The end type of Geomungo appeared often in a fixed form in one musical piece to many different musical pieces just like the repeated melodies analyzed previously. It had the structural function of dividing the phrases of a musical piece and the end using an open string while having the complementary melody type to song and Piri simultaneously based on “黃” and “林.”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melodies appeared commonly in the repeated melodies and the end of Geomungo were the melody progression devoted to the Gyemyeonjo scale of “黃·仲·林”, maintenance of the connectivity and unity between musical pieces with the repeated appearance of the same melodies, maintenance of a single note and supplementation of the continuant sound of song and Piri through the repeated pronunciation, and the tone change of a pitch using the instrumental method and the open string. Thus, the frame notes of song, Piri, and Geomungo of Namchang Gyemyeonjo Gagok were compared to examine their melody relation, and the features of the accompanied melody of Geomungo were inquired. Geomungo was not limited to the accompanied role of song but it fully showed its presence in the complementary and organic relation with song and Piri by playing the main melody of song together or having the unique melody progression and various expressions. 본 논문은 남창 계면조 가곡을 대상으로 노래·피리·거문고의 선율관계를 살펴보고, 거문고 반주선율의 특징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연구범위는 남창 계면조 가곡 원가곡(초수대엽·이수대엽·중거·평거·두거·삼수대엽·소용) 7곡과 소가곡(언롱·평롱·계락·편수대엽·언편·태평가) 6곡으로 전체 13곡이며, 연구방법은 악장을 초두(일각)와 이두 및 악구를 나누어 각 악구의 노래·피리·거문고의 골격음 진행을 비교하여 선율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거문고 선율의 반복출현 선율 및 종지를 중심으로 선율적 특징과 선율관계에서의 활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창 계면조 가곡의 전체 악구 수는 352개이며, 그 중 한 악구에 한 가지의 선율관계가 나타나는 단일진행의 악구는 313개, 한 악구에 두 가지의 선율관계가 이어지는 복합진행의 악구는 39개이다. 단일진행의 악구 중에서 노래·피리·거문고 선율과 동일한 구조선율로 진행하는 합주형의 악구가 94개(약 28%)의 비중을 차지하며 가장 많고, 피리상이형의 악구가 60개(약 17%), 개별형 악구가 59개(약 16%), 노래상이형 악구가 54개(약 15%), 거문고상이형 악구가 46개(약 13%)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합주형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피리상이형 선율관계는 노래와 거문고 선율이 동일하게 진행하며, 거문고상이형 또한 거문고의 독자적 선율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곡에서 거문고가 노래와 함께 주선율의 기능을 하고 있고, 개별형 및 거문고상이형의 선율관계에서와 같이 거문고의 개별적이고 독자적인 선율로 진행하면서 가곡의 중심기능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악구에서 두 가지의 선율 관계가 나타나는 복합진행 선율관계를 이루고 있는 악구는 전체 악구의 약 11%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노래·피리·거문고가 다양한 방식으로 선율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곡은 노래와 기악반주로 이루어진 연주형태이지만, 반주 악기도 반주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주선율로 진행하는 노래와 상호보완적이면서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유기적인 선율 진행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거문고의 반주선율 중 반복적으로 출현하는 몇 가지 고정 음형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창 계면조 가곡의 거문고의 반주선율 중 특징적인 선율은 󰊱(㣩-僙-㑖), 󰊲(僙-㑖), 󰊳(㑣-㑖-僙), 󰊴(㑖-僙), 󰊵(太-黃-㑣-㑖), 󰊶(僙-㣩-僙), 󰊷(㑖-㑣-㣩-僙-㑖), 󰊸(黃-㑣-㑖-黃-㑣) 등 8가지가 나타났다. 이 선율들은 한 악곡에서 여러 차례 출현하거나, 동일한 선율이 여러 악곡에 출현한다. 거문고 선율 중에는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종지의 형태가 나타나는데, 종지음은 ‘㑣下’(무현), ‘㣩中’(괘상청), ‘㣩’, ‘㣴文’(문현), ‘僙’등 5가지이며, 종지악구 안에서 종지음까지의 선율 및 음 진행에 따라 총 13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거문고의 종지형은 앞서 분석한 반복출현 선율과 같이 동일한 악곡에서, 또는 여러 악곡에서 고정된 형태로 여러 차례 나타나며, ‘黃’과 ‘林’ 중심으로 노래·피리와 상호보완적인 선율형태인 동시에 개방현의 활용으로 악곡의 악구 및 종지와 같은 형식을 구분하는 구조적 기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거문고의 반복출현 선율 및 종지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거문고 선율의 특징 및 기능은 ‘黃·仲·林’의 계면조 음계에 충실한 선율진행, 동일한 선율의 반복출현으로 인한 악곡 간의 연계성 및 통일성 유지, 단일음 유지 및 반복적 발음을 통한 노래·피리의 지속음 보완, 주법과 개방현을 활용한 동일한 음정의 음색 변화이다. 이와 같이 남창 계면조 가곡의 노래·피리·거문고의 골격음 진행을 비교하여 선율관계를 살펴보고, 거문고 반주선율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거문고 선율은 노래의 반주로서의 기능에만 한정되어있지 않고, 노래의 주선율을 함께 보강해주고, 독자적인 선율진행 및 다양한 표현으로 노래·피리와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존재감을 충분히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듀이의 ‘공통신앙’으로 비추어 본 종교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

