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적 팬톰을 이용한 사이버나이프 호흡동기 추적장치의 위치 정확성 평가

        서재혁,강영남,장지선,신헌주,정지영,최병옥,최일봉,이동준,권수일,임종수,Seo, Jae-Hyuk,Kang, Young-Nam,Jang, Ji-Sun,Shin, Hun-Joo,Jung, Ji-Young,Choi, Byong-Ock,Choi, Ihl-Bohng,Lee, Dong-Joon,Kwon, Soo-Il,Lim, Jong-So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정위방사선수술시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사이버나이프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위치 정확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움직이는 목표점을 재현할 수 있는 동적팬톰을 사용하였으며 움직이는 목표점 추적을 위하여 사이버나이프의 호흡동기추적장치인 $Synchrony^{TM}$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움직이는 목표점의 치료계획을 위하여 4D CT를 이용한 영상획득을 하였고 움직이는 목표점에서의 선량분포와 점선량 측정을 위하여 gafchromic EBT 필름과 0.62 cc 이온 전리함을 사용하였다.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팬톰의 목표점을 움직였을 때와 정지 상태일 때 목표점에서의 선량분포(처방선량기준 선량분포의 80%)를 비교하였으며 목표점에서의 점선량을 측정하였다. 위치추적장치와 호흡동기추적장치 상호간의 동기화에 의한 정확성은 동기화 되지 않을 경우 평균 $11.5{\pm}3.09\;mm$였으며 동기화 되었을 경우 $0.14{\pm}0.08\;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목표점 정지상태시의 영상과 4D CT를 이용한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상의 정확성은 평균 $0.18{\pm}0.06\;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정확성은 1 mm 이하로 나타났다. 호흡동기추적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하여 호흡동기추적장치를 중지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 $17.39{\pm}0.14\;mm$였으며 가동하였을 때 $1.37{\pm}0.11\;mm$로 나타났다. 목표점에서의 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목표점이 정지상태일 때 $0.68{\pm}0.38%$, 호흡동기추적장치를 이용한 움직이는 목표점에서는 $1.31{\pm}0.81%$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위치추적장치와 호흡동기추적장치 상호간의 동기화에 의한 정확성 확인에서 장치사이에서 동기화가 매우 정확하게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움직이는 목표점에 대한 정위방사선수술시 호흡동기추적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이버나이프의 호흡동기추적장치인 Synchrony 시스템의 유용성과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매우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accuracy and usefulness of CyberKnife Respiratory Tracking System ($Synchrony^{TM}$, Accuray, USA) about a moving during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this study, we used moving phantom that can move the target. We also used Respiratory Tracking System called Synchrony of the Cyberknife in order to track the moving target. For treatment planning of the moving target, we obtained an image using 4D-CT. To measure dose distribution and point dose at the moving target, ion chamber (0.62 cc) and gafchromic EBT film were used. We compared dose distribution (80% isodose line of prescription dose) of static target to that of moving target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e also measured the point dose at the target. The mean difference of synchronization for TLS (target localization system) and Synchrony were $11.5{\pm}3.09\;mm$ for desynchronization and $0.14{\pm}0.08\;mm$ for synchroniz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static target plan and moving target plan using 4D CT images was $0.18{\pm}0.06\;mm$. And, the accuracy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as less 1 mm. Estimation of usefulness in Respiratory Tracking System was $17.39{\pm}0.14\;mm$ for inactivity and $1.37{\pm}0.11\;mm$ for activity. The mean difference of absolute dose was $0.68{\pm}0.38%$ in static target and $1.31{\pm}0.81%$ in moving target. As a conclusion, when we treat about the moving target, we consider that it is important to use 4D-CT and the Respiratory Tracking System.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Respiratory Tracking System in the Cyberknife.

