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사 발달에 관한 연구

        서윤희(Seo, Yoon 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출산과 양육을 경험한 유아기 자녀를 둔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교직 생활 전반에 걸쳐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였는지 교사 발달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1세부터 7세까지 유아기 자녀를 둔 5명의 공립유치원 교사로 7개월에 걸쳐 23회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 이해 발달 측면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자신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좀 더 책임감을 가지고 엄마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찾아나갔으며, 자녀의 담임교사나 동료 교사의 모습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투영하면서 반성적 사고를 하였다. 지식과 기술 발달 측면에서는 내 아이를 키운 경험을 통해 살아있는 발달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유아를 잘 돌보는 일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했으며, 학부모 입장에서의 수요자 중심의 운영방법을 시도하려고 노력하였다. 생태적 발달 측면에서는 양육의 경험을 공통분모로 학부모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신뢰를 쌓아나갔으며, 출산과 육아를 위한 유치원의 지원체계에 비교적 만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ing profession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their young children on three categories of teacher development, such as knowledge and skill, self-understanding and ecological development. In this study, researcher had an interview fiv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their young children for 8 month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n the aspect of self-understanding, kindergarten teachers having young children recognize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nderstood themselves positively. Next, in the aspect of knowledge and skill, they improved the developmental knowledge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ir children and could consider parents" position. Finally, for the ecological category, they sympathized with parents and colleague teach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enting. In this study as the final outcome, basic data could be obtained, in other words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maternity and parenting influences on the teacher development. Moreover, it is considered to train teachers according to the re-recognition of married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ife cycle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윤희 ( Yoon Hee Seo ),지옥정 ( Ok Jong Ji ),강지애 ( Jee Ai Kang ),정애경 ( Ae Kyung Jung ),조부경 ( Boo Ky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In keeping with its commitment to developing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beginning in early childhood, South Korea is also much concerned with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will enable teachers to develop,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required curricula. This study seeks to develop such a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draft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draft program was then used with 20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which it was modified and adjusted to the final program which consists of educational goals, purpos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enhanc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ward ESD by showing how it can be integral to the philosophy behind Korea`s early childhood ecology program. The train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s environmental sensitivity enhance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It also utilizes various teaching methodology including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s, first hand experience, sharing, case application, and workshops, all designed to support and improve transformative reflective thinking and to inform and transform prevailing current practical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환경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고, 유아교사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통해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이론적,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유아교사환경교육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시안을 시범 적용 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유아교사의 지식, 기능, 태도를 함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교사의 환경감수성 함양과 교사가 실제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에 중점을 둔다. 교사의 반성적사고와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하여, 강의, 소집단 토의, 자연체험, 현장수업사례 공유, 현장적용, 워크숍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한다.

      • KCI등재

        구성주의 교실의 비눗방울 놀이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과학적 사고과정 탐색

        서윤희 ( Yoon Hee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구성주의 교실의 비눗방울 놀이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과학적 사고를 구성해나가는지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유아는 경기도에 소재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1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비눗방울 놀이과정에 참여하여 보이스레코더로 유아들의 대화를 녹음하고 놀이의 중요한 순간은 사진촬영을 통해 기록하였으며, 참여관찰자는 비눗방울 놀이의 전 과정을 녹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자, 담임교사, 참여관찰자가 함께 의견을 제시하면서 합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행위와 비눗방울의 변화 사이의 관계를 짓는 과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냈으며, 둘째, 유아들은 비눗방울불기 과정에서 바람을 세게 불어야 큰 비눗방울이 나올 것이라는 과잉 일반화된 가설을 가지고 있었으며, 셋째, 유아들은 모양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지각적 속성에 집중한 오개념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들은 끊임없는 반복 실험을 통해 비눗방울의 속성에 대한과학적 개념을 형성하였으며, 다섯째, 비눗방울 놀이가 심화되어가면서 유아들은 비눗방울의 속성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토대로 비눗방울이 잘 나올 수 있는 조건을 찾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보는 과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as it is revealed through the cases of bubbles play based on constructivism for young childre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ive year old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Y elementary school affiliated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ories and structure as presented by the children themsel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cientific thinking was categorized in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tion and changes in the bubbles``, ``Over-generalized hypothesis for making large bubbles``, ``misconception hypothesis focused on the perceptual properties: It will be able to make a heart-shaped bubbles``, ``the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concept according to repetitive experiences``, ``To consider situational context for making bubbles``.

