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평적 감상활동을 통한 아동의 미적 지각력 향상에 관한 연구 : E.B. Feldman의 단계적 절차 중심으로

        방현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작품의 조형적, 시각적 표현을 보게되며 주어진 주변 환경에서 가치판단과 선택이라는 일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판단과 선택은 아동들의 개인적 취향이나 선호 및 막연한 느낌이나 감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술교육에 있어 미술 비평교육은 이러한 현실상황을 검토하고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모색방안이다. 아동의 미적 지각력을 신장시켜 작품을 읽을 수 있는 눈을 길러 주고자 하는 것은 미술교육의 과제이며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 미술의 기초는 시각적, 조형적 특성을 보는 것부터 시작되므로 조형 요소 및 조형 원리를 탐색하는 활동은 아동의 미적 지각력을 한층 신장시킬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펠트만의 단계적 비평과정인 기술, 분석, 해석, 판단을 통해 비평적 감상활동을 전개시킨 후 아동의 미적 지각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술 비평의 개념 및 미적 지각력과 미술 비평의 관계를 진단하여 미술 비평의 본질에 접근하였으며 펠드만이 제시한 각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비평적 감상활동을 통하여 아동의 미적 지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초 학습단계, 적용 학습단계, 심화 학습단계로 교수 학습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기초 학습단계는 펠드만이 제시한 각 단계별 특징을 파악하여 비평적 감상활동의 이해와 지식적 측면을 높였고 적용 학습단계에서는 간단한 작품에 적용하는 내용으로, 심화 학습단계는 훈련 학습단계의 응용과 발전으로 작가가 표현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인지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6명으로 하였으며 비평적 감상활동 전과 지도 후에 평가한 사전, 사후평가와 미술 비평문 쓰기를 통해 미적 지각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검증 후 많은 아동들이 비평적 감상활동 후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에 대한 미적 지각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비평활동은 감상활동의 새로운 방향제안이 되며 단계적인 미술 비평 감상학습으로 아동의 미적 지각력이 향상되어 작품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필드만의 단계적 절차인 기술, 분석, 해석, 판단의 감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아동들의 작품에 대한 주관적 느낌이나 막연한 추측에 의한 감상활동 경향이 줄어들고 조형적 요소와 원리에 대한 지각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기초 학습단계, 적용 학습단계, 심화 학습단계의 체계적인 학습과 정의 적용으로 아동들이 쉽게 미술 비평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감상 활동의 효율성이 높아졌다. 넷째, 미술 비평의 과정을 이해한 아동들이 작품 감상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아동 생활주변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In their living lives, children endlessly encounter the formative and visual expression of the art works, and in the given environment, children go through evaluation and choices. However, such evaluation and choices mostly tend to depend on the personal taste, preference, feelings or emotion of the children. In art education, art criticism is a new scheme for the investigation to inspect and solve such present situation. the effort to develop eyes that can expand children's aesthetic perception to read the art works is new assignment of art education and the requirement of this thesis. The foundation of the art is the observation on the visu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object, therefore, the activity of inquiring on the elements and logics of formation will expand children's aesthetic precep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and children's aesthetic perception through the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judgement, the procedural critic stages of Feldman and the expansion of critical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is thesis, through the diagno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aesthetic perception and art criticism, I have tried to approach the essence of art criticism and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s presented by Feldman. Also, through critical appreciation activities, to improve the children's aesthetic perception, this thesis was designed in three stages: the basic study stage which applied them to the students, the adaptational study stage, and the deepening study stages. The object of this thesis was thirty six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the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after the instruction of all the subjects regarding critical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post evaluation and art criticism writing activities, verified the improvement in aesthetic perception. It was shown that many children had improved their aesthetic perception about the element and logic of formations after critical appreciation activities. Here is the summaries of the conclusion which I derived from this thesis. First, art criticism activities were a new proposi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The aesthetic perception of a child can be improved and enabled his/her to have new appreciation of the art works with procedural appreciation of art criticism study. Second, by presenting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judgement, the procedural stages of Feldman, their personal feeling or the tendency to being an appreciation activity according to obvious suppositions of children had decreased; the perception on the elements and the logics of formation had been improved. Third, At the deepening study stage, children wer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and thus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eciation activity had been increased. Fourth, children who had understood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were more active and voluntary in participating in art appreciation, which proves that their interest on the art works in their life surrounding had been increased.

