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여러 나라 민속학 연구에서 물질문화(material culture)는 후발 주자로 성립된 분야이다. 이 글은 20세기 후반 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가 과연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떻게 연구되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다만 설화를 연구하여 공식적으로 미국 최초의 민속학박사가 되었지만, 물질문화 연구로 주전공을 재설정한 워렌 E.로버츠(Warren E. Roberts, 1924~1999)의 연구에 한정하여 그 경향성과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로버츠는 설화연구자로 유명한 스티스 탐슨(Stith Thompson)의 제자였으나 고국 노르웨이에서 민속학을 연구한 경험을 계기로 물질문화 연구자로 전향하였다. 그 후 인디애나대학 민속학과 교수로 물질문화 분야를 담당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민중생활(folklife)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혹은 민중생활과 관련하여 예술품(art), 공예품(craft), 건축물, 그리고 제작 도구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로버츠가 말하는 물질문화는 이와 같이 사물(물건, 물질문화자료)로 구체화된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은 물질문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데 걸림돌이 된다. 그럼에도 전통적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들을 주목한 것은 소비자보다 생산자를 훨씬 중시했기 때문이며, 사람 본위로 물질문화를 연구하는 길을 연 것이다. 또한 농민들의 생존활동 가운데 상당 부분을 수공기술의 관점에서 이해하려 한 점, 농부들의 삶과 활동을 생계형 수공기술(subsistence crafts)의 개념으로 연구한 점이 주목된다. 그의 물질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시선은 산업화와 더불어 사라지는 민중들의 전통적 물질문화를 조사·연구·보전하는 것이었다. 물질문화에 대한 접근방법은 물질문화라는 대상을 중심에 놓고 관련되는 문화요소를 최대한 풍부하게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었다. 로버츠는 역사지리학적 방법, 연대기적 방법, 기능주의적 방법, 맥락주의적 방법으로 물질문화를 연구하였다. 그의 물질문화 연구는 미국 민속학 발전 초기에 수행되었으며, 야외박물관 설립 노력과 병행되었고, 민중생활의 맥락 속에서 풍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물질문화의 변천을 설명하고 분포지도를 작성하고, 기능적 고려와 적합성을 조사하여 서술하는 형태였다. 그는 장인들의 활동에 주목하였지만, 물질문화를 ‘행위의 체계’ 속에서 연구하는 학문적 전통을 분명하게 확립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Material culture in the folkloristics of many countries is a field that began to be studied relatively late. This paper has examined how material culture was perceived and studied for American folkloristics in the late 20th century. It focused on studies by Warren E. Roberts (1924~1999) and investigated their tendency and meaning. Warren E. Roberts committed himself to studying folktales and became the first titlist of Ph.D. in folklore in USA. Later he changed his major field to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Roberts was taught by Stith Thompson, the famous researcher of folktales. However, he changed his research field to material culture after he studied folklore in Norway, his native country. Afterwards he became a professor in charge of material culture in department of folklore at Indiana University. He studied material culture within the frame of folklife, focusing on art, craft, architecture and manufacturing tools which were related to folklife. What he referred to as material culture was what was concrete in objects (things and physical matters). His perception of material culture is an obstacle to that continuously activates the material culture studies. Nevertheless, he paid attention to artisans/craftsmen who made traditional craftworks because he valued producers much more than consumers. Such an attitude led to the research of material culture which valued human beings. It is notable that he examined farmers’ subsistence activities in terms of crafts and that he studied farmers’ lives and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subsistence crafts. His basic job for material culture was to survey, research and preserve traditional material culture of folk which was disappearing on account of industralization. His approach was to investigate and research as many cultural elements as possible related, placing the objects of material culture at the center. Roberts used a historical-geographical method, a chronological method, functionalism and a contextual approach to study material culture. His study of material culture wa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acts: his material culture study is made early in the American folkloristics; it was made along with efforts to establish an outdoor museum; and his study investigated and narrated changes of times, distribution-map drawing, and functional consideration and propriety through a lot of field studies in the context of folklife. Regrettably, though it paid attention to artisans’ activities, this study has not firmly established an academic tradition whereby material culture can be studied in behavioral systems.