      • KCI등재
      • KCI등재

        이중으로 집중된 동적 미세 다엽콜리메이터의 선량학적 특성 평가

        김애란,서재혁,신헌주,박형욱,이기웅,이재춘,김신욱,김지나,박혜리,이희관,강영남,Kim, Ae Ran,Seo, Jae-Hyuk,Shin, Hun-Joo,Park, Hyeong Wook,Lee, Ki Woong,Lee, Jae Choon,Kim, Shin-Wook,Kim, Ji Na,Park, Hyeli,Lee, Heui-Kwan,Kang, Young-Nam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4

        이중으로 집중된 미세 다엽콜리메이터(Double-focused micro Multileaf Collimator: ${\mu}MLC$)는 보통의 다엽콜리메이터(Multileaf Collimator: MLC)에 비하여 조사면 가장자리 부분의 선량을 급격하게 줄여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미세 다엽 콜리메이터는 정위적 방사선 수술과 치료(Stereotactic Radio-Surgery/RadioTtherapy, SRS/SRT)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는 Elekta Synergy 선형가속기에 이중으로 집중된 동적 미세 다엽콜리메이터(Double-focused Dynamic micro-Multileaf Collimator: DMLC)를 부착하여 선량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름(GafChromic EBT2 film), EDGE 다이오드 검출기, 3차원 물 팬텀을 이용하였다. 깊이선량백분율(Percent Depth Dose, PDD), 엽 투과도(leaf leakage), 반그림자(Penumbra)를 측정하였고, 모든 데이터들은 6MV 광자선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DMLC가 1% 이내의 투과도를 갖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LC는 이중으로 집중 되는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반 그림자가 조사야 크기에 대하여 독립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MLC의 선량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Elekta Synergy에 부착된 DMLC의 적용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Double-focused micro-Multileaf Collimator (${\mu}MLC$) is able to create radiation fields having sharper dose gradients at the field edges than common MLC. Therefore, ${\mu}MLC$ has been used for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and Stereotactic Radiotherapy (SRT). We evaluated th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a doublefocused Dynamic-${\mu}MLC$ (DMLC) attached to the Elekta Synergy linear accelerator. For this study, the dosimetric parameters including, Percent Depth Dose (PDD), Leaf leakage and penumbra, have been measured by using of the radiochromic films (GafChromic EBT2), EDGE diode detector and three-dimensional water phantom. All datas were measured on 6 MV x-ray. As a result, The DMLC shows transmission below to 1% and because of double-focused construction of the DMLC, the penumbras of fields with DMLC are independent from the field sizes. In this paper, the resulting dosimetric evaluations proved the applicability of the DMLC attached to the Elekta Synergy linear accelerator.

      • KCI등재

        1980년대 초기 한・일 헤비메탈음악의 발전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 대표적인 밴드들의 작품 활동을 중심으로 ―