      • 기독교윤리에서 본 청년실업에 대한 고찰

        방현정 협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위의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률, 취업률, 취업환경 그리고 취업환경 변화에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계기로 취업난의 심각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고, 정부와 구직자가 어떠한 정책과 마음가짐으로 청년실업을 극복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다음과 같이 해보았다. 첫번째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청년인턴제를 구직난을 해소시키는 임시방편이 아닌 취업을 위한 필수요소로서의 제도적 변환을 주는 것이다. 현재의 인턴제도는 일자리를 만들었다는 구실에 불과할 뿐 실질적인 정규직으로의 정식 채용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 같은 경우에는 하위직 공무원은 별도의 공채시험 없이 인턴과정을 거치는 구직자들의 능력을 검증, 평가하여 채용하는 제도가 있는데, 위의 제도를 변형하여 채용에 있어 인턴경력을 필수적인 요소로 하게 되면 밤낮으로 시험공부에만 매진하는 구직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인턴으로 입사하여 경력을 쌓고, 자신에게 맞는 업무가 무엇인지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시험에는 나오지 않는 이론과 현실의 차이를 몸소 체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무원시험은 실무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을 공부해서 공무원이 된다 한들 입사 후 실무에 적응을 하려면 또 시일이 필요할 것인데 구태여 시험을 통한 채용이 아닌 인턴사원의 업무수행능력 평가와 간단한 인성검사 및 면접 등으로 채용을 하게 되면 구직자와 공공기관 및 회사측면에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두번째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의 마음가짐의 변화이다. 사실 일자리가 매우 부족해서 지금의 청년실업문제가 크게 대두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이 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공무원공채시험이나 대기업 같은 경우에는 수십대 1의 경쟁률을 보이는 반면에 중소기업은 현재 지원자가 부족하여 회사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인적자원이 대학교육까지 마친 고급인력이기 때문에 예전과는 다르게 사회적인 욕구가 안정적인 직업, 급여가 많은 직업, 남들에게 보이기 위한 직업으로 바뀌어 가면서 이러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제한적인 자리에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몰리기 때문에 최악의 실업난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굳이 공무원이나 대기업사원을 고집하기 보다는 자기가 흥미 있는 분야라든지 적성에 맞는 직업, 즐겁게 일하면서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직업을 찾아서 자신의 눈높이를 조절한다면 얼마든지 좋은 직장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본다. 청년층 실업 해소와 고용촉진을 위한 교회의 역할은 교회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므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교회로서의 모든 것이 가능하지만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이 아니며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고전10:23). 교회의 노동시장 참여를 구체화하려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교회 연합체를 대형 교회가 주도해 온 기존 구도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중소형교회에 대한 각별한 배려와 나눔의 행위가 필요하다. 교회가 사회활동에 집중함으로써 더욱 세속화되어 가는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 오늘날 한국 교회가 구제와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기에도 부족함을 통감하면서 공공부문에까지 참여하기에는 본질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사회적 실업 문제를 기독교인 대상으로 국한시킬 경우 교회의 배타성을 지적받을 수도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기독교인 기업이 경영의 투명화를 우려하여 참여를 기피할 수 있으므로 단계적인 신앙 훈련과 병행되어야 한다. 청년 근로자들이 왜곡된 시각이나 지나친 윤리적 기준으로 기독 경영인들을 평가하고 이들에게 일자리 나눔의 의무를 강요하지 않도록 올바른 경제관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다. 청년층 대상 수련회를 산업탐방과 산업체 체험 프로그램으로 연계시킴으로써 청년층에 대한 산업현장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대일 체험을 확대하고 인턴?Z 제도를 활성화시키는 활동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교회의 노력은 ‘청년층고용센터’ 를 교회 연합체로서 운영함으로써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직업(Calling)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고, 즐겁고 신나게, 하나님의 부르심에 합당하게 일해야 하지 않겠나.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달란트(talent)를 발견하게 하고 이것을 개발하는 일이 중요한다. 개인의 소질, 적성, 흥미, 능력,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특성에 맞는 직업지도를 하자는 것이다. 즉, 적업상담센터를 교계 차원에서 공익목적으로 설치 운영해야 하며, 기독교의 직업적 의미가 널리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기독교계를 직업을 통해 사회에 봉사하고 긍지와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소명의식을 일깨워 주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신학대학 등을 비롯한 교육연구기관은 직업의 기독교적 의미를 확대할 수 있는 연구를 깊고 넓게 해야 할 것이다.