        송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문제는 복합적인 양상을 갖는다. 물질문명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간의 정신적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종교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교조적인 신앙을 강요하는 종교로 인하여 인간이 이기적이고 배타적이 되고, 종교 갈등으로 인한 사회 문제 역시 심각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육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종교적 도그마에 빠지지 않도록 아동을 교육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이와 같은 현대 종교와 교육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듀이의 종교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듀이의 종교론 속에는 오늘날 사회가 직면한 종교적 딜레마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철학적 분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듀이는 과학과 실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인류의 미래를 개선시키는 과학의 발전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모든 철학과 교육이 과학과 실험의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다윈의 진화론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써 인류가 현재를 수정하고 보완 발전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믿었던 낙관주의자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듀이가 학문을 시작하는 첫 순간부터 종교에 대해 깊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자주 간과되곤 하였다. 더 나아가서 그의 종교론은 종종 반종교적이거나 무신론적 입장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듀이는 단 한 번도 종교 자체에 대해 반대하거나, 현상의 초월 가능성에 대해 부정하였던 적이 없다. 오히려 듀이는 인간에게는 누구나 현실보다 이상을 꿈꾸며 기획하는 마음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바람직한 인간의 삶이란 미래의 어떤 시점에는 도달할지 모르는 궁극의 이상을 열망하고 기대하면서 열심히 살아가는 것으로 보았고, 실제로 인간의 모든 경험과 탐구의 과정은 바로 이러한 이상의 실현과정이라고 생각하였다. 다만 그가 경계하였던 것은, 특정한 종교가 초월적인 지배자를 가정하고 그 대리인을 자처하면서, 인간의 경험이나 탐구를 외면한 채 맹목적인 권위를 내세우며 복종을 강요하는 것이었다. 듀이는 종교란 인간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이상에 대한 열망이라고 생각했다. 이와 같이 모든 인간 속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이상적인 목적에 대한 기대감이 곧 종교적인 것으로서, 이것을 ‘공통신앙’이라고 불렀다. 그는 자연 속에는 현재 경험으로는 담지 못하는 풍부하고도 궁극적인 의미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었고, 이 궁극적인 삶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듀이에게 있어서 종교는 인간의 삶 밖에서 인간을 강제하는 힘이 아니라, 인간이 각자의 경험과 탐구를 통해 궁극적인 것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묘사되었다. 인간의 경험과 탐구가 가장 근본적인 종교적 동기를 이루기 때문에, 이때의 종교는 개별 종교의 특수한 실천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갈등 대신, 모든 인간이 가지는 보편적인 종교성과 그 계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는 곧 종교가 궁극적인 이상을 향한 인간의 태도와 노력에 관련된 교육적 주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지식과 윤리를 넘어서서,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삶에 대한 각성과 깨달음을 문제 삼는다는 점에서, 종교는 인간의 전인적 성장이라는 매우 기본적인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주제가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입장에 따라서 듀이는 교육자들이 특정한 종교교육 대신, 매일의 교육 장면에서 학생들이 궁극적인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의미의 근원이 되는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듀이의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현대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영성교육의 이념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고 보인다. 왜냐하면 영성교육자들은 인간을 영적 존재로 파악하면서,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아와 세계에 대한 궁극적 의미를 발견하고 실현하는데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의 영적 본질에 관심을 가지고 그 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개별 종교의 특수한 교리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교육적 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듀이는 학교의 교육과정 안에 종교교과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듀이는 종종 종교의 교육적 가치를 모르는 인물로 여겨졌다. 그러나 듀이가 종교의 교육적 중요성을 간과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는 교과로 편성된 종교가 특정한 종교의 교리교육으로 변질되거나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으로 약화되면서, 자아와 세계에 대한 풍부한 의미를 추구하고 깨닫는 것과 같은 종교의 본질적 영역을 왜곡시킬 가능성을 염려하였다. 그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교육은 교과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의 매 순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더 나아가서 듀이는 각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실현하는 것은 단순히 개인적인 일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통해서 실현되며, 공동체의 발전에까지 이바지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듀이의 생각을 받아들일 때, 종교는 오늘날과 같은 사회 분열과 갈등의 원인이 아니라, 화해와 공존을 모색하는 인류의 노력으로서 그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를 교육적 주제로 다루는 일은 쉽지 않다. 