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이용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관련 변인 탐색

        선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919

        21세기 지식정보화 및 고도의 과학기술사회를 맞이하면서 수학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은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발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학적 성향은 많은 인간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에 모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수학적 성향은 유아의 개인내 발달 특성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나 가정의 수학교육환경, 유아교육기관에서 만나는 교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이용하여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유아수준 변인인 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과 교사수준 변인인 교사의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의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대한 주 효과 및 두 수준의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수준 변인(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은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갖는가? 2. 교사수준 변인(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은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갖는가? 3. 유아수준 변인(성별, 월령, 수학지식,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가정수학교육환경)과 교사수준 변인(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공·사립 유치원 만 5세반 학급의 유아 246명과 이들의 어머니 246명, 그리고 담임교사 23명이다. 연구 도구를 살펴보면, 종속 변인인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윤세은(2011)이 개발한 수학적 성향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수준 독립 변인 중 수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황해익과 최혜진(2007)이 개발한 유아 그림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Smith(2000)가 개발한 수학적 태도 측정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어머니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가정수학교육환경은 강상(2012)이 개발하고 최보미(201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수준 독립 변인 중 교사의 수학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mith(2000)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홍희주(2012)가 개발한 도구를, 수학교수효능감은 Luo(2000)가 개발하고 정정희(2001)가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초 모형 분석을 통해 유아들의 수학적 성향이 학급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뒤, 연구 모형 1 분석을 통해 유아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연구 모형 2 분석을 통해 교사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고, 연구 모형 3 분석을 통해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 관련 유아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면, 월령과 수학지식만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주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령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 전체와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흥미성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지식은 수학적 성향 전체와 하위 구성요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학적 성향 관련 교사수준 변인의 주 효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중 융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통성을 제외한 다른 하위 구성요소와 수학적 성향 전체에서는 교사의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학적 성향 관련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성별과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간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의 수학지식과 교사의 수학적 태도 간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중 자기점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유아의 수학적 성향 전체와 하위 구성요소는 유아가 가지고 있는 개인 변인의 차이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융통성과 자기점검과 같은 일부 하위 구성요소는 교사수준 변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유아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진해 인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국문초록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변 진 해 인제대학교 대학원 가족소비자학과 최근에 가족학자들은 건강한 가족의 제 특성을 밝히고자 많은 연구들을 활발하게 수행해왔다. 그러나, 가족건강성이 개인의 자아존중감 및 생활의 질에 미치는 주제를 함께 다룬 연구는 다소 미흡한 편이며, 특히 가족의 건강성을 구성하는 제 하위영역가운데 어떤 측면이 청소년의 삶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이 있는가를 고찰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생활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등학생 1~2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 및 백분율, 평균,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의 다중범위 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의 전반적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총체적 가족건강성의 전반적 경향은 5점 만점에 3.52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볼 때, 가족원 존중, 문제해결능력, 가족 유대감, 긍정적 의사소통, 감사와 애정표현, 가치관/목표 공유의 순으로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 종교, 경제수준, 가족형태, 4개의 배경변인에 따른 결과는, 청소년의 성은 하위영역 가운데 ‘가족 유대감’에서, 주관적 경제수준은 총체적 가족건강성과 6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가족형태는 총체적 가족건강성과 하위영역 가운데 ‘가족 유대감’과 ‘긍정적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2.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의 전반적 경향과 관련변인에 따른 차이와 자아존중 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전반적 경향은 5점 만점에 평균 3.43점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보통’보다는 다소 높게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은 조사된 4개 변인가운데 주관적 경제수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총체적 가족건강성 및 6개의 하위영역별 가족건강성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가장 큰 변인은 총체적 가족건강성이었고, 그 다음이 주관적 경제수준2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18.9%였다. 또한, 가족건강성의 6개 하위영역들 모두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서도 ‘가족원 존중’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의 전반적 경향과 관련변인에 따른 차이 첫째,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의 전반적 경향은 생활만족도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95점, 청소년의 긍정적 정서는 3.54점, 부정적 정서는 2.4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는 4개의 배경변인 가운데 주관적 경제수준과 성별에서, 긍정적 정서는 가족형태와 성별에서, 부정적 정서는 주관적 경제수준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은 총체적 가족건강성과 6개의 하위영역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 첫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총체적 가족건강성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아존중감, 성별이었으며, 이들 3개 변인의 설명력은 32.8%였다. 가족건강성 제 하위영역 가운데선 ‘가족원 존중’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총체적 가족건강성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아존중감, 주관적 경제수준2, 가족형태였으며, 이들 4개 변인의 설명력은 37.6%였다. 가족건강성 제 하위영역 가운데선 ‘문제해결능력’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이었으며, 그 다음이 성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2개 변인의 설명력은 14.8%이었다. 가족건강성 제 하위영역 가운데선 ‘긍정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의 두 요소만이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가족건강성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 되었다. 특히, 가족건강성 제 하위요인 가운데 ‘가족원 존중’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문제해결능력’은 청소년의 정서적 안녕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청소년,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 (생활만족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연구