      • 국내 기업의 브랜드 리뉴얼 전략 연구 :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 변경을 중심으로

        방현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업들은 브랜드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존 브랜드 관리를 위한 브랜드 리뉴얼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브랜드 리뉴얼 전략에서 아이덴티티 컬러의 변경은 다른 인지적 요소보다 가장 쉽게 인식되는 시각적 요소이다.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부분이 국내 기업의 브랜드 리뉴얼 전략에서 아이덴티티 컬러 변경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브랜드를 업종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브랜드 리뉴얼 전략에서 아이덴티티 컬러 변화를 분석하여 그 컬러의 색상, 색조, 배색의 분포와 업종별 사용 현황을 밝히는데 있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브랜드 리뉴얼,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와 컬러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실증연구에서는 각 브랜드 대표 사이트상에서 로고를 수집하여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그래픽 프로그램 Adobe Photoshop을 사용하여 컬러를 추출하고 이를 컬러칩으로 만들어 L*a*b*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색채는 Munsell Conversion(Version 10.0.8a)을 사용하여 HV/C 값으로 변환하였다. 변환한 값은 컬러와 배색 팔레트로 만들어 색상, 색조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리뉴얼 전 후 전체적인 색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리뉴얼 전과 후는 색상은 리뉴얼 전에 PB, 리뉴얼 후는 R을 사용하였다. 색조는 리뉴얼 전 bright와 dark grayish, 리뉴얼 후 bright는 동일하지만 dark grayish의 비중이 적어지고 vivid의 비중이 높아졌다. 둘째, 업종별 색채 특징을 분석한 결과, 컴퓨터/정보통신 분야는 R 색상과 bright 색조의 분포가 높았으며, 건설 분야에서는 특정 계열보다는 브랜드별 차별적 색상, 색조를 활용하였다. 식음료 분야에서는 RP 색상과 브랜드별 차별적 색조를 사용하였고, 유통 분야에서는 R과 GY 색상 및 bright 색조의 분포가 높았다. 금융 분야에서는 B 색상 및 브랜드별 차별적 색조를 사용하였고, 서비스 분야에서는 R 색상 및 vivid, strong 색조의 분포가 높았다. 셋째, 배색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유사색상 배색이 브랜드 리뉴얼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검정과 유채색 배색의 비중이 줄고 흰색과 유채색 배색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로 사용된 R, PB, B 색상과 vivid, bright 색조는 브랜드 리뉴얼 이미지에 부합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컬러로의 사용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급속한 시장 환경의 변화와 경쟁 속에서 다른 브랜드들과 구분되는 차별성을 갖기 위해 기존의 색채 사용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정확한 자사 브랜드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컬러 선정 시 성격에 맞는 컬러 배색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리뉴얼 전략에서 변경된 아이덴티티 컬러의 전체 색채별 특징, 업종별 색채 특징, 전체/업종별 배색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나, 국내 브랜드 중 특정 업종에 한정된 연구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이 부분을 보완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Companies recently, in a bid to cut down on the cost of brand investment and reduce risks, are emphasizing on adopting renewal strategies on the existing brand. In brand renewal strategies, change of identity color is the single most recognizable factor of all the others. The section in which the researcher is highly interested in is on local brand renewal strategies by specifically putting emphasis on identity color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local brand types, analyze the identity color change of each brand renewal strategy and also clarify on the distribution of color tones, shades. The means of data analysis was through referring to brand renewal, brand identity and color. Also through proof studying, accumulation of logos from the representative web-site of each brand, then using Adobe Photoshop program to extract the color, after which it was transformed to color chip and calculated the L*a*b value. Calculated color was then transformed to HV/C value using Munsell Conversion(Version 10.0.8a). The transformed factor was then made into color and background pallette and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olor tones and shades respectively.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ire color analysis result was classified before and after brand renewal. Before brand renewal, PB color was used then afterwards, R color was used. The color tone before renewal was bright and dark grayish, afterwards, brightness was maintained but the specific gravity of dark grayish decreased while that for vivid increased. Second, the analyzed color properties per type we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computer/Information technology R shades and bright tones appeared high an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differentiated color and tone was utilized other than specific line of each. In the field of foods and drinks, RP color and differentiated tone per brand was used. In the field of logistics, R, GY color with bright tone distribution was high. Third, result was achieved from analysis of background color properties. Through the above means, I was able