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 연구

        백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onflict, in their school life, in their school life's conflict, according the kind of conflict elements, for knowing how much the degree of conflict, at the degree of conflict by the kind of the conflict elements, in the difference of background variation and responsive behavior about conflict,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flict and background variation, by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there any dif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for the school management. for the aim at the basic data are supplied and done. for this research,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ir school life, in each conflict element, how much the degree of conflict is? Second, in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ir school life, in each conflict element, what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tion? Third, in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ir school life, in each conflict element, at their responsive behavior, are the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flict and background variation? For this research, the objective is 130 teachers, 6 middle schools, 130 teachers 6 high school in Chang-Won, Kyeong-Nam, about their perception of conflict, the opinion is investigated by questionaire. In the main contents of questionaire, the conflict and the responsive behavior items are composed. in the se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technolog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 way variable analysis, after done test, cross analysis are done. Therefore, acquire results are as followings.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 연구로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요인별 갈등정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갈등요인별 갈등정도는 배경변인별 차이 및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은 갈등수준 및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학교경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요인별 갈등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요인별 갈등정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은 갈등수준 및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의 중학교 6개교 교사 130명, 고등학교 6개교 교사 130명을 선정하여 중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갈등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갈등과 갈등 대처행동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가 학교생활에서 지각하는 갈등요인은 근무환경요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학부모요인, 학생요인, 행정가요인, 동료교사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요인은 남자학교가 가장 높고, 여자학교, 남녀공학 순서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요인은 고등학교, 남교사, 남자학교가 높게 나타났다. 행정가요인에 남자학교와 남녀공학이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요인은 남자학교와 남녀공학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환경요인은 중학교, 남자학교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갈등과 학부모갈등의 갈등수준이 높은 경우는 문제 집중적 대처가 갈등수준이 낮은 경우는 긍정적 측면에서의 집중이, 동료교사갈등과 근무환경갈등, 행정가갈등은 갈등수준이 높은 경우는 긍정적 측면에서의 집중이 갈등수준이 낮은 경우는 문제 집중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대처행동은 문제 집중적 대처는 고등학교, 남교사, 부장교사, 15-20년 이상, 여자학교와 남녀공학이 긍정적 측면에서의 집중은 중학교, 여교사, 교사가 남자학교는 자기비난이 높게 나타났다.

      •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따른 뷰티관리행동

        백화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사용의 대중화로 이용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소셜미디어가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일상과 관심사를 타인과 공유 및 상호작용을 하며 온라인상에서 사회 관계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패션과 뷰티정보를 쉽게 접근하며 자신의 이미지 향상과 개성을 표출하려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뷰티산업 분야에서도 SNS 활용을 통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가장 많이 접하고 활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용동기에 따른 뷰티관리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뷰티상품 마케팅 전략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전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하여 382부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뷰티관리행동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성별과 전공계열, 월 평균 피부 및 체형관리 지출비용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실태를 살펴본 결과 이용 소셜미디어로는 인스타그램을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하루 이용시간은 1-3시간을 이용하고 팔로잉 친구 수는 200-499명이 많은 분포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뷰티관리행동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뷰티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은 예체능계열이, 학년은 3학년의 피부관리행동이 가장 높았다. 뷰티관리행동의 체형관리행동은 4학년의 체형관리행동이 가장 높았고, 월 평균 피부 및 체형관리는 10만원 이상이 가장 높았다. 셋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뷰티관리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뷰티관리행동의 피부관리행동은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정보기능적동기, 사회적동기, 자기표현동기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이는 소셜미디어의 정보기능적 동기가 높을수록 피부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형관리행동은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자기표현동기와만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동기, 정보기능적동기와의 상관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정보기능적동기만 피부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의 자기표현동기, 사회적동기 순으로 체형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 뷰티분야의 주요한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뷰티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이용은 뷰티트렌드에 민감한 대학생들의 뷰티관리행동을 향상시키고, 이는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자 하는 피부관리 및 체형관리행동까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특성에 따른 뷰티관리행동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뷰티제품 및 서비스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이를 통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에 따라 외적인 미와 더불어 내면적인 아름다움도 가꾸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뷰티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대학생들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뷰티시장에서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뷰티상품 판매 및 뷰티정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 (Abstract) Today, the number of technology user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use. Users build their social networks online by sharing and connecting their lives and interests with others through platforms provided by social media. In addition, various types offashion and beauty information are easily accessed through social media and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trying to improve their image and express their personalities. In the beauty industry, various social mediamarketing activities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beauty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use among college students who have the most access to and use of social media. The method of study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Jeonnam, and 38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independently answered by them to be analyz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s of using social media according to gender, major, and monthly average skin and body care expenses of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of social media usage shows that Instagram is popularly used at an average of 1-3 hours per day with most students having about 200-499 follower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beauty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are as follows. Students in the arts and fitness departments showed the most skincare behavior out of the beauty care behavior, and that type ofbehavior was most commonin the third year. Body type management behavior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was the highest in the fourth year, and the most common average monthly skin and body shape managementexpenditure was over 100,000 won. Thir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skin management behavior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in the order of functional, social, and self-expression mo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unctional motivation of social media, the higher the level of skin care behavior.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on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xpression motivation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motivation and information functional motivation at a 5% significance level. Fourth, upon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it was found that onlythe functional motivation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kin management behavior. A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on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revealed that self-expression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ocial media use by college students, the major consumers in the beauty field, was a factor influencing beauty management behavior.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use of social media intensified the beauty manag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beauty trends, and this is related to skin care and body shape management behavior to improve their appearance.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sult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use motivation, the results maybe used strategically in marketing beauty products and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nternal beauty as well as external beauty should be cultivated.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f university students that can lead the beauty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e beauty industry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beauty product sales and beauty information contents using social media targeting the students.

