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의 분배행동의 내·외집단 간 차이와 억제통제 및 지능의 영향

        변혜원(Hye-Weon Byun),성지현(Jihyun Su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ve behavior in preschoolers, influence of inhibitory control and intelligence on the distributive behavior, and associations between them.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one-on-one interview experiment with 328 children aged 3–5 years old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 distributive behavior was measured by modifying the procedure of the dictator game.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inhibitory control (IC) were assessed using the day-night task and the reverse compensation task respectively. The intelligence was assessed using the K-WPPSI short form test. Pearsons correlation, paired samples t -test, one-way ANOVA, McNemar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boys in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in-group vs. outgroup). That is, boys aged four and five gave more resources to classmates rather than anonymous children. Second, cognitive IC and performance intelligence were associated with distributive behavior towards anonymous children. However, only performance intelligence was related to the children’s distributive behavior towards their classmates. Lastly, performance intelligence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C and distributive behavior towards anonymous children. Conclusion: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ognitive IC and thinking skills necessary for performance intelligence were related to distributive behavior towards outgroup. In particular, boys aged four and five tended to consider more social relations in distributive behavior. This may be useful information for teaching altruism and sharing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부모의 놀이성

        변혜원(Byun, Hye-Weon),오한나(Oh, Han-Na),정미라(Chung, Mi-R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의 교사 83명, 유아-부모(아버지, 어머니) 약 450여 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놀이성의 영향은 교사의 놀이성이 부모의 놀이성보다 더 큰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성 요인 중 교사의 재미탐닉, 비억제적 놀이성향과 어머니의 재미탐닉은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이 긍정적이 되도록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놀이성 요인 중 부모와 교사의 즉흥성은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놀이를 지도하고 개입하는 성인의 놀이성향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내적동기가 높고, 자유로운 성향이면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이 긍정적이 되도록 돕는다. 반면 계획적이지 않고 비일관적인 성인의 반응이나 지도는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초로 교사와 부모의 유아 놀이지도 및 놀이 양육행동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layfulness of teachers and parents is related to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The subjects were 83 teachers and about 450 pairs of child-parents (father and mother) of 3-5 year-old children in Gyeonggi-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poi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layfulness was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as a predictor variable for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than parental playfulness.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s fun-seeking motivation, uninhibitedness play trait, and mother’s fun-seeking motivation exert a positive influence to the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Third, factors of spontaneity in playfulness ha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ults’ play trait to guide and intervene in the play of child helps child’s peer play behavior to be positive when the adults’ intrinsic motivation to pursue the fun, and to play with a liberated tendency, are high.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non-intentional and inconsistent adult reponses or guidance negatively affect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These findings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er’s play instru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 KCI등재

        유아의 억제통제, 기질 및 교수적 상호작용이 또래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변혜원 ( Byun Hye Weon ),성지현 ( Sung Jih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억제통제, 기질 및 교수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주도성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충북에 위치한 5개 유치원과 4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328명, 담임교사 31명(31개 학급)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과 HLM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또래주도성이 높은 유아는 친화적, 비친화적 성향과는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외향적 기질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화적 또래주도성을 나타내는 유아는 인지적 억제통제 능력이 높았고, 비친화적 또래주도성은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유아의 친화적 또래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지원, 학급 운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의적 억제통제가 친화적 또래주도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정서적 지원, 학급 운영관련 상호작용이 높으면 정의적 억제통제가 낮은 유아들에게 더 의미있는 영향을 주어 유아가 친화적 또래주도성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놀이 안에서 유아가 친화적으로 주도하는 역할을 경험하고 관련 기술들을 배우도록 지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유아의 개별적 특성들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inhibitory control, temperament, and teaching interaction on peer initiative. The participants were 328 children aged 3 to 5 years and 31 of their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HLM 7.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nfluence of personal traits on friendly peer initiative appeared in cool inhibitory control, extraversion, and hot inhibitory control, respectively in order. Unfriendly peer initiative was related only to extraversion. Second, children with high peer initiative showed strong outward temperament irrespective of their friendly and unfriendly tendencies. Further, friendly peer initiative was related to cool inhibitory control, while unfriendly peer initiative was related to negative affection. Third, teacher’s emotion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friendly peer initiative. Fourth,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lassroom organization were found to affect friendly peer initiative according to the child’s level of inhibitory control. Higher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lassroom organiz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children with lower levels of hot inhibitory control. Thus, there was a tendency for these children to demonstrate friendly peer initiative.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관계에서 유아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변혜원(Byun, Hye-Weon),김민정(Kim, Min-Jeong),이미나(Lee, Mi-N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관계와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 201명, 유아의 어머니 201명, 유아의 교사 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a,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의 의도적 통제, 공감능력, 교사-유아 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둘째, 만 5세 유아의 의도적 통제, 공감능력은 교사-유아 관계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남아는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여아는 의도적 통제만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감능력은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유아의 개인적 특성 변인인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교사-유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인 의도적 통제와 공감능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bility of child is 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83 teachers and 201 children, 201 mothers of 5 year-old children in Gyeonggi-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poi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ort control, empathy ability, and teacher - child relationship of 5 - year - ol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cond,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of 5 - year - old children were highly related to teacher - chil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bility, the more positiv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ird, The empathy ability of child was found to control effortful control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bility which a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re the main variables.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bility which we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hild affect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발달 수준 및 공감 능력과의 관계 탐색

