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육태도에 대한 엄마-자녀간의 지각 차이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정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의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자녀간의 지각 차이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익산시의 A어린이집과 광주광역시의 B어린이집의 만4세와 만5세 남․여 유아 129명과 그들의 어머니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가 지각한 양육태도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수용-거부적 태도에서는 어머니의 지각 점수가 유아의 지각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어머니가 더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생각이나 감정을 공감적으로 이해하며 격려와 칭찬을 자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자율-통제적 태도에서는 유아의 지각 점수가 어머니의 지각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유아가 더 허용범위를 크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과잉-과잉적 태도에서는 유아의 지각 점수가 어머니의 지각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유아가 더 비과잉 기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와 유아간의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 차이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을 살펴본 결과, 수용-거부적 태도와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간의 지각 차이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간의 지각 차이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에서는 일치집단이 불일치집단보다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어머니와 유아의 지각이 일치하면 유아는 공격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의 지각 차이와 유아의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용-거부적 태도의 차와 자율-통제적 태도의 차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과잉-과잉적 태도의 차에서는 유의미한 극히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어머니가 비과잉적일수록 유아의 공격성은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의 지각 차이가 크다고 해서 유아의 공격성이 반드시 나타난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ptual difference of mother and child on parental behavior and child's violence. For that purpose, a survey was taken with 129 four- or five-year-old boys and girls attending A daycare center in Iksan city, Jeollabuk province and B daycar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ir mother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ose perceived by young children. To elaborate, mothers perceived the acceptive-rejective attitude to be more acceptive than young children, whereas young children perceived the autonomous-control attitude and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to be more autonomous and non excessive, respectively, than mothers. Second, the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had influence on child's violence when there was perceptual agree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acceptive-rej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control attitude had no impacts on child's violence regardless of perceptual agree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Third, there were correlations in the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between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child's violence, but the correlations were so weak that it is hard to say there are correlations in parenting attitudes between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child's violence.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분석 : 온라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서정아 계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광산업은 지역 사회의 수입과 고용 창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다. 따라서 많은 국가와 지역들은 경제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목적지로서 타지역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광지 이미지의 정확한 파악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생산되고 공유되는 온라인 관광정보는 관광소비자들에게 관광지의 특색을 전달하고, 관광소비자들이 인식하는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라인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지 이미지 분석은 관광소비자들의 관광목적지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며, 관광소비자 관점에서 관광지 이미지를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온라인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지 이미지 실례연구를 실시하여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를 분석하고 관광목적지로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이미지 제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를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여,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를 형성하는 관광지 이미지 요소들을 조사하고 이러한 이미지 요소들의 대구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프로그램들과 코스에 포함되는 장소들이 포함되는 관광객 인프라시설과 문화와 예술, 역사 요소가 대구의 관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한 관광지 이미지 요소로 파악되었다. 둘째,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관광지 이미지 요소들의 관광지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확인한 결과 ‘대구중구골목투어’가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데이터 수집기간 동안 발생하는 사회적인 이슈나 정부의 정책과 홍보 주제가 지역의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넷째, 관광목적지의 입지적 조건이나 특색에 따라서 지역의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전통적인 관광지 이미지 연구에서 측정 가능한 관광지 이미지 요소들은 온라인 관광지 이미지 연구에서도 대부분 측정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대구의 이미지를 제고하여 관광목적지로서 경쟁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관광마케팅의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과 사회연결망 분석의 결합을 통한 온라인 관광지 이미지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제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urism is considered a high-potential sector because of its contribution to employment generation and economic growth. A positive destination image has a direct bearing on tourist arrivals and hence economic growth of the tourist destination. Recently, content regarding travel destinations has expanded significantly through blogs and virtual travel communities in which tourists share information about travel destinations and experiences. Such content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major tourist decision-making aid. Therefore, the internet provides more in-depth materials and richer content than that of conventional resources in relation to forming a destination image and gaining insight into a tourist’s perception of a particular destin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stination image of Daegu online and to learn how to ensure successful image management in the era of comprehensive data. To achieve this purpose, a text mining approach was conducted to extract real words related to destination image determining element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as employ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se elements. The result showed that destination image elements related to tourist infra-structures, culture, history and art affected the overall destination image of Daegu. Especially, tour programs related to tourist infra-structure are the most influential elements in forming destination image. The structure of destination image consisted of three groups; the group related to tourist infra-structure, the group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and the group related to culinary culture. The destination image affected social issues and tourism policy during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Destination marketers should make an effort to grasp these precise destination image factors and seek ways to boost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location as a tourist destination. Online destination image research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online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potential tourist destin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a new method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complex data by combining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more traditional approaches.