      • KCI등재

        퓨전형 향토음식의 발명과 상품화

        배영동(Bae Young-Dong)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8 No.-

        이 연구는 안동지역의 퓨전음식인 안동찜닭의 발명과 상품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안동찜닭이라는 음식이 안동지역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 퓨전음식으로 발명되었으며, 어떻게 전국적인 음식으로 확산되었는가, 그리고 외지에서 명성을 획득한 안동찜닭이 다시 발명지 안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안동찜닭은 안동지역의 전통음식이 아니라 1980년대에 안동의 재래시장에서 몇가지 형태의 음식 재료가 혼합되어 발명된 퓨전음식이다. 안동의 재래시장에서 1970년대 초반부터 만들던 튀김통닭에서 1970년대 후반에 마늘통닭이 분화되었고, 이어서 1980년대에 찜닭이 만들어진 것이다. 찜닭은 처음에는 닭고기찌개, 닭고기매운탕, 닭갈비찜 형태였는데, 차츰 발전하여 지금의 찜닭이 된 것이다. 찜닭은 닭고기, 당면, 감자, 마른 홍고추, 채소를 넣어서 푸짐하게 만든 저렴한 퓨전음식으로서 고기맛, 채소맛, 매콤한 맛, 단맛 등이 어우러져 젊은이들의 기호에 잘 맞았다. 안동찜닭은 안동에서는 유명하지 않았으나 서울로 진출하여 매우 짧은 시기에 유명세를 타게 되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마침내 발명지 안동의 찜닭집을 변화시키고 안동 찜닭 해외 체인점 개설을 성사시켰다. 이는 상업자본주의 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한 중소 도시 안동을 떠난 찜닭이 중심부에 있는 수도권이라는 검증체계를 거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되고 다시 발명지에 자극을 준 것이다. 이에 발명지 안동에서는 안동찜닭의 정통성을 고수하면서, 맛의 혼란이 초래된 타지의 찜닭과 차별화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안동찜닭에 새로운 희망을 걸었다. 한편 다수의 외지인들은 안동찜닭을 안동의 전통음식인양 여기는데, 이는 안동의 지역 이미지가 찜닭에 포개진 결과이다. 음식 자체의 의미나 속성보다는 음식 발명지의 지역 이미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해주는 국면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대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특히 퓨전형향토음식의 형성 또는 창출에 대한 문화과정(culture process)을 실증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을 통한 사회와 문화의 이해는 물론이고, 특정 지역의 특정 음식을 통한 지역문화의 해명도 부분적으로 가능하였다. 나아가 문화의 상품화는 시장경제 체계의 토대 위에서 구축된 상업자본의 논리와,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구가 맞물리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Andong-steamed chicken is not an international fusion food as an aspect of the globalization of food in the world today, but is a fusion food which originated in a specific local area of Korea. Andong-steamed chicken is not a traditional food in the region of Andong but a fusion food invented in the specific traditional market in Andong. Initially it appeared as a form of fried chicken in the early of the 1970s in the traditional market of Andong and it was divided into garlic chicken in the late of the 1970s. Modern steamed chicken didn’t appear until the 1980s. It was initially various of forms of chicken stew, peppery chicken soup, and steamed chicken ribs. Over time, these forms changed into the current version of Andong-steamed chicken. Andong-steamed chicken is a cheap fusion food in which chicken, chinese vermicelli, potatoes, and dried red peppers are mixed. Andong-steamed chicken contains a variety of different tastes such as meat, vegetables, sweet and sour tastes, all of which are fit for the young. Andong-steamed chicken was not famous in Andong but it was instantly famous the moment it became known in Seoul. This finally led to the change of the original Andong steamed chicken stores and expanded into overseas chains. Thi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Andong-steamed chicken expanded beyond the boundaries of Andong’s commerce, survived in metropolitan areas, became a popular food nationwide, and came back to place of origin, all of which had an effect on the original food. Accordingly, Andong people expect Andong-steamed chicken in Andong to be a newly marketed food because it still holds its original taste in Andong and it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which feature a transformed taste. Meanwhile, the people of other regions often believe Andong-steamed chicken to be a traditional food of Andong, due to the traditional image of Andong. This shows how the image of the region in which a food is invented more important than the food itself.