      • 재즈댄스 프로그램이 여학생의 신체질량지수와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백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eliminary data for obesity management and physical ability improvement through investigating the effect of 12-week after-school jazz dance program on BMI and the level of physical ability i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Thir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E.G., n=15) and control group(C.G., n=15). The subjects in E.G. had done jazz dance 50 min./day, 3 times/week for 12 weeks. We measured BMI and physical ability(muscle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speed) two times: pre event(0 week) and post event(12 week) measurement. For the data analysis, paired t test and independent t test of SPSS ver.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change between pre event and post event measurement in each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ach measurement,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level was α=.05. As a result, BMI,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spe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event and post event measurement(p<.001) in E.G. Muscle enduranc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event and post event measurement(p<.001) only in E.G. and between two groups at post event measurement(p<.05).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event and post event measurement(p<.01) only in E.G. and between two groups at post event measurement(p<.05). In summary, we knew that 12-week after-school jazz dance program decreases BMI and affects positive change in physical ability in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 further studies, 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methods of including a lot more subjects and various jazz dance program and qualitative methods of using varying parameters will be necessary. Kee words: Jazz dance, After-school activity,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BMI, Physical ability

      • MZ세대의 조직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첫 직장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발전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화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세대로 올수록 생애 첫 직장에서의 근속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20대 초반(Z세대)의 채용시장 진입이 시작되면서 채용시장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MZ세대가 첫 직장에 진입하며 인식하는 조직공정성 정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조직공정성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 분배공정성(distributive equity), 절차공정성(procedural equity), 상호작용 공정성(interactional equity)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의 발전 가능성 여부가 MZ세대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첫 직장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blind) 회원중에서 1981년~ 2002년도 출생자중 첫 일자리 입직 후 만 1년 이상 근무하고 근속연수가 5년을 넘지 않은 신입사원을 모 집단으로 한정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설문응답 40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이직 의도 간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 MZ세대의 조직공정성 인식은 첫 직장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MZ세대의 조직공정성 인식 중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은 첫 직장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의 발전 가능성에 따라 조직공정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MZ 세대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첫 직장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낮은 MZ 세대에 비해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절차공정성 인식과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첫 직장 이직 의도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공정성 유형중 첫 직장 이직 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조직공정성 유형은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순으로 나타났고 또한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낮은 MZ세대에 비해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 절차공정성 인식과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첫 직장 이직 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했다. MZ세대가 첫 직장에 진입하는 과정에 조직에서 느끼는 공정성 인식 중 분배공정성 즉 보상과 관련된 공정성 인식보다 소통문화가 이직의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과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낮은 MZ세대에 비해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 개인의 경력개발과 발전 가능성 여부가 이들의 이직 의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of the MZ generation, which has been one of the biggest topics in the employment market, on the intention of a first job change in the situation where the early 20s (generation Z) have entered the market of employment and the period of service has been gradually reduced.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categorizes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three types: distributive equity, procedural equity, and interactional equity to investigate how these three types have an effect on the intention of a job change. This research also looks into the effect moderating of the individual development po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Z generation's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and their intention of the first job change. The researcher recruited the new employees born between 1981 and 2002. The population was limited to the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a year after getting the first job and had less than 5 years of service. The online survey was implemented and the collected 406 answer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of MZ generation and the intention of job change, the result shows that the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of MZ generation has a negative effect (-) on the intention of the first job change. Distributive equity, procedural equity, and interactional equity of MZ generation also have a negative effect (-) on the intention of the first job chang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regulation effect of the individual development po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and a intention of job change. The result represents that the employees who have strong recognition of the procedural equity and interactional equity show the lower intention of first job change when the employees have the high individual development possibility unlike those who have the lower individual development possibility in MZ generation. Among the types of organizational fairnes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fairness that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first job turnover intention were in the order of interaction fairness, distribution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s development potenti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MZ generation, which has a low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rocedural fairness and interaction fairness, the lower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mong the perceptions of fairness felt by organizations in the process of MZ generation entering their first job, the implication that communication culture has a more import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an on the perception of distribution fairness, that is, fairness related to compensation. If an individual's potential for develop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MZ generation, which has a low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it provides implications that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potential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control their turnover intention. Kew Words : MZ Generation,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Equity, Procedural Equity, Interactional Equity, Intention of First Job Change, Individual Development Possibility

      • 朝國陶磁에 나타난 代着裝飾에 關한 硏究

        백화 숙명여자대학교 1980 국내석사

        RANK : 247615

        Container takes big part in human beings lives. Therefore, it brought us the development of container that is necessary, and many various shape of container with cohesive decorational container have keen made and used widely. In this aspect, decorative method and facul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have been observed and studied to find the real value of aesthetical art on Korean ceramics, I have stated following prospect to have make the research on ceramic modeling 1. The type of Cohesive decoration. (that is appeared) 2. Characteristic of the times on cohesive decoration. ① The era of three kingdom. ② Korea era. ③ Yi Dynasty 3. Character's of Cohesive decoration. 4. Usefulness of Cohesive decor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modern aesthetic value. I would like to state my main point on Subdivided element on Cohesive decoration of Korean ceramic and applied the its Validity to the aesthetice value of modern cera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