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EEE 802.11s 기반 이동형 메쉬 노드를 위한 빠른 이웃노드탐색 기법

        송병구,김종덕,Song, Byeong-Gu,Kim, Jong-D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9

        IEEE 802.11 표준의 애드혹 모드에서 비콘은 각 노드들 간에 네트워크 알림과 파워 관리, PCF등과 같이 네트워크의 관리를 위한 동기화를 위해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IEEE802.11에서의 비콘 전송 방식을 따르는 IEEE 802.11s 환경에서의 비콘은 기존의 목적 이 외에 자기 자신을 인근 노드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한 기존의 비콘 전송 방식은 혼잡한 노드들 사이에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 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EEE802.11s 환경에서 비콘 전송 방식의 수정을 통해 비콘으로 인한 망의 혼잡을 줄이고 보다 빠른 인근 노드 탐색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수정된 비콘 전송 방식을 시뮬레이션과 실제 애드혹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주위 모든 이웃 노드를 탐색하는 시간이 기존의 비콘 전송 방식보다 빨라졌음을 보인다. In the ad-hoc mode of IEEE 802.11 standard, beacon is used for power control and network alarming between each node, and also it is for the synchronization in controlling network as PCF. However beacon is also used to inform the neighbor nodes of itself except for original purpose in the environment of IEEE 802.11s. For this, the existing beacon's transmission mechanism can't perform a function in full. In this paper, we suggest much faster neighbor discovery reducing network congestion caused by beacon through modification of beacon transmission mechanism. And we will show that suggesting algorithm more faster full neighbor discovery than traditional neighbor discovery using for IEEE 802.11 through simulation and test in real ad-hoc network.

      • KCI등재후보

        몽골 전통음악교육의 현황

        체. 오윤게렐(Ch. Oyungerel),송병구(Song, Byeong-G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5 국악교육 Vol.39 No.39

        본 연구는 현 몽골 정부의 교육 정책과 몽골 초 · 중 교육기관에 대한 음악교육 표준안에 포함된 몽골전통음악교육 지침을 검토하고, 이 정책이 2014년에 개정된 몽골의 일반 초등교육기관 교과서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몽골 전통음악교육의 현황을 고찰한 것이다. 몽골의 초중등학생에 대해 전통음악 학습을 강화하는 정책은 2007년 발의된 ‘새천년개발목표’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 정부의 2012년 액션플랜 중 교육개혁 정책에서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2014년 개정된 몽골 일반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통하여 검토한 결과 몽골 초등교육기관의 전통음악 교육은 민요 감상과 전통악기 연주 등 학생들의 접근이 용이한 부분부터 시작하여, 학생들이 전통음악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민요와 율동을 함께 하는 체험 학습을 통해 진행하고 있음이 검토되었다. 특히 감상과 가창 부분에서는 몽골의 유목전통생활과 몽골의 대표 가축들을 가사에 실어 표현한 민요를 주로 담았으며, 소수민족의 전통 민요를 각 민족 별로 분배 및 배치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소수민족의 전통 민요는 학년 마다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몽골의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을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몽골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음악교육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논의로, 초등교육기관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을 보다 체계적이며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몽골 전통음악을 지도하는 교사에게도 전통음악 교안의 작성 및 교수법 훈련을 통한 질적 향상이 필요하며, 전통음악 전문가 양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전통음악교육의 부흥에 대한 프로그램과 개혁안은 지속적인 시행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e presentation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ngolian Government education policy and standard of the Mongoli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Mongolian folk music education by making the study on the policy of Mongolian folk music, analyzing the reflection of renewed policy documents in 2014 for the music text book of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he policy of the folk music education for the student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Mongolia has started by stating i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 which approved in 2007 and it is also significantly included in the action plan of current government especially in the education policy part. By studying these policies through the newly revised text book of Mongolian elementary school in 2014, the training method of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is starting from the easy steps such as a listening the folk songs, playing the instruments and learning folk songs and dances to be closer with the folk music. Especially, it took the attention that the listening session consists of the folk songs with the word of expressing Mongolian nomadic life and also learning the different clan folk songs respectively. Teaching the different clan folk songs at each elementary class is included in the class agenda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teaching the folk songs from the elementary class can fully cover the music education of Mongolian traditional culture. To be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eaching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exclusive class program for the teach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nd preparing the professionals of folk music. Further, it is necessary that folk song education and program restoring should be maintained and implemented for the medium and long run.

