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산 후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석소원,윤명숙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출산 후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 우울 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G시 지역에 거주하고, 산후조리원에서 조리 중인 출산 후 2~8주 이내의 여성 260명이며,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SPSS 20.0와 AMOS 22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산 후 산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산후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산후 우울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산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산후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출산 후 여성의 산후우울을 낮추기 위해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0 women who were within 2-8 weeks of childbirth in postpartum care center.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PSS 20.0 and AMOS 18.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fter childbirth, the higher the postpartum depression level. Seco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fter childbirth,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elf-esteem and the negative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It is very important to alleviate parenting stress and raise positive self-esteem in order to lower postpartum depression of women after childbirth.

      •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소원,진민희,노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에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필요성: 성인기의 우울은 가장 심각한 정신질환의 하나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은 불안장애, 심장병과 같은 신체적 및 정신적 질환 유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심각한 우울은 자살문제 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성인기 우울은 공공 건강을 위한 중요한 부분임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아동기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결핍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뿐만 아니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이후의 소득, 교육수준, 생활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성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해 성인기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을 종단으로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따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와 14차년도 자료를 결합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차자료(2006년)에서 아동기 0~17세 시기에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경험, 경제적 이유로 친척집에서 성장 경험, 생계가 곤란하여 학업 중단 경험, 부모님 이혼 경험, 아동기의 경제적 생활상태 등의 아동기 결핍 경험을 겪은 사람으로써, 14차자료(2019년)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항에 응답한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척도의 신뢰도 분석과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eacher & Hayes(200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고, 신뢰 구간 95%로설정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 :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0724(.0086∼.1491)로 신뢰구간 95%에서 ‘0’ 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의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 우울로 가는 경로의 총 효과는 .1789(p>.05)이며, 매개변인인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를 투입한 직접효과는 .0203(p>.05)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전체 간접효과에서는 .1585(.0617~.2612)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가 각각 매개하는지 분석해본 결과, 간접효과는 .0461(.0211∼.0807)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소득과 생활만족도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천현장의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는 결과는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한 결과이며 성인기 정신질환의 하나인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기의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중요할 뿐 아니라 성인기에 경험하는 실업, 사회적 고립, 건강, 가족관계 변화 등의 문제에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가 시급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 영역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기관들이 포괄적 케어와 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상호 유기적인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성인기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간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아동기 결핍 경험이 있는 경우 아동기의 충분한 교육환경 지원 뿐 아니라 발달상의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게 되면서 성인기의 낮은 소득과 연결되고 낮은 소득으로 활동의 제약을 경험하면서 생활만족도 수준을 낮추게 되어 우울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의 소득과 생활만족도를 통해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이혼가정, 빈곤가정의 아동들에게 결핍된 요소를 찾아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 및 필요한 자원들을 충족시켜주어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아동기 시기에 결핍의 불평등을 줄이는 방안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령기 시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 상담센터,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심리적, 정신적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아동 개인별 맞춤형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기 우울은 소득 수준과 더불어 생활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의거하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성인기 우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단순히 소득빈곤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득보장정책과 함께 생활상의 결핍된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성인기 생활상의 결핍 요소를 위한 대책 마련으로 일-가정 양립할 수 있는 문화 조성, 양성평등의 기회 제공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석소원(Suk, So Won),김서현(Kim, Seohy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에 기반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landin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했으며, 전공을 변경하여 국내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유학생 4명과 온 · 오프라인의 다원적 방식으로 심도 있게 소통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면담자료는 시간성, 장소, 사회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였고, 개별적 경험의 맥락과 공통적인 특성의 내러티브가 서로 어우러져 드러날 수 있게 탐험했다. 분석에 따르면, 연구참여자들은 사회복지라는 낯선 분야에 진입하여 각자의 삶의 맥락 아래에서 여러 가지 부적응을 경험하였으나, 동시에 한국 유학의 의미와 사회복지학 전공의 가치를 느끼며 계속해서 진로를 계발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더하여, 이들은 사회복지를 공부함으로써 자기 성장을 확신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전공 변경에 따른 진로 성숙을 도전의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사회복지로 전공을 바꾼 유학생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 대책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hanged their majors to social welfare, based on the narrative exploration. To this end, the authors used the narrative exploration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nin and Connelly (2000) and had online and offline in-depth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with four international student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stories were approached in three dimensions: Time, place, and sociability, and explored such that the context of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common narrative could be revealed in a harmonious wa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entered an unfamiliar field called social welfare and experienced various maladjustment under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y are constantly developing their careers, as they reflect on the meaning of studying in Korea and the value of social welfare major. In addition, by studying social welfare, they not only became convinced of their own growth, but also viewed career maturity following the change in majors as a challe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support effective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hanged their majors to social welfa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아시아 유학생들의 아비투스: Bourdieu의 이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김서현,석소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values, system of thought, and patterns of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Asia, who major in social welfare at a domestic graduate school in Korean society and the field related to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habitus in Bourdieu’s theory. Data were collected via five to six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and a qualitativ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categories derived from the cross-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chose South Korea, “aspiring to broaden their view of the world by studying social welfare abroad” and thought, “studying social welfare is more difficult as an international student.” Also, they interacted with “the Korean school that helped foreigner’s development willingly” and continued studying “under the enviable and reliable Korean social system” at the same time. They perceived “the statu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in between,” but they maintained habitus adapting themselves to the present field with “minds gradually hardened while studying abroad.” Consequently, on the ground of the facts newly found in the study, several discussion points a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udied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아시아 유학생들에 관해 한국 사회와 학교 관련 장 안에서의 경험, 가치관과 사고체계, 행동 양식 등을 Bourdieu의 이론에서의 아비투스 개념에 기반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자료는 총 5명의 연구참여자와 5~6회기에 걸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했으며, 이에 대해 질적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 도출한 범주에 토대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사회복지 유학으로 세상 넓히겠다는 각오”를 하며 한국을 선택했고, “유학생이라 사회복지 공부하기 더 힘겨움”이라고 여겼다. 또한, “기꺼이 외국인 발달을 돕는 한국학교”와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부럽고도 든든한 한국의 사회제도 아래” 학업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중간에 낀 유학생의 지위”를 인식하기도 했으나, “유학하며 점점 단단해진 마음”을 가지고 현재의 장에 적응하며 아비투스를 이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고에서 새롭게 발견한 점에 바탕을 두어 해당 집단의 발달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몇 가지 논의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의 순차적 매개효과 : 취업여부 다중집단 비교