      • KCI등재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술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

        배영동,Bae, Young-Dong 국립문화재연구원 200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4 No.-

        Uymsikdimibang(음식디미방) - a book written around 1670 and imply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taste of food and drink -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t is obviously a practical problem to explain the process of brewing alcoholic drinks. However, if we intend to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n the practical aspect, we can not explain why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were brewed. I acknowledge only that it was true to have brewed rice wine easily on the basis of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rice and the two-crop farming system of rice and barley in a paddy field as well as, for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to hav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brewage since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Chosun. It is not until we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f those days on the level of meaning, value, and symbol that we can get a correct answer as to why Uymsikdimibang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confucian ideology was firmly established in country village societies, the idea of clan rules was instituted, and patriarchal system was organized. Such a social atmosphere was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confucian moral principle such as performing religious service on one's ancestors and receiving a guest, and in the course of it, the alcoholic drink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materials all the more. It seems that the subdivision and elaborateness of the meaning of the alcoholic drinks were in progress. As a result, I think that the alcoholic drinks would vary in kind and be graded. From ancient times, the alcoholic drinks were men's favorite food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uthority and prestige given to the alcoholic drinks was increasingly promoted by the rise of the social position of me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ology. Subsequently, the alcoholic drinks became symbols which represented even the family's tradition and dignity. Therefore, men born of the nobility(Yangban) tried to brew the various and dignified alcoholic drinks relatively. Through the brewage such as this, they endeavor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 I think that the diversification of alcoholic drinks wa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a series of social-i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후보

        한식(韓食)에 담긴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그리고 가치

        배영동(Bae, Young-D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3

        한식은 한국의 주권과 문화가 제국주의와 서구문물에 의해서 침탈당하고 약화되어 갈때 우리 음식을 지키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말이다. 그러므로 한식이라는 말 속에는 필연적으로 한국음식의 정체성과 전통을 강조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한국음식의 정체성과 전통을 간직한 음식이라는 뜻의 한식은, 본질적으로 한국문화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식 속에는 한국의 전승문화적 논리와 지식, 가치가 담겨있다. 한식에 담겨있는 한국문화의 의미적 측면의 논리와 지식으로서 주목되는 것은, 일상음식·잔치음식·제사음식에 담긴 공동체적 논리와 나눔의 지식, 한식 조리와 소비과정에 담긴 위계적 논리와 서열문화 지식이다. 다음으로 한식에 담겨있는 한국문화의 실용적 측면의 논리와 지식으로서 주목되는 것은, 적은 식재료로 양을 늘리는 논리와 지식, 조리과정에서 연료·노동력·용기를 절약하면서 여러 음식을 한꺼번에 만드는 논리와 지식, 다양한 식재료가 상호보완 작용을 하도록 하는 논리와 지식이다. 한식에 담긴 문화적 가치 가운데서 주목되는 것은, 공동체 속에서 더불어 사는 가치와 나눔의 가치, 상차림에서 한국인의 접빈방식이나 예우방식을 표현하는 가치, 다양한 재료가 조화를 이루는 균형식의 가치 등이다. 따라서 한식을 세계무대에 확산시키기 위한 대전제는 “한국문화를 한식에 실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세계인들이 한식에 대해서 ‘먹기에 좋은 음식’, ‘생각하기에 좋은 음식’이 되도록하는 차원에서 한식에 한국문화를 결합해야 한다. The word Han-sig(Korean dishes) was made to protect the identity of Korean food when the Korean sovereignty and culture were being plundered and weaken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the meaning inevitably emphasizes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Korean food is contained in the word Han-sig. Han-sig, which has the meaning of treasuring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Korean food, essentially exists based on the Korean cultural tradition. Therefore, the handed down cultural logic, knowledge, and values of Korea are contained in Han-sig. What is noted as the semantic aspect’s logic an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in Han-sig is as follows : the communal logic and sharing knowledge in everyday life food, feast food and Jesa(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food and the hierarchial logic and rank of the cultural knowledge in the cooking and consumption process of Korean food. What is noted as the practical aspect’s logic and knowledge of Korean culture in Han-sig is as follows : the logic and knowledge of increasing the quantity while using few ingredients, the logic and knowledge of cooking several foods at once while saving fuel, labor and container in the cooking process. What is noted among the cultural values in Han-sig is as follows : the value of living in a sharing community, the value of expressing methods for the reception of a guest or treating a guest with respect with the table setting, and the value of a balanced diet where a variety of ingredients are in harmony. Thus, a prerequisite to spread Han-sig to the world is that “Korean culture needs to be included into Han-sig.” Yet, Korean culture needs to be combined with Han-sig at a level where it becomes the food that is ‘good to think’ as well as the food that is ‘good to eat’ for the people around the world.