      • 롤러코스터 게임용 운동 시뮬레이터 및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서정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각적인 가상현실에 운동감을 부여하기 위한 2자유도 운동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제작, 시험평가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터는 AC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roll 및 pitch 축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Gimbals형으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대상인 롤러코스터 게임 동영상의 3차원 운동 데이터를 제안된 Gimbals형 시뮬레이터로는 구현이 불가능하나 비선형적인 low-pass filter 기능을 갖는 인간의 감각기관 덕분에 washout filter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운동감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운동감 극대화의 관점에서 동영상 시나리오, 3차원 운동 데이터 및 2자유도 운동 시뮬레이터간의 상관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운동 시뮬레이터는 회전관성의 크기와 모터 용량의 제약 때문에 모터속도를 350 rpm이하로 하였으므로 이러한 속도제약은 low-pass filter 역할을 하였으나, 이로 인한 위치오차 누적과 시뮬레이터 형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동영상과 시뮬레이터 위치의 불일치로 인한 현실감 저하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제 영상과 시뮬레이터 위치 간 오차에 비례한 제어기를 적용한 결과 인간의 감각기관을 대신한 low-pass filtering 및 위치 추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제작된 시뮬레이터의 평가수단으로 감성평가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설문을 통한 정성적인 감성평가와 생리신호측정을 통한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그 조사결과를 토대로 시뮬레이터 및 제어기 설계를 위한 방법론과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for the design of a motion simulator with 2-degrees of freedom to provide a visually virtual environment with senses of motion. The simulator was built in a gimbals type which freely rotates in both roll and pitch axes by AC servomotors.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exactly reproduce a series of 3D motion scenario of a rollercoaser game with the simulat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senses of motion reality by properly designing a washout filter that simulates human sensory to motion characterized by nonlinear lowpass filtering. In this respect, the study tries to derive any relationship among a motion scenario, 3D motion data and the simulator. The simulator was set to rotate below 400 rpm of motor speed due to magnitudes of rotational inertia and limitations of motor capacity. The limited speed acted as a lowpass filter, but it also led to accumulation of positional errors. To reduce the errors, a kind of proportional controller was proposed. Motion sensibility of the simulator was surveyed for the testers in form of standard questonaires and the reponses were fed back to establish design rules of a motion simulator.

      • 호흡기 흡입제 사용법 교육 후 사용 정확도 및 복약 순응도 개선 효과

        서정아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흡기 흡입제 사용법 교육 후 사용 정확도 및 복약 순응도 개선 효과 서 정 아 (지도교수 조 영 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흡입제 사용 환자에게 흡입제 사용법 교육이 흡입기 사용의 정확도와 복약 순응도 및 호흡곤란 척도의 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서 흡입제 사용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표준화된 교육자료 작성에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8월 1일부터 2013년 4월 5일까지 부산 소재 일개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여 분말 흡입제 처방을 받은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흡입제 사용 교육을 2차에 걸쳐 실시하고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2-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대상 환자들의 흡입제 사용의 정확도는 1차 교육 후 평균 7점 만점에 5.9점에서 2차 교육 후 6.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환자의 특성 및 사용 흡입기 종류에 따라 그룹별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에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복약 순응도는 1차 교육 후 87.2%에서 2차 교육 후 94.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성별로는 여성, 연령은 50세 미만 및 70세 이상 그룹, 학력은 고졸 이상 그룹, 흡입기 사용 시 도움을 받지 않는 그룹, 과거 흡입제 사용경험이 있는 그룹, Diskus 및 Handihaler 사용군에서 복약 순응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호흡 곤란 척도는 환자의 특성 및 사용 흡입기 종류에 따라 그룹별로 구분하여 볼 때 교육 전에 비해 1차, 2차 교육 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연령, 학력, 사용 경험, 흡입기구 종류 등의 그룹 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흡입기구 종류 별로 흡입제 사용의 개선 효과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Diskus 사용군의 흡입기 사용 정확도 향상은 고연령, 호흡곤란 척도 감소에는 여성, 고연령, 고학력이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고, 복약 순응도에 유의하게 연관된 변수는 없었다. Turbuhaler 사용군도 흡입기 사용의 정확도 향상은 고연령, 복약 순응도 향상에는 고학력, 호흡 곤란 척도의 감소에는 고연령과 고학력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에 Handihaler 사용군의 경우 흡입기 사용 정확도와 복약 순응도 향상에 유의하게 연관된 요인은 없었으나 호흡 곤란 척도의 감소에는 고연령, 흡입기 사용시 도움, 흡입기 사용 경험 등이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결론: 흡입제 사용법 교육은 흡입기구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대상자에게 기구 사용의 정확도 향상에 직접적으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고연령층과 저학력 그룹에서 큰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일부 대상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흡입제 사용법 교육은 사용 정확도 및 복약 순응도를 높여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정확한 흡입제 사용법 교육 지침을 마련하여 환자들에게 올바른 흡입제 사용과 충실한 흡입제 순응을 유도함으로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의료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분말 흡입제, 사용법 교육, 사용 정확도, 복약 순응도, 호흡곤란 척도 Abstract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for Using Inhaler on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Jung A Seo (Directed by Prof. Young-Ha Cho, Ph.