        홍성규,이주원,서재혁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1960년대 부터 미국의 영향아래에 공통적인 영향아래에 놓여있던 한국과 일본의 대중문화도 영미권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던 록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이후 1970년대 후반부터 영미권을 중심으로 헤비메탈이 유행하자 양국 또한 헤비메탈 음악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 음악을 양국이 받아 들였던 방식과 시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양국이 헤비메탈이라는 음악장르를 어떻게 받아들여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는지 알아보고 전개과정에서 헤비메탈 음악이 어떤 변화양상을 겪었는지 음악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양국의 초기 헤비메탈 밴드들 가운데 헤비메탈이 유행했던 1980년대부터 음악사적 시기가 넘어가는 1990년대에 걸쳐 활동한 밴드들을 선정하고 해당 밴드들의 음악을 악기편성, 화성, 선율을 분석하여 비교하여 그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초기 헤비메탈 밴드들은 시기에 따라 음악 스타일이 변화하였고 록발라드를 일본 헤비메탈 밴드에 비해 자주 발표하는 특징이 있었는데 반해 일본의 초기 헤비메탈 밴드들은 자신들의 음악 스타일을 시기에 따라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시켰다. 양국의 이런 차이는 양국의 문화의 차이를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은 록음악이 처음 유입되던 1960년대부터 록음악 본연의 장르적 특징을 유지하기 위해 영어로 노래를 해야 하는가 자국어로 재해석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고 록의 음악적 특징을 그대로 살리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러한 생각들이 1980년대 헤비메탈에도 반영되어 본 논문의 분석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에 반해 한국의 헤비메탈 밴드들은 헤비메탈의 음악적 특징을 유지하려는 노력보다는 헤비메탈의 대중화를 염두로 한 음악활동에 치중하였으며, 그에 더해 잦은 멤버교체를 겪는 밴드들이 많아 음악적 개성을 그대로 유지하기 힘든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양국의 록음악 유입과 헤비메탈정착과정에서 드러나는 이런 이유들 이외에도 당시의 시대상과 양국의 음반시장의 규모와 문화차이 등 다양한 요인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우선 그 음악적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드러난 양국 헤비메탈의 음악적 차이를 문화적 차이를 통해 해석하고 양국의 록음악이 어떠한 방식과 이유로 서로 다른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연구를 차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1960’s brought forth an era of rock music to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whose popular culture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In the following decade of the 1970’s, both countries were subsequently influenced by the emerging heavy metal scene of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re were contrasting methods and periods in which metal music entered the cultures of both countrie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rocesses by which the heavy metal genre was accepted and spread in Korean and Japanese culture,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s that the genre underwent.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performed by selecting bands that were active from the 1980’s to the 90’s—when heavy metal was popular—and comparing the transformations in instrumental layout, harmonies and melodies between the bands. The results found that Korea’s first heavy metal bands changed in musical style based on era and characteristically released new rock ballad songs frequently when compared to Japanese heavy metal bands, which did not adapt their songs to eras and maintained their styles. Such contrast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be seem as an aspect that illustrates the differences in their culture. From the 1960’s—when rock music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there had been debates over whether rock songs should be sung in English to maintain the genre’s characteristics or reinterpreted to the native language of the country in which it is played. While such efforts to preser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rock music reflected the Japanese heavy metal scene of the 1980’s and influenced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Korean heavy metal bands focused more on the mainstream popularization of the genre, causing frequent member rotations in bands and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likely a variety of additional factors correlating with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rock and heavy metal music in both countries, including the time period, size of their record industries, and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however, focuses mainly on identifying the musical differences before any other factors. The findings in this study regarding the mus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propose and open up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o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ontrasting paths that rock music took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The Feasibility Study of MRI-based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Using Look Up Table

        김신욱,신헌주,이영규,서재혁,이기웅,박형욱,이재춘,김애란,김지나,김명호,계철승,장홍석,강영남,Kim, Shin-Wook,Shin, Hun-Joo,Lee, Young-Kyu,Seo, Jae-Hyuk,Lee, Gi-Woong,Park, Hyeong-Wook,Lee, Jae-Choon,Kim, Ae-Ran,Kim, Ji-Na,Kim, Myong-Ho,Kay, C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3 의학물리 Vol.24 No.4