      • KCI등재

        미국 민속학개론 검토와 발전적 제언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미국은 이민 국가이자 다민족 국가이며 일찍이 산업화가 진행된 나라이므로, 민족의식과 전통을 중시하는 민속학이 미국에서 어떤 특성을 보일 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민속학회가 1888년에 결성된 이래 여러 사람들에 의해서 민속학개론이 간행되었다. 미국민속학개론에 대해서는 세 시기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첫째는 1960년대 전반까지의 고전적 민속학개론, 둘째는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의 전환기 민속학개론, 셋째는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이다. 고전적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속학은 기록되지 않은 구술전통(oral tradition)을 다루는 학문이었는데, 니그로민속․식민지민속․이주민속이 포함되었다. 전환기의 민속학개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리차드 도슨(Richard M. Dorson)이 1972년에 편집한 『민속과 민중생활』이다. 이 개론에서 민속학은 비로소 민중생활(folklife)을 다루는 학문으로 그 내용적 범위가 확장되었고, 민중생활 이해를 위해서 물질문화 분야가 중요하게 추가되었다. 바레 토엘켄(Barre Toelken)이 1979년에 민속의 연행적 본질에 대한 생각에 기초하여 간행한 『민속의 역동성』은 민속 연행의 맥락적 과정을 강조한다. 1986년 엘리오트 오링(Elliott Oring)의 『민중과 민속의 장르』에서는 민속의 개념을 융통성 있게 확장하는 한편 종족민속을 중시한다. 1990년대 이후의 최근 민속학개론에서는 민중생활과 일상생활을 함께 다루고자 하며, 맥락적 접근을 중시하고 있다. 1990년 조지 쇼메이커(George H. Schoemaker) 편저 『일상생활 속의 민속의 출현』에서는 민속의 개념에는 문화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이 있다고 하면서, 여러 종족으로 나누어 민속에 접근하고 있다. 1995년에 로버트 조지스(Robert A. Georges)와 미카엘 오웬 존스(Michael Owen Jones)가 간행한 『민속학: 개론』에는 민속을 표현적 형태․과정․행위로 규정하면서, 민속을 전승적 현상 중심으로 전환하여 이해하고, 구술전통의 민속과 민중생활 연구를 아우르는 개념의 folkloristics(민속학)를 표방하였다. 잔 하롤드 브룬반드(Jan Harold Brunvand)의 『미국 민속학개론』은 미국에서 가장 널리 읽힌 민속학개론이라 하는데, 1998년 개정판은 리차드 도슨의 민속학개론 체제를 가장 많이 계승하고 있으며, 민속학의 영역을 구전민속, 관습적 민속, 물질민속 전통으로 나눈다. 이 책에서는 민속을 기록되지 않은 전통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전통의 형태와 내용, 그리고 사람들 간의 소통의 태도와 방식을 중시하는 만큼 고전적 민속 개념에다가 전승현상에 대한 맥락적 접근을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 민속학 개론을 참조하되 아쉬운 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향후 한국 민속학개론 집필을 위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전통과 생활관습 이해가 중심이 되는 개론, 둘째, 집단보다는 공동체를 다루는 개론, 셋째, 산업화 이후 민속의 지속과 변화를 다루는 개론, 넷째, 풍속을 포함하여 민중생활 전체를 다루는 개론, 다섯째, 민속분야 아카이브․박물관과 연계하여 민속학의 실용성을 넓히는 개론을 집필할 필요가 있다.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 country of immigrants and a multi racial nation that had industrialized earl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which puts an emphasis on ethn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be examined. First is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until the early 1960s, the second is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from late 1960s to 1980s, and the third is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Folklore was a study which dealt with the unrecorded oral tradition in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folklore and this included Negro folklore, colonial folklore and migration folklore. In the introduction to transition period folklore, the content range of folklore was expanded into the study which dealt with folklife for the first time in the introductory book, Folklore and Folklife, which was published by Richard M. Dorson, and the field of material culture was importantly included in order to understand folklife. In the recent introduction to folklore after the 1990s, it deals with folklife and daily life folklore together and the contextual approach on transmissional cultural phenomena has been emphasized. A few proposals have been made in this study in order to write the introduction to Korean folklore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is introduction to American folklore and complementing its lacking points. First, the introduction centers on traditions and living habits or social custom. Second, the introduction covering community rather than a group. Third, the introduction covering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folklore after industrialization. Fourth, the introduction covers entire folklife including social custom. Fifth, the introduction expanding practicality of folklore by connecting archive and museum needs to be written.

