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북 구미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유병률

        상재홍 ( Jae Hong Sang ),황인철 ( In Chul Hwang ),한효상 ( Hyo Sang Han ),이우석 ( Woo Seok Lee ),김태희 ( Tae Hee Kim ),이해혁 ( Hae Hyeong Lee ),정수호 ( Soo Ho Chung ),신경숙 ( Kyung Suk Shin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구미지역의 2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구미지역에서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의 검진센터를 방문한 20세 이상의 여성 2,3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밀도의 측정은 초음파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였고, 측정부위는 종골 (calcaneus)이었다. 세계보건기구의 기준 (1994)에 따라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을 진단하였다. 연령별로 층화하여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유병률을 확인하였고, 구미지역 여성과 다른 연구에서 조사된 타지역의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 유병률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유병률은 %로 기술하였다. 결과: 50세 미만의 여성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2% 미만이었으나 55세 이후에는 급증하기 시작하여 70세에는 50%에 가까운 유병률을 보였다. 타지역과 비교했을 때, 강원지역보다 구미지역의 여성은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낮은 편이며, 전북 정읍 지역의 여성에 비하여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높은 편이다. 그 외 다른 지역 (강화군 1개 읍, 춘천시 1개 읍, 충주시 3개 면, 서울시 중랑구 및 강서구)과 비교하였을 때 구미지역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낮은 편이었고, 2009년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비교하여 구미지역 여성의 유병률이 낮은 편이었다. 결론: 구미지역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55세 이후 급증하였다. 강원지역과 다른 지역 (강화군 1개 읍, 춘천시 1개 읍, 충주시 3개 면, 서울시 중랑구 및 강서구) 여성, 그리고 2009년 국민건강통계자료보다는 골다공증의 유병률이 낮았으나, 전북 정읍지역 여성보다는 유병률이 높았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women aged 20 years and older in Gumi province. Methods: We recruited a total of 2,347 women aged 20 years and older in Gumi province who visited the health care center in Soonchunhyang University Gumi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The bone mineral densities in the calcaneus were measured by an ultrasound bone densitometry. Osteoporosis and osteopenia were defi n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Age-specifi c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Gumi province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nd osteopenia from other provinces within Korea. The prevalence of each was described by %. Results: Age-specific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less than 2% in women younger than 50 years but it rapidly increased in those older than 55 years and up to about 50% in women older than 70 year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women in Gumi province was lower than that of Kangwon province. However, its results were higher than Jung-up province. In additio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women in Gumi province was lower than other provinces including: Gang-hwa, Chun-cheon, Chungju, Jungnang and Gangseo in Seoul,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Conclusion: The age-specifi c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women in Gumi province increased with ages, especially in those older than 55 years. Also,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women in Gumi province was lower than Kangwon and other provinces within Korea as stated by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However, its results were higher than Jung-up province.

      • KCI등재

        국내 골다공증 약제의 2009년 사용 현황

        상재홍 ( Jae Hong Sang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3

        연구목적: 골다공증은 여성에서 폐경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만성 질환이다. 급속히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국내의 상황을 고려할 때 골다공증의 치료 비용 또한 급격히 증가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2009년에 국내에서 판매된 골다공증 약제의 규모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골다공증 약제의 사용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9년 1년간의 Intercontinental Marketing Services (IMS) 자료를 근거로 하여 골다공증 약제의 판매액을 산출함으로써 골다공증 약제의 사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결 과: 2009년 판매된 호르몬과 칼슘제를 포함한 골다공증 약제의 총 판매액은 2,139억에 달하였다. 칼슘제는 총판 매액 269억에서 처방전이 필요 없는 일반약제가 99%를 차지하였으며, 호르몬은 356억의 판매액에서 에스트로겐 제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복합제제는 211억이고 tibolone 제제는 145억이었고 비호르몬약물에서 bisphosphonate의 판매 액은 1,296억, 비타민 D는 105억, raloxifene은 75억, calcitonin은 30억, parathyroid hormone은 1억의 판매액을 보였다. 골다공증 약제에서 호르몬의 비율은 16%, 비호르몬약물이 84%였고 그 중 제일 큰 부분은 bishphophonate 제제가 차지하였다. 결론: 국내에서 골다공증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는 bisphosphonate제제였으며, 그 중에서 alendronate제제가 52.2% 사용되었다. 2009년 국내에서의 골다공증 약제의 사용양상은 bisphosphonate의 사용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호르몬제제의 사용양이 뒤를 이었고 raloxifene 보다는 비타민 D 제제가 더 많이 사용되고 parathyroid hormone의 사용이 미미하였다. Objectives: Osteoporosis is the most common chronic skeletal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total sales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have rapidly increased in Korea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 rapid aging of our socie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trend in the use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in 2009. Methods: Data from the International Marketing Service (IMS) were used to analyze the sales of medications for osteoporosis. The total sales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wer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use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Results: The total market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including hormones and calcium was 213.9 billion Korea won (KRW). The proportion of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accounted for by hormones and calcium was 16% and 84%, respectively. The total consumption of calcium was 26.9 billion KRW and nearly all the sales were over-the-counter products. Total hormone consumption was 35.6 billion KRW, of which tibolone comprised 41%. Bisphosphonate consumption was 129.6 billion KRW; the proportion of bisphosphonates in non-hormonal medications was 85.6%, followed in order by vitamin D (6.9%), raloxifene (5.0%), and calcitonin (2.0%). Conclusion: The most commonly used anti-osteoporosis medications based on sales were bisphosphonates comprising 60.6% of the total sales, followed by hormones and vitamin D.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170-175)

