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 조사

        박성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pens up its possi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after that the First Articl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s was announced in public. It clearly states that Gifted and Talented young students should be given opportunity from their early stages to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a view to achieving of self-realiz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Now after the acts educa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a wide range of subjects. This thesis surveys the present state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t also presents a guidance which enables improvements of present sta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usic. In the first part of main chapters, general concept of giftedness is defined and the typical character of the gifted students is explained.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s describ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the attitude for value societies have been pursuing. The traditional concept referring the one having high intelligence and outstanding academical achievement has been varied and broadened as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which began to accept individual diversities. However, the giftedness has special qualities compared with the general ones in terms of intellectual capacity and affective domain. The second part deals the concept, the quality and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the process of promoting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A musical prodigy called ‘the one who has a gift for music and needs the special education for developing acquired potential’ has common trai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instrumental aspect and motivational aspect which include the concept of music and general gift. In order to develop this giftedness,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music educational policies for talented and set up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in elementary school has to be preceded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Mus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are being held by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Some of them are initiated by governmental body such as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ffiliated institutions, while others, private institution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affiliated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cludes Konkuk University, the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Arts and elementary schools such as the Jamjeon, the Sangbong, and the Sinyoungsan elementary schools. The Institut for the Art Gifted and Talented, as affiliated institution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another important one supported finantially by the Government. Others are Music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rganised and promoted by private academes and institutions. During this study, some problems are found as follows; the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alented in Seoul is not sufficient; the distance between home and music institutions is not close for children who talented. From a financial point of view, there are not enough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s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To conclud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ansion of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re required; nee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lso requested; due to the fact that after-school music class for talented is currentl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local which is deficient in accumulated facilities and skilled educators, it is hard to expect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be properly carried on.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substantial and realistic measures that higher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talented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ntroduce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영재교육 진흥법은 제1조 목적에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영재교육의 지원 가능성을 열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교육시책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영재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로 서울 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영재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영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영재성의 정의와 영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재성의 정의는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달라지고 연구자마다 각기 다양한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능이 높거나 학문적 적성이 우수한 아동을 의미하였던 전통적 영재의 개념은 지능이나 학력 중심의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형태로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영재에게는 지적, 정의적으로 일반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음악영재 교육의 내용과 추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음악영재의 개념, 음악영재의 특성, 음악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영재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로서 음악적 재능과 일반적 재능을 포함한 도구적 측면과 동기적 측면의 하위 재능간의 조화를 이루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음악영재 지원정책의 확립 및 기관의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은 크게 서울시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 및 음악영재학급,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 민간 기관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서울시 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으로는 건국대학교음악영재교육원, 음악영재학급으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지정 전통예술고등학교 예능영재학급, 강동교육지원청 지역공동 잠전초 방과후 음악영재학급, 서울상봉초 방과후영재학급, 서울신용산초 음악영재학급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으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영재교육원이 있고, 민간 기관으로는 예술의 전당 음악영재 아카데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음악영재교육 시행 기관이 매우 적게 파악되었다. 또한 거주지와 영재교육기관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효율적인 운영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재정적인 면에 있어서 필요한 예산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이 장애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은 음악영재교육기관의 확대, 음악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확보,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 음악영재학급의 경우 교육청의 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축적된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하거나 전무하여 환경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서울 소재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 프로그램을 관리하거나 확대하고, 순회교사제를 도입하는 등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 분석