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for the use of inhaler on the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of inhaler, compliance with medication and dyspnea scale among the patients using dry powder inhaler, so that the results could inform the importance of patient education, and provide a guideline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ized education materials to use inhaler prop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8 patients visiting outpatient clinics for prescription of dry powder inhaler and receiving education using inhaler twic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rom August 1, 2012 to April 5, 2013, and analyzed with χ2-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degree of correct usage for inhaler significantly improved from 5.9 points out of 7.0 points after the first education to 6.7 after the second education among the total patients studied, and also in all category of group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inhaler used. The rate of compliance with med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87.2% to 94.7% after the second education, and,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such groups including the female, age of less than 50 or more than 70, education level of high school or more, inhaler users without help, those with experience of using inhaler, and Diskus or Handihaler users Dyspnea scal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groups of categorie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inhaler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educ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experience of using inhaler, inhaler type and so on.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only with older ages, and the decrease in dyspnea scale with the female, older ages and higher education level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in compliance with medication among Diskus users. For Turbuhaler users, the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of inhal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lder ages, the improvement in compliance with medication to higher education levels, and the decrease in dyspnea scale to older ages and higher education le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to the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and, however, factors including older ages, inhaler users with help, experience of using inhaler among Handihaler users. The results showed that patient education to use inhaler properly could be effective directly for the improvement in correct usage of inhaler in every group of the patients regardless of the inhalers used, especially for the groups with older ages and lower education level, and, however,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s in improving compliance rate for certain groups of patients. It seemed that patient education also could contribute to alleviate dyspnea symptom through improving correct usage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every efforts should be made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prepare guidelines for systematic patient education using inhaler properly in order to encourage correct usage and compliance with inhaler use. Key words: dry powder inhaler, patient education, correct usage, compliance with medication, dyspnea scale

      • 영어의 부정어구 도치구문 연구

        서정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glish Inversion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ed on Negation Inversion Construction. In English, Subject-Auxiliary Inversion occurs when an auxiliary verb precedes a subject. This is an exceptional phenomenon to the English word order convention of subjects preceding their corresponding verbs. A similar kind of inversion is also involved in negative sentences. The Negation sentenc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entential negation and constituent negation. In sentential negation, the preposed negative element triggers the inversion while in the constituent negation, it does not. This thesis shows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Negation Inversion Construction and makes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sentential and constituent negation. Based upon Chomsky's adjunction theory (Chomsky 1965), Haegeman's Neg Criterion and Focus Criterion (Haegeman 1991) are accepted to investigate sentential and constituent negation. As Rizzi(1997) pointed out, in sentential negation and constituent negation, the preposed negative elements have different landing sites. In other words, in sentential negation where the inversion occurs, the negative phrase moves to the Spec of FocP, while in constituent negation where the inversion does not occur, the negative phrase moves to the Spec of TopP.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the previous studies on Inversion Construction. As discussed above, Chomsky and Haegeman's works are briefly reviewed. By Transformational rules and X-bar theory, Chomsky examines how to analyze wh-questions. Also, Haegeman's head-to-head movement provides an account of how declarative sentences are changed into Yes-No questions and wh-questions. Chapter 2 presents three kinds of English Inversion Constructions; Locative Inversion, Question Inversion and Negation Inversion. As proposed by Quirk et al., Inversion Constru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reversal of subject and verb and the reversal of subject and operator. Chapter 3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entential negation and constituent negation.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of them and, based upon Chomsky and Haegeman's view, shows what sort of syntactic features the preposing of the negation has. Finally, chapter 4 summarizes the several important points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s and comes to the conclusions.