듀이가 염려했던 것처럼 특정한 종교의 교리를 강요함으로써 사회의 다양성과 개인의 자유를 위협할 수 있다. 또는 종교성을 기르는 대신 단순히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종교를 공정하게 가르치는 일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듀이처럼 종교를 근원적인 것을 향한 인간의 노력으로 받아들일 때, 이상적인 것을 향한 개개인의 타고난 성향으로서의 종교성을 키우는 일은 모든 교육의 실천적인 장면 속에서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과제로서, 교육자들이 늘 염두에 두는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교육자들은 학교교육이 학생들에게 궁극적 이상과 삶의 본질을 추구하는 인간의 타고난 종교성을 제대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학생 개인 및 사회의 발전을 위해 보편적인 종교성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학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학생들의 영성은 성과 위주의 경쟁 중심의 교육 속에서 제대로 계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학생들이 앎과 삶의 기쁨을 제대로 배우고 누리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때에 보편적 종교성 및 영성으로서의 듀이의 종교에 대한 이념이 구체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교사들은 노력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oday religion develops in complicated ways. It is sought after than ever as it works as a substitute for material-oriented civilization leading men to spiritual life while making them mutually exclusive and conflicting when it tends to be overly didactic. In this circumstance, religious education for children means two different goals to achieve, spiritual growth and not committing in dogma. Dewey provides philosophical analysis to help us to solve religious dilemmas that we face today through his ideas on religion and religious education. Generally, Dewey is known for a prophet of science and experiment. He was optimistic about the progress of science that promote the future of human life, and thought that all philosophy and education have to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science and experiment. He accepted the evolution theory of Darwin in his philosophy. He was a optimist who believed the ongoing growth of human beings, as they modify and develope their present conditions. His attitude towards the science often makes people to think he was a philosopher who was indifferent to religion, or was an atheist. But Dewey is never opposed to the religion itself or deny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t the status quo, rather he thought that all humans had a mind which always dreamed about future and ideal over the current conditions. Dewey thinks men looks for ideal beyond reality. He believed that leading a desirable life means commitment to ultimate ideals which may come in some points in the future and be achievable through all the experience and investigation that men may have. He insists that religion would be present as human minds aspire for ideal, if there is any as well as god. He refuses to accept any enforcing theology and religious institution that would prevent them from reflection and exploration. “Common faith”, as Dewey calls, refers to aspiration for ideal ends which men have in common. It is also the title of his book published in his eighties, in which he writes about what thinks religion is and true faith is. He considers that in the nature exists a rich, ultimate, and meaningful world, which should not be perceived by the current limiting experience. Also he thinks men should try to understand this world as it is the essential qualities of life. As mentioned above, to Dewey, the religion is not described as an enforcing outer power on a human life, but as a course of searching for the ultimate by his own experience and inquiry. Since a man’s own experience and inquiry is to be a fundamental religious motive at all, it has to be focused on the general religiousness of human nature and its development, rather the various conflicts between specific practices of different religions. It shows that the religion is to be a educational subject about a man’s attitudes and efforts towards the ultimate ideal. And the religious questions enlighten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e religious subject fits for the purpose as the whole-person education. Dewey’s perspective on