        뇌병변 등의 방사선 치료에 있어 CT (Computed Tomography) 영상만을 이용한 종양 체적(Tumor volume) 윤곽의 정확한 설정은 CT 영상의 부족한 연부조직 대조도 특성에 의하여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s, MRI)이 보다 정확한 목표 체적의 윤곽을 그려내기 위해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치료계획을 위해 획득한 자기공명영상에 진단단계에서 얻어진 CT영상의 전자밀도를 융합하는 방법과 자기공명 영상으로부터 만들어진 가상의 CT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기반으로 한 방사선 치료 계획의 선량계산을 위하여 소개되어 왔다. 본 연구는 MRI기반의 선량계산의 가능성을 확인 해보기 위해 15명 환자의 진단 MR 영상을 통하여 Look Up Table (LUT)을 만들어 MRI 기반 선량계산과 기존의 CT 기반 선량계산을 비교 검증 하였다. 여기서 lMRI는 획득한 MR 영상에 LUT를 이용한 전자밀도 보정을 한 것이며 wMRI는 획득한 MR영상을 물 밀도로 동일화 시킨 것이다. 6 MV anterial 방향의 조사가 CT, lMRI, wMRI에 적용되어 치료계획으로 비교되었으며 또한 환자의 병변위치에 따라 2문 조사에서 5문 조사의 치료계획이 비교되었다. CT기반 치료계획을 기준으로 하여 등선량 분포와 DVH의 차이는 wMRI 보다 lMRI에서 더 적었으며 최대선량 차이가 91 cGy vs. 57 cGy, 평균선량이 74 cGy vs. 42 cGy, 최소선량 차이가 94 cGy vs. 53 cGy로 측정되어 각각의 선량 평가 면에서 그 차이가 wMRI보다 lMRI에서 더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wMRI의 경우 공동내 선량계산에서 CT기반 선량계산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MRI 기반 선량계산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In the intracranial regions, an accurate delineation of the target volume has been difficult with only the CT data due to poor soft tissue contrast of CT images. Therefore,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for the delineation of the target volumes were widely used. To calculate dose distributions with MRI-based RTP, the electron density (ED) mapping concept from the diagnostic CT images and the pseudo CT concept from the MRI were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look up table (LUT) from the fifteen patients' diagnostic brain MRI images was crea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MRI-based RTP. The dose distributions from the MRI-based calculations were compared to the original CT-based calculation. One MRI set has ED information from LUT (lMRI). Another set was generated with voxel values assigned with a homogeneous density of water (wMRI). A simple plan with a single anterior 6MV one portal was applied to the CT, lMRI, and wMRI. Depending on the patient's target geometry for the 3D conformal plan, 6MV photon beams and from two to five gantry portals were used. The differences of the dose distribution and DVH between the lMRI based and CT-based plan were smaller than the wMRI-based plan. The dose difference of wMRI vs. lMRI was measured as 91 cGy vs. 57 cGy at maximum dose, 74 cGt vs. 42 cGy at mean dose, and 94 cGy vs. 53 at minimum dose. The differences of maximum dose, minimum dose, and mean dose of the wMRI-based plan were lower than the lMRI-based plan, because the air cavity was not calculated in the wMRI-based plan. These results prove the feasibility of the lMRI-based planning for brain tumor radiation therapy.

      • KCI등재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 보정 계산의 평가

        신헌주,강영남,장지선,서재혁,정지영,최병옥,최일봉,이동준,권수일,Shin, Hun-Joo,Kang, Young-Nam,Jang, Ji-Sun,Seo, Jae-Hyuk,Jung, Ji-Young,Choi, Byung-Ock,Choi, Ihl-Bohng,Lee, Dong-Joon,Kwon, Soo-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정위방사선수술시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에 따른 보정 계수를 구하고, 치료계획 시스템의 선량계산 값과 실제 조사된 선량값을 비교, 분석하여 불균질 물질 보정에 의한 선량계산의 정확성을 평가한다. 본 실험을 위하여 12가지 종류의 불균질 물질과 필름 및 이온 전리함을 장착할 수 있는 팬톰(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불균질 물질의 전자밀도값을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선량분포와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선량 측정을 위해 EBT 필름과 0.125 cc 이온전리함을 이용하였으며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과 비적용에 따른 치료계획의 차이와 필름에 조사된 선량값 및 이온 전리함의 절대 선량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적용과 비적용시 각각의 치료계획과 측정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평균 1.63%, 10.05%이었고, 각 경우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10.09%이었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비적용시에는 평균 2.90%, 적용시에는 평균 0.43%의 차이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직경 1 cm의 목표점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 전의 선량분포 및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 선량이 적용시보다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된 소조사면의 치료계획시스템은 불균질 물질 보정이 정확하게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1% 이하의 정확도를 가지고 시행하는 소조사면에서의 정위방사선수술의 경우 불균질 물질에 대한 보정이 일반적인 조사면에서의 적용 보다 더 정확하게 수립이 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And, we evaluated accuracy of treatment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which appli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We developed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 for inser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The inhomogeneity materials were 12 types in each different electron density. This phantom is able to adapt the EBT film and 0.125 cc ion chamber for measurement of dose distribution and point dose. We evaluated comparison of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using ICP. When we applied to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the average difference was 1.63% and 10.05% in each plan and film measurement data.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dose distribution was 10.09% in each measurement film.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point dose was 0.43% and 2.09% in each plan and measurement data. In conclusion, if we did not apply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it shows more great difference in measurement data. The planning system using this study shows good result for correc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In radiosurgery using small field, we should be correct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more exactly.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Elekta SymmetryTM 4D IGRT System by Using a Moving Lung Phantom