      • 쌀의 세척 및 취반 과정에 따른 Flubendiamide 및 Etofenprox 잔류량 변화

        서정아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o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while washing and cooking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the reduction rate of pesticides after washing and cooking was compared using both rice harvested after spraying pesticides during cultivation and dipped in brown rice at 30 and 40 times of the MRL(Maximum Residue Limit) level for each pesticide. For the washing of rice, the treatment plots in which rice was washed at 1:1, 1:1.5, and 1:2 for the ratio of water to the rice weight and the ones where the washing time of rice varies as once, twice, 3 times, 4 times and 5 times were used as samples for a pesticide-residue analysis. In the cooking, brown rice was soaked for 30 minutes and then processed in the pressure cooker and the electric rice cooker, while both the polished rice soaked for 30 minutes and that not soaked was processed in the pressure cooker and the electric rice cooker, which was used as a specimen for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The residue level of pesticides in brown rice harvested after spraying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during cultivation was were 0.17 mg/kg and 0.21 mg/kg, respectively. When washed with the 1:1 ratio of brown rice to water, the residual amount of flubendiamide was 0.14 mg/kg (decreased by 17.6%), and that of etofenprox was 0.16 mg/kg (decreased by 23.8%); yet, when washed with 1:2 (brown rice: water), the residual amount was 0.11 mg/kg (decreased by 35.3%) and 0.14 mg/kg (decreased by 33.3%),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as the amount of water increased, the reduction effect of pesticides became more increased. After washing the brown rice once, the residual amounts of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were 0.15 mg/kg (decreased by 11.8%) and 0.16 mg/kg (decreased by 23.8%), respectively, whereas after washing it 5 times, they were 0.11 mg/kg (decreased by 35.3%) and 0.12 mg/kg (decreased by 40.5%), respectively. When washing 5 times, the reduction rate of pesticides was most excellent, which suggested that as the number of washings increased, the effect of reducing pesticides became greater. As a result of washing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dipped in brown rice at 30 and 40 times of MRL level while varying the ratio of water, when washing it with the 1:1 ratio (brown rice: water), the residual amounts were decreased by 40.4% and 27.5%, respectively, but when washing with 1:2 (brown rice: water), they were decreased by 45.9% and 37.6%,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as the amount of water increased, the reduction rate was mor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reduction rate of pesticid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shings, flubendiamide was decreased by 31.2% after washing once, 60.3% after washing 4 times, and 65.3% after washing 5 times, and etofenprox was decreased by 11.4% after washing once, 36.1% after washing 4 times, and 41.5% after washing 5 times. As the number of washings increased, the residual amount of pesticides became decreased, whose reduction rate increased. The residue level of pesticides in brown rice harvested after spraying flubendiaimde and etofenprox during cultivation were 0.03 mg/kg and 0.04 mg/kg, respectively. Subsequently, when the polished rice was washed residues were completely removed, and pesticides was not detected anymore. By using the polished rice, polished after dipped brown rice to the level of 30 and 40 times of the MRL, the reduced effect of washings was investigated. The initial residual amounts of polished rice on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was equally 2.13 mg/k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which the ratio of white rice to water was different, they were decreased by 78.1% and 66.2%, respectively, when washed with the 1:1 ratio (white rice : water), and decreased by 80.7% and 