        강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고자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의미있는 요인들을 산출하여 조사하였다. 산출된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변인 그리고 사회적 지지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조사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와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ker&Siryk(1984)가 개발한 척도를 현진원(199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충청북도 충주에 있는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477명을 조사연구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평균 및 표준편차에 의한 배경변인별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또한 인구사회학 배경, 지방캠퍼스 대학생활, 사회적 지지를 투입변인으로 하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은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여학생이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에 맞춰 여학생의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거주형태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통학을 하는 학생보다 기숙사나 자취, 하숙을 하는 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결과는 상대적으로 통학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도가 낮다는 것을 뜻하며, 통학에 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통학생들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낮은 적응도를 나타낸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통학생이 안전하고 편리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동아리 활동 경험의 여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이 하지 않는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아리 활동의 경험이 있는 학생이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이러한 동아리 활동 경험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지지영역 중 교수 지지에 대하여 대학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의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면에서도 높은 적응도를 나타냈다. 지방캠퍼스 대학생들에게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어 대학생활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paper has aimed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adapt themselves to campus life and the influence factors and secure useful data to lead them to a right direction. For this, theoretical background has been describ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on how college students from local campus fit in the campus life. To find out the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furthermore, significant factors that were estimat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have been examined. The calculated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ocial-demographic variable, local campus-life variable and social support variable. For survey, social support scale and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were used. In terms of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one developed by Ji-WonPark(1985)inhisstudy‘Work for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has been used. In terms of the campus life adaptation scale, on the contrary, the scale developed by Baker&Siryk (1984) and adapted by Jin-Won Hyeon (1992) was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477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Chungju, Chungcheong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Ver. 12.0). To investigate cognitiv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by background variable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F-test have been perform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investigate the campus life adaptation which take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local campus life and social support as input variables, on the contrar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better than female student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Specifically, male students were excellent in social adaptation,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which in turn means that female students are relatively poor at adapting themselves to campus life. Therefore, it’s necessary to improve femal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Secon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observed in terms of type of housing. According to the survey, students who live in a school dormitory or a studio apartment or in lodgings near the school were much better than those who commute to campus in terms of adaptation to campus life, which in turn means that those who commute are not good at fitting in campus life. In fact, commuting students showed a poor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s necessary to elaborate a plan to help commuting students enjoy a safe and comfortable campus life. Third,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ampus life was also observed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club activities. Those who had club activities were excellent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n’t. In sum, it’s necessary to facilitate club activities. Fourth, it has turned out that faculty support had a great impact on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in the category of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students with a professor’s support showed high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campus environment.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students’ adaptation to campus life.