religion has implications to educational matters. Educators should inspire children to perceive the essence of life and to awe at the nature as source of meanings. His argument on common faith provides conceptual foundation for spiritual growth which has drawn attention recently as alternative to traditional religion education. In the area of spiritu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onceive a man as a transcendent being and try to support him to search for the fundamental meanings of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The concern for human soul goes beyond any particular ecclesiastical authority. It is generally apprehend by any educators. However, Dewey disagrees with placing religion as a subject within school curriculum, which makes him understood as an opponent to religion itself or its educational value. It is not precise to think that Dewey ignores how religion is worth for education. He is well aware of what religion means in education as well as what it brings when it goes wrong. He recognizes how risky a religion can be as well as how it can be valuable. His concern is that religion as a subject might be deformed into making children to believe particular abstruse doctrines, which might be far from substance of religion, for example, searching for significance of self and world. He insists that religion should be addressed in every specific circumstance of schooling not as a separate matter. Also he contends that children should explore and try to fulfill what life and world means on their own initiatives. Moreover Dewey asserts that an individual determination toward quintessence of life goes beyond one’s own realm. He thinks it should come in reality through community and eventually reach for improvement of whole community. In his view, it is possible to consider religion as a solution for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not a source of split and conflicts. His arguments make educators today to reflect if schooling should elucidate students to reach for ideals and substance of life in a proper way, which might be considered as their innate tendency for religion. Also his explanation of religion suggests what sch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do for general spirit which contributes not only for individual growth of children but also for development of society.

      • 니콜라이 카푸스틴의 Variations Op. 41 분석연구

        송수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는 많은 분야에서 급진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예술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변화에 대한 욕구는 문화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고 서양의 전통음악을 비롯한 재즈음악에도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20세기의 작곡가들은 재즈의 특성과 클래식 음악의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이 두 개의 장르를 이용한 새로운 음악적 표현을 위해 노력해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카푸스틴에 대해 알아보았다. 카푸스틴의 Variations, Op. 41은 모티브와 선율을 변주해 나가는 전형적인 변주기법을 사용함과 동시에 재즈적 요소에서 빌려온 스윙, 비밥등을 작품에 적용시켜 고전적인 클래식 요소와 근대적인 재즈 요소를 결합한 작품으로 순수한 클래식이라기 보다는 재즈에 가깝다. 이 곡의 표면에 부각되어 있는 재즈 음악을 구성하는 원리는 전통적인 유럽음악의 틀을 따르고 있는데 이것이 카푸스틴 음악의 특징이다. Variations, Op. 41 테마의 주제는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 도입부에서 빌려 와 여기에 재즈적 요소를 가미해 발전 시켰다. Variation I과 II는 한 손이 스윙리듬을 사용하면 다른 한 손은 비밥 선율의 요소를 즉흥적으로 연주하며 재즈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고 Variation III에서도 즉흥적인 선율이 보여진다. Variation III의 곡 길이는 이전의 변주곡들보다 두 배 가까이 확장되고 속도도 점 4분음표가 점 2분음표로 빨라지고 Subito piano의 다이내믹을 통해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다. 그에 비해 Variation Ⅳ는 Laghetto로 분위기가 느리고 서정적이다. 여기에서는 세 개의 테마가 나타나는데 그 중 마지막인 세 번째 테마에서는 연주자가 스윙리듬을 즉흥적으로 연주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Variation V에서는 Presto의 빠르기와 forte의 다이내믹으로 강하게 시작하고 재즈의 요소인 예측 불가능한 비밥의 선율이 오른손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Variation Ⅵ은 전체의 Coda로 재즈와 클래식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사용하여 화려하고 강렬하게 악곡을 마무리 한다. 대중음악을 비롯한 상업음악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의 음악문화 속에서 전통을 유지함과 동시에 대중성까지 겸비하고 있는 카푸스틴의 음악은 후대의 음악가들에게 장르간의 조화를 모색하게 하고 새로운 영역의 개척에 다양한 길을 제시해 줄 것이라 믿는다.