83.1%, respectively, when washed with 1:2 (white rice : water). For flubendiamide, th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shings was decreased by 52.1% when washed once and 83.1% when washed 5 times, and for etofenprox, it was decreased by 31.0% when washed once and 79.4% when washed 5 times. When cooking it after washing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harvested after spraying flubendiaimde and etofenprox during cultivation, the pesticides were removed and not detected thereby. When cooking the brown rice, after dipped brown rice to the level of 30 and 40 times of the MRL, in the electric rice cooker, the reduction rates of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were 75.7% and 56.5%, respectively; after cooking in the pressure cooker, it was decreased by 73.3% and 54.5%,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reduction effect of electric rice cookers and pressure cookers was similar. After cooking polished rice, the reduction rates of flubendiamide and etofenprox were 87.7% and 81.2% when processed with the electric rice cooker, and reduced by 90.0% and 83.1% when processed with the pressure cooker. When cooking the polished rice, which had been polished for 30 minutes, in the electric rice cooker, they were decreased by 86.7% and 85.4%, and by 87.0% and 85.9%, respectively, when cooking it in the pressure cooker. 본 연구는 현미, 백미의 세척 및 취반 중 flubendiamide 및 etofenprox의 감소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벼 재배 시 농약을 직접 살포하여 수확한 시료와 현미에 각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으로 침지한 시료를 이용하여 세척 및 취반 후 농약 감소율을 비교하였다. 쌀의 세척은 쌀 중량 대비 물의 비율을 1:1, 1:1.5 및 1:2로 세척한 처리구와 세척 횟수를 1, 2, 3, 4 및 5회 처리구를 잔류농약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현미의 취반은 30분간 불린 후 압력밥솥과 전기밥솥으로 가공하였으며 백미의 취반은 30분간 불린 것과 불리지 않은 것을 압력밥솥과 전기밥솥으로 가공하여 잔류농약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쌀 재배 시 농약을 살포한 현미의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잔류량은 각각 0.17 mg/kg 및 0.21 mg/kg이었다. 현미와 물의 비율을 1:1로 하여 세척 시 flubendiamide의 잔류량은 0.14 mg/kg (17.6% 감소)이었으며, etofenprox는 0.16 mg/kg (23.8% 감소) 잔류되었으나, 1:2(현미:물)로 세척 시 각각 0.11 mg/kg (35.3% 감소), 0.14 mg/kg (33.3% 감소) 잔류되어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농약의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를 1회 세척 후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잔류량은 각각 0.15 mg/kg (11.8% 감소) 및 0.16 mg/kg (23.8% 감소)이었으며, 5회 세척 시 각각 0.11 mg/kg (35.3% 감소) 및 0.12 mg/kg (40.5% 감소) 잔류되었다. 5회 세척시 농약 감소율이 가장 우수하여 세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농약의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으로 flubendiamide와 etofenprox를 침지한 현미를 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세척한 결과, 1:1(현미:물) 세척 시 각각 40.4%, 27.5% 감소하였으나 1:2(현미:물)로 세척 시 각각 45.9%, 37.6% 감소하여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율이 증가하였다. 세척 횟수에 따른 농약 감소율 결과, flubendiamide는 1회 세척 후 31.2% 감소, 4회 세척 후 60.3%, 5회 세척 후 65.3% 감소하였으며, etofenprox는 1회 세척 후 11.4% 감소, 4회 세척 후 36.1%, 5회 세척 후 41.5% 감소되었다. 세척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농약의 잔류량은 감소하고 감소율은 증가하였다. 농약을 직접 살포한 현미를 도정한 백미 중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잔류량은 각각 0.03 mg/kg 및 0.04 mg/kg이었다. 이 백미를 물로 세척한 후에는 농약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현미를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으로 침지 후 도정한 백미를 이용하여 세척에 따른 감소 효과를 파악하였다.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초기 백미 잔류량은 2.13 mg/kg로 동일하였다. 백미와 물의 비율을 달리한 실험 결과, 1:1(백미:물) 세척 시 각각 78.1%, 66.2% 감소되었으며, 1:2(백미:물) 세척 시 각각 80.7%, 83.1% 감소되었다. Flubendiamide의 세척 횟수에 따른 감소율은 1회 세척 시 52.1% 감소, 5회 세척 시 83.1% 감소하였으며, etofenprox는 1회 세척 시 31.0% 감소, 5회 세척 시 79.4% 감소하였다. 농약을 직접 살포한 현미와 백미를 세척한 후 취반할 경우, 농약이 제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으로 침지한 현미를 전기밥솥으로 취반 시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감소율은 75.7%, 56.5%이었으며, 압력밥솥으로 취반 후 73.3%, 54.5% 감소되어 전기밥솥과 압력밥솥의 감소 효과가 유사한 경향이었다. 백미를 취반 후 flubendiamide와 etofenprox의 감소율은 전기밥솥으로 가공 시 87.7%, 81.2%이었으며, 압력밥솥으로 가공 시 90.0%, 83.1% 감소되었다. 30분 불린 백미를 전기밥솥 취반 시 86.7%, 85.4%이었으며 압력밥솥으로 취반 시 87.0%, 85.9% 감소되었다.