      •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이 비만 대학생의 렙틴, 면역글로불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변정은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87

        본 연구는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이 비만 대학생의 렙틴, 면역글로불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비만에 의한 감염 및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태권도 수련 경험이 없는 20대 비만 대학생 총 2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들은 운동군(N=12)과 통제군(N=12)으로 분류하였으며, 운동군은 1일 70분씩, 주 3회,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0주) 및 사후(12주) 총 2회의 걸쳐 수집된 자료는 이원변량분석{Two-way(2×2) RG(Randomized Group) ‧ RM(Repeated Measures) ANOVA}을 이용하여 각 집단과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고,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할 경우 사후검증(Bonferroni)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첫째,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신체조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제지방량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혈액 변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렙틴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넷째,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면역글로불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면역글로불린 M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면역글로불린 G, 면역글로불린 A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다섯째,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 실시 전 ·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감도 C-반응성단백, 인터루킨-6, 종양괴사인자-α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12주간 태권도 프로그램은 체지방 감소와 함께 혈액 변인, 렙틴, 면역글로불린,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비만에 의한 감염 및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데 이점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how 12 weeks Taekwondo program affects on leptin, immunoglobulin and inflammatory cytokine of obese college student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we could seek effective work-out programs and lead obesity people from preventing obesity infection and disease. The participants were 24 obes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The obese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ercise group or control group. For analysing the data, we use Two-way ANOVA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were set α=.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and lean body mass in the body composition.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fat. Second, we could spo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ptin. Fourth, it indicat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unoglobulin M.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mmunoglobulin G and immunoglobulin A. Fifth, we ver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in the inflammatory cytokine. All things considered, it can clarify that the Taekwondo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and improving obesity and disease of obese.

      • 초등학교 남학생의 BMI 수준에 따른 체력, 혈중 지질변인 농도 및 인슐린저항성 비교

        자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87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학생 1∼6학년을 대상으로 BMI 수준에 따른 신체구성, 체력 및 혈중 지질변인 농도와 인슐린저항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의 BMI를 체중/신장2(㎏/㎡)의 공식으로 산출하여 Low BMI그룹(BMI≤17.39), Mod BMI그룹(17.40≤BMI≤20.29), High BMI그룹(BMI≥20.30)으로 분류하였다. BMI 수준에 따른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변인 및 인슐린저항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 비교에서 체지방률, WHR, 제지방량, 피하지방 두께, 신체둘레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Mod BMI그룹은 Low BMI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으며, High BMI그룹은 Low BMI그룹과 Mod BMI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2) 혈중 지질변인 농도 비교에서는 High BMI그룹이 Low BMI그룹과 Mod BMI그룹에 비해 HDL-C가 유의하게(p<0.05) 낮게 나타났으며, TG는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TC와 LDL-C는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High BMI그룹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3) 혈중 변인 중 글루코스, 인슐린, HOMA는 High BMI그룹이 Low BMI그룹과 Mod BMI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났다. 4) 체력지표에서는 체중당 악력 및 배근력에서 High BMI그룹이 Low BMI그룹과 Mod BMI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5) 낮게 나타났으며, 제자리 멀리뛰기는 Mod BMI그룹이 Low BMI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다. 윗몸일으키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MI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BMI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부분의 항목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구성 및 혈중 변인은 BMI가 낮을수록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체력 지표도 일부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BMI 수준에 따른 특성 뿐 아니라 비만아동의 기준점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of elementary school boys(1∼6grad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level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Low BMI group; BMI≤17.39, Mod BMI group; 17.40≤BMI≤20.29, High BMI group; BMI≥20.30) according to BMI levels. 1) Body composition items(% body fat, WHR(waist hip ratio), lean body mass, skinfold thickness, and body circumference) of Mod BMI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Low BMI group, and these items of High BMI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Low and Mod BMI group. 2) HDL-C of High BMI group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Mod BMI group and Low BMI group, and TG of High BMI grou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Mod BMI group and Low BMI group. Although TC and LDL-C were not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High BMI group showed a lower tendency. 3) Glucose, Insulin and HOMA of High BMI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Low BMI group and Mod BMI group. 4) Grip and back muscle strength per body weight of High BMI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Low BMI group and Mod BMI group, and a standing long jump of Mod BMI group was significantly(p<0.01) higher than Low BMI group. Although sit up was not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Sit up showed a higher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ed BMI. Although trunk flexion forward was not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trunk flexion forward showed a lower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ed BMI. Body composition and blood variables showed decreased tendency according to decreased BMI, and physical fitness also showed increased tendency according to decreased BMI. We need more additional study for presentation of obesity criteria and a characteristic of obese child according BMI levels.