        성지현 ( Jihyun Sung ),변혜원 ( Hye Weon Byun ),남지해 ( Ji Hae Na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start time and frequency of use of smart devices and preschoolers’ developmental level and empathy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developmental level and empathy depending on parents’ media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0 mothers of three-to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day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in Seoul and Kyung-gi-do. The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for demographic backgrounds, media usage, and K-CDI (2nd) and the Empathy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s, and Mann-Whitney U tes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began to use smart devices from 2-3 years old and used them 1-2 times a week. Second, the start time of the use of smart devices was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elf-help behavior, fine motor skills, language, and over all developmental level. The frequency of use of smart devices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elf-behavior and fine motor skills.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 frequency and empathy and between use frequency and attention to other’s feelings as a subscale of empathy were significantly negative. Third, depending on parents’ intervention in their children’s media us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and language understanding development. Depending on parents’ intervention in program 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evelopment, language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mpathy, especially attention to others’ feelings. These findings provided developmental tendency between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preschoolers’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appropriate standards and guidance on the use of smart devices for the preschool period.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노출 시기 및 사용 빈도가 유아의 발달 수준 및 공감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자녀의 미디어 매체 이용에 대한 부모의 개입에 따라 유아의 발달수준 및 공감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4,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유아의 미디어 매체 이용 실태 조사지, K-CDI(2nd) 아동발달검사, 유아공감능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Mann-Whitney U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만 2세-3세부터 사용하기 시작하며, 사용 빈도는 주1-2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사용 시작 시기가 늦을수록, 유아의 자조행동, 소근육 운동, 글자 및 전체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 빈도는 자조행동, 소근육 운동과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 사용 빈도는 공감, 그중 타인의 감정에 대한 주의와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셋째. 매체 이용 시, 부모의 시간제한 개입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언어이해 발달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프로그램 이용 개입에 따라 사회성 발달, 언어이해 발달, 유아 공감 능력 중 타인의 감정에 주목하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시기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발달적 영향 및 올바른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규준과 안내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였다.

      • KCI등재

        3개월 영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오한나 ( Oh Han Na ),변혜원 ( Byun Hye Weon ),이희연 ( Yi Hee Y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개월 영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개월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 80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과 AMOS 23을 이용하여 3개월 영아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모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3개월 영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3개월 영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양육 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3개월 영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양육협력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로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3 month old infant’s mother. The subjects were 802 mothers of 3 month old infa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 and AMOS 23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llianc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mother with 3-month-old infant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llianc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3- month-old infant mothe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3-month-old infant mother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ing efficacy can mediate parenting stress in relation to parent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3-month-old infant mot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reduce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또래 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사 - 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오한나 ( Han Na Oh ),변혜원 ( Byun Hye Weon ),정미라 ( Chung Mi R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또래 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의 공·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405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유아의 의도적 통제, 교사-유아 관계, 또래 놀이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 교사-유아 관계는 또래 놀이행동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또래 놀이행동에 유아의 의도적 통제 하위요소 중 억제조절, 미소와 웃음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관계 하위요소 중 갈등과 의존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또래 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핀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또래 놀이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effortful control and peer play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5 children aged 3-5 yea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 area.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was used for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ffortful control of childr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play behavio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factor. In addition, effortful control of the 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peer play behavior. Especially, it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inhibitory control, smiling and laughter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sub-factors in peer play behavior, and also on conflict and dependency among teachers-child relationship sub-factor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effortful control and peer play behavior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develop child’s effortful control and peer play behavior.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연(Hee-Yeon Yi),변혜원(Hye-Weon Byun),강수경(Su-Kyo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기질 요인 중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 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해 양육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여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의 부모 45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 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양육 효능감을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더라도,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노력을 통해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ernalization problem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0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Kyonggi -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internalizing problems of the preschool children, but it can alleviate all of th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the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other s temperament negatively influences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but the intervention plan should be sought because the problem behavior can be prevented through effort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아동 놀이성향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지현(Jihyun Sung),변혜원(Hye-weon Byun),남지해(Ji-hae Na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 양식 및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 놀이성향 척도(CPD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으로, 만 5-7세 아동(월령 범위 51~106개월)의 부모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다중지능이론과 관련 척도를 검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를 통해 문항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확인받은 뒤, 문항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6요인의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6요인은 각각 주도성, 언어성, 탐구성, 예술성, 운동성, 감수성이다.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CPDS의 각 요인과 유아용/초등용 다중 지능 체크리스트의 하위 요인 및 총점간의 관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CPDS 각 요인의 신뢰도 범위는 .53∼.79이다. 본 척도는 아동의 발달적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아동 발달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아동의 놀이 콘텐츠 제공과 놀이방법 등을 적절하게 지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hildren’s Play Disposition Scale(CPDS) which could be used to evaluate children’s play patterns and pre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437 5-7-year-old children (age range from 51months to 106month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scales, confirmation of item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After the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perts, these items were edited down to a final list of 27 items representing 6 factors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6 factors of the scale consists of initiative, linguistic activity, logical-mathematical activity, art and craft, physical activity, and sensitivity respectively. Concurr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each factor of the CPDS and sub-factors and the total scores of Multiple Intelligence Checklist for preschoolers (Multiple Intelligence Institute Co., Ltd, 2008) and Multiple Intelligence Checklist for elementary schoolers (Multiple Intelligence Institute Co., Ltd, 2007).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as measured by Cronbach’s α, ranged from .53 to .79. The CPDS provides the developmental and educational information for strengthening childrens developmental forte and for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al weakness. This scale can be used on developing childrens play contents and guiding play method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 개발 연구

        김명순(Myoung Soon Kim),변혜원(Hye Weon Byun),김길숙(Gil Sook Kim)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life habit scale for infant early childh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000 parents of childre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old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the study mad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for SES variables, item-analysis,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and Cronbach`s a for reliability. Most items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tem response rates, and item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uncovered six factors, and 46 item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69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six factors were (1)safety and rules (2)neatness (3)manners (4)self-help (5)eating habits (6)cleanliness. Cronbach`s a value for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ranged from .76 to .9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