      • 부정적 감정의 수용과 전환에 관한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송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selected works of SueYoun Song from 2011 to 2017. It explains the soci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motivation behind the creation of these works. In addition to this, it summarizes the meanings of the selected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that art can play in providing life power to the unstable individuals living in an unstable soc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n examination must first be done of the influence that the emotion mentioned by the philosophy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as on human beings. Also, an investigation into and the painting theories and the works of previous artists is done in order to see how they expressed various emotions within their own works. Finally, SueYoun Song explains how she expressed the negative emotions she personally felt, like fear, anxiety, and embitterment, through the visual arts. The artist also explains the process and physical manifestation of embracing such emotions into the works. The artist is living in a world today where the market economy is supported by highly developed science and amazing technology. A world where the artist can enjoy, consume, and desire much more than individuals who lived in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in spite of this, why does there seem to be a vague feeling of fear, discouragement, and embitterment? Ultimately, these feelings and emotions became the main motivation for the artist’s works. SueYoun Song always had a sense of concern in the inner most recesses of her heart regarding the origin of the emotions of fear and anxiety. So the process of finding the answer for how to manage these emotions is the substance of the artist’s works. By creating a series of works that serve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then sharing them with others through a creative activity, the artist was able to observe negative emotions from an objective viewpoint. The fact is that negative emotions are temporary. So, when it becomes possible to distance oneself from the emotions by looking at them objectively, the individual has time to stop running away from the emotions and instead relieve themselves of the emotions that had been accumulating. Through this time, we can find meaning for our own lives and set the stage for finding happiness. The emotions that we feel can be dangerous and, at times, painful because their intensity and overpowering nature cannot be conquered or controlled by mere reason.However, they have the active power to enrich our lives. It is this unique strength and power that formed the base for the artist’s creativity activity. The composi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 Preface, II. Realiza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III. Acceptance and Conversion of negative emotions, IV. Process and production method of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V. Conclusion. Chapter I describes the motivation behind the creation of the selected works and also the topic and purpose of the artist’s future research. In Chapter II, which focuses on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the artist examines the feelings expressed by oriental thought and the painting theories of Guo Xi and Yun Shouping. The artist also looks closely into the feelings of Oriental artists revealed in their individual painting styles and in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Kim Jeong-hui’s <Sehando> and Jo Hee-ryong’s <Maehwaseookdo>. Chapter III describes the negative emotions we sometimes feel, like anxiety, fear, and resentment. It also discusses their ambivalent nature and how