      • 경학관을 통해 본 정조의 정치철학과 그 실천

        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8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ing Jeongjo's transformation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concept of kingship of King Jeongjo(正祖, 1752-1800, reign 1776-1800),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 who ascended to the throne by the choice of King Yeongjo(英祖, 1694-1776, reign 1724-1776) in the midst of political adverse conditions such as the abdication of his father, who was a crown prince, strived more than anyone els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his throne and rule. At the same tim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olitical factions of the Joseon court, which were divided into Noron(老論), Soron(少論), and Namin(南人), was also a political challenge that he had to solve. Under these conditions, King Jeongjo sought to justify his kingship based on the cosmological discussions in the texts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 Book of Documents(書經)』 and 「Great Plan(洪範)」, which contain the ideology of kingship, and utilize them in concrete political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analyze King Jeongjo's understanding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Neo-Confucian reinterpretation, which constitutes the foundation, not the political meaning or effectiveness of his institutional reforms or state management policies. Until now, King Jeongjo and his governing process have been the focus of several studies.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predominantly emphasized the political aspects of King Jeongjo, neglecting his role as a scholar. In other words, the aspect of King Jeongjo 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sought to justify kingship from a Neo-Confucian perspective and reflect it in his rule through his own research and interpretation, has not received significant recognition. Consequently, prior studies on King Jeongjo have been primarily attempted from historical or political science perspectives, with relatively few focusing on philosophical aspects. Among the existing studies, there have been analyses of King Jeongjo's concept of kingship, but the application of this concept in practical political contexts has been infrequ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onnect the logic and practice by examining King Jeongjo's political philosophy and ideology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With a distinct perspective from historical and political studies, the analysis is rooted in King Jeongjo's understanding and transformation of Confucian classics, aiming to examine his thought and practice as a Neo-Confucianist. In political philosophy, kingship is one of the key concepts that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a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state. The ideological justification of kingship is linked to the fact that the political behavior of kings in Joseon has always been tied to fundamental dimensions like Heavenly principle(天理), which represents the ultimate principles. However, attributing such principles not only to the king's position but also to the personal character of the king is a distinctive feature of King Jeongjo, setting him apart from other kings in the Joseon Dynasty. Faced with challenges in gaining legitimacy during the succession process, King Jeongjo actively utilized the concept of ‘Hwanggeuk(皇極)’ from 「Great Plan」 to elevate his kingship to a fundamental position. In addition, King Jeongjo's interpretation of the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which has been interpreted only as a document related to state governance, adds a theory of monarch's cultivation theory to the 「Great Plan」 to form King Jeongjo's unique theory of kingship.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clarifying how King Jeongjo interpreted the concept of the Hwanggeuk and how he intended to transform this interpretation into policy based on his veiw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Before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King Jeongjo's kingship ideology and its implication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concept of kingship in Confucian by comparing the perspectives on kingship in both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Based on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East Asian concept of kingship rooted in the Mandate of Heaven(天命),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inctiveness of King Jeongjo's understanding of kingship.