      • KCI등재

        근대시기 ‘순흥초군청(順興樵軍廳)’ 결성의 배경과 의의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2 No.-

        20세기 벽두에 경북 순흥지역(현, 영주시 순흥면)에는 ‘순흥초군청’이라는 농민조직이 결성되었다. 순흥초군청은 땔나무 채취권을 확보하기 위한 나무꾼 조직이자, 풋굿[草宴]과 같이 농부들 중심의 축제를 위한 조직이었고, 또한 지역단위 성황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의조직이었다. 순흥초군청은 지역의 최대 부호 김교림(1865~1938)에 의해 결성되었다. 순흥초군청은 지역의 토호(土豪)로 알려진 중소지주와 향리(鄕吏), 그리고 그들의 권세에 의탁하여 나무꾼들의 나뭇짐을 빼앗고 괴롭히던 무리로부터 핍박받던 지역의 여러 마을 농민들과 나무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순흥지역의 경우, 중심부는 들이 넓고 산이 별로 없어서 멀리 공리지(共利地)로 있던 소백산까지 가서 땔나무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가까이 있는 산은 지주나 향리들의 사유지여서 나무꾼의 조직화가 특히 필요했다. 순흥초군청은 마을공동체 노동조직인 두레, 송림(松林)을 보호하고 땔나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송계(松契)와 같은 농민조직의 전통에 뿌리를 박고 있으면서, 토호들의 권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나아가 농촌의 사회질서를 바로잡고 마을 간의 결속과 단합을 도모하여 지역 사회 전체의 결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지역단위로 성황제를 지내고, 풋굿의례와 같은 축제를 담당하였다. 이 점에서 순흥초군청은 농민들의 권익을 신장하기 위한 자율적 조직이되, 관으로부터 인정된 조직이었다.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area of Sunheung, Gyeongbuk Province established an organization of peasants, ‘the Sunheung Choguncheong(順興樵軍廳: the Sunheung Woodcutters and Peasants’ Organization)’. This organization has been handed down consistently. The organization of the Sunheung Choguncheong was composed of woodcutters who sought firewood, and peasants. This establishment was intended for a festival mainly led by peasants like Putgut, a kind of agricultural festival. It was also an organization to conduct a regional worshipping service, Seonghwangje. The Sunheung Choguncheong was organized by Gyo-rim Kim(1865~1938), who was the richest person in the region of Sunheung,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Gabo Year(1894) Peasants’ War ended and Japan began to invade the Joseon Dynasty. The Sunheung Choguncheong was intended to protect village peasants and woodcutters, who were robbed of their firewood and repressed by the regional landlords with small and mid size land and power, petty officials of a provincial town and those who used the power of petty officials in affiliation with them. As for the geography of Sunheung, it has a wide field at the center with few mountains. Common residents of Sunheung had difficulty in gathering firewood because they had to go as far as Mt. Sobaek, which was public property. Mountains nearby were private properties of landlords and petty officials. Common people in Sunheung needed to make an organization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 Sunheung Choguncheong was an organization of peasants which was progressive and complicated at the time in Korea. It had roots in the tradition of peasants’ organizations like Dure, a labor organization of a village community and Songgye(松契) which aimed to conserve pine trees and firmly secure firewood. It was intended to counter local powerful landlords and petty officials. In addition, to establish the social order of rural communities, promote the unity between villages, and strengthen the harmony of the whole region, the Sunheung Choguncheong conducted regional worshipping services and held festive events such as the Putgut ceremony. In this respect, the Sunheung Choguncheong was an autonomous organization that promoted the rights of peasants’ society. This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by the richest man in the region at the time when peasants’ modern consciousness was evolving. It was because he was a descendant of a progressive intellectual and a modern enlightened educator. Drawing on his wealth, he wanted to protect the rights of peasants from the repression by the landlords and petty officials in the region, and also to live together in harmony with the peasants in the region.

