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연구 동향 탐색

        석혜은(Hye-Eun Seok),김수영(Soo-Young Kim),이연수(Yeon-Su Lee),조현영(Hyun-Young Cho),이수경(Soo-Kyoung Lee),김경화(Kyoung-Hw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9,858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지난 20년간 연구동향을 탐색함으로써 콘텐츠 연구개발에서의 주요 토픽을 도출하고 학술적 발전방향을 제공하는데 있다. 추출된 토픽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양적 평가기법 뿐만 아니라 정성적 기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연구자들이 합의한 수준의 말뭉치가 생성될 때까지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 절차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8개의 핵심 토픽이 추출되었다. 이는 한국콘텐츠학회가 특정 학문 분야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연구 논문을 발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12년 이전 상반기에는 공학기술 분야 토픽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2012년 이후 하반기에는 사회과학 분야 토픽 출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토픽은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약 4배수 증가세가 나타났다. 토픽별 추세분석을 통해 추세선의 변곡점이 나타난 특정 시점에 주목하여 해당 토픽의 연구동향에 영향을 미친 외적 변인을 탐색하였고 토픽과 외적 변인 간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국내 콘텐츠 관련 연구 개발 및 산업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ajor topics in content R&D and provide directions for academic development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20 years using topic modeling targeting 9,85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tracted topics, not onl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echnique but also the qualitative technique were applied step-by-step and repeated until a corpus of the level agreed upon by the researchers was generated, and detailed analysis procedures were present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core topics were extracted. This shows that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is publishing convergence and complex research papers in various fields without limiting to a specific academic field. Also, before 2012, the proportion of topics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appeared relatively high, while after 2012, the proportion of topic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appeared relatively high. Specifically, the topic of ‘social welfare’ showed a fourfold increase in the second half compared to the first half. Through topic-specific trend analysis, we focused on the turning point in time at which the inflection point of the trend line appeared, explored the external variables that affected the research trend of the topic,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pic and the external variabl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active discussions in domestic content-related R&D and industrial fields.

      • KCI등재

        Item Analysis for Korean-Working Memory Measures for Children (K-WMM-C)

        한지윤(Jiyun Han),임동선(Dongsun Yim),석혜은(Hye-Eun Seo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널리 사용되는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분석하고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본 논문에는 두 가지 예비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예비연구는 만 4세에서 8세 사이의 아동 329명(NL 248, LI 81)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정순, 매트릭스 역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가 사용되었다. 문항난이도는 문항반응이론과 고전검사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2차 예비연구에서는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8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문항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여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어휘검사 점수와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 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문항은 난이도 순으로 적절히 배치되었고, 난이도가 부적절한 일부 문항은 수정 및 제거되었다. 네 작업기억 과제의 시작문항은 대부분의 아동이 90% 이상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문항난이도와 변별도를 산출하였으나, 1차 연구를 통해 문항을 수정했음에도 여전히 난이도와 변별도 지수가 적절하지 못한 문항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작업기억 측정과제들과 어휘점수 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여 공인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어서 두 검사이론에 입각하여 문항양호도 검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2차 예비검사의 표본 크기는 작기 때문에 해석상 주의가 요구되며, 추후 표본을 추가하여 타당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item analyses of four working memory (WM) measures and constructed the validity of the WM measures. Methods: The present paper included two preliminary studies. The 1st preliminary study included data from three hundred twenty-nine children between 4-8 (NL 248, LI 81). Nonword repetition, matrix forward, matrix backward, and sentence repetition tasks were used. Item difficulty was analyzed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d classical test theory. In the 2nd preliminary studies, 84 children aged between 4-6 performed revised working memory tasks.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nalyzed. Lastly,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standardized vocabulary measures and four WM tasks. Results: Most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and some items with unacceptable difficulty levels were replaced, modified, or removed for the 2nd study. Most baseline items in forum WM tasks started with above 90% of the pass rate. The 2nd study results showed tha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dequate, but item parameters for few items were higher than expected, so that those items should be removed for the final version of tasks. The high level of concurrent validity for four WM tasks was demonstrat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items in widely used W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WM measur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Further work is required to verify validity constantly.

      • KCI등재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김아영(Ah Young Kim),차정은(Jung Eun Cha),강한아(Han A Kang),임경민(Kyung Min Lim),전현아(Hyun A Jeon),조혜령(Hye Ryung Cho),임지영(Ji Young Lim),석혜은(Hye Eun Seo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를 학업동기유형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 학업능력 상·하 집단별로 이 매개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인과 경남의 3개 중학교 1, 2학년 51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변인은 학업적성진단검사에 포함되어 있는 학업스트레스척도, 학업동기유형척도,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척도와 언어능력검사와수리능력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무동기, 통제동기, 자율동기의 세 가지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와 학업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학업능력 상·하 집단에서의 관계구조를 다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업능력 상·하 집단에서 변인들 간의 관계 패턴과 평균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은 학업동기유형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집단 분석결과에서는 학업능력 상집단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통제동기와 자율동기를 통해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능력 하집단에서는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안 계획 수립과 지도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motiv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types, and to test the differential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high vs. low academic ability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778 1st and 2nd graders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Students` scores from the Academic Aptitude Test, a standardized test that has been developed to assess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study skills including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ree types of motivation (a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were used in this study. Students` academic ability scores were used to classify high and low ability groups. Only the upper 33%(266) and lower 33%(248) students` data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means and in the relationship patterns of the research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a better choice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in that the student`s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medi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elf-regulatory efficacy.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e model. In the high ability group, the academic stres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ory efficacy via controlled and autonomous motivation, whereas such pattern was not significant in the low group.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s to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education practitioners in dealing with students` academic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