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King Jeongjo's theory of Kingship from various angles and identify the distinctiveness of hi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kingship. Furtherm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ncept of ‘Hwanggeuk’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King Jeongjo's understanding of kingship. It will compare Hwanggeuk as the standard for Neo-Confucian kingship with Zhu Xi's perspective on Hwanggeuk.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it will be confirmed that although King Jeongjo sought to defend Zhu Xi's theory as orthodoxy(正學), he did not simply accept it, but critically transformed it according to his own circumstances and orientation. King Jeongjo adapted the existing concept of the Hwanggeuk to suit his circumstances and the contemporary political environment. This can be discerned through the 「Chaengmun(策問)」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essays, 『Collected Works of King Jeongjo(弘齋全書)』, dialogues from lectures with his officials, and personal writings like 「Manchunmyungwoljuinongjasu(萬川明月主人翁自序)」. Above all, he not only transformed the cosmological concept of Hwanggeuk into a political context to strengthen kingship but also extended it to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King Jeongjo's modified theory of kingship is accompani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Mean』, which is considered to encompass both the ‘sangdal(上達)’ and ‘hahak(下學)’. This allows u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King Jeongjo's cosmological conception from a discussion of Heavenly principle to matter of human affairs(人事). During King Jeongjo's reign, his Kingship and its ideologies were actively reflected in the political career.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specific cases of how King Jeongjo's Confucian understanding, centered aroun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he concept of Kingship, which were examined before, was concretely implemented in the governance of the state. In an era of diverse cultural conflicts and changes, King Jeongjo demonstrated a commitment to preserving Learning of Master Zhu(朱子學), while accepting new studies and rejecting studies that posed a threat to Learning of Master Zhu. Alongside his scholarly perspective, King Jeongjo exhibited a political will to realize the Confucian concept of Kingship, Minbon Ideology(民本). Grounded in the principles, he sought to establish a robust Kingship that would maximally benefit the lives of the people.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King Jeongjo's political theory and analyze his political practices based on these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aims to philosophically analyze King Jeongjo and demonstrate how his philosophy extends from political theory to actual political implement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eeks to reconfirm the appearance of King Jeongjo not merely as a politician but as a Neo-Confucian scholar. 이 연구는 조선 22대 왕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의 왕권 개념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그에 대한 정조의 변용과 실질적 구현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자였던 부친의 폐위 등 정치적인 악조건 속에서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의 선택을 받아 왕위에 오른 정조는 누구보다 보위와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 왕이었다. 동시에 당시 노론, 소론, 남인 등으로 갈려있던 조정의 정치적 파벌들의 대결 역시 정조가 해결해야만 했던 정치적 과제였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정조는 유학에서 왕권 이념의 토대로 여겨져 온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보이는 우주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자신이 처한 정치적 상황 안에서 스스로 왕권을 정당화하고 이를 구체적인 정치적 상황에서 활용하고자 했다. 이에 이 연구는 정조의 제도 개혁이나 국가 운영 정책의 정치적 의미나 효과가 아니라 그 근본을 이루는 경학에 대한 정조의 이해와 성리학적 재해석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정조와 정조의 통치 과정은 여러 연구에 의해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정치가로서의 정조에 초점을 맞추어 왔고 유학자로서의 면모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자신의 연구와 해석을 통해 성리학적 관점에서 왕권을 정당화하고 이를 통치에 반영하고자 한 ‘성리학자 정조’의 면모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다. 따라서 정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역사학이나 정치학의 관점에서 시도되었고 철학적 관점에서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 선행연구 가운데 정조의 왕권 개념을 다루는 연구도 발표되었으나 이를 실질적인 정치적 맥락에 적용한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정조의 정치철학적 이론과 이념을 검토함으로써 그 논리와 실천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학이나 정치학 연구와 다른 관점에서 경학에 관한 정조의 이해와 변용을 바탕으로, 성리학자로서의 정조의 사상과 그 실천을 분석하고자 한다. 