        유경주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rapid globalization of today has made urban competitions fiercer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rban images. Those changes of the times have required differentiated place images to help the residents activate the economy by attracting outside resources to the region and establish their local identity. Place images are now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to create the unique identity of a place. Thu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he Han River's place images in the Local textbooks according to the curriculums by choosing the river as a unique and differentiated place in Seoul. It also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xtbooks by analyzing the Seoul City government's policies about the river to predict its future place images.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constituents of a place and review the relations between place images and local identity. The Han River's place images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in a diachronic manner in the Local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in Seoul throughout the Fifth,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And finally, the Seoul City government's policies about the river were analyzed to predict its future place image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an River's place images had the most economic elements, which were followed by historical elements, in the local units of the Local textbooks of the Fifth Curriculum. It was around the time when Seoul completed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the Han River and successfully hosted the Olympics Games of 1988. Therefore, there were many place images that represented the river's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city's emergence as an international city. Second, the river's place images had the most economic images, which were followed by th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in the Local textbooks of the Sixth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the areas around the river provided the citizens with the base of their lives and economic activities. They regarded the river as the place of rest and leisure. Third, the river's place images had the most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in the Local textbooks of the Seventh Curriculum. Those elements increasingly grew in importance through the Fifth and Sixth Curriculum. The Han River also grew in its significance as the place where the citizens could enjoy leisure and rest in the midst of the city. In addition, the river was perceived as the landmark of the city with beautiful scenery and wonderful buildings to represent the city. And fourth, the river's future place images were predicted based on the city government's policies, which saw the river as the driving force of integration and growth on the axis connecting the growth bases north and south of the river. The policies also attempted to change its image as the place to start the waterway by restoring its shipping function and the complex cultural place as well as the place of rest by creating parks of various themes. And the river's place images were dealt with from diverse aspects as the historical sites along the river were connected together to solidify its image as the place of history, culture, and education. In short, the Han River's place images observed in the Local textbooks through the three curriculums kept chang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the times, the city government's policies, and the citizens' needs. The place images that were emphasized wer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e Han River is one of Seoul's most representative natural elements and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its history, economy, and cult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ose place images of the river make a huge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dentity and the positive images of Seoul as the center of the citizens' emotion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y should take into account those aspects in determining the river's place images in developing future Local textbooks. 오늘날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도시간 경쟁 또한 더욱 치열해지고 도시이미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의 변화는 자기 지역에 외부 자원의 유입을 유도하여 경제적 활성화를 추구하고 내부의 지역민으로 하여금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기 위한 차별화된 장소이미지와 장소의 고유한 정체성 창출을 중요한 요소로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고유하고 차별화된 장소로 한강을 택하여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의 양상을 교육과정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 한강의 장소이미지를 예측하기 위하여 서울시의 한강 관련 정책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역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장소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장소이미지와 지역정체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제5·6·7차 교육과정의 서울특별시 4학년 1학기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를 통시적(通時的)으로 비교·분석하고 서울특별시에서 추진하는 한강 관련 정책을 분석하여 미래 한강의 장소이미지를 예측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5차 교육과정 지역교과서의 지역단원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경제적 요소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역사적 요소가 많았다. 시기적으로 한강종합개발과 88서울올림픽을 성공리에 마친 후여서 한강은 경제적 성장과 발전 및 국제적 도시로 도약하는 출발지로서의 장소이미지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제6차 교육과정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여전히 경제적 요소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사회·문화적 요소가 차지했다. 한강변 개발을 통해 한강은 서울 사람들의 생활에 있어서 경제 활동의 장이자 기반이 되었고 휴식, 여가 생활의 장소로 확실하게 인식되었음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사회·문화적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요소는 제5차·6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강은 도심 속 삶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더욱 커져가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강은 아름다운 경관과 서울을 대표하는 건축물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서울의 대표 장소로 인식된다. 넷째, 서울시 정책을 통해 미래 한강의 장소이미지를 예측한 결과 한강변 강남·북간의 발전 거점을 연계하여 통합 및 성장 동력의 장소이미지를 의도하고 있다. 또한 한강의 주운(舟運) 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뱃길이 열리는 장소, 테마별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시민들의 휴식장소이미지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문화공간으로의 이미지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 한강변의 역사유적을 연계하여서 역사·문화·교육의 장으로 확고히 하고자 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한강의 장소이미지를 다루고 있다. 결국 교육과정별로 분석한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시대적 상황이나 시울시의 정책, 시민들의 필요 등에 의해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강조되는 장소이미지도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강은 서울의 대표적 자연요소이면서 서울의 역사, 경제, 문화의 중심에 있어 왔다. 이러한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서울 시민의 정서적, 문화적, 경제적 구심점으로서 지역정체성을 확립하고 서울의 긍정적인 이미지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지대하므로 향후 지역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반영될 한강의 장소이미지는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비교연구 : 문화교육수업을 중심으로

        김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정보와 통신의 발달로 세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제적으로 협력하거나 때로는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다. 21세기를 넘어 앞으로 더욱 발달된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우리의 학습자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의 문화적 배경도 함께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이에 여러 영어교육학자들은 영어교육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문화교육이라 지적하였고, 영어교사의 자질로서 필수 요소 중의 하나가 문화에 대한 지식과 문화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능력이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 영어를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한 이래 여러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내의 문화교육의 입지를 넓히고 다져왔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제대로 된 문화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경험 제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초등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경험을 처음으로 제공하는 곳이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이므로, 이곳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을 통해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의 해결방향을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중 문화교육관련 과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문화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문화교육관련 교육과정 구성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헌조사 대상은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다. 