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tem Analysis for Korean-Working Memory Measures for Children (K-WMM-C)

        한지윤(Jiyun Han),임동선(Dongsun Yim),석혜은(Hye-Eun Seo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널리 사용되는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분석하고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공인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본 논문에는 두 가지 예비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예비연구는 만 4세에서 8세 사이의 아동 329명(NL 248, LI 81)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매트릭스 정순, 매트릭스 역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가 사용되었다. 문항난이도는 문항반응이론과 고전검사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2차 예비연구에서는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8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정된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문항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여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어휘검사 점수와 네 가지 작업기억 측정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 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문항은 난이도 순으로 적절히 배치되었고, 난이도가 부적절한 일부 문항은 수정 및 제거되었다. 네 작업기억 과제의 시작문항은 대부분의 아동이 90% 이상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문항난이도와 변별도를 산출하였으나, 1차 연구를 통해 문항을 수정했음에도 여전히 난이도와 변별도 지수가 적절하지 못한 문항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작업기억 측정과제들과 어휘점수 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여 공인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문항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어서 두 검사이론에 입각하여 문항양호도 검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2차 예비검사의 표본 크기는 작기 때문에 해석상 주의가 요구되며, 추후 표본을 추가하여 타당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item analyses of four working memory (WM) measures and constructed the validity of the WM measures. Methods: The present paper included two preliminary studies. The 1st preliminary study included data from three hundred twenty-nine children between 4-8 (NL 248, LI 81). Nonword repetition, matrix forward, matrix backward, and sentence repetition tasks were used. Item difficulty was analyzed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d classical test theory. In the 2nd preliminary studies, 84 children aged between 4-6 performed revised working memory tasks.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nalyzed. Lastly,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standardized vocabulary measures and four WM tasks. Results: Most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and some items with unacceptable difficulty levels were replaced, modified, or removed for the 2nd study. Most baseline items in forum WM tasks started with above 90% of the pass rate. The 2nd study results showed tha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parameters were adequate, but item parameters for few items were higher than expected, so that those items should be removed for the final version of tasks. The high level of concurrent validity for four WM tasks was demonstrat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items in widely used W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WM measur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Further work is required to verify validity constantly.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Children According to Selective Attention Latent Group

        임동선(Dongsun Yim),한지윤(Jiyun Han),송은(Eun Song),이수경(Sookyung Lee),한지아(Jia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선택적 주의집중력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능력이다. 따라서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따라 학습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통해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따라 두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책을 활용한 어휘 중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어휘 학습량을 비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집단 구분 시 언어점수뿐만 아니라 아동의 발달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집단 구분 시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 아동 33명(일반 아동 18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잠재변인으로 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분류된 두 집단에 책을 활용한 어휘 중재를 실시하고 목표 어휘에 대한 수용 및 표현 어휘 학습량을 측정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선택적 주의집중력은 군집분석에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따라 분류된 두 집단은 연령과 동작성 지능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 어휘 학습량에 대하여 군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제외하고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간 어휘 학습량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잠재변인으로 하여 군집을 나누었을 때 두 군집에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이 고르게 분포되었음에도 어휘 학습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이 어휘 학습의 개인차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아동의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따라 수용 어휘 학습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ective attention is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vocabulary learning, by dividing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hose with typical development (TD) into clusters according to selective attention, and by comparing the groups’ vocabulary learning ability. Methods: 16 children with SLI and 15 children with TD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riable clustering with selective attention as a latent variable was employed to separate the children into two groups. Children in both groups had book-reading intervention 12 times, followed by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target word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types. Results: All three categories of receptive language, receptive vocabulary, and selective at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cluster variables. All children divided two groups according to receptive language, receptive vocabulary, and selective atten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mean age, whereas their difference in nonverbal intelligence had no significance. With age and nonverbal IQ controlled, the amount of receptive vocabular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highlight that selective attention along with existing language 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vocabulary learning, which may lead to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vocabulary learning abil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may depend on their selective at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TROLL)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김신영(Shinyoung Kim),한지윤(Jiyun Han),김순환(Soon Hwa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발달 개인차가 또래 대비 지연 또는 지체 수준으로 의심되는 경우, 조기에 전문가 개입을 통한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다수의 또래 집단을 교육하면서 아동들을 관찰할 수 있는 교사가 언어지연이 의심되는 아동의 언어능력을 간단한 평가척도로 선별할 수 있다면, 조기언어중재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Dickinson 등(2003)의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인천 및 경기도 소재 6개 기관 만 4-6세 74명의 아동 및 교사 6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구인타당도, 문항양호도, 내적합치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1급 언어재활사가 어휘 및 언어 공식검사를 실시하여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와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결과: 문항양호도 검증 결과, 하위구인 간(읽기, 쓰기) 상관계수가 .849로 나타나 두 하위구인을 하나의 구인(초기문해)으로 취합하였다. 타 분석은 모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준거 타당도 결과 언어사용 하위척도와 공식검사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교사보고형 아동 언어능력 평가척도는 국내의 학령전기 아동의 언어 능력을 측정하기에 양호한 검사로 확인되었다. 다만, 변별력이 높지 않은 문항은 내용 수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When a preschool child is suspected or having a delay in language development, an early intervention via an expert is needed. If teachers, who are capable of observing a large number of children in the course of education for a large-scale peer group, could screen children with suspected language delays, it will increase access to further early language interventions. Thus, this study set out to validate a teacher-reported preliminary inventory for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Methods: The inventory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Dickinson, McCabe, & Sparague (2003) and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items to measure three subcomponents (language use,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e study included 74 4- to 6-year-olds and six teachers. Item quality, interitem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nalyzed. For validity testing related to criteria, two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nducted standardized tests on vocabulary and language and reviewe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inventory. Results: The test results of item quality show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b-constructs (reading and writing) was .849, which led to the combination of the two sub-constructs into one (early literacy). Other analyses generated all proper results, but the criteria validity results show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constructs of language use and official tests. Conclusion: The teacher-reported inventory for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as found to be a good test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in Korea. Recognizing a need to revise the content of items of lower discrimination,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ir revision.

      • KCI우수등재

        항만에서 위험물 운송 중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성에 관한 연구

        윤수경(Sukyoung Yoon),윤자연(Jayeon Yun),한지윤(Jiyun Han),정승호(Seungho Jung) 한국해양공학회 2018 韓國海洋工學會誌 Vol.32 No.4

        Recently, the use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is growing and chemical accidents have increased. Nowadays,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ublic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chemicals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 port policy of Korea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volume of cargo through facility development. Thus,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ety,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to efficiently ensure safe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scenarios where hazardous materials were moved in a dangerous container, not only on appropriate wharfs but also in ports that were close to a big city. The BTX substances were selected among the toxic chemicals with large import and export volumes, and the risk distance and damage effects were predicted using various risk assessment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used to improve a po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safety distance in case of an ac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