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쿄지역 재일조선인의 3·1운동 기념일 투쟁의 양상과 특징

        배영미(Bae, Young-m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9

        일본에서의 3·1운동 기념일 투쟁은 각 시대적 배경과 중심적 운동조직의 특징이 반영되어, 1920년대 초기에는 유학생 주도의 운동으로 시작되었다가 22년에는 워싱턴회의와 나카쓰카와 사건을 통해 점차 노동자와 함께 하는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23년에는 종래의 유학생 단체를 비롯해 다양한 사상, 종교, 노동운동와 연대하는 형태를 띠고 25년 이후에는 공산주의 계열 운동단체 주도로 전개되었으나 당국의 탄압과 조선인 단체 간의 대립 등으로 초기와 같은 대규모 집회는 열기 힘들게 되었다. 이에 1927년 재일조선인단체협의회를 결성하면서 통일전선을 구축하고 운동의 재정비를 꾀했으나 29년 말~30년에 대부분의 조선인 단체가 일본 단체로 해소, 합류하면서 30년대에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조선인 활동가 및 조합원들이 민족단체 해산에 따라 전협과 반제동맹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급진, 혁신적 단체에 가입하면서 일본의 사회운동 속에서 일본인 노동자 및 활동가들과의 연대를 통해 3·1운동을 기리고 나아가 조선의 독립과 반제, 반전을 주창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침략전쟁과 파시즘 체제가 나날이 강화되어 가던 30년대는 공식집회는 거의 불가능했고 작은 규모의 간담회나 전단지 배포 등의 운동방식을 취할 수 밖에 없었고 그나마 1935년 이후에는 3·1운동 기념일 투쟁의 사례를 찾을 수 없다. 해방 후에는 해마다 양대 민족단체였던 민단과 조련 주최로 3·1운동을 기리고 되새기는 집회가 열렸다. 그리고 독립 축하와 선열 추도, 재일조선인의 처우개선, 완전독립과 통일정부수립 등 한반도 정세와 미·소, 유엔의 한반도 정책에 관한 각자의 주장을 전개하는 장으로 3·1운동 기념집회가 자리매김되었다. 민단과 조련은 1947년 초에는 어느 정도 ‘공조’적 관계에 있었으나 결국 각각의 정치적 지향성과 한반도 정세 변화로 인해 1948년에는 양자 간의 대립양상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3·1운동 인식에 대해서도 민단이 그 의의를 높이 평가한 것에 비해, 조련은 지도층의 계급적 한계를 비판하고 노동자, 농민 주도의 혁명을 주장했다. The March First celebration movement in Japan was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and the central movement of the athletic organization, beginning in the early 1920s, began with a leading student movement and in 1922, through the Washingon Council and Nakatsukawa case, it was gradually developed into a movement with workers. In 1923, the association formed a coalition with a group of students, including a group of students, religious groups, and labor unions, and after 1925, the movement led by the Communist Party, but large-scale rallies, such as the suppression of the Japaneset government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n and Korean groups, have become difficult to open. By forming a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Organizations in Japan in 1927, they formed a united front and planned to reorganize and reorganize, but 1929~30, Almost of the Korean organizations joined the Japanese organization, forming a new situation in the 30s. The Japanese activists and members of the association joined forces in Japan’s radical and progressive groups, and joined forces to celebrate the March First celebration movement and promote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 Anti-imperialism/war by joining Japanese workers and activists in Japan. However, in the 30s, when Japan’s invasion of the war and the fascism regime escalated, the official rallies were almost impossible, and there was no choice but to resort to small-scale demonstrations and distribution of leaflets, and since 1935, however, no case about the celebration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y can be found. After liberation, Every year, a group of two ethnic groups, Korean Federation in Japan(Choryoen)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Mindan), held a rally honoring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Day. The celebration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y hae become to Celebrate Independence, hold memorial service of patriotic martyrs, improve treat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sert one’s own opinion about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erfect independence, Establishment of a unified government, Korean Peninsula Policy of the USA, Soviet Union, and UN. Mindan and Choryoen were in some sort of ‘coalition’ in early 1947, but in the end, each political orientation was marked b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wake of the change in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peninsula. In comparison, Mindan praised the significance of the movement, the Choryoen criticized the class of the leadership and claimed the labor and farmer led the revolution.