설문조사는 현직교사 50명, 예비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결과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1개 교육대학교육과정 분석과 2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중 7개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는 예전 연구에 비해 개설 교대가 늘어난 상황이나, 시간에 흐름에 비해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해 발맞추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운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 다른 과목과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고 있고 그 중, 3곳의 경우만 문화교육만을 단독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내에 문화교육과목을 필수로 개설한 교대는 4곳에 불과했으며, 3곳의 교대에서는 10%에서 20%의 비율로 선택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넷째, 92.0%의 교사와 87.7%의 예비교사가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비해 실제로 문화교육이 실행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영어교사가 문화교육 실시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 인식 부족과 제공되는 자료가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여섯째, 문화교육관련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나 연수에 대한 경험은 적어, 지도서 내의 내용확충과 온․오프라인에서의 문화교육관련 연수 기회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예비교사와 교사 두 집단 모두 교육대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덟째, 두 집단 모두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을 필수 또는 선택의 형태로 심화반에 상관없이 제공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 재조정되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전히 문화교육관련 과목이 없거나 선택교과로 취급되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대로 문화교육의 장을 넓히려면 교원양성대학에서부터 문화교육의 기회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원양성대학이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어심화반 학생과 일선 교사의 요구를 끊임없이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는 학생들과 일선 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통로를 마련하여야 한다.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며, 영어교육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는 영어의 기능적 습득 뿐 아니라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한 문화간 화자로 거듭날 수 있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4학년 지역화 교과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만족 실태

        김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사회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사회의 학습을 통하여 사회과가 의도하는 궁극적 목적을 기르기 위하여 개발된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 지도교사와 학생들이 느끼는 지역화 교과서의 만족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지역화 교과서의 지향점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이전의 사회과 교육이 지역 사회의 현실과 괴리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제5차 교육과정부터 지역화 학습이 도입되게 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된 당초 취지는 지역화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대한 노력과 부담을 해결하고,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 지역화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지역화교과서가 보조교과서로서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며 보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 지역화 교과서가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통해 내용과 구성을 다시 편성할 필요성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6차와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고, 7차 교육과정의 『서울의 생활』을 활용하고 있는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 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점과 4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지역화 교과서 『서울의 생활』이 보완되고 지향해야 할 바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습 방법면에서 소집단 개별 학습 및 문제 해결·조사 탐구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지역화 수업에 많이 활용되는 탐구 학습, 학습문제 해결 등을 통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이나 구성 자체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둘째, 학습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학습량을 줄여야 할 것이다. 주요 학습 요소를 충분히 포함하면서도 간단한 교과서 구성으로 학습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과라는 교과 특성에 맞게 문장 서술 방식이 개념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도 학생들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 쉬우면서도 부드러워야 하며 교과서 구성 또한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단원명이나 주제·제재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주제명과 제재명이 자료를 찾기에 쉽게 구성하여 활용자로 하여금 교과서를 보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찾아내도록 유도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문장 서술방식에서도 문장들이 원리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도록 주요 개념을 다루고 있어야 하며, 편지나 일기 같은 다양한 형식의 문장표현방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흥미를 이끌어낼 수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서울의 생활』은 다양한 소재의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의 다양한 자료를 직접 체험하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을 잘 이해하고 더불어 사회 현상을 파악하게 하는 방법이다. 사고력과 탐구력을 기르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볼 때 사진이나 도표, 삽화, 통계자료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캐릭터나 만화 형식 같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자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후 충분한 현장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장에서 교과서의 개발취지를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에 충분한 연수를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교과서 활용 지침서를 구체화하여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도 교과서에 대한 인식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모두 가르쳐야 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학습자료로서의 구실을 하는 교과서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local textbook and propose the new conception of the local textbook through the survey of the teacher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n the local textbook. As the criticism that social education is isolated from the real situation of local community appears, the localization study is introduced since the 5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ocal textbook has been written so far. The goal of local textbook development is to be a big help to run the localized curriculum actually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and handling burden for the curriculum restructure of local studies. Students and teachers, however, felt that the local textbook is not enough to do its work as a supplementary book , and the textbook has been told to reorganize its contents and structure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6th and 7t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urveyed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ver the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According to this analysis and survey,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and the upgrade of 4th grade local textbook. The enhanc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would be organized as followings: First, as far as study skills are concerned, group work, problem solving and project study should be used when students do their work. The contents and formation of textbook should be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when they do project and problem solving study. Second, the amount of study should be lessene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ormation simple and the major study point should be included enough as well.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steps of students. The textbook should be easy and attractive and its explan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concept and basic rules. Fourth, the titles of lessons and subjects should be motivation-oriented. Those titles should be designed to wake the students up and make them to find their material easily as well as voluntarily. Fifth, in the ways of the description the explanation of textbook should include the principles and laws , dealing with the major concepts. Also, a lot of reporting method like letters and diary would be used to bring about the students' interest. Sixth, the life of Seoul requires the development of source in various ways.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social phenomena very well by going through the various event of their community. Photos, graph, picture and statistical analysis should be introduced in several ways for growing up students' thinking power . Also, attractive materials like character and cartoon should be invented. Furthermore, the sufficient field training should be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viewpoint of textbook in the field. Therefore the textbook isn't the bible of learning ,but the one of the study material. * A these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dn.

