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심재연(Shim, Jae-Ye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의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재학중인 학생 338명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으며, 이들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는 행복플로리시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일반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교과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경험을 통하여 행복플로리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원양성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8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or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Data was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y flourishing.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partme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floris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rishing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help teachers increase thei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experiencing various opportunities to happiness flourishing.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최진숙(Choi, Jin-Suk),곽경화(Kwak, Kyeong-Hw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전체 및 하위요인인 민감하게 놀기, 반응적으로 놀기, 즐겁게 놀기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는 부모의 인식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의 하위요인 중 민감하게 놀기와 반응적으로 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Also this study is to debunk how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250 children who aged from 3 to 5 and 500 their parents who were registered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ult, first, sensitive playing, responding playing, fun playing that are part of or whol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Second, Depending on the parents perceptions, the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creat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ird, the gradual returning analysis shows that as cause elements, sensitive playing and responding play that are part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parent education that would support to know how to participate in play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백승선(Seung-Seon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의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메이커 교육 및 메이커스페이스에 관심이 있는 전북 지역의 유치원 교사 8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대학교수 1명이 촉진자로 참여하였다.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총 16회의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을 운영하였다. 그 과정에서 수집된 교사학습공동체 토의 및 협의 자료, 연구참여자들 면담자료, 연구참여자 저널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스페이스 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창의적인 공간으로 교실을 재구성하기 위해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고, 공간 간의 통합을 통한 실용적인 공간을 구성하며 배움을 실천하였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을 공유하며 유아교사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상호 협력학습을 실천하며 교사의 성장과 변화 가능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유아교육기관 내에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성하여 실행하는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놀이공간 구성을 내실화하는데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makerspace in kindergarten through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s. Methods For this, a teacher-learning community was formed for 8 kindergarten teachers in Jeollabuk-do who were interested in maker education and makerspace, and one university professor participated as a facilitator. A total of 16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etings were held from January to August 2022.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various data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y discussion and consultation data collected in the process, interview data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 participant journal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occurred toward to maker education and makerspace concept. Second, teachers and young children made it together to reconstruct the classroom as a creative space, and they practiced as they had been taught by constructing a practical spa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space. Third, sharing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makerspace through learning community led to teachers’ growth and change.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the possibility of teachers’ growth and change by practicing mutual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articipating the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of creative play spaces through the experience of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f makerspace in kindergarte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및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심재연(Shim, Jae-Yeon),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도와 J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는 행복플로리시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아탄력성, 그 다음으로 인성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낙관적 태도가 행복플로리시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인성의 하위요인인 창의⋅인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효율성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플로리시도 보다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지속적인 행복감을 측정하는 행복플로리시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요 예측변인인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향상되도록 지원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or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 and J-Provinces of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personality, eog-resilienc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y flourishing.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sonality, ego resilienc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iness flouris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pre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urishing and their ego-resilience was second, then their personality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factors, the optimistic attitude as a sub-factor of the ego resilience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urishing, then, the subject satisfaction as a sub-factor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Next,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were found to b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happiness flourishing. Then, the interpersonal efficiency as a sub-factor of ego resilience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level of the preservice teachers are high, happiness flourishing is also positive. Therefore, it impl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s the major predicting variables in order to enhance the happiness flourishing that measure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a sense of continuous happiness.

      • KCI등재

        유아가 인식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안연경(Youn Kyung Ahn),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이 유아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한 유치원 중에서 유치원 교육 환경과 사회·경제적 수준이 유사한 3개소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25명을 대상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 검사와 유아 행복감 척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과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단계선택방법에 의한 중다선형 회귀 분석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 중 긍정적 스트로크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언어적, 무조건적, 조건적 스트로크와 부정적 스트로크의 하위영역인 언어적, 조건적 스트로크에서 유아의 행복감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와 낮은 집단의 유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인식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 중 긍정적 스트로크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언어적, 무조건적, 조건적 스트로크와 부정적 스트로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언어적, 조건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행복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언어적 스트로크와 부정적 언어적 스트로크 순으로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how parents`` patterns affect children``s degrees of happiness. For this research, the data were derived from 125 5-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three different kindergartens in the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However, I selected them in terms of similar educational environments, income and social rank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I employed Parent-Child Stroke Pattern Test and Child``s Feeling Happy Measurement Test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children who perceive physical, linguistic,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stroke that is sub area of positive stroke and sense linguistic, conditional stroke that is sub area of negative stroke, a meaning full difference exists between those who have high degrees of happiness and those who have low degrees of happiness. Second, the analysis shows that a correlation exists between children who perceive physical, linguistic,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stroke that belongs to positive stroke and children who experience physical, linguistic, and conditional stroke as negative stroke. Third, the analysis reveals that children``s degrees of happiness depend on the following sequence: positive linguistic stroke, negative linguistic strok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안연경(Ahn Youn Kyoung),백승선(Baek Seung Seon),오현주(Oh Hyun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경험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그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는 과정에서 창의성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도 소재 A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21명이며, 이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그룹 면담자료를 연구 자료로 수집하여 지속적인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유아 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을 통한 인식의 변화는 ‘창의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창의적인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삶의 변화’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은 교육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양한 창의성 교육 경험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perception changes of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onsideration of their own experiences and self-examine through class experiences in order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creativ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twenty one students wh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of Chungchung province. The researcher collected their self-evaluations and group counseling data. Then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m by using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perception changes through creative educational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led changes of creative perception, creative class, and daily life changes. Plus, this study shows that crea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made by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at programs that can sustain various creative educational experienc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ontinually revitalized.

      • KCI등재

        유아의 자기주도적 자연탐구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안연경(Ahn Youn-Kyung),황혜정(Hwang Hye-Jung),백승선(Baek Seung-S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유아가 자기주도적 자연탐구활동을 전개하고 이러한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38명의 만 5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0주 동안 자기주도적 자연탐구활동을 수행하였다. 사전검사 결과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적 자연탐구활동은 관찰, 측정, 예측, 토의하기 등의 과학적 탐구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창의성 하위 요소에서 유창성과 독창성에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directed nature inquiry activities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creativity. 38 children of 5 years old were divided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10 weeks. The Pre-test results and post-test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lf-directed Nature Inquir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cientic process skill such as; observation, measurement, forecasting, discussion. It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especially in sub-elements such 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 KCI등재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Lee, Soo-jeong),곽경화(Kwack, Kyeong-hwa),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광주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아반 담임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목적 및 취지를 설명 후 연구참여에 동의한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행복감, 전문성 발달수준, 교사-영아 상호작용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방법은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적 발달, 내적행복, 자기 이해 발달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며,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도 보다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교육과 정기적인 연수를 통해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여줌으로써 영아들과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ddler teacher 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the toddler teacher 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was analyz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9 homeroom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For data collection,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 test tool for feelings of happines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for the collection metho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direct visits or mail.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examining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professionalism was observed. A high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happiness of toddler teachers and high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the higher level of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 on teacher-toddler interaction. The independent factors such as knowledge, professional development, ecological development, inner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ffected self-leadership on teacher-toddler interaction teachers are high, teacher-toddler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of the toddler is also positive.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high-quality interaction with toddlers should be provided by raising the level of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oddler teachers through various re-education and regular training.

      • KCI등재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