to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 PB, B hues and vivid, bright tones gets heavy use as brand identity colors. Second, In order to have with change of the market environment which is quick from competitive inside the different brand and the discriminational characteristic which is divided is visible the tendency which escapes from color use of existing. Third, in order to deliver the image of the company brand, color lascivious at the time of character which is burnt must consider. In This research, the changed color identity’s entire properties per color tone, shade, and their general and typical properties could be observed. Despite this, among the local brands, there has been a limitation of researches being carried out only within the scopes of a specific industry. Therefore, it is my anticipation that researches be carried in the near future to replenish these areas.

      • 3차원 공간정보 및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소방도상훈련법의 제안 및 효과분석

        방현정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방대원은 사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대응활동을 펼친다. 그러나 효과적이고 신속한 초기대응활동을 위해서는 재난·재해 현장의 실내 공간정보에 대한 사전정보 습득이 중요하지만, 현재의 훈련시스템인 2D 평면도에 의한 소방도상훈련 방법으로는 대상물에 대한 실내공간정보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동 조치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열 및 연기 거동의 현상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진압대원은 적극적 구조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이것은 진압대원의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D 평면도에 의한 소방도상훈련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3D 공간정보와 화재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활용한 소방도상훈련을 제안하였다. 우선 3D 공간정보는 선정된 표본 건축물에 대해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공간정보를 확보하였고, 화재 시뮬레이션은 층별 가상화점에 대한 모델링을 구현하여 이 정보를 소방도상훈련에 도입하였다. 그리고 소방도상훈련 이후 실제훈련을 실시하여 제안된 훈련 방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3D 공간정보 활용을 통한 소방도상훈련의 만족도는 기존의 2D 평면도 훈련 대비 약 52%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소방도상훈련의 만족도는 다양한 화재에 대한 사전 정보습득 없이 실시된 소방도상훈련 대비 약 50%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제안된 훈련 방법은 재난 현장에 도착한 소방대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임무부여를 가능하게 하며, 소방대원들이 재난 및 재해를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었다. 또한 소방대원들이 화점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었다. Firefighters are dispatched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conduct on-site response activities to minimize human and property damage. However, it is important to obtain prior information on indoor spacial information a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and rapid initial response activities,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indoor spacial information on the scene of the accident with map-based fire fighting training system using 2D plane information. In addition, if the phenomenon of heat and smoke behavior is not clearly identifi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fighters will have difficulty in active rescue activities, which can lead to their live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map-based fire fighting training using 2D plane information, map-based fire fighting training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and fire dynamic simulation was proposed. 3D spatial information was obtained using 3D cameras for the selected sample buildings, and fire dynamic simulation implemented modelling of virtual fire points for each floor and introduced this information into map-based firefighting training. And, actual training was conducted after map-based fire fighting train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irefighters' satisfaction with the map-based fire fighting training is improved by approximately 52% when 3D spatial information was provided compared to the existing 2D plane information, and is improved by approximately 50% when fire dynamics simulation was provided. In the end, the proposed training method made it possible to assign different task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ire brigade arriving at the disaster site, which enabled the fire brigade to respond smoothly to disasters and disasters. In addition, firefighters could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to quickly and safely move to the fire site.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TE)에서 교사의 질문 : 초등학교 사례