      •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서울시교육청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최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이해하고,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생태전환교육 중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여 생태전환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태전환교육의 목표 및 내용 요소를 탐색하고,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운영 기관 중 성과공유회에 참여한 운영 규모 상위 6개 기관에서 실시한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을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21)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를 활용하여 세 가지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가치와 지향점’영역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다음으로 ‘실천과 행동’영역, ‘기후위기 인식’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기후위기 인식 영역에서는 ‘기온 상승’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생물다양성 감소’, ‘미세먼지’가 그 뒤를 차지했다. 셋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가치와 지향점 영역에서는 ‘미래지향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참여와 실천’,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그 뒤를 차지했다. 넷째, 2021년 서울시교육청에서 진행한 지역연계 생태전환교실 프로그램 내용 분석 결과 실천 행동 영역에서는 ‘나무 심기’ 요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물 절약’, ‘분리배출’이 그 뒤를 차지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생태전환교육의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생태전환교육이 향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내용 영역과 세부 교육내용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내용의 수립과정에서는 지역 내의 기후변화 대응이나 환경 현안을 생활 속에서 탐구하고 기후적응을 위한 생활 실천방법 등에 대한 기초조사활동이 필요하며, 운영 기관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기반 마련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서울시교육청의 생태전환교육 정의에서도 표현하고 있는 생각 행동양식의 총체적 변화를 위해서는 교육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학교, 가정, 지자체와 모두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objective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content of Focusing on the case of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a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21. The study analyzed the objectives and content elemen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examined the program details of the top six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sharing session among the operating the case of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when analyzing the 2021 program using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goal framework developed by the Seoul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2021), it was observed that the "Values and Orientation" domain was the most prominently featured, followed by "Practices and Actions" and "Climate Crisis Awarenes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Temperature Rise"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climate crisis awareness, followed by "Biodiversity Decline" and "Fine Dust."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Future-oriented"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values and orientation, followed by "Participation and Practice" and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Last, in the analysis of the 2021 Regional-Linked Ecological Transformation Class program content, the "Tree Planting" element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domain of practical actions, followed by "Water Conservation" and "Waste Separation." In conclusion, the meaning and goal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should be accurately understood,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goal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s reflected in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should all work together to continue to change the overall behavioral style.