      • KCI등재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탐색

        서윤희(Seo, Yoon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며,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 공·사립 유치원 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총 20회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해 누리과정 텍스트 들여다보기,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변주, 의미 있는 교육적 순간에서의 경로 변경, 교사의 교육신념이 담긴 교육과정 색깔 만들기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계획을 위한 정형화된 틀변형하기, 놀이를 ‘위’에서 조망하기, 최소 기준의 적정선에 대한 혼란, 교육과정 재구성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다양한 생태적 맥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며, 교육과정 재구성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nd experience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is study, five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and were interviewed for 20 tim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curriculum reconstruction as understanding Nuri-curriculum"s text, variation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path changes at meaningful educational moments, and creating a unique curriculum that includes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transforming a formal framework for planning, insight into play, confusion about the adequacy of the minimum standard, and various ecological contexts limiting autonomy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s study will provide bo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basic data on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서윤희(Seo Yoo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첫 해의 맥락에서 세 명의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내러티브 형식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계획 및 실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0개월 간 이루어졌으며, 면담의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로 구성한 뒤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이야기로 재조직하여 연구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교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를 각자의 관점에서 해석하며, 자신이 근무하는 유치원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해나갔다. 둘째, 세 교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변화 속에서 교사의 역할을 새롭게 인식하고,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셋째, 세 교사는 동료교사 및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만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며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갔다. 넷째, 세 교사는 유치원 교실 공간을 해체하거나 공간적 상황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의 사고 과정 및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며, 교육과정 재구성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ree kindergarten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narra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for 10 months. To this end, the interview data were composed of field texts, and then the data was reorganized into research texts by repetitive rea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teachers interpreted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implemented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kindergarten in which they work. Second, the three teachers newly recognized the role of teachers through changes i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and created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the curriculum created with young children. The three teachers reorganized the curriculum by dismantling the classroom space or apply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Q 방법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서윤희(Seo, Yoon-hee),김경철(Kim, Kyung-Chul),오도희(Oh, Do-Hu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심층 면담과 문헌분석을 통해 Q 표본 진술문을 선정하고, 서울, 경기, 충청지역 유치원 교사 30명을 P 표본으로 하여 Q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에 대한 인식 유형은 4가지로 유형별 설명력은 제1유형 36.35%, 제2유형 8.66%, 제3유형 5.63%, 제4유형 5.25%로 나타났다. 둘째, 4가지 인식 유형의 특성은 제1유형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통합적 경험 지향’, 제2유형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계속적 교육과정 변형’, 제3유형 ‘유아-교사 주도 간 균형을 고려하여 함께 교육과정 만들어가기’, 제4유형 ‘유아의 삶과 교사의 자율성 존중 추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토대로 교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Using the Q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mplementation. Q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literature studies, and Q samples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Q method was applied using 30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s the P sample.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type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mplementation were formed in four types; Type 1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Second, the four types of perception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Type 1, “pursuing an integrated experience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Type 2, “Continuously transforming the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ype 3, “Creating a curriculum that considers the balance between infant- and teacher-led.” Type 4, “Pursuing respect for children’s lives and teachers’ autonom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유아언어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중심으로

        서윤희 ( Seo Yoon Hee ),변선주 ( Byun Sunjo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언어교육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을 살펴보고, IPA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향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경남 지역의 유치원 교사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 검증과 IPA 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실행도 인식 분석결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 및 22개의 모든 항목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영역별로는 듣기와 말하기는 1사분면(지속유지 강점영역)에, 읽기와 쓰기는 3사분면(낮은 우선순위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1사분면에 12개(54.5%), 2사분면에 2개(9.0%), 3사분면에 7개(31.8%), 4사분면에 1개(4.5%)가 분포하였다. 영역 및 항목별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읽기와 쓰기 관련 교육내용은 대부분 3사분면(낮은 우선순위 영역)에 포함되어 교사들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추후 장기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IPA matrix analysis. For data,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6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nd Gyeongnam area. It was analyzed by paired samples t-test and IP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of importance perceived by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of performance in 4 area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all 22 items of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nalysis, listening and speaking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and reading and writing were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Of the total 22 items, 12 items (54.5%) were distributed in the first quadrant, 2 items (9.0%) in the second quadrant, 7 items (31.8%) in the third quadrant, and 1 item (4.5%) in the fourth quadr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deduced that most of the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reading and writing were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and thus a long-term improvement is needed.