        방현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EFL) 환경에서는 실생활에서 영어를 접할 기회가 부족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교육부에서 정책적인 차원으로 2001년부터 영어 수업을 영어로 진행(TETE)할 것을 적극 권장하였다. TETE 수업을 정책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연구의 쟁점 중 하나가 모국어 사용의 효용성 여부이다. 또한 TETE 수업은 영어 사용에 있어서 한 가지 방법으로 일반화될 수 없기 때문에 교실 상황을 분석하여 실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TETE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교실 상황을 관찰하고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영어 실력이 초급 수준인 초등학교 TETE 교실 상황에서 교사의 영어 및 한국어 질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교사 질문을 유형에 따라 분류한 후 각 유형별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영어와 한국어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교사의 질문에 나타난 영어 및 한국어 사용 신념과 그것이 학생들의 요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전체적인 질문 에서 한국어 및 영어 사용 비율은 각각 63.1%와 36.9%를 차지하였다. 질문의 전반적인 기능 분석에서는 수업 진행과 관련된(Managerial-lesson related interaction, 이하 ML) 기능을 질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이 교과 내용과 관련(Instructional interaction, 이하 I)된 기능을 하는 질문이 등장하였다. 질문의 유형별 분류에서는 전시형 질문이 가장 많이(119회; 32%)등장하였고 참조형 질문, 질문, 수사학적 질문, 이해점검 질문, 지시적 질문 순으로 나타났다. 각 질문 유형별로 한국어와 영어 사용의 기능을 살펴보면 한국어 질문은 주로 문법적인 내용이나 추상적인 개념을 확인하면서 등장하거나 시험을 공지할 때, 혹은 과제 제출에 대한 중요한 부분을 공지하면서 나타났다. 또한 영어 설명이 길어져서 학습자들이 교사 발화 이해에 문제가 있을 때 핵심적인 내용을 모국어인 한국어로 질문하면서 중요한 부분을 상기시키고 있었다. 반면 수업 진행 중에 자주 등장하는 질문이나 학생들에게 요청하는 지시적 질문은 거의 영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한국어 및 영어 질문이 전반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와 학생 인터뷰 및 학생 설문지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사용 언어를 선택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이 관찰 결과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어 발화 전달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동일한 질문을 반복하거나 질문 중에 사용된 핵심 단어의 뜻을 한국어로 알려주었다. 그리고 영어 발화에 대한 이해력을 확인하면서 한국어로 핵심 내용을 질문하였다. 또한 자주 등장하는 질문은 매 차시 영어로 물으면서 학습자들에게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입장에서도 교사의 영어 사용 방침 및 질문 전략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문을 통해 수준별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태도 및 자신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학적 함의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들의 영어 실력이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 TETE 수업에서 교사가 질문을 통해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 모국어인 한국어를 전략적으로 사용한다. TETE 교사로서의 자질이 충분한 본 연구의 참여 교사는 모국어를 선택에 있어서 '학습자의 이해'를 우선에 두었다. 따라서 TETE 수업을 진행할 때 교사의 '영어 사용'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추어 적절하게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알 수 있다. 둘째, TETE 수업 진행 시 매 시간 등장하는 학습 진행어나 지시어 등은 영어로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영어 입력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한다. 연구 참여 교사는 수업 진행 기능을 하는 질문은 거의 영어를 사용하였으며 지시적 질문은 영어만 사용하였다. 또한 관찰 초기에는 학습자들이 이해하지 못했던 질문을 그 뜻을 알려 주고 매 시간 연습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학기가 끝날 때쯤에는 동일한 질문에 쉽게 대답하는 모습을 보였다. 즉,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영어 질문을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표현을 익히고 영어의 입력을 늘릴 수 있다. 셋째, 교과 내용과 관련한 참조형 질문의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참조형 질문 중 절반 이상이 수업 진행과 관련하여 등장하였다. 참조형 질문이 학습자들의 정보와 긴 발화를 이끌어 내는 질문이라는 일반적인 통념과는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비추어 볼 때 학습자들이 교과 내용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정보를 교환하면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참조형 질문 사용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TETE 수업에서 질문을 할 때 한국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과 영어 질문을 반복하는 전략은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추어 볼 때 TETE 수업에서 교사의 영어 발화 양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목표어인 영어와 모국어인 한국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수업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An Analysis of Teacher Questions in a TETE classroom Bang, Hyun Jung Major in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g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olicy of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TETE) came into effect since 2001 by the Korea ministry of Eduation(MOE). As it has been adopted to real classroom contexts, many studies about TETE classes have been conducted.