정치철학에서 왕권은 국가의 기본적인 토대로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던 핵심 개념 중 하나다. 왕권의 이념적 정당화는 조선에서 왕의 정치적 행위가 언제나 천리(天理)와 같은 근원적인 차원과 결부되어 왔다는 점과 연관된다. 그러나 그러한 천리를 왕의 지위뿐만 아니라 왕 개인의 인격에 부여하는 것은 조선의 다른 왕과 차별화되는 정조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왕위 계승 과정에서 정통성을 인정받기 어려웠던 정조는 「홍범」의 ‘황극(皇極)’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왕권을 근원적인 위치로 격상시켰다. 이와 더불어 『중용(中庸)』에 대한 정조의 해석은 국가의 구성과 운영의 전거로 활용되어 온 「홍범」에 군주로서의 수양론을 더해 정조 자신만의 왕권 이론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논문은 정조의 경학관을 토대로 정조가 황극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이 해석을 어떻게 변용하여 정책에 실현하고자 하는지 규명하는 데 초점이 있다. 정조의 왕권 이념의 변용과 그 함의를 분석하기에 앞서 우선 유학의 왕권 개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동서양의 왕권 개념을 비교할 것이다. 천명에 근거한 동아시아 왕권 개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정조의 왕권 이해의 차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정조의 왕권 이론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한편 왕권에 대한 정조의 성리학적 해석의 변별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정조의 왕권 이해의 핵을 이루는 ‘황극’ 개념에 주목하여 황극을 성리학적 왕권 개념의 표준으로 세운 주희의 황극관과 정조를 비교할 것이다. 이 비교의 과정을 통해 정조가 주희의 이론을 정학(正學)으로 수호하고자 했음에도 이를 묵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상황과 지향에 따라 비판적으로 변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정조는 기존에 사용되어 온 황극 개념을 자신의 상황과 당시 정세에 맞춰 활용한다. 이는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 내에 수록된 여러 「책문(策問)」, 신하들과의 강연 때의 대화 자료들, 「만천명월주인옹자서(萬川明月主人翁自序)」 등의 개인적인 글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는 우주론적인 황극 개념을 정치적인 맥락으로 전환해 왕권을 강화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군주의 수양론까지 나아간다. 그렇게 변용된 정조의 왕권 이론은 ‘상달(上達)’과 ‘하학(下學)’을 아우른다고 여겨지는 『중용(中庸)』에 대한 이해와 함께 나타난다. 이를 통해 천리(天理)와 관련된 논의에서 인사(人事)의 문제로 전향되는 정조의 우주론적 개념의 변용 과정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조의 왕권과 그 이념은 정조의 재위 기간 동안 그의 정치 현장에 실제로 반영된다. 따라서 이전까지 살펴본 유학의 왕권 개념과 그 왕권 개념을 중심으로 한 정조의 경학적 이해들이 그가 국정을 운영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 사례들을 분석할 것이다. 정조는 다양한 문화적 충돌과 변화의 시대에 새로운 학문을 수용하면서도 정학(正學)이라 여긴 주희의 성리학에 해가 되는 학문은 배척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그의 학문관과 더불어 정치적으로는 유학적 왕권 개념인 민본사상을 실현하려는 의지를 볼 수 있다.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국왕이 스스로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여 백성들의 삶에 최대한의 도움을 주고자 했던 그 정치적 실천까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핵심은 정조의 정치 이론에 대한 전거를 철학적 관점에서 찾아보고 이를 토대로 한 정조의 정치적 실천까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정조에 대해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철학이 정치 이론으로부터 실제 정치적 실행까지 아우른다는 것을 밝힌다. 이로써 정치가 정조가 아닌 성리학자 정조의 모습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와 일반학생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조사 연구

        변정은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의 스포츠 참여에서 얻어지는 일반적인 견해를 밝히고 선수와 일반학생들간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며, 그 내용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긍정적 정신건강·부정적 정신건강의 변인들을 규명하여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들의 선수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과정의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원활한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 110명과 일반학생 253명을 비임의 표집방법 중 편의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총 363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박형준(1999)이 사용한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안한 기초배경 질문지를 사용하고 정신건강에 관한 질문은 Rosenberg(1965)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의 Rosenberg Scale에서 추출한 질문지로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와 Derogatis등(1973)이 만든 System Check List(SCL-90)를 이훈구(1992)가 요인 분석하여 제작한 간이정신 진단검사의 부정적 정신건강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자기 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작성하였으며, 질문지 작성 후 자료처리는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제외시키고 유효한 자료만을 입력하여 SAS(windows. ver. 8.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t-검증,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유의한 결과에 대해서는 사후검증 Duncan의 다중 범위검증(mutiple ramge test)을 통해 집단간 개별 비교를 실시하였다. 