      •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 및 활용실태 : 2009개정 초등 3,4학년 서울시 지역화 교과서를 사례로

        심정아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에서 개발한 2009개정 초등 3, 4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와 활용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지역화 교과서의 개발․활용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지역화 교과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울시 초등 사회과 교육 중점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침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구성체제와 활용실태 분석을 위한 연구 설계를 하였다. 구성체제는 외부체제, 내용제시 방식, 관련성 및 부록의 3가지로 나누어 분석틀을 구성하고, 서울시 및 경기도의 3, 4학년 지역화 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활용실태는 교사 인식, 구성 방법, 활용․개선으로 항목을 나누어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서울시의 3, 4학년 담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구성체제와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서술하였다. 3학년 지역화 교과서 ‘우리고장의 생활’은 2~3개의 지역을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국정 교과서의 보조 역할을 하는 인정도서로 각 지역교육지원청에서 개발하고 있다. 4학년 ‘서울의 생활’은 6차부터 2007개정까지는 4학년 1학기 사회과탐구로 개발되었으나 사회과탐구가 폐지된 2009개정에서는 4학년 전체 내용으로 구성하여 보완도서라는 이름으로 개발하고 있다. 서울시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를 분석한 결과, 3학년 ‘우리고장의 생활’에서 강서․양천구는 그림지도 그리기에 대한 내용을 1쪽에 제시하였고, 강남․서초구는 4쪽에 걸쳐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서․양천구는 문장형으로 학습문제를 제시하였는데, 강남․서초구는 명사형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체제면에서 지역교육지원청별로 차이를 보였다. 4학년 ‘서울의 생활’은 ‘자랑스러운 우리 지역, 서울’ 단원을 1단원 앞에 제시하여 서울시의 특색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습문제를 재해석하여 지역화 아이콘과 명사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시의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화 교과서의 활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역화 교과서의 개발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교사들이 많았다. 또한 50% 이상의 교사들이 서울시의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의 특성과 구성요소, 학습자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75% 이상의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지역화 교과서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이 많아 국정 교과서와 함께 수업시간에 지도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많은 교사들이 앞으로의 지역화 교과서는 다양한 사회과 지역화 수업 자료 지원의 방향으로 개선되기를 선호했다. 지역화 교과서는 학습자 주변의 일상생활을 교과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사회과의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지역화 교과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 관련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숙고하여 개발해야 한다. 또한 개발과 관리에 있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주체 간에 교류적 협의가 이루어져 지역화 교과서의 균형 잡힌 개발과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화 교과서를 누적으로 보관하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개발․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화 교과서의 보완 자료 성격을 고려하여 내용의 양을 적정하게 조정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활용 연수 기회가 보다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과 지역화 수업을 위한 다양한 자료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개발 자료를 수업에 활용하고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 초등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유형화 : 교육내용의 범위를 중심으로

        김시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 their implications. To analyze the program, a standard framework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was developed, with such program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analytical standards. This study is based on a theoretical background. Four domains analyzing the programs are presented. The first analytical standard is Multicultural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last is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e 'Multicultural Literacy' domain helps the teacher reflect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specificsof Korean society and the nee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global perspective Second, the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domain is divided into 2 parts: The first ' Knowledge of General Content ' and the second ' Knowledge of Subject Content'. This includes programs obtaining background knowledge on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 understanding of minorities in Korea and the diversity of Korean society. It also includes Korean language or bilingual education and 'Subject Knowledge' which can connect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e subject.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domain is divided into 'Personality Guidance Ability' and 'Subject Teaching Ability'. The former improves teacher guidance skills, and the latter encompasses the development and use of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s, multicultural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Class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 'Class Observation' includes special lectures from practition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al institutes. Based on the four domains above, the programs for each education agency conducted for over 15 hours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researched. The list is as follows: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2 (JungAng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Gyoenggido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teacher training institutes : 8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Daejeon training institute, Busan trai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Cyber institutes: 3 (Teacherville, Unitel, Hangook training institute) The progra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of, the Deajeon, Unitel, Seoul, Jeonju, Jeju, Cheongju, and Hangook institutes are focused on multicultural literacy. Of these institutes, multicultural literacy is most focused upon. The institutes that focused most on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were Daegu and Busan. The institutes with the most emphasis on '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re Gyeonggido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 Gongju, and Teacherville. The JungAng Multicultural Center and Gwangju Training Institutes have a good balance of the four analytical standards. Several suggestions stemming from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programs should be refined to increase training density by eliminating irrelevant programs in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Second, most of the institutes are focused on multicultural literacy. The program's emphasis needs to be refocused on the demands of teachers so that teachers include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Practice. Finally, the network of instructors in charge of these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and organized to ensure high quality training.