      • KCI등재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 분석 및 대응 전략

        송병구(Song Byeong-gu) 백산학회 2013 白山學報 Vol.- No.95

        본 연구에서는 우선 몽골과 한국, 몽골과 북한의 외교관계를 각각 요약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전략을 파악해 보고 한반도의 안정과 남ㆍ북한의 통일에 있어서의 몽골의 역할과 동북아에서의 삼국의 협력에 대해 논해 보았다. 또한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한국이 몽골을 통해 대 북한외교와 나아가 동아시아에서의 외교력을 넓히는 정책적 제안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자면 몽골은 앞으로도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동북아시아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 남한과 북한 어느 한쪽에도 이해관계가 치우쳐 있지 않은 유일한 나라라는 특별한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 할 것이다. 이는 외교적으로 몽골 스스로가 약소국의 위치에서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가 자국 발전에 핵심 사항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ㆍ외교적으로 약소국인 몽골의 입장에서 한국과 북한 사이에서 한국을 온전히 지지하도록 하는 것은 현재 매우 어려워 보인다. 한국은 몽골의 이러한 입장을 이해하고 그 입장에서 몽골을 활용할 수 있는 외교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북한과의 문제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서 몽골의 특별한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는 외교적 판단도 새롭게 세워 나가야 한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and then Mongolia and North Korea. It also prospects the role of Mongolia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s stability and even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found analysis of those Mongolian diplomatic policies, ultimately this paper tries to draw a proposal of specific policy strengthening the Korea’s diplomacy toward North Korea and East Asia. Mongolia will hang on to their neutral position in the dynamical situ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nd around Northeast Asia. This specific policy of Mongolia is resulted from the core fact that they understand the peace of the Northeast Asia affects their prosperity in Mongolia as a comparatively small and weak nation. Furthermore, it seems natural that Mongolia cannot support South Korea in this sort of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related to their stability. Therefore, Korea needs to seek for a solution that applies the Mongolian cases based on deep understanding about Mongolia. In addition, Korea can be required to newly establish the criteria considering the particular geopolitical factors of Mongolia in relation to the entire areas of Northeast Asia as well as North Korea.

      • KCI등재

        현대 할하 몽골어 보조동사의 목록 연구 -기존 현대 할하 몽골어 보조동사 검증을 통한 목록 제시-

        송병구 ( Byeong Gu Song ) 중앙아시아학회 2014 中央아시아硏究 Vol.19 No.2

        This paper tries to inquire the characteristic of auxiliary verb in Mongolian language through the linguistic theory and to determine the auxiliary verb list in modern Mongolian Language and its system and meaning. This study reconfirmed the characteristic, the classification and the basic set of the auxiliary verb in modern Mongolian language that was illuminated through the former time research and to verify the auxiliary verb list that was confirmed up to now basing on this standard in the Mongolian linguistics. Up to now, the list of auxiliary verb in Mongolian language was not determined. Then, the list of 34 auxiliary verbs is extracted from the study and the work of Mongolian language scholar in this study. Also, each auxiliary verbs are verif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the classification and the basic set of the auxiliary verb in Mongolian Language basing on the modern linguistic theory. Among 34 auxiliary verbs, 19 auxiliary verbs that have been a lot of debate among scholars are determined as the final list of verification except 15 auxiliary verbs. Of these, 10 auxiliary verbs have been verified through former study, and this study has verified the rest of 9 auxiliary verbs. As a result, 22 of 34 lists that are disclosed as the auxiliary verb in modern Mongolian language determined as the final auxiliary verb in this paper. It is difficult to find new auxiliary verbs behind the list of auxiliary verb that Mongolian scholars present. Because author of this paper is not a speaker of Mongolian language. Considering that the list of auxiliary verb basing on the characteristic and the basic set of the auxiliary verb not existed in Mongolian linguistics, this study expect to provide fodder for the regular research of auxiliary verb in Mongolia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