        윤명숙(Yoon, Myeong-Sook),석소원(Suk, So-W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전환을 앞두고 있는 장년층이 경험하는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장년층의 취업여부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령화패널 조사(KLoSA) 7차년도 자료(2018)를 활용하여 55세∼64세에 해당하는 장년층 2,5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Bootstrap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참여 각각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장년층의 상대적 빈곤이 우울과 사회참여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취업여부에 따른 다중집단 경로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우울이 주관적 건강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미취업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취업집단에서는 상대적 빈곤과 사회참여 수준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취업집단에서는 상대적 빈곤 수준이 높으면 사회참여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년층의 정신건강과 복지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pover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late middle-aged population.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was from 201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data set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2,580 late middle-aged person(55-64 age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MOS 22.0 and Bootstrapping,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poverty and subjective health of the subject.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lative poverty in the late middle-aged population on subjective health status by sequentially mediating depres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as verified. Third, multi-group path analysis of employment statu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h in which depression levels affect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decreases subjective health levels in both groups, but its influence is stronger in unemployed groups than in employment groups. In addition, while relative poverty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employment group, high levels of relative poverty in the unemployed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mental health and welfare of the late middle -aged population.

      • KCI등재

        A Refugee Protection within a Less-restrictive Immigration Policy and Refugee Protection in South Korea: A Policy Review of 2013’s Refugee Act

        윤명숙,Israel Fisseha,석소원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0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6 No.2

        Being the first Refugee law in Asia, the South Korean refugee act was praised by many for taking a stand for refugees and their rights. Nevertheless, despite the intentions of this law, societal and law dynamics up to this point have left South Korea with an unattractive track record when it comes to refugees - high rate of asylum rejection, minimal welfare programs and a perceived discrimination. There is also a fear among civic group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orking on the human rights protection for refugees that future reform prospects to the refugee act might have a retrogressive effect that would create a more restrictive and difficult situation for refuge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3 refugee policy using the policy analysis framework provided by Gilbert and Terrell in 2012. The framework assesses four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users, services, source of funds, and service delivery process. This study laid out the current refugee policy implementation and practice concerns by discussing an updated allocation, provision, delivery and finance issues up to the year 2019. Then, it added a typology of South Korean societal factors that might hinder the progress of present and future refugee protections in the country. Finally, the study points out the remedies for current efforts and mentions the role of civic groups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how they bring about change in the future discourse of refugee protection in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