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 내용 범위를 유형화하여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사연수를 분석할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기관별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한 후 영역별 강조점에 따라 연수프로그램을 유형화하였다. 우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할 분석 기준으로 네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첫째, ‘다문화 소양’ 영역,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 영역, 셋째, ‘다문화교육 방법’ 영역과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 실습’영역으로 나누었다. 첫째, 다문화 소양 영역은 교사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반성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특수성과 지구적인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이해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 프로그램을 말한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 영역은 일반 내용 지식과 교과 교육 지식으로 나누어 한국 사회의 소수자의 이해와 사회의 다양성을 토대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배경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과 이중언어 교육, 그리고 다문화교육과 교과교육을 연결할 수 있는 지식 측면의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 방법 영역은 상담 및 생활지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성관련 교수 능력과 다문화교수법, 다문화교육자료, 다문화교육 평가 등을 개발 또는 활용 할 수 있는 교과관련 교수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다문화교육 실습은 학교 현장·다문화 지역사회 현장의 참관 및 실무자의 특강을 포함한 참관 실습과 수업실습으로 나누었다. 위의 네 가지 기준 개념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을 주제로 실시하는 15시간 이상의 직무연수를 실시하는 다문화교육 센터 2 곳(중앙 다문화교육 센터, 경기도 다문화교육 센터), 교육연수원 교원연수 기관 9 곳(공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광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대구교대부설 교육연수원, 대전 교육연수원, 부산 교육연수원, 서울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전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청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과 원격 연수원 3 곳(티처빌, 유니텔, 한국 교원연수원)의 연수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내용 분석법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소양을 강조하는 연수 기관으로는 대전 교육연수원, 유니텔 교육연수원, 서울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전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 교육연수원, 청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한국 교원연수원으로 그 수가 가장 많았고, 다문화교육 내용을 강조한 연수 기관은 대구 교대 부설 교육연수원과 부산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다문화교육 방법을 강조한 연수 기관으로는 경기 다문화교육센터와 공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 그리고 티처빌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또한 분석 기준 네 가지 영역의 시간 분포를 고르게 보이는 곳으로 중앙 다문화교육센터와 광주교대 부설 교육연수원이 있었다. 이상 다문화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유형화 하면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다문화 연수에 포함되어 있는 다문화교육과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제외하여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정제해야 한다. 둘째, 영역별 유형화에서 가장 많은 기관이 다문화 소양을 중심으로 하는 다문화 연수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들의 수요에 맞춰 다문화교육 내용, 다문화교육 방법, 다문화교육 실습 등 영역별 강조점을 달리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연수를 담당하는 연수 강사진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질 높은 연수를 해야 할 것이다.

      •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 재현 방식의 변화

        윤현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is paying attention to the regional identity as a part of individual 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representation style of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Perceiving a certain scale of a space as a region is possible when the scale has internal homogeneity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regional identity is divided ‘making a distinction’ that is the process of drawing a boundary of a region in people's mind and ‘making a connection’ that is the process of arousing a sense of unity toward their region through equating them-self with the region's typical landscapes.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gional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5th -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s in Seoul. The methods of analysis ar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By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er the frequence of occurrences of ‘making a distinction’ and ‘making a connection’. By qualitative document analysis, consider the meaning made from the interrelation among the representation method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ynthetically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distin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he order of frequency of regional identity represented by making a connection in Seoul regional textbook was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the revised 7th curriculum, the 5th curriculum. To represent regional identity, making a connection has been used more than making a distinction generally. It is because when people do not know the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distinction is useful but after being familiar with the location and boundary of a region making a connection is more effective to represent a region. Second, there were something in common with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The identities of Seoul represented in every Seoul regional textbook commonly were 'a region in which many people has lived together from old times, and which has been expanded over again.', 'the center of the country', 'global city', 'a modernized region that has develop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a long tradition'. The key elements of making a connection were physical geographic symbols like Han River, Namsan et cetera, and modern constructions like the bridges over the Han River, Hangang Park, the Children's Grand Park,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the Seoul Tower etc. Making a distinction was done in the relations with the local scale and national scale. The common strategies of making a distinction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through every curriculum period were exposing the boundary and scale of a region in local scale by process of expansion of Seoul, showing images of a region that has status of 'capital' and 'center' in national scale, showing a regional identity as a 'global city' that exchanging internationally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es, economy and culture in global scale. Third, there wer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methods of regional identity that appeared in Seoul regional textbook of each curriculum