      •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위한 통합적 스마트기기 교육모형 디자인 개발 : 만 3~4세 유아의 양치습관을 중심으로

        서정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교육함에 있어 아날로그 기반의 감성과 디지털 기반의 기술을 융합한 상호소통적인 디지로그 EM 디자인을 제시하고 그 실제모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사회구조가 분화함에 따라 우리 사회는 시·공간적 제약 없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간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첨단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교육 역시 이전의 획일화·표준화된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21세기 학습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선택적·맞춤형 교육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발달과 교육개념의 변화에 발맞춰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영유아의 수도 증가하는 동시에 연령층도 차츰 하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는 청소년과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유아의 스마트기기 교육의 필요성과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유아용 스마트기기 역시 유아를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정보수용으로 유도하는 콘텐츠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일방적·수동적 정보수용은 유아의 신체활동과 상호작용 그리고 다양한 놀이의 가능성을 제한함으로써 결국 유아의 신체적·사회적·정서적 발달을 저해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하지만 스마트교육은 오프라인을 통한 교육보다 훨씬 더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공간의 제약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접근 또는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사용 자체를 금지하기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 및 매체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유아들의 발달특성과 흥미수준에 맞춘 ‘Smart-EM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그것의 실제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Smart-EM 디자인이란 Smart Education Material의 줄임말로 아날로그 기반의 감성과 디지털 기반의 기술을 융합하여 교육자와 교육대상 간의 상호작용과 자발적 참여를 실현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모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Tangible Interface(가상공간에서 현실과 같은 느낌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실감성을 부여하는 기술)의 개념을 도입하고 만 3-4세 유아들의 연령과 정서에 맞는 매체를 활용하여 기본 생활습관 중 주요소인 양치습관을 개선하고 청결에 관한 올바른 생활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모형은 디지털 게임에 익숙한 유아들을 위해 시각, 청각, 촉각 등 전 감각이 연동되어 있는 멀티미디어적 교육모형으로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감각경험과 신체활동을 제공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키는 등의 교육적 효과가 있으며 기본생활습관교육 이외에도 다양한 영역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 정량적 물리개념에 대한 어림활동과 측정활동이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영향

        서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hase of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dure through estimation and measurement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activity. It is true that both estimation and measurement have played indispensable roles in physics, but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estimation activities are more related with students'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than rote measurement is, and that they would chang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dure. This study developed estimation and measurement activities about density, velocity, and energy. A hundred and ninety-two students in seventh grade and a hundred and forty students in nin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nth grade students took eight lessons on density and velocity, and ninth grade students, four lessons on energy. Each lesson included hands-on activities and group discussion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M group (in this group, students did estimation activities before measurement activities) and ME group (in this group, they did measurement activities before estimation activities). In EM group, when they did estimation activities only, they are called EO, and also in ME group, when they did measurement activities only, they are called MO.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dures were analyzed in respect of concept understanding, concept application in predicting answers, calculation, and reflection procedure. Six seventh grade stude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 reasons of their answers, and their discussions were tape-recorded during each activity. Students' achievement of both EO and MO group improved in concept understanding. However, the analysis of thirty students' writings about the reasons of their choice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of qualitative answers increased more in the EO group. while that of students of using formula increased in the MO group. Students' achievement of concept application in predicting answers in EO group has risen significantly, but not in the MO group.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applied the concepts reasonably to the problem situation increased in the EO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lculation ability between groups, while the number of students reflecting their answers based on real experiences or predictions increased in the EO group. The analysis of interviews and students' discussions indicated that students of EO group could connect the densities with the real life. In estimation activities, students discussed the ran e of densities in the real world, the methods of estimating, and the relations between volume, mass and density. Moreover, they managed to solve the problems despite the given information was imperfect. These kinds of experience helped EO group students to know what the problem asked for, to predict the valid answers of the problems when they faced new problems. On the other hand, MO group students had the chance to come in contact with significant figures, measurement errors, and formula. In addition, they learned various skills or knowledge through discussions. However, they spent little time discussing the results of their measurement and the concepts. Therefore, MO group students could apply formula to problem solving procedure. Students' achievement of estimation, measurement, concept application, calculation was promoted more when they took part in both activities than one activ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estimation, of choosing proper unit, and concept application improved due to estimation activities, while the ability of reading scales improved due to measurement activities. Students' achievement didn't differ between EM group and ME group, except in the part of concept application. That is, the sequence of estimation and measurement did not influence the achievement except concept application. Concept application ability and the ability of calculating energy were enhanced more effectively in EM group than ME group. To sum up, the concept understanding through estimation activities helped students to predict answers using concepts reasonably, which influenced their calculation and the way of reflecting their own answers. Estimation activities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s physically rather than mathematic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estimation activities concerning physics concepts could influence physics problem procedure, which showed the necessity of estimation activities in physics education, while measurement, activities could provide students with real experience of measurement: that is measurement errors, reading scales, etc. However, students seldom had the time to reflect their results or consider the concepts to measure.