영가설을 기각하기 위한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와 일반학생들의 긍정적 정신건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부정적 정신건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와 일반학생들의 학교수준별(고등학교/대학교) 정신건강에서 선수는 학교수준별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차이가 없었고, 일반학생들은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와 일반학생들의 종교유형별 정신건강에서 선수는 종교유형별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차이가 없었고, 일반학생들은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와 일반학생들의 주요 성장지별 정신건강에서 선수는 주요 성장지별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차이가 없었고, 일반학생들은 긍정적·부정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의 규칙적인 스포츠 활동이 긍정적인 성격과 심리적 안정, 정신적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하고 일반학생들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긍정적, 부정적 정신건강 측면에서의 현저한 차이는 심리적,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외부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들에 의해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들의 규칙적인 스포츠 활동이 심리적, 정신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상태에 있음을 규명하고 학교 수준별, 종교유형별, 주요 성장지별에 따른 정신건강 상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면 스포츠 에어로빅 선수들이 선수생활을 하는데 있어 보다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general findings on the attitude of aerobics players and students who are non-players in order to compare mental health for the two different groups for analysis. It is believed that such a study will help define the mental state of sports aerobics players induced by their aerobic activities as a player by determining bot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nd positive and negative mentality variables, thus helping the players to lead a sound athletic life. 110 sports aerobics players and 253 students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survey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of the allocated sampling method utilizing a total of 363 sheets for data analysis. Park Hyeong-joon(1990) modified demographic social variables were modified to adapt it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used a questionnaire for basic background. As for questions for mental health, a questionnaire extracted from Rosenberg Scale of Self-Esteem Inventory invented by Rosenberg(1965) designe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positive mental health based on self-esteem as well as simple mental test for the degree of negative mental health, which is a simplified version of Lee, Hun-Ku(1992) by streamlining the System Check List(SCL-90) were utilized. Questionnaires were asked to fill in using self-administered method, and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removing the data lacking reliability by entering the data deemed significant and have it analyzed for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hen conducted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using SAS(Windows Ver 8.0). Individual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were made for any significant results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ignificance level for not assuming null hypothesis was set at p<0.05. Findings from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mental health but no difference in negative mental health between the sports aerobics players group and non-player group. Secondly, education level such as high school and university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players group for positive, negative mental health, but no difference to the players group. Thirdly, type of relig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non-players group for positive and negative mental health, but no difference was seen to the players group. Fourthly, place of one's upbringing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non-players group, but no difference was seen to the players group. It was concluded from these findings that regular aerobic activities by the players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formation of their positive attitud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was seen that students who are not an aerobics player are of mental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prone to influence by socio-demographic factors. It is therefore worthwhile to present that sports aerobics players are in much better conditions of positive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even under the influence of such socio-demographic factors as level of education, type of religion, places of upbringing with the details analyzed. And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sports aerobics players are to be positively stimulated, and are helped to lead a more fruitful athletic life by such findings.