      • KCI등재

        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화전농업은 사회적 혼란 상황에서 화전농업을 묵인해주는 분위기 속에서 경제적으로 궁핍한 농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화전농업은 집중적 노동력을 요하는 벌목작업의 고통과 대규모 산불로 번질 우려가 있는 불 지르기의 위험성 때문에 집단적 농업으로 전승되어 왔다. 화전농업을 하기 위한 적지선정에는 주거지로부터의 거리, 도로에서 이격거리, 해발 고도, 경사도, 넓은 임야, 토질 등이 고려되었는데, 이는 자연 적응과 이용을 위한 지혜이다. 화전경작을 위한 전승지식으로 주목되는 것은, 벌목한 초목을 태울 때 위험을 줄이는 지식, 가꾸지 않아도 수확이 가능한 작목 선택 지식, 화전 경작 연한에 관한 지식, 경사지 작업의 위험을 줄이는 지식, 쟁기를 쓰지 않고 괭이로 파종하는 지식, 이랑을 만들지 않고 파종하는 지식, 파종과 동시에 복토(覆土)하는 지식, 이삭 자르기를 비롯하여 무게를 줄이는 수확 지식, 공동 탈곡과 분배의 지식 등이다. 화전을 개간하면 3~4년 정도 경작하다가 폐기하였는데, 이것은 자연자원의 이용가치 판단, 자연자원의 적극적 이용, 이용으로 인한 자원가치 하락의 문제 해결 등을 위한 생태주의 지식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화전농업의 전승지식은 주거지로부터 원거리 산림에서 진행된 공동작업기술, 단순농업기술, 노동절약기술, 조방농업기술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20세기 화전농업은 고대 이동농경 단계의 농업기술, 정착 축력농경 이전 단계의 영농지식을 간직하고 있다. In the case of Suha-ri, Yeongyang-gun, Gyeongbuk, South Korea in the 20th century, slash-and-burn farming was practiced mainly by poor farm house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lash-and-burn farming was permitted under the chaotic situation of society. Slash-and-burn farming has been passed down as a collective farming technique due to the burden of logging which requires intensive labor and a risk of creating fires which could escalate into widespread forest fires. In selecting an optimal location for slash-and-burn farming, distance from residences,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oad, altitude above sea level, gradient, large forest land area, and soil were considered. This is a philosophy of adapting to and using nature. There is a lot of traditional folk knowledge required for slash-and-burn farming. These include reducing the risk of burning when trees are cut down, selecting a kind of crop that can be harvested without too much effort when growing it, periods for slash-and-burn farming, reducing risks in making a slop, using hoes instead of ploughs when sowing, sowing without making a furrow, molding simultaneously with sowing, threshing and reducing crop weight, group threshing and distributing. Once a slash-and-burn filed was cultivated, it was farmed for three or four years and then discarded. This is ecological knowledge for judging the utility value of natural resources, aggres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solving the problem of resource value decrease due to use. Overall, the traditional folk knowledge of slash-and-burn farming shows characteristics of a collective work technique that progressed in woods, far from residences, simple farming techniques, labor saving techniques and extensive farming techniques. This slash-and-burn farming of the 20th century is in keeping with the farming techniques from ancient shifting cultivation phases and farming knowledge prior to animal power farming.

      • KCI등재

        『음식디미방』 저자 실명 ‘장계향(張桂香)’의 고증과 의의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19 No.-