one can accept each of them. In Chapter IV, the artist describes in succession the series of creative processes the artist utilized to visually express the various emotions SueYoun Song felt. In addition, a description of the mutual feelings and sympathy felt in the works produced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is also included. Specifically, the utilization of soil, which was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artist’s work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rtist’s works is described. In Chapter V the artist summarizes the preceding contents of this thesis and discusses the future challenges to be faced in order to realize social empathy in everyday life, where negative emotions are prevalent. 본 논문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제작과정의 사 회적·이론적 배경과 창작 동기를 설명하고, 작품의 의미를 정리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연구의 목적은 불안한 사회 안의 불안한 개인에게 미술이 삶의 동 력을 제공하고 아울러 사회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의 일부를 찾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유·불·도가의 철학이 말하고 있는 감정이 인간에게 미 치는 영향을 검토해보려 한다. 또한 앞선 작가들은 다양한 감정을 어떻게 담 아내고 있는지 화론과 작품들을 통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 울분과 같은 부정적 감정들을 어떻게 시각예술로 표출하였는 가, 그리고 작품 속에 그러한 감정을 수용하는 과정과 형식에 대한 설명을 실었다. 시장경제가 뒷받침되어 고도로 발달한 과학과 놀라운 기술이 한데 어우러 진 오늘날을 살고 있는 본인은 이전 세대보다 훨씬 더 많은 것들을 누리고, 소비하고, 욕망하며 살고 있다. 그럼에도 왜 막연한 공포와 좌절을 느끼고 울 분을 느끼는 것일까. 결국 이러한 감정은 본인의 작업의 주요 동기로 자리 잡았다. 늘 본인의 마음 한구석에 자리 잡고 있는 불안과 두려움이라는 ‘감 정’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래서 작업의 내용은 이를 어떻게 다스리며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부정적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을 만들어 타인과 공유하는 일련의 창작 활동을 통해서 본인은 부정적 감정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시선을 취하게 된다. 일시적이지만 그 감정들과 거리 두기가 가능해지면 도망을 멈추고 쌓 였던 불안과 공포, 울분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그 시간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삶에 대한 의미를 찾고, 행복을 찾기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 감정은 이성이 정복하고 제어할 수 없기에 넘치고 격해져서 위험하고 때로는 고통스럽게 하지만,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능동적 힘을 가진다. 본인 의 창작활동은 바로 이 고유한 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논문의 I장에서는 작품창작의 동기를 서술하면서 앞으로 전개될 연구 의 목적과 내용에 관해 언급한다. II장에서는 유·불·도를 중심으로 동양 사상 에서 말하는 감정과, 곽희와 운격의 화론에서 논하는 감정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동양 회화에서 작가의 감성이 드러난 화풍을 살펴보고, 예술창작의 동력으로써 창작자의 감정이 발현된 예로 조선 후기 회화작품 <세한도>와 <매 화서옥도>를 감상한다. III장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느끼는 부정적 감정 중 불 안, 공포, 울분에 관해 서술하고 그것들의 양가적인 성격과 이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말한다. IV장에서는 본인이 느끼는 다양한 감정 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련의 창작 과정과, 시민참여를 통해 제작된 작품들이 갖고 있는 공유와 공감의 시도에 관해 서술한다. 이어서 작업의 주 재료인 흙의 의미와 제작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V장 맺음말에서는 앞의 내 용을 정리하고 부정적인 감정이 팽배해 있는 일상에서 사회적 공감을 위한 앞으로 과제에 대해 말한다.

      • 응집성 및 결속성을 바탕으로 한 추론적 읽기 지도

        송수연 서울敎育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글의 응집성 및 결속성을 추론적 읽기에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추론적 읽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응집성 및 결속성은 텍스트를 온전한 텍스트로 만드는 가장 중요한 자질로서, 독자가 글을 추론하면서 읽어 나갈 때 추론 과정에 많은 단서들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추론 과정에 글의 응집성 및 결속성 요소 파악을 도입하는 것이 추론적 이해에 효과적인가의 여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선정한 추론 유형에 따른 응집성 및 결속성을 바탕으로한 추론적 읽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지시어 및 대용어가 가리키는 내용은 지시 및 대용의 범위와 거리를 파악하고, 반복적으로 나오는 화제 및 주제와 관련된 낱말에 주의하여 추론한다. 2. 문맥을 고려하여 낱말 뜻을 추론할 때는 낱말들 사이의 감각적인 공통점, 문장들 사이의 의미 관계 및 말이음(連語)관계를 생각한다. 3. 이어질 내용을 추론할 때는 시간 ·장소와 관련된 낱말에 주의하고, 사건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고려하며, 그 사건들 중 이어질 내용의 추론에 결정적인 단서가 되는 부분을 찾아서 전체 내용의 흐름에 어울리게 추론한다. 4. 