      • 블랙 가죽 소재에 관한 시각적 촉감의 감성 이미지 연구

        서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자인과 기술이 급속하게 진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니즈(Needs) 또한 다양해지게 되었고 현재는 디자인, 기능뿐만 아니라 감성도 제품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패션 제품에서의 감성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하며, 동일한 디자인이더라도 촉감에 의해 다양한 감성을 경험할 수 있다. 인간의 오감 중에 시각이 받아들이는 비중은 절대적인 위치에 있지만 촉감의 중요성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으며 시각과 촉각이 함께 동반되었을 때 제품을 더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시각적 촉감(Visual Tactility)이라고 하며, 직접적인 터치(Touch)없이 단지 시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촉감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촉각적 촉감을 결정하는 요소보다 시각적 촉감을 결정하는 요소가 더 미세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시각적 촉감에 의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시각적 촉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활발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죽 패션은 매년 가을이면 돌아오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고급스럽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필수 아이템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특히 블랙은 가장 기본적인 컬러로 패션 업체에서 꾸준히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블랙 가죽 소재를 활용한 시각적 촉감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가죽 소재의 패션 제품 디자인 시, 시각적 특성을 잘 활용하여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기호가 아닌 소비자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감각 및 감성 이미지를 제품에 투영시킴으로써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가죽 소재를 활용한 시각적 촉감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므로 본 연구는 가죽 소재의 시각적 촉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서적, 연구 보고서, 기존 연구 논문을 통해 가죽 소재와 시각적 촉감에 관한 이론적 이해를 탐구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소재의 광택(Gloss), 색채(Color), 텍스쳐(Texture)가 감각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가죽 소재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감각 및 감성 형용사들을 선정하고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블랙 가죽 소재의 시각적 요소가 감각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감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죽 소재를 평가할 때 같은 블랙 소재일 경우, 색채보다는 표면 특성에 의해 감각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채는 감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적 촉감에 의한 감각은 촉각적 촉감에 의한 감각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피험자들은 소재를 직접 만져보지 않아도 시각적 정보에 의해 다양한 촉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시각적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가죽 소재가 무겁고 뻣뻣하며 딱딱할수록 ‘화려한’ 감성을 느끼며, 두껍고 무거우며 거칠고, 딱딱하고, 뻣뻣하고, 신축성이 없을수록 ‘투박한’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겁고 거칠며 두껍고, 뻣뻣하고, 건조하고, 딱딱하고, 신축성이 없을수록 ‘개성적인’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랙 가죽 소재의 표면 특성에서 광택은 ‘화려한’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려한’은 ‘개성적인’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광택이 높을수록 화려함을 느끼는 동시에 개성적으로 인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피험자들은 블랙 가죽 소재를 평가할 때 표면 특성에서도 주로 무늬 간격과 무늬 깊이에 의해 감각 및 감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늬 간격과 무늬 깊이에 따라 감각 및 감성 이미지는 달라질 수 있다. 여섯째, 전문가 집단과 여성은 비전문가 집단과 남성에 비해 소재를 더 민감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과 남성의 선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소재의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때 피험자들을 전문가 집단 또는 여성으로 구성한다면 좀 더 세분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소재의 선호도 연구를 진행할 때는 성별에 따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일곱째, 피험자들은 모두 ‘클래식한’ 감성이 느껴질수록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련된’ 감성이 느껴질수록 사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려할수록 개성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과 여성은 견고할수록 고급스럽지 않게 인지하며 투박할수록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 반면, 비전문가 집단과 남성은 견고할수록 고급스럽게 인지하며 투박함은 오히려 천연가죽에 가깝게 인지되고 있었다. 여덟째, ‘세련된’ 감성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은 고급스럽고, 천연가죽같으며 클래식할수록 ‘세련된’ 감성을 느끼는 반면 남성은 개성적이고 화려할수록 ‘세련된’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은 화려하고 개성적일수록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며 사고 싶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은 개성적이고 화려함은 인조가죽으로 인지하고 있었지만 사고 싶어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은 여성에 비해 천연가죽의 선호보다는 화려하고 개성적인 것, 스타일을 더 중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랙 가죽 소재의 시각적 요소와 감각 및 감성 이미지와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검정하였고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감성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시각적 촉감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블랙 가죽 소재의 패션 제품 디자인 시, 소비자들이 원하는 감각 및 감성 이미지를 예측하고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컨셉(Concept)에 맞는 감각 및 감성을 유발할 수 있도록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 As design and technology rapidly develops, customers' needs also have diversified and currently sensibility as well as design and functions have come to exert a major influence on purchase decision of products. In particular, sensibility in fashion products must be considered, and even if it is the same design, a variety of emotions can be experienced by tactile sensation. While the proportion of the visual sense among five senses of humans plays an absolute role, the importance of the tactile sense was demonstrated through many studies and when visual and tactile senses are accompanied together, products can be recognized more accurately. It is called as visual tactility, and means experiencing the tactile sense indirectly through the visual sense only without direct touch. Since elements to decide the visual sense are more minute and various than elements to decide the tactile sense,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tactility is very important. However, as it is true that studies on visual tactility are not enough, it needs to be addressed actively. In addition, since leather fashion is a fashion item to be popular again each fall and has advantages that it's possible to wear in luxurious and various ways, i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fashion items. Especially, as black is the most basic color and is produced steadily in the fashion industry, it will meet consumers' needs by reflecting in products specific senses and emotional images they desire rather than designers' subjective tastes making good use of visual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fashion products of leather material in the future if studies on visual tactility are conducted using the leather material.