      • KCI등재
      • KCI등재

        건강한 폐경여성에서의 과민성방광의 유병률에 대한 조사

        상재홍 ( Jae Hong Sang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과민성방광은 절박성 요실금 유무에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증상 군으로 보통 빈뇨와 야뇨를 동반하며 이런 증상을 야기할 수 있는 감염이나 다른 기저질환이 없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폐경여성에서의 과민성방광의 유병률 및 호르몬 치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중앙대학교병원 산부인과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내원한 환자중 45세 이상의 350명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빈뇨, 야뇨, 요절박, 절박성 요실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에 응한 폐경여성에서 과민성방광의 유병률은 14.3% 였다. 과민성방광이 절박성 요실금과 동반된 경우는 8.0% 였다. 과민성방광은 65세 이상의 고령이나 호르몬 치료의 유무에 대해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폐경기간에 따라서는 유의성 (odds ratio [OR] 3.45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22-8.377, P = 0.004)을 보였다. 또한, 과민성방광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보다 빈뇨 (OR 2.921, 95% CI 1.587-5.375, P = 0.001)와 야뇨 (OR 2.469, 95% CI 1.069-5.702, P = 0.037) 모두 더 많은 위험도를 보였다. 결론: 이번 조사결과는 저자들이 아는 한 국내에서는 최초로 폐경여성에서 과민성방광의 유병률에 대하여 조사한 연구이다. 고령이나 호르몬 치료는 과민성방광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호르몬 치료가 과민성방광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지 않다고 보여진다. 과민성방광의 유병률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폐경기간이 길수록 과민성방광의 위험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Objectives: Overactive bladder (OAB) is characterized by urinary urgency, usually accompanied with frequency and nocturia, with or without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in the abs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UTI) or other obvious patholog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AB and the effect of hormone therapy (HT) on the OAB prevalence in healthy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frequency, nocturia, urgency, and urgency incontinence were investigated by using questionnaire in 35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over 45 years old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November 2010 and February 2011. Results: In our study, the prevalence of OAB was 14.3% and OAB with urgency incontinence was present in 8.0% of the investigated participa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AB related to older age or the presence of HT, but signifi 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uration of menopause (odds ratio [OR] 3.451, 95% confi dence interval [CI] 1.422-8.377, P = 0.004). Higher risks for both frequency (OR 2.921, 95% CI 1.587-5.375, P = 0.001) and nocturia (OR 2.469, 95% CI 1.069-5.702, P = 0.037) were observed in OAB subjects compared to postmenopausal women without OAB. Conclus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Older age or HT did not affect the prevalence of OAB, and HT was not effective in treating the symptoms of OAB. However, the prevalence of OAB was increased with the age, duration of menopause.