연결 관계를 통해 글의 구조를 파악할 때는 대강의 내용 파악, 형식 문단의 중심 내용 파악, 내용 문단의 중심 내용 파악, 내용 문단들 사이의 위계 관계 파악에 초점을 둔다. 5. 중심 내용과 주제를 추론할 때는 제목, 화제와 관계된 자주 나오는 낱말들을 주목하고, 글의 연결 관계와 구조를 파악한 다음, 여러번 강조된 내용이나 글에서 감동적이고 인상 깊은 장면을 찾는다. 6. 제목을 추론할 때는 중심 소재나 주제를 이용하여 제목을 붙이며, 글 내용을 암시하는 방법으로 제목을 붙일 수도 있다. 또 지시 ·대용 관계 및 자주 반복되는 어휘나 반의어 등을 참고할 수 있다. 7. 줄거리를 요약할 때는 시간과 장소와 관련된 낱말을 주목하고, 인물의 성격과 사건들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또한 전체 이야기 흐름상 중요한 사건을 찾아보고 사건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아 전체 내용의 흐름이 잘 드러나도록 요약한다. 8. 생략된 내용을 추론할 때는 생략된 내용이 낱말, 문장, 문장 이상 중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보고, 접속어와 지시어들이 가리키는 내용에 주의한다. 또한 전체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여 생략된 내용을 추론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들을 찾는다. 연구자는 이러한 추론적 읽기 방법들을 적용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으로 6학년 두 반을 선정하였다. 이 중 한 반만을 대상으로 15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연구자가 제작한 학습지를 활용해 '읽기 전-읽는 중-읽은 후'의 3단계를 거쳐 각 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 결과, 평균과 표준 편차 등에 있어 그 격차가 의미 있는 수준으로 벌어졌다. 따라서 응집성과 결속성을 바탕으로 한 추론적 읽기 지도가 추론적 읽기 능력의 신장에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글에 나와 있는 추론의 단서를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을 제시하여 고학년 어린이들이 겪는 추론의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extual cohesion and coherence to Korean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the following 8 types of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activities. l. Inference of references and substitutions Students can infer the meaning of these kinds of words by grasping the range of reference and substitution, and paying attention to recurring topic and theme in a text. 2. Inference of the meanings of unfamiliar words Students can infer the meanings of unfamiliar words by looking for some clues in the context and considering collocations or the connection of meaning between sentences in a text. 3. Inference of following contents or events Students can infer following contents or events by paying attention to words concerning time and place, and considering causal relation among main incidents in a text. 4. Inference of the structure of a text Students can infer the structure of a text by grasping the outline, the main idea of formal and content paragraphs,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the content paragraphs in a text. 5. Inference of the theme and the main idea of a text Students can infer the theme and the main idea of a text by grasping recurring words concerning its title or topic and looking for any contents emphasized many times in a text. 6. Inference of the title of a text Students can give a title to a text by using its main subject matter and theme, or entitle a text in a suggestive way. 7. Summarization of a text Students can make a good summary of a text by arranging related ords according to time and place, focusing on main characters or subject matters, and considering the causal relations among all the incidents in a text. 8. Inference of ellipsis Students can infer the omitted contents by grasping the level of the ellipsis (the level of word, phrase, sentence, or paragraph, etc.) and paying attention to substitutions and references in a text. To test the effect of instruction of these inferential reading activities, the two classes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 control one-were chosen and then the experimental class were given the 15-period lessons on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extual cohesion and coh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instruction of inferential reading based on textual cohesion and coherence can help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improvement of inferential reading skill. This study also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way of relieving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ifficulty in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 미니멀 음악을 활용한 교수ㆍ학습 지도 방안