period. The emphasis of a regional identity has been changed from the developed image of Seoul in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 coexist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n the 6th curriculum period, the development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period,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period. When the regional textbook is developed, writers need to use common representation methods that were appeared every curriculum period evenly after drilling them well, and make a new identity that is suitable for current of the times. Key words : region, regional identity, representation, making a distinction, making a connect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지역정체성에 주목하고,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식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공간의 여러 가지 스케일들 중에서 어느 특정 범위까지를 ‘지역’으로 인식하는 것은 외부와는 구별되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질 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특정 범위를 한 지역의 경계로 설정하는 과정인 ‘구별 짓기’와 지역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경관에의 동일시를 통해 지역에의 일체감을 유발하는 과정인 ‘연계 짓기’로 지역정체성의 재현 방법을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대상은 제 5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서울 지역교과서이며,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양적 내용분석법과 질적 내용분석법이다.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구별 짓기와 연계 짓기가 발생하는 빈도를 확인하고,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그들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미를 고찰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으로 볼 때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다. 구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으며, 연계 짓기의 방법으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빈도가 높았던 순서는 제 6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제 5차 교육과정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보다 연계 짓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어떤 지역에 대한 경계가 분명하지 않을 때는 지역정체성을 재현함에 있어 구별 짓기가 유용하지만, 그 지역의 위치와 경계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분명해지고 나면 지역 상징에의 동일시를 통하여 지역 내부의 결속력을 단단히 다져주는 연계 짓기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각 교육과정 시기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서울의 정체성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아왔으며, 확장을 거듭해온 지역’, ‘우리나라의 중심지’, ‘국제적인 도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계속 발전하여 현대화된 지역’이었다. 연계 짓기를 위하여 가장 주목한 요소는 한강, 남산 등과 같은 자연 지리적 상징과 한강 다리, 한강 시민공원, 어린이 대공원, 국회 의사당, 서울 타워 등과 같은 현대 건축물이었다. 구별 짓기는 주로 국지 및 국가 스케일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은 서울의 확장 과정을 통해 국지 스케일에서 지역의 경계와 범위를 드러내기, 국가 스케일에서 ‘수도’,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차지하는 지역의 모습 나타내기,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국제적으로 교류하는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지구 스케일에서 나타내기였다. 셋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이 재현된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제 5차 교육과정 때는 서울의 발전된 모습에, 제 6차 교육과정 때는 전통과 현대성의 공존에,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발전에,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때는 국제적인 교류에 조금 더 주목하는 방향으로 강조점이 변화되었다. 지역교과서를 개발할 때는 각 교육과정별 지역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별 짓기의 전략들과 연계 짓기의 매개 요소들을 더욱 정련하여 균형 있게 활용하는 가운데 시대적 흐름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정체성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지역, 지역정체성, 재현, 구별 짓기, 연계 짓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과정에 관한 연구

        서인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어떤 이유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결심하고 준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직과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 준비를 시작하게 된 주요 원인을 알아보고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여 교사로서의 직무 및 생활에 갖는 의미를 알아보며 나아가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제도 개선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에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및 생 활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20년도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전문직 임용후보자 공개채용시험을 준비하는 서울 관내 초등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빠른 승진의 방법, 학급‧학교조직에서 지방‧중앙교육행정 조직으로 이어지는 영향력 행사 범위의 확장, 관리자의 갑질과 학부모 민원으로 인한 교사 소진과 감정노동에서의 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 참여자 대부분 한 가지 이유가 아니라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교육전문직 전직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 중 연구 참여자 전원이 밝힌 동기 요인은 승진이었으며, 기존의 승진서열 경쟁과는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교육전문직 전직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을 알아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교사와 자료공유를 하고 사회적 지지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업무 외 시간을 활용하여 개인학습을 병행하며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위취득, 연구교사제, 보직교사 경력, 파견근무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관리자와 동료교사로부터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위해 학교 및 학년업무에 충실하였다. 교사들은 준비과정에서 교육학 지식을 쌓으며 최신의 교육정책의 흐름을 파악하고 보직교사로서 사업기획안을 구상하게 된다. 또한 시범수업과 수업분석을 병행하며 장학능력을 키우고 집단토의 준비를 통하여 타인과의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서의 성장을 도왔지만 교사 소진과 반복된 불합격으로 인한 자존감의 하락, 무기력을 학습하게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전문성 신장을 이루었고, 교육이론과 정책을 학교 및 교실수업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었으며, 장학능력 및 교육행정 지식을 탑재하여 교과지도 능력 발전을 이루었다. 교사 자신의 교육력을 제고하는 대내외의 다양한 교육경험을 하는 동시에 학교 및 학급 경영에도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교사의 일상생활은 이어지는 수험생활로 소진회복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근무평가 및 동료평가점수를 지나치게 의식하여 관리자 및 동료교사와의 갈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자존감 하락을 경험하게 하였다. 또한 반복된 불합격은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비교적 폐쇄적인 교직사회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얻고 자기 발전을 이루기 위하여 재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승진에 대한 교육정책 현황 및 선행연구에서의 교원의 인식을 다루며 변화하는 교육정책을 통해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동기가 더 이상 승진에만 있지 않을 것임을 보였다. 