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꼴의 속공간 넓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234개 낱자를 중심으로

        전은선 ( Jeon¸ Eoun Sun ),김성계 ( Kim¸ Sung Ky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바탕체 낱자의 속공간 넓이의 평균비율을 이용하여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첫째, 선행자료 분석을 통하여 세리프가 있는 네모틀 글꼴 3종의 낱글자(234개)를 선정하여 속공간 넓이를 구한다. 둘째, 가독성 실험을 위하여 제작된 샘플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도출된 글꼴별 속공간 넓이에 가독성 실험평가 결과를 대입하여 한글꼴의 속공간 넓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가독성이 높은 글꼴들의 속공간 넓이는 66.06~75.02%이고, 가독성이 높은 낱자들의 평균 속공간 넓이 70.67%로 도출되었다. 이는 탈락한 낱자들에 비하여 속공간 넓이가 비교적 넓은 편이며, 여백과 혼합되어 나타난 회색의 농담은 독자의 시선을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가독성이 높은 글자의 속공간 넓이는 외부 요인과 균형을 이루면서 5가지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가독성이 낮은 글꼴들에서는 2가지의 특징이 나타났는데 첫째, 한양(HY)세명조와 YD윤명조110은 속공간 넓이(77.29~78.54%)가 아주 넓게 나타났다. 둘째, 산돌명조네오EB, YD윤명조160, 한양(HY)특견명조는 속공간 넓이(46.63~50.07%)가 아주 좁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속공간 개념이 본문 활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속공간 넓이와의 관계를 통하여 검증할 수 있었다. 더불어 가독성에 관련된 연구 중 속공간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재한 현실에서 속공간의 넓이가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attempted on how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Batang was formed and how they affect legibility. Experimental method,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data, three characters (234) of square fonts with serifs are selected to obtain the area of the inner space. Second, a survey is conducted with samples prepared for the legibility experiment. Third, by substituting the legibility experimental evaluation result into the derived space width for each font, the effect of the inner space width of Hangul fonts on legibility is analyze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fonts with high legibility was 66.06~75.02%, and the average width of inner space of characters with high legibility was derived as 70.67%. Compared to the dropped letters, the inner space is relatively wide, and the gray shades mixed with the blanks played a role in moving the reader's eyes. And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letter with high legibility was balanced with the external factors and scored high in five factors. Also, two characteristics appeared in fonts with low legibility. First, the inner space (77.29~78.54%) was very wide in Hanyang (HY) Semyeongjo and YD Yunmyeongjo 110. Second, Sandoll Myeongjo Neo EB, YD Yun Myeongjo 160, and Hanyang (HY) Special Myeongjoo had a very narrow inner space (46.63-50.07%).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concept of inner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vitality of the text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width of inner spac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n empirical review was conducted on how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affects legibility in the absence of existing studies on the inner space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legibility.

      • KCI등재

        부산도시철도 공간의 공공디자인 효용 연구 - 안내디자인을 중심으로 -

        전진이 ( Jeon Jin-ee ),김성계 ( Kim Sung-ky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최근 부산도시철도는 안내사인 교체작업을 비롯하여 공공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기술적·문화적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 지하철 공간은 그 도시의 공공복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로 부산의 국내·외 방문객과 교통약자의 이용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이에 부합되는 공공디자인의 실현이 더욱 강조되는 시점이다. 본 논문은 부산도시철도 공간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1차 연구로 안내디자인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 효용을 진단하는 것에 주목적을 두었다. 현재까지 개통·운영되고 있는 부산도시철도 1·2·3·4호선 및 부산김해경전철을 답사하여 수집한 자료 분석과 전문가 집단 및 도시철도 이용객의 설문 결과를 종합하여 개선점과 지향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시철도 공간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에 착안하여 정거장으로써의 기능과 함께 대중공간으로써 효용을 충족시키는 안내디자인의 방향을 조명해 보았다. 본 논문의 자료는 현재와 아울러 향후 건설되는 부산도시철도의 공공디자인 정비 사업에 참고 될 수 있도록 하며, 랜드마크로서 부산도시철도를 제고하여 도시브랜드마케팅 자원으로의 가능성과 활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의의를 두었다. Recently, Busan Metro (urban railway) continues its technical and cultural effort to improve public services including replacement work of guide signs. The space of subway is a representative place which can be a barometer of the level of the public welfare of the city. While the number of users of the subway of Busan from home and abroad including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s continuously increasing, achieving public design in accord with this tendency is all the more emphasized. This paper is a primary study on the public design of the space of Busan Metro primarily aimed at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of guide sign design and diagnosing its utility.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field investigations of Busan Metro Line 1·2·3·4 and Busan Gim-hae Light Rail Transit currently running and surveys conducted targeting Metro users were synthesized to elicit areas to improve and pointers to future directions. And based on the instances of urban railroad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directions for guide sign design were illuminated that would satisfy both its function as station and its utility as public space. The significance of the data for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at they could be reference materials for public design improvement projects for the Busan urban railway which is to be built henceforward, and by enhancing the status of Busan Metro as a landmark, they could also be used as resources for city brand marketing.

      • KCI등재

        종이책의 물성에 따른 수용자 감성작용에 관한연구

        서혜란(Seo, Hye Rahn),김성계(Kim, Sung Ky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디지털에는 흔적과 감촉이 없으며 손끝으로 전해지는 종이의 감성을 직접 느낄 수 없다. 선행연구를 통해 물성(物性)에 따른 종이책을 살펴보고 인간의 감각적 본성에 충실한 매체로서의 종이책에 대해 탐구하였다. 나아가 종이의 선택이 책의 성격을 구분 짓거나 북 디자인의 중요한 요인으로 기여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통해 종이의 독립적 가치를 발견하고 수용자가 경험하는 책의 종이질감 유형에 따라 작용하는 감성 차이를 연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종이 특성에 따라 수용자 감성작용 차이는 촉각적 감각보다 시각적 형용사의 주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도출 할 수 있었고 다음으로 촉각적 감각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질감의 감촉적 유무가 강하게 느껴지는 종이를 통해 ‘감성적인’, ‘따뜻한’의 감성측정용어를 추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종이가 가진 백색도(whiteness)의 미묘한 차이가 수용자의 감성작용에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어떠한 특성의 종이가 종이의 감성기능을 발생시키는지의 가능성을 엿 보았다. 또한 단순한 물질성이 아닌 종이의 시각과 촉각의 느낌, 인간 친화성의 감성기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ere is no trace or feel in the digital world, and there is no touch of paper that is passed down to the fingertips. Through a prior study, we looked at paper books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and explored paper books as a medium devoted to human sensual nature.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character of a book or contribute to an important factor in book design.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this study, we discovered the independent value of paper and studi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sensitivity that act on the type of paper texture in the book experienced by the recept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receptor sensitivity depending on paper characteristics resulted in the highest visual adjective component than tactile sensibility, followed by higher tactile sensibility. On the other hand, emotional measurement terms of emotional and warm could be extracted through a paper that feels strongly about the texture. It was also noted that the subtle differences in white intensity that paper had were significant to the receptors emotional response. This gave us a glimpse of the potential for what characteristic of paper would produce an emotional function of the paper. Also, there is a need not to overlook the visual, tactile feel of paper and the emotional function of human affinity, not just mater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