        송수연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음악은 동시대의 사회, 문화, 역사를 포괄한다. 또한 교육적으로는 다양한 음악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적 기법이 포함되어 있어 학습소재로도 활용가치가 높다. 이미 외국에서는 20세기 음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뿐 아니라 음악 교육에도 20세기 음악 교육을 강조하여 학교에서 음악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20세기 음악은 학생들에게 우리가 사는 시대의 문화와 정서를 경험시키기 위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계발을 위하여, 새로운 문화와 음악을 만들거나 받아들일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이유로 음악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 20세기 교육의 비중은 극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음악, 즉 현대음악 교육의 필요성으로 미니멀 음악을 택했으며 실제적인 교육현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연구했다. 미니멀 음악은 현대음악에서도 최근의 사조로서 현대음악 사조 중 현재까지 작곡되고 있는 음악이며, 최소한의 소재를 반복하는 기법을 활용하고 있어 음악의 구조이며 원리를 바탕으로 한 개념적 접근에 용이하다. 또한, 학생들에게 현대음악을 적극적으로 학습하게 함으로써 주체적인 음악 수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음악적 체험과 창의계발, 자발적인 음악활동 참여, 리듬감 향상, 악기 연주, 가창 수업 등을 증진 시킨다. 본 연구는 미니멀음악을 활용하여 음악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교수ㆍ학습 지도안은 미니멀 음악의 대표적 작곡가인 테리 라일리,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의 작품을 중점으로 총 3차시로 제시하였다. 1차시는 테리 라일리의 <C음을 중심으로>를 제재곡으로 하여 감상 및 창작활동을 중점으로 작성하였다. 동기유발은 라 몬테 영의 <컴포지션 7번>을 감상함으로써 ‘최소한’이라는 미니멀 음악의 주요기법을 이해하면서 시작한다. 1차시의 첫 번째 활동은 53개의 패턴에서 9개의‘첨가된 음’을 직접 찾아보는 활동을 하며 테리 라일리의 작곡기법인 ‘첨가’에 대해 직접 경험해 보고 두 번째 활동으로는 모둠별로 짧은 패턴을 창작하여 악기를 통해 반복연주를 해봄으로써 창의성 교육을 지도하였다. 2차시는 스티브 라이히의 <박수 치는 음악>을 제재곡으로 하여 리듬적인 감각을 기르는 리듬꼴 변형의 활동을 중점으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동기유발로는 미니멀리즘 미술과 정 반대되는 사조인 추상표현주의의 작품과 미니멀리즘 미술의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미니멀 음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첫 번째 활동으로는 제재곡의 기본 리듬 패턴을 설명하고 전체 악보를 보여준 후, 선생님이 먼저 시범을 보여준 뒤, 학생들과 함께 손뼉 혹은 발 리듬으로 연주한다. 두 번째 활동으로는 그룹별로 제재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많은 패턴이 아닌 5번 패턴까지만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연주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그룹 1은 같은 리듬으로 박수를 치고 그룹 2는 점차 다른 리듬으로 박수를 치는데 서로의 박수소리에 헷갈리지 않고 자신의 리듬만 집중해서 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2차시의 중요한 지도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3차시는 필립 글래스의 <코야니스카시>를 제재곡으로 오스티나토 기법과 미니멀 음악 기법을 함께 설명하고, 제재곡을 여성 3부합창으로 편곡된 악보를 보며 모둠별로 노래 불러보는 가창수업 활동으로 구성했다. 동기유발은 오스티나토를 잘 설명할 수 있고 학생들도 대부분 알고 있는 캐리비안의 해적 OST 중 <그는 해적이다>, 요한 파헬벨의 <캐논 변주곡>을 악보와 함께 감상함으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3차시의 주요 활동은 그룹을 나누어서 진행하는 가창수업인데, 가사는 ‘코야니스카시’또는‘우’밖에 없고 반복되는 음도 많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미니멀 음악을 가창해 볼 수 있다. 미니멀 음악을 활용한 음악수업을 수행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음악이 생소한 학생들에게는 대중요소가 접목된 교육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교사가 학생의 흥미와 발달단계에 적절한 곡을 들려준다면 학생들에게 현대음악을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 현대음악은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체험을 통한 활동 연계 수업 교육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감상과 창작을 함께 구성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미니멀음악은 단순함, 반복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감상수업만 하면 자칫 지루한 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감상과 창작의 연계활동을 통해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이 되도록 이끌어야 한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쉽고 흥미롭게 현대음악을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활동을 통하여 체험할 수 있는 학습법이 폭넓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음악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많은 노력과 고민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수업의 적용방안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