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s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mother tongue. Also, TETE cannot be generalized into one way of using English. Thus, it is meaningful to look into an actual classroom context where TETE is being carried o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 questions in TETE classes of Korean classroom contexts and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Korean and English questions. Teacher questions are of significance because they play a key role in creating interactive classroom environment as well as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are one Korean English teacher of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her twenty-seven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eight times of classroom observation, interviews of the teacher and students, and surveys of the students. First, the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Long&Sato(1983) and Ekasingh(1991)'s question type categories. Then, the function of ques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a languag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chinke-Llano's categories. Then, how the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through English and Korean questions were studied based on the interviews and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English questions took up 63.1%, while Korean questions were shown 36.9%. The most common question type was display questions and the most frequent function of questions was managerial-lesson related interaction. In choosing a language, the teacher put 'learner's understanding' into priority. As her belief, she mostly used Korean questions as in following situation: for checking grammatical contents or abstract concepts, to make announcements of an exam, assignments or school events, to give hint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her English utterance. She mostly used English questions in managerial lesson-related situation and only used English in directive questions. When students do not understand her English questions, she employed strategies of repeating or using Korean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Students' attitudes and their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were shown through the observation, interviews and surveys. It was found out that the teacher's belief in using English and strategies in questions g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poses following pedagogical suggestions. First, a teacher can use Korean language effectively when asking questions in a TETE class where learners are in a beginner level. Second, English questions can be actively used in a managerial lesson-relation situation for it increases English input.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referential questions which lead real communication intera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because students showed different responses in attitudes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English levels.

      • 체외순환하에서의 변형초여과법이 우심실기능과 혈류역학에 미치는 효과 : 승모판막치환술 환자를 대상으로

        방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변형초여과법이 승모판막치환술 환자의 우심실기능과 혈류역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Y 3차 의료기관에서 2002년 9월 1일부터 2003년 6월 10일까지 승모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15명의 성인환자와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하지 않은 15명의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우심실기능의 지표로 우심실 박출계수, 수축기말 우심실용적지수, 이완기말 우심실용적지수를 Swan-Ganz Right-Heart Ejection Fraction Thermodilution Catheter(Baxter Healthcare Co., U.S.A.)를 사용하여 REF-1 Ejection Fraction /Cardiac Output Computer(Baxter Healthcare Co., U.S.A.)에 연결하여 측정하였으며, 혈류역학의 지표로 평균동맥압, 심박출지수, 평균폐동맥압, 중심정맥압을 환자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우심실 기능과 혈류역학의 측정은 마취유도 전(T1), 마취유도 후(T2), 체외순환 직후(T3), 체외순환 종료 20분 후(T4), 흉골봉합 직후(T5)에 각각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자가 마취기록지와 체외순환기록지를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t-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승모판막치환술 환자군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흉골봉합 후(T5)에 우심실기능이 더 좋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우심실박출계수는 T4에서 두 군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T5에서는 두 군 모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F=5.15, p=0.00),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0.04, p=0.84). 그러므로 집단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4, p=0.84). 수축기말 우심실용적지수의 경우, T4에서 두 군 모두 증가하였고, T5에서는 두 군 모두 감소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3.11, p=0.01),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에는 차이가 없어(F=1.52, p=0.22) 집단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은 없었다(F=0.75, p=0.55). 이완기말 우심실용적지수의 경우, 시간에 따른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0.43, p=0.79), T4에서 실험군의 이완기말 용적지수는 증가하는 반면, 대조군에서는 감소하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21, p=0.04). 그러나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4