      • KCI등재

        재일 한인유학생 지원단체 역행사의 사업과 성격

        배영미(Bae, Young-mi)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자행된 조선인학살로 일제의 ‘내선융화’ 슬로건의 허구성이 폭로되었다. 일본 내지에서 1924년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내선융화 촉진’이었고, 재일 한인노동자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내선융화’ 사회사업 단체들이 생겨났다. 1919년 3·1운동 이후 일본인이 설립·운영하다가 수년 내에 사라진 단체와 달리, 조선인이 설립하고 운영에도 일부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학생 지원단체, 역행사(力行社)는 1924년에 설립되어 1940년대까지 존속했다. 역행사는 조선총독부의 전·현직 관료 및 일본과 조선을 대표하는 기업·기업인, 조선인 유지들이 재정적 뒷받침과 운영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을 전개할 수 있었다. 임원과 회원의 대부분은 일본인이었다. 설립 초기의 임원진에는 도야마 미쓰루와 같이 민간에서 일본의 한국 침략을 지탱했던 아시아주의 우익정치단체 관련인물들이 많았지만 1928년에 임원 구성 체제가 바뀐 후에는 임원과 일본인 회원 양쪽 모두 조선총독부 관계자가 다수를 점했다. 조선총독 2명, 정무총감과 경무국장 각 4명이나 포함되어 있었고, 일본 내지의 내무(경찰), 식산(산업), 재무, 학무 관료도 적지 않았다. 기업·기업인은 조선에서 사업을 하거나 조선과 이해관계가 깊은 경우와 조선 및 만주 경영의 핵심기관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남만주철도주식회사 관계자가 대부분이었다. 소수의 조선인 임원·회원은 대부분 중추원·부회·도회 및 도평의원. 상공회의소 관계자와 실업가로, 직업적으로는 식민 권력의 정치, 경제를 지탱하는 ‘보조’역할의 일환으로 역행사 재정의 일부를 담당함으로써 일제의 교육정책과 ‘내선융화’를 도왔다. 주요 사업은 기숙사와 식당, 일자리 소개, 학비지원이었다. 숙식 제공 및 아르바이트 알선은 일부 노동자를 포함한 고학생을 대상으로 폭넓게 전개했다. 그러나 무료 기숙사 입사와 학비 지원은 “품행방정” 즉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학업에만 힘쓰려 하는 고학생 중 소수의 실업 전공자에 한해서 실시하여 졸업 후 실업 분야의 하급 관료 및 실무자로서의 취직까지 보장하였다. 조선총독부와의 밀접한 관계와 사업의 내용은 역행사의 성격을 ‘내선융화’ 및 식민지 교육정책의 구현으로 규정했고, 이로 인해 일본 유학을 포함한 조선인 교육 및 지배정책의 일단을 잘 보여준다. 일제가 조선인 교육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 역행사를 통해 구현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In September 1923,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revealed the fabrication of Japan’s slogan of ‘NaeseonYunghwa (Harmonious integration of Koreans and Japanese)’. The most urgent task in Japan in 1924 was to promote ‘NaeseonYunghwa’, and ‘NaeseonYunghwa’ social work groups for Korean workers and students in Japan was established. Unlike organizations that disappeared within a few years aft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 new type of Korean students support organization ‘Yeokhaeng-sa’ in which Koreans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was established in 1924 and survived until 1940. ‘Yeokhaeng-sa’ was able to carry out stable projects by former and incumbent official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mpanies, businessmen, and Korean influential persons directly participating in finance and operation. At the beginning, there were many executives related to Asian right-wing political organizations, but after the executive composition system changed in 1928, official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e main projects were dormitory, restaurant, job introduction, and tuition support. The provision of accommodation and meals and part-time job arrangements were widely developed for hard-working students, including some workers. However, free dormitory and tuition support were provided only to a few hard-working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worked only on their studies, guaranteeing employment as low-ranking bureaucrat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business after graduatio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project defined the nature of retrograde events as ‘NaeseonYunghwa’ and the implementation of colonial education policies. Therefore, it shows a good example of the Korean education and governance policy, including studying abroad in Japan. It can also be said that what Japan wanted to realize through education for Koreans was realized through ‘Yeokhaeng-sa’ projects.