        최초의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일명 閨?是議方)의 저자는 오랫동안 정부인(貞夫人) 안동 장씨(安東 張氏; 1598~1680)로만 알려졌다. 조선시대 공식 기록에 여성의 이름이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안동 장씨 불천위(不遷位) 신주의 후신 함중(後身 陷中)에 있는 기록에서 장계향(張桂香)이라는 이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신주 후신의 함중에는 장례를 치를 때 인물의 신상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므로, 장계향이라는 이름은 생시의 실명이다. 조선시대 여성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흔히 품계와 성씨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신주 함중에 실명을 기록한 까닭은, 특정한 조상으로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사후에는 ‘부부무별(夫婦無別)’의 논리에 따라 혼인 전의 실명을 기록하여 여성의 개별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호구단자?족보?행장?비문 등과 같은 공식적?공개적 문건과 달리 비공개적인 신주의 함중에 기록하면 실명 표기의 자율성이 있었기에 여성 조상의 정체를 구체화하기 쉬웠다. 장계향이라는 실명은 신주에 기록된 여성의 실명 가운데서 제법 후대의 것일 가능성이 있다. 조선후기에 유교의 종법(宗法)이 향촌사회에 널리 실행되자 여성차별이 심해지면서 자꾸만 여성의 실명 사용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장계향의 실명이 신주 함중에 기록된 것은 상당 부분 그의 삶이 후대의 귀감이 된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는 것 같다. 장계향의 아들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이 쓴 ?행실기(行實記)?를 보면, 그는 다방면에서 소질과 능력, 덕성을 갖추고 있었다. 장계향에 대한 이러한 가족 내적 인식에 기초하여 신주 함중에 실명이 기록된 측면이 있다. The actual name of “Jungbuin (貞夫人; representing a class of females) Mrs. Jang at Andong(安東 張氏)” was Jang, Gye-Hyang(張桂香; 1598~1680) who was the author of “Eumsikdimibang,”(음식디미방) the first cook book written in Korean. The name, Jang, Gye-Hyang, was written on the hamjoong (陷中; a section of a spirit tablet) of her sinju(神主; an ancestor’s spirit tablet that is served by descendents). In general, in the late of Joseon, women’s actual name was not recorded in official documents. Nevertheless, the actual name of Jang, Gye-Hyang was recorded on the non-public hamjoong of sinju. Her sinju has been preserved until now at the head family shrine, because she and her husband had been crowned as the ancestors served by descendants forever. These ancestors called bulchunwi (不遷位) which means the excellent ancestors. The record on the hamjoong of sinju is from the time of her funeral, the name Jang, Gye-Hyang was her actual name when she was alive. The reason why the actual name was used on the sinju is to embody ancestors to a specified person. Also, it raised the status of an individual by using wives’ actual names before marriage according to the logic of no discrimin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fter death. As the confucianism clan rule was generalized at a latter period of Joseon, the use of a female’s own name had been weakened, so the actual name of Jang, Gye-Hyang could be quite later one among the recorded of females’ actual names. According to the Haengsilgi(行實記; the title of biography) which was written by a confucian scholar named Lee, Hyun-il, the son of Jang, Gye-Hyang, she had a variety of talents, abilities and virtue. Based on Haengsilgi, Jang, Gye-Hyang fundamentally was an intelligent lady who was a filial daughter, good wife, wise mother, volunteer and an executor of teaching of the sages. In view of her outstanding activities, her identity has been clearly expressed by recording her real name on the hamjoong of sinju.

      • KCI등재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 연구의 가능성과 의의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7

        민속은 민간전승이면서 민간전승의 지식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한국 민속학계는 민간전승의 지식 즉, 민속지식을 주목하지 않았다. 민간전승의 지식 가운데서 기본적인 지식으로 분류적 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분류적 인지는 사람들이 세상의 수많은 사물을 구분하여 이해하고 명명함으로써 알아가는 것을 말한다.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은 생활 속에서 형성된 것이므로 문헌지식, 기록된 지식, 연구자의 지식보다 더 선행된 지식이었다. 왜냐하면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은 사람들의 생활상 필요에 의해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은 기본적으로 경험지식이며, 많은 경우 감각적 체득을 통하여 형성되어 공유된 지식이다.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사람들의 의식과 사고방식에 대한 문화론적 해석을 할 수 있고, 민간전승 지식체계의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류적 인지의 민속지식에 대한 연구는 민속지식 전반에 대한 연구를 촉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속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개척할 수 있다. Folklore is not only folk transmission but also knowledge about what is transmitted. However, the academic world of folklore in Korea has not paid attention to the second, namely folk knowledge that has been transmitted. The basic element of transmitted folk knowledge can be referred to as classificational cognition. Classificational cognition means awareness through distinguishing between numerous things and understanding and naming them. Folk knowledge from classificational cognition was naturally built up in folk lives, preceding knowledge in literature, recorded knowledge, and researchers" knowledge. Thus, folk knowledge from classificational cognition was basically empirical, and most of it was formed and shared through direct experiences with the sens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such folk knowledge from classificational cognition can make it possible to interpret folk’s consciousness and ways of thought in terms of the culture theory,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ystem of folklore. Therefore, research on folk knowledge from classificational cognition can promote studies of general folklore, and develop new possible methods of studying folkl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