      • KCI등재

        산욕기 체질량지수 및 복부지방률의 변화

        상재홍 ( Jae Hong Sang ),이은실 ( Eun Sil Lee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산욕기 동안의 체중 동태를 관찰함에 있어 전통적인 체질량지수와 더불어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복부지방률의 변화를 통하여 각 시기별 비만의 빈도 변화를 관찰하고 체질량지수와 복부지방률의 상관관계를 관찰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만삭에 단태아를 출산한 6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분만 다음날과 분만 1주째, 그리고 분만 6주째에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하는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복부지방률을 측정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는 분만 다음날 25.9±3.9 kg/m2, 분만 1주째 24.8±3.8 kg/m2, 분만 6주째 23.5±3.8 kg/m2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복부지방률은 분만 다음날이 0.843±0.058, 분만 1주째 0.850±0.054, 분만 6주째 0.849±0.056이었다. 과체중 (체질량지수 23-24.9)의 빈도는 분만 다음날 35%, 분만 1주째 25%, 분만 6주째 20%였으나 비만 (체질량지수 25 이상)은 분만 다음날 45%, 분만 1주째 38.3%, 분만 6주째 26.7%이었다. 남성형 비만 (복부지방율 0.85 이상)의 빈도는 분만 다음날 43.3%, 분만 1주째 43.3%, 분만 6주째 38.3% 이었으며, 이러한 남성형 비만을 예측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의 경계치는 분만 다음날이 >24.9 kg/m2, 분만 1주째가 >23.2 kg/m2, 분만 6주째가 >22.6 kg/m2로 나타났다. 결론: 산욕기 체중을 관리하는 데 있어 체질량지수와 더불어 복부지방률을 파악하여야 하며 한국여성에서의 분만 후 시기별 체질량지수 및 복부지방률 감소에 관한 기준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mass index (BMI) and abdominal fatness of women in postpartum period,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Methods: Sixty uncomplicated postpartum women were included. BMI and abdominal fatness using bioelectric impedance method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ults: Mean BMI was 25.9±3.9 kg/m2, 24.8±3.8 kg/m2, 23.5±3.8 kg/m2, and abdominal fatness was 0.843±0.058, 0.850±0.054, 0.849±0.056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overweight women (BMI 23-24.9 kg/m2) was 35%, 25%, 20%, and the incidence of obesity women (BMI≥25 kg/m2) was 45%, 38.3%, 26.7%, and the incidence of android obesity (abdominal fatness>0.85) was 43.3%, 43.3%, 38.3% at each three postpartum period. The cut-off values of BMI to predict android obesity was >24.9 kg/m2, >23.2 kg/m2, and >22.6 kg/m2 at postpartum one day, one week, and six week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hanges of postpartum body weight must be explored with abdominal fatness as well as BMI, and standard references for each postpartum periods are needed.

      • SCOPUSKCI등재

        정상 배란주기의 불임 여성에서 Clomiphene Citrate 단독 사용과 GnRH Antagonist 병합 요법의 임상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이우석,상재홍,김재준,김광준,김동호,이상훈,Lee, Woo Seok,Sang, Jae Hong,Kim, Jae Joon,Kim, Gwang June,Kim, Dong Ho,Lee, Sang Hun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3

        목 적: 본 연구는 인공 수정 시술에 있어서 정상 배란주기의 여성에서 clomiphene citrate와 GnRH antagonist를 병합하여 임선을 시도한 방법을 기존의 clomiphene citrate 단독으로 사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그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16명의 환자들 중 43명에게는 자연 배란주기를 이용하여 인공 수정 시술을 시행하였고, 38명과 35명에게 각각 clomiphene citrate 단독 요법과 clomiphene citrate와 GnRH antagonist 병합 요법으로 인공 수정 시술을 시행하여 그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각각의 군에서 기저 LH, FSH, $E_2$와 배란 유도를 위해 hCG를 투여하는 날의 FSH, $E_2$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병합 요법군에서 hCG를 투여한 날의 LH와 자궁 내막 두께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유의한 임신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자연 배란주기법군, clomiphene citrate 단독 요법 사용군에 비해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병합 요법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임신율의 향상을 나타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iency of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protocol comparing with the clomiphene citrate only protocol in infertile women with normal ovulatory cycles. Method: Among 116 patients, 43 were receive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using natural ovulatory cycle, 38 and 35 were received clomiphene citrate only protocol and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combined protocol, respectively,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In each group, basal levels of LH, FSH, $E_2$ and FSH, $E_2$ on hCG day injected were not different, but LH level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hCG injected da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pregnancy rat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group. Conclusion: The pregnancy rat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lomiphene citrate/GnRH antagonist group compared with natural ovulatory cycle and clomiphene citrate only group.