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ing visual tactility of leather material as any study on visual tactility using leather material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The progress process of the curr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plor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leather material and visual tactility through relevant books, research reports, and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ial gloss, colors, and texture on senses and sensibility based on preceding studies. Second, we selected adjectives of senses and sensibility which are suitable for expressing leather material and examined the effects of visual elements of black leather material on senses and sensibility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In addition, we investigated differences in sensibility depending on groups and sexual difference and proposed application plans to desig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black material when evaluating leather material, senses are evaluated by surface property than colors and it was found that colors have no effect on sense evalu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nses by visual tactility have the same sense results as those of the tactile sense and that subjects experience a variety of tactile senses by visual information without touching material in pers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isual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Third, it was found that if leather material is heavy, stiff, and hard, they feel 'luxurious' feelings, and if it is thick, heavy, rough, hard, and stiff and has no elasticity, they feel ‘coarse’ feelings as the study found. In addition, it was found if it is heavy, rough, thick, stiff, dry, hard and has no elasticity, they feel sensibility of ‘unique individuality’. Fourth, it was found that gloss has an effect on 'luxurious' sensibility in surface property of black leather material. As ‘luxuriou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nique individuality’, it can be analyzed that the more gloss it has, one recognize it as something unique and individual as well as something luxuriou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generally evaluate senses and sensibility by intervals and depth of patterns about surface property as well when evaluating black leather material and senses and emotional images can vary depending on intervals and depth of patterns. Sixth, it was found that an expert group and women recognize material more sensitively than a non-expert group and men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the women and the men. Thus, if subjects are composed of expert groups or women when you conduct a study on sensibility evaluation of material in the future, more detailed information will be able to be obtained, and it' necessary to do comparison analysis based on gender when conducting a study of material preference. Seventh, it was found that all the subjects recognize it as natural leather as ‘classical’ sensibility is felt and that they want to buy it as ‘chic’ sensibility is fel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luxurious it is, the more uniquely they felt. However, while the expert group and women perceive it as not luxurious the more solid it is and perceive it as artificial leather the more coarse it is, the non-expert group and men perceive it as luxurious the more solid it is and coarseness was perceived as close to natural leather. Eighth, ‘chic’ sensibility has differences by gender. It was found while women feel 'chic' sensibility as it is luxurious, natural leather-like and classical, men feel 'chic' sensibility as it is unique and luxurious. Besides, it was found that women perceive it as synthetic leather as it is luxurious and unique and do not want to buy it but men were perceiving something unique and luxurious as synthetic leather but want to buy it as the study found. Namely, it can be analyzed that men value something luxurious and unique, and styles rather than preferring natural leather compared to women. This study tested correlations and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elements of black leather material, senses and emotional images and discov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nsibility depending on groups and gender.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visual tactility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able to employed usefully in practice so that senses and sensibility which are suitable for each concept can be aroused by estimating senses and emotional images consumers desire and making use of visual elements when designing fashion products of black leather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