또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이 지나치게 지필평가에 의존하여 장학행정의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견해들을 다루었으며 이는 평가 영역 및 방법의 다양화, 외부 평가자를 포함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전형절차의 투명성 확보를 통하여 극복할 수 있고, 수업결손을 위하여 교사의 현재 업무 수행능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교사이자 수험생의 역할갈등으로 비롯된 교사소진이 학생의 학습권 침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다루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용시험 전형에서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교육전문직 전직제도가 승진의 방법으로서의 역할과 교육행정직의 현장성을 강화하는 역할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전형의 영역과 내용을 직전교육과 현직 교육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에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전문직원 선발임용 시험에 응시한 초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전직시험 지원동기 및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서울을 제외한 지역 및 교육부의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과정의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전문직을 준비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준비전략 및 여러 고충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제도를 다루었으므로, 관리자 및 동료교원의 관점에서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로 인하여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새로 시행되는 임기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 to change their career as a educational supervisors. So in this research, I will see the process of the preparation for the changing careers and the effects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at is the main goal of their changing careers and also examine the strategies of their preparation for the exams, and also will see the meaning and lives of their career as a teacher. And also. will se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get the improvement poi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ir main purpose to wish career move as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what is their strategies to prepare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ird, what meanings are in their elementary teachers’ career lives as they prepare this exa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ha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are preparing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o move their career is to find the fast way to promotion, to expand influence in provincial, state administration, not only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there is a motivation to escape from big powder trip of elementary school supervisors and emotional labors, and also they feel the lack of energy from parents’ complaints. But many interviewees said that there is not only one reason to move careers but also many combinations of reasons. And the motivation from all interviewees were promotion, and they gave important meaning that there is a different way from preexistence promotion method. Second, as we research the strategies for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interviewees had social supporting relation with other teachers as they share the materials for the exam. And they spent spare time to study their personal research and they had many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getting degrees, getting career as a research teacher, chief teacher. And they had enthusiastically did their class and school business for their positive images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in the school. In the process, they accumulate pedagogy intelligence, figure out the newest educational policies flow and map out business plans as chief teachers. And they do many open classes and analysis their classes and raise their educational ability. They prepare to have many group discussions to improve thei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ther people. Thir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xam helpe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teacher in many ways. but they lack of energy and as they keep failing to pass the exam, they suffer from a lack of self-regard, and became lethargic. They had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ha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many chances to apply the pedagogy policies on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had educational skills and intelligence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ey had many educational experiences to develop not only their personal educational skills but also being faithful to their duties. On the other hand, their everyday life has been suffered and did not recover from undertaking the exam, and they were too conscious of the assessment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So they handle the conflicts too passively, and it leads to lack of self-regard. But interviewees keep challenging to certification exams to get self development and the new experiences in closed school society. In this research, there is a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promotion of teachers and also a awareness of teachers from the precedent research. So there will be discussion that the motivation of teachers to moving careers to supervisors is not only in the promotion itself. And there is a discussion that the educational supervisors certification test itself is mostly depend on the written paper-based exams, and that leads too chimerical exam. So i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way that the diversity of the methods and the fields are needed, and also can be improved by ensure transparency including external examiners. System is needed to examine teachers’ work performance in diverse ways. Finally. in the discussion, as both teacher and the test-taker, as they get conflict between the parts, there can be invasion for the students’ right to learn. So there is a opinion that the examination should include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he class management. In the research,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balance in the certification exam is necessary between the way of promotion and the field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the examination methods and contents should include both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e present education. Third, in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ing skill should be included. By these conclusions, I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as below: First. in this research, I had a interview about the motivation of changing the career, and the preparation process with Seoul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est-takers. So the research about the other region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about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s needed except Seoul. Second, there is only a discussion with teachers’ about position of preparation strategies and many difficulties of them om this research. So from the school superivisors’ and the other teachers’ in the school perspectives are needed. Third, there is a new policy about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which has electoral terms, so the research that covers this issue is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