        신헌주,김신욱,계철승,서재혁,이기웅,강기문,장홍석,강영남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7 No.1

        Purpose: 4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s a beneficial tool for the treatment of movable tumors because it can help us to understand where the tumors are actually located and it has a precise treatment plan. However, general CBCT image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not perfectly perform a sophisticated regis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ymmetryTM 4D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IGRT) system of Elekta offers a 4D CBCT registration op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SymmetryTM. Method and Materials: Planning CT images of the CIRS moving lung phantom were acquired 4D multi-detector CT (MDCT), and the images were sorted as 10 phases from 0% phase to 90% phase. The thickness of the CT images was 1 mm. Acquired MDCT images were transferred to the contouring software, and a virtual target was generated. A one-arc volumetric-modulated arc therapy (VMAT) plan was performed by using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on the virtual target. Finally, the movement of the phantom was verified by using the XVI SymmetryTM system. Result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CIRS moving lung phantom was ±10.0 mm in the superiorinferior direction, ±1.0 mm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2.5 mm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 movement of the phantom was measured from the 4D MDCT registration as ±10.2 mm in the superior-inferior direction, ±0.9 mm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2.45 mm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 movement of the phantom was measured from the SymmetryTM registration as ±10.1 mm in the superior-inferior direction, ±0.9 mm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2.4 mm in the anterior-posterior directio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4D CBCT is a beneficial tool for the treatment of movable tumors, and that the 4D registration of SymmetryTM can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registration when a movable tumor is the target of radiation treatment.

      • KCI등재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 보정 계산의 평가

        신현주,강영남,최병옥,권수일,장지선,서재혁,정지영,최일봉,이동준 한국의학물리학회 2009 의학물리 Vol.20 No.4

        In this study, we estimat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And, we evaluated accuracy of treatment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which applied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We developed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 for inser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The inhomogeneity materials were 12 types in each different electron density. This phantom is able to adapt the EBT film and 0.125 cc ion chamber for measurement of dose distribution and point dose. We evaluated comparison of planning and measurement data using ICP. When we applied to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or not, the average difference was 1.63% and 10.05% in each plan and film measurement data.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dose distribution was 10.09% in each measurement film. And the average difference of point dose was 0.43% and 2.09% in each plan and measurement data. In conclusion, if we did not apply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in small field, it shows more great difference in measurement data. The planning system using this study shows good result for correction of inhomogeneity materials. In radiosurgery using small field, we should be correct the inhomogeneity correction factor, more exactly. 정위방사선수술시 소조사면에서의 불균질 물질에 따른 보정 계수를 구하고, 치료계획 시스템의 선량계산 값과 실제 조 사된 선량값을 비교, 분석하여 불균질 물질 보정에 의한 선량계산의 정확성을 평가한다. 본 실험을 위하여 12가지 종류 의 불균질 물질과 필름 및 이온 전리함을 장착할 수 있는 팬톰(Inhomogeneity Correction Phantom, ICP)을 제작하였다. 각 각의 불균질 물질의 전자밀도값을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선량분포와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 대선량 측정을 위해 EBT 필름과 0.125 cc 이온전리함을 이용하였으며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과 비적용에 따른 치 료계획의 차이와 필름에 조사된 선량값 및 이온 전리함의 절대 선량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적용과 비적용시 각각의 치료계획과 측정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평균 1.63%, 10.05%이었고, 각 경우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 10.09%이었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의 비적용시에는 평 균 2.90%, 적용시에는 평균 0.43%의 차이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직경 1 cm의 목표점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불균질 물질 보정 계수 적용 전의 선량분포 및 임의의 위치에서의 절대 선량이 적용시보다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된 소조사면의 치료계획시스템은 불균질 물질 보정이 정확하게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1% 이하의 정확도를 가지고 시행하는 소조사면에서의 정위방사선수술의 경우 불균질 물질에 대한 보정이 일반적인 조사면에서의 적용 보다 더 정확하게 수립이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