      • KCI등재

        1920년대 두 번의 조선인학살-‘나카츠카와 사건, 기모토 사건’-의 실태와 관동대지진 때 학살과의 비교 분석

        배영미(Bae, Young-Mi)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7 No.-

        관동대지진을 전후하여 벌어진 두 학살 사건, 1922년 나카츠카와와 1926년 기모토의 조선인노동자 학살사건을 재구성하고 관동대지진 때의 학살과의 공통점에 착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나카츠카와 사건은 1922년 니가타현 나카츠카와 강 상류의 수력발전소 공사현장에서 일하던 조선인노동자 600여 명이 가혹한 중노동과 민족차별을 강요받아 적어도 12명이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건이다. 기모토 사건은 1926년 미에현 기모토의 터널공사현장에서 일하던 200여 명의 조선인노동자를 무장한 지역 주민들이 습격하여 2명이 사망, 수십 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이 두 사건의 개요 및 조선인의 대응, 관동대지진 때의 학살과의 공통점 등을 고찰한 결과, 유언비어와 온갖 부정적인 표현으로 묘사되는 고정 이미지(‘불령선인’), 가해자측의 폭력성과 폭력의 정당화, 자경단, 소방대원, 재향군인회, 청년회 등 주민자치조직을 비롯한 무장한 일반 주민이 조선인을 공격, 살해한 점, 가해에 대한 현지 경찰의 동참, 협조, 묵인, 당국의 사건 은폐 또는 축소, 그리고 식민지 조선인의 본질적 모순,이 여섯 가지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살은 식민지 조선인이기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비극이었기 때문에 이후에도 실제 사건 또는 학살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두려움으로 계속되었다. 현재 학살의 역사와 기억이 왜곡 또는 삭제되려 하고 있고 학살 당시의 유언비어나 ‘불령선인’ 이미지는 아직도 일본사회에 남아 있다. 이러한 현실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서라도 학살의 기억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The commonalities of two slaughters before and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the reconstructed Nakatsugawa case in 1922 and the Kimoto case in 1926,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commonalities with the massacre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The Nakatsugawa case was a case in which at least twelve Korean workers who were working at the construction of a hydroelectric power plant upstream of the Nakatsugawa River in Niigata Prefecture were died or injured of being forced into severe hard work and ethnic discrimination, in 1922. The Kimoto case was an incident in which armed local people raided 200 Korean workers who worked at the tunnel construction site in Kimoto, Mie Prefecture. They killed two and injured dozens of Koreans in 1926. The summary of these two cases, the response of the Koreans, and the commonalities with the massacr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fixed images that were depicted in rumors and various negative expressions, violence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offender, the fact that armed civilia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ttacked and killed Koreans, joining, coordinating, and acquiring local police for abuse, cover-up or reducing the cases of the authorities, and the inherent contradictions of colonial Koreans, These six issues have been confirmed in common. However, the massacre was a tragedy that inevitably occurred because the person was a colonial Korean. This continued afterwards with the fear of the Koreans in Japan regarding the massacre. The history and memory of the slaughter are currently being distorted, deleted, or erased, and the rumors of the time of the massacre and the negative image or expressions still remain in Japanese society. In order to be aware of the reality, we must face the memory of the massacre.