      • 동양종 꿀벌(Apis cerana F.)의 미토콘드리아 DNA내 염기서열 변이 분석

        邊英雄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 동양종꿀벌(A. cerana)과 일본 동양종꿀벌(A. cerana) mtDNA내의 COI, 16S rRNA 및 12S rRNA 유전자 단편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이를 기초로 국내 지역별 동양종꿀벌(A. cerana)의 염기서열 변이 및 일본 동양종꿀벌(A. cerana)과의 염기서열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양종꿀벌(A. cerana) mtDNA의 COI, 16S rRNA 및 12S rRNA 유전자 단편을 primer #1, #2, #9, #10, #41, #42, #38, #39를 조합해 PCR 증폭하여 전기영동 한 결과 단일 밴드을 얻었으며 COI에서 각각 약 500bp, 600bp, 450bp, 600bp, 16S rRNA에서 약 500bp, 12S rRNA에서 약 400bp여서 예상된 Drosophila yakuba 유전자 단편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였으므로 동양종꿀벌(A. cerana)의 유전자단편 증폭에 적합한 primer임을 확이할 수 있었다. 2. 국내 지역별 동양종꿀벌(A. cerana)의 각 유전자 단편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16S rRNA, 12S rRNA 유전자 단편에서는 염기 서열의 변이가 없이 거의 일치하였고 COI 유전자 단편에서 보존적인 영역과 변이영역이 혼재하고 있어 국내 동양종꿀벌(A. cerana)에서는 COI에서 염기서열의 변이가 유전변이 연구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3. 염기서열 변이가 있는 COI의 제한효소 인식부위를 알아본 결과 HinfI 제한효소 인식부위가 세부분 존재하였는데 이 중 2번째 부위에서 국내 지역 샘플별로 염기서열의 변이가 있었다. 제한효소 인식부위의 염기서열 변이에 의해 국내 동양종꿀벌(A. cerana)은 한반도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의 2그룹으로 나뉘어져 지역적 격리에 의해 외부 환경에 따라 유전자 변이가 발생했으리라 추론할 수 있겠으며 이것은 유용한 유전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4. 일본 동양종꿀벌은 A. cerana japanica라는 일본 고유의 아종으로 명명되어 있으나, 국내 동양종꿀벌(A. cerana)과 일본 동양종꿀벌(A. cerana)의 유전자 단편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어 같은 종으로 추측되며 앞으로 중국 동양종꿀벌(A. cerana)과 종합적으로 비교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excuted to find nucleotide sequence of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0), 16S rRNA gene fragment of the Oriental honeybee (Apis cerana) at nine different areas in Korea and one area in Japan, Also nucleotide sequence variations between geographical distribu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 1. COI, 16S rRNA and 12S rRNA gene fragment of the Oriental honeybee was amplified by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primer #1, #2, #9, #10, #41, #42, #38, #39. The primer was certified to amplify gene fragment of the Oriental honeybee because a single band aquired by electrophoresis of amplified PCR product and the band size was similar to Drosophilayacuba gene fragment size. 2. The 16S rRNA and 12S rRNA gene fragment sequence of the Oriental honeybee of nine different areas (for example, Namwon, Youngwol, Yangpyung, Mt. Chiri, Taegu, Puyeo, Miryang, Imshil, Asan) in Korea and one area in Japan were almost same. In the nucleotide sequence of COI gene fragment, conserved region and variable region were mixed, therefore COI nucleotide sequence variation might be available to study for genetic variation of the Oriental honeybee. 3. In the restriction enzyme site of HinfI in COI gene fragment, there was one variable region among 3 regions. With the sequence variation of HinfI restriction enzyme site in COI gene fragment, the Oriental honeybee in Korea was dive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East and West by a central pivot on the Taebaek Mountains. As this result, it could be infered that the genetic variation was appeared by the geographical isolation affected by different environments and it was possible that using it as an availble genetic indicator. 4. The Oriental honeybee in Japan was named scientific as A. cerana japonica with Japanese inherent species.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the Korean and Japanese Oriental honeybee was same speci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nucleotide sequence in mitochondrial DNA.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gricultural Science in August, 20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