      • KCI등재

        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수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서윤희(Seo Yoon Hee),변선주(Byun Sun J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간의 수학교육 내용의 연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2세 표준보육과정 세부내용 9개, 3∼5세 누리과정 세부내용 34개(3세 8개, 4세 11개, 5세 15개),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성취기준 15개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와 연산에서는 2세 표준보육과정과 3세 누리과정 간에 확대, 심화, 확대․심화로 연계되었고,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간에는 대부분 확대․심화로 연계되거나 소멸, 생성의 형태로 비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간과 도형에서는 2세와 3세 간에 반복, 심화의 형태로 연계되었고, 5세와 1학년 간에는 반복의 형태로 연계되거나 소멸의 형태로 비연계되었다. 셋째, 측정에서는 2세와 3세 간에 확대․심화로 연계되었고, 5세와 1학년 간에는 반복으로 연계되거나 소멸, 생성의 형태로 비연계되었다. 넷째, 규칙성에서는 2세와 3세 간에 반복의 형태로 연계되었으며, 5세와 1학년 간에는 확대․심화로 연계되거나 생성의 형태로 비연계되기도 하였다. 다섯째, 자료 분석과 결과 나타내기에서는 2세와 3세 간에 심화의 형태로 연계되었으며, 5세와 1학년 간에는 모든 내용에서 소멸되어 비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계율을 분석한 결과, 2세와 3세 간 연계율 및 3세와 4세 간 연계율은 100%로 각각 8개, 11개의 내용이 모두 연계되었고, 4세와 5세 간 연계율은 80.0%로 15개 중 12개의 내용이 연계되었다. 5세와 1학년 간 연계율은 47.4%로 19개 중 9개의 내용이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연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nec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among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for 2-year-old children, the nuri curriculum for 3 to 5-year-old children and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9 details of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34 details of the nuri curriculum and 15 detail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number and operations, between 2- and 3-year-old,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extension’, ‘reinforcement’ or ‘extension and reinforcement’ and between 5- and first graders,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extension and reinforcement’ and were disconnected with ‘extinction’ or ‘creation’. Second, in space and figure, between 2- and 3-year-old,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repetition’ or ‘reinforcement’ and between 5- and first graders,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repetition’ and were disconnected with ‘extinction’. Third, in measurement, between 2- and 3-year-old,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extension and reinforcement’ and between 5- and first graders,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repetition’ and were disconnected with ‘extinction’ or ‘creation’. Fourth, in patterns, between 2- and 3-year-old,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repetition’ and between 5- and first graders,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extension and reinforcement’ and were disconnected with ‘creation’. Fifth, in the data analysis and the result presentation, between 2- and 3-year-old, the curricula were connected with ‘reinforcement’ and between 5- and first graders, the curricula were disconnected with ‘extinction’. The connection rate between the ages of 2 and 3 was 100%, all of 8 items were linked, and the connection rate between the ages of 3 and 4 was 100%, all of 11 items were link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rate between the ages of 4 and 5 was 80.0%, 12 out of 15 items were linked. The connection rate between the ages of 5 and first graders was 47.4%, 9 out of 19 items were linked, which is analyzed to have a high ratio of non-link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에서의 의미 구성

        서윤희(Seo, Yoon-Hee),한유진(Han, Yo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원격수업을 운영한 유치원 교사가 구성한 원격수업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공립유치원에서 원격수업을 실천한 교사 6인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부터 2개월 간 면담을 실시하고, 교사들이 구성한 의미를 유목화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은 원격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미래를 향해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에 직면하고 원격수업은 미래교육을 향해 반드시 필요한 첫걸음이었다는 의미를 구성하였다. 둘째, 원격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계 맺기를 시도하던 교사들은 시공간을 초월한 만남을 하나의 문화로 누리며 소통하는 유아의 모습을 마주하게 되었고, 미래교육의 본질은 기술이 아닌 소통에 있다는 의미를 구성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원격수업은 미래교육으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도전이라는 의미를 구성하고 시공간을 넘나들며 유아ㆍ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을 꾀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미래교육을 향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며 기반을 다져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치원에서의 원격수업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에 대해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distance clas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practiced distance class during COVID-19 Pandemic situation. To this end, six teachers who practiced distance class at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were interviewed for two months from October 2020, and the meaning created by teachers was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ced a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toward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operating distance class and constructed the meaning that distance class was essential first steps toward future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tried to establish various relationships through distance class faced the image of young children who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enjoying a culture that transcended time and space, and constructed the meaning that the essence of future education lies in communication, not technology. Third, teachers formed the meaning of a new challenge for distance class to move further toward future education and tried to implement childㆍplay-oriented curriculum across time and space, seeking a new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and building a foundation. Implications for new possibilities and meanings for distance class in kindergarte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