      • KCI등재

        Women`s Health Initiative 연구발표 전후 국내 호르몬 약제의 사용 변화: 2000~2009

        박형무 ( Hyoung Moo Park ),상재홍 ( Jae Hong Sang ),김정연 ( Jeong He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 (WHI) 발표 전후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의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사용의 변화와 WHI의 결과가 우리나라의 호르몬 요법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보였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폐경 후 호르몬 요법의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International Medical Service HEALTH 회사에서 발표된 약제 통계자료에 기초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판매된 호르몬 제제들에 대한 통계자료들은 2000년부터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폐경여성들의 호르몬 제제들의 사용은 연간 호르몬 제제들의 판매액으로 표시하였으며 총 호르몬 제제는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티볼론 제제들의 합으로 표시하였다. 호르몬 제제의 사용 변화를 알기 위해 전년 대비 성장률과 2000년을 기준으로 한 축적성장률을 산출하였다. WHI발표 이후의 사용 변화를 알기 해서 2002년부터 2009년까지 2002년을 기준으로 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2002년 WHI 발표 이후 우리나라의 총 호르몬 요법 사용은 2002년도의 511억에 비해 2006년에 39%의 감소를 보여 314억까지 감소하였다. 이후 조금씩 상승하여 2009년에는 356억이었다. 반면 티볼론의 사용은 WHI 이후 2년간은 감소하여 2002년 134억에 비해 2004년에는 100억으로 25.4% 감소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07년에는 134억으로 2002년의 사용량보다 증가하였고, 2009년에는 145억으로 2002년 대비 8.2% 증가하였다. 저용량 호르몬 제제 또한 WHI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2년 8억 대비 2009년에는 71억으로 787.5% 증가하였다. 결론: WHI의 발표 후 폐경 여성들의 호르몬 사용은 2002년에 비해 2003년에 23.9% 감소하였고 저용량 호르몬과 티볼론 사용이 확연히 증가하였다. 앞으로 우리나라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사용은 저용량의 호르몬과 티볼론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호르몬 요법을 시작할 때 환자의 병력, 신체검사를 통한 이득과 위험을 판단한 후 각 개인에 맞는 호르몬 요법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change of comsumption of hormone therapy (HT) before and after publication of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WHI) result in Korea from 2000 to 2009. Methods: Data from Intercontinental Marketing Services were used to analyze and ten years of hormone consumption from 2000 to 2009 was expressed in terms of hormone sales amount (Korean won, KRW, 1 dollar=1,100 won). Total hormone consisted of Estrogen (ET), Estrogen/Progestogen (EPT), and Tibolone. To identify changes in total hormone consumption, the cumulative growth rate was based on the sales in 2002. Results: After publication of WHI result in 2002, HT consumption had been continuously decreased by 39% from 51.1 billion (bn) KRW in 2002 to 31.4 bn KRW in 2006. From 2007 to 2009, HT consumption has been slightly increased to 3.56 bn KRW. The decreased consumption of HT is mainly due to decrease of ET/EPT comsumption by 49%. Tibolone consumption was decreased by 25% during next 2years after WHI publication, but thereafter gradually increased over pre-WHI publication level in 2009.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low dosage regimen was markedly increased from 3.5% in 2002 to 41.8% in 2009. Conclusion: The total hormone consumption was markedly decreased after WHI. Low dosage regimen consumption was increased, comprising 3.5~41.8% of total EPT consumption. Tibolone consumption was transiently decreased during 2 years after WHI publication, but thereafter increased gradually and reached over the level of pre-WHI publication in 2009. We expect that low-dosage regimen of HT and tibolone will be more widely used. An individual-based treatment approach is essential in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initiating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치료에 따른 골밀도 변화의 상호관계

        정수호 ( Soo Ho Chung ),김태희 ( Tae Hee Kim ),이해혁 ( Hae Hyeog Lee ),박준식 ( Jun Sik Park ),상재홍 ( Jae Hong Sang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치료의 종류에 따른 골 밀도의 변화와 호르몬 치료기간에 따른 골 밀도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일개 대학병원에서 호르몬 치료를 시행하는 폐경기 여성 291명을 대상으로 골 밀도 검사와 추적 골 밀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호르몬의 종류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호르몬의 종류에 따른 골 밀도의 향상과의 연관성은 P = 0.956로 통계학적인 연관성은 없었으며, 호르몬 치료 기간과 골 밀도 향상과의 연관성 또한, P = 0.483로 통계학적으로는 의미는 없었다. 하지만, 처음부터 골다공증이 있어 호르몬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는 골 밀도의 향상이 통계적인 의의를 나타냈다 (P = 0.001). 결론: 본 연구에서 호르몬 종류에 따른 치료와 호르몬 치료 기간과 골 밀도 향상과는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으나, 대상이 한 지역에 국한되어 있고, 표본수가 너무 적어, 보다 많은 표본의 후향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hormone therapy (HT) and its dur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n 291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their BMD and follow-up BMD measured in a university hospital. We analyzed BMD, HT types and HT duration according to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53.7 ± 5.9 years. HT types and HT duration were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improvement in BMD (P = 0.956, 0.483). But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hormone therapy improves bone mineral dens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1). Conclusion: HT types and HT duration did not have any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but furthe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ies regarding HT should be considered for osteoporosis.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101-1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