      • KCI등재

        신문 보도를 통해 본 조선 내 관동대지진 ‘희생자’ 추도 주체의 변화와 그 함의 : 1923년에서 해방까지

        배영미(Bae, Young-Mi) 한일민족문제학회 2021 한일민족문제연구 Vol.41 No.-

        In September,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victims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Korea began with Koreans and Japanese mourning both the flood victims and the earthquake victims. In November and December, youth associations from all over the countr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victims of the region and other Koreans, and they were able to hear the experiences of survivors. On the 1st anniversary, the 1924 memorial service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anniversary struggle, with various social movement groups such as youth associations, labor, farmers, and socialist groups participating in the memorial. In this way, a memorial service for Koreans was held with a small but meaningful crack in the control and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mobilized overwhelming physical force. However, since 1925, the host organization of domestic memorial service has been converted to the Japanese, and the target has been converted to the entire victim. As the Japanese in Korea became the host, the way of mourning in Korea was strongly influenced by Japan. Based on the emperor’s edict, Social indoctrination projects are carried out, The earthquake’s disaster was recognized as the opportunity of a fortune, and Korean victims as a promoter of reconcill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such a situation, the Veterans Association, which was the perpetrator of the massacre, participated in memorial services, held a memorial service at Bakmunsa Temple to honor Ito Hirobumi, and Koreans could no longer be the host or target of memorial service. From the mid-30s, the phase of emphasizing the spirit of ‘銃後’ for the war of aggression has been revealed explicitly. Comparing to the “revival” after the earthquake, the war of invasion in Asia was justified, the victims of the earthquake and the war dead were enshrined on the same line, and they prayed for the “武運長久 of the Imperial Army.” September 1st was only one of the countless anniversaries of turning a chance of 心機一轉 for victory in the war of aggression, and even Japanese victims, let alone Koreans, cannot be mourned. After 1945 liberation, the memories of the Korean massacre were revived. However, after a memorial service hosted by the Seoul Committee of Choryeon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Salvation Association on September 2, 1946,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massacre of Koreans were not publicized in Korean society until a memorial service and lecture were held in Seoul in 1982. Two years before the 100th anniversary, shouldn’t we properly regain the memories of the host, object, and massacre of memorial services that have been taken or neglected for a long time since 1925. By doing so, it is believed that the small cracks of 100 years ago will be expanded, giving historical legitimacy to the people who protest against violent domination that continues somewhere.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체험된 폭력과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배영미 ( Young Mi Ba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4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identity is constructed for a woman who has experienced multiple violence such as domestic violence from the father, intimate partners, and sexual abuse since childhood. For this purpose, I use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lained below. The participant`s identity has been constructed throughout her life.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she felt herself, to be a less valued member of society, but as the study progressed she could understand how the violence has influenced herself recognition and identity. She could therefore reconstruct her identity from ``a bad woman`` who deserves the violence to ``a good mother``, not meaning of ideology of mothering but ``goodness`` as value for her to persue. This paper helps us to understand how narrative inquiry allowed the woman to describe the experience in her voice with her own frame of meaning. The narratives consisted of not only personal narratives but also socio-cultural narratives as well as presenting the complexities of violence.

      • 가족중심 사회복지실천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배영미 ( Young Mi Bae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1 사회복지실천 Vol.10 No.-

        최근 가족중심실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전통적인 가족복지서비스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가족중심실천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가족중심실천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가족중심 사회복지실천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사용되는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개념정리와 적용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가족을 중심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차원, 사회복지기관 운영 차원, 교육훈련 차원의 제반 여건의 변화가 요구되며, 실천현장별 특성과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딜레마에 대한 논의 또한 필요하다. 또한 가족중심실천의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각 실천 현장별로 가족중심실천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Social work practice has been long considered family-centered practice and now family-centered practice is required as a new paradigm. Therefore, there has been increased study about it. However it is not clear not only exactly what family-centered practice means but also how to practice in social agency.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examines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family-centered practice and whether there i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 in some social work field. There is collectively required for implementing family-centered practice in social agency such as to legalization as national policy, agency administrative change, social work`s training, strengthening curricula of practice with family. We need to understand the family-centered conceptualization with it`s key elements. Additionally it needs to discuss that each agency`s implementation family-centered practice with their clien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아동체벌연구

        배영미(Bae, Young-mi)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4

        There has been little concern about corporal punishment in our society. The result would be varied how we reconstruct and define the issue of viol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rporal punishment's social construction such as our language, social problems and research. I concluded with implication for the following research and practice. 최근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과 같은 충격적인 뉴스들이 전해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직ㆍ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아동체벌이슈가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아동체벌의 이슈는 해당 사회가 아동체벌의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 사회문제로 인식, 이에 대한 대응방법과 주요 담론으로서 지식이 달라질 수 있다. 아동체벌의 문제는 아동체벌에 대한 각 개인의 신념, 그 사회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성주의관점에서 아동체벌에 대해 사용하는 언어와 사회문제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주요 담론으로서의 지식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아동학대의 이슈에 비해 아동체벌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우리가 극단적인 아동학대의 결과를 접할 때마다 충격받거나, 아동학대가 아동발달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기 이전에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도 아동체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앞으로 아동체벌연구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 브랜드의 서체 개발 요건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국내 지역 서체를 중심으로 -

        배영미 ( Bae Young Mi ),김성계 ( Kim Sung Ky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서체의 인지도를 파악하고 개발 요건에 따른 속성을 비교·분석하여 지역 브랜딩에서 지역 서체의 역할을 제시하고, 브랜딩의 주요 요소로써 지역 서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해 지역 서체와 지역 브랜드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의 연관성을 파악해 본다. 둘째, 국내외 지역 서체의 사례를 조사·분석한다. 셋째, 소비자 반응 실증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분석 방법은 Mann-Whitney U 검정, Kruskal-Wallis H 검정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3년까지 국내 시·도 이상의 지역 단위에서 개발되어 배포된 30지역 30종의 제목용 지역 서체로 한정하였다. 설문은 지역명 불인지/인지에 따른 총 60종의 서체 표본을 사용해 4차례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명 인지 여부에 따라 가시성의 차이가 있는 서체는 제주특별자치도, 경기 고양시, 경북 경주시의 서체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성의 차이가 있는 서체는 제주특별자치도, 전북 전주시, 경기 고양시, 경북 경주시 인 것으로 나타났다. 판독성의 차이가 있는 서체는 전북 김제시, 경기 고양시, 경북 경주시 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장성의 차이가 있는 서체는 제주특별자치도, 경기 고양시, 충남 아산시, 경북 경주시, 경남 창원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징성의 경우 제주특별자치도, 강원 태백시, 경남 창원시의 서체순으로 지역 이미지와 잘 맞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고유하고 일관된 정서를 담아 완성된 지역 서체는 심벌과 로고 타입으로 대표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더욱 강화하고 지역 서체 사용자의 잠재수요를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54여 곳 지자체 중 일부 지역의 시·도 이상의 지역 단위에서 개발된 제목용 서체를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한 한계점이 있으나, 혼용해 사용하던 지역 서체의 개발요건을 재정립하여 지역명 인지 여부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지역 서체의 가치와 역할을 제시한 기초 연구로써 가치를 가진다. 추후 군·구 지역 단위를 포함, 2023년 이후에 개발된 지역 서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매체에서의 활용을 염두에 둔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cognition of local typefaces, compare their attributes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needs, analyze their potential role in local branding, and establish the groundwork for local typefaces as a branding tool. The methodology involves several key steps: firstl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typefaces and regional brands. Secondly,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local typefaces. Thirdl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n consumer responses, utiliz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H test for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30 typefaces developed and distributed at the regional level of cities, provinces in South Korea by 2023. Additionally, surveys are conducted four times with a total sample size of 60 typefaces, stratified based on awareness of regional names. Findings reveal differences in visibility, aesthetics, legibility, and scalability among typefaces, particularly noticeable in regions such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Goyang City, and Gyeongju City. Symbolism plays a significant role, with typefaces from regions like Jeju and Taebaek City aligning well with local imagery. These locally-tailored typefaces contribute to stronger brand identities and attract potential users. Whi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focusing on a subset of local governments and typefaces developed before 2023,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requirements and effectiveness of local typefaces in branding. Future research should delve deeper into newer regional typefaces and their utilization across various media platforms.

      • KCI등재후보

        건물 실내녹화 조성방법에 관한 국외사례 조사 및 분석

        배영미(Bae Young-Mi),정은진(Jung Eun-Jin),김용식(Kim Yong-Shik),장재동(Chang Jae-Dong)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indoor landscaping of foreign buildings. It surveyed the expected effects, installation methods,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used in their design and operation. These areas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buildings’ type. Indoor landscaping was primarily found in business, commercial, residential, public, educational, and healthcare buildings. The main anticipated benefits of indoor landscaping were occupant health,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benefits to the building users. The importance of those expectations varied according to building type. Installation methods were classified by planter, garden, and space type. Planters were categorized as raised, recessed, vertical, or sloped. Gardens were categorized as planar or volumetric. Space was categorized as single or multi level. Installation methods also varied according to building usage and indoor conditions. Daylighting, the most common source of light, was primarily brought in through atriums, skylights, and side windows. Electrical lighting was applied to areas where the use of daylighting was ineffective. Although natural ventilation was widely used, mechanical ventilation was the principle means of ventilation. Irrigation used both manual and automated systems. However, manual irrigation was more common in smaller landscaped areas whereas automated irrigation was applied to larger area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methods of lighting, ventilation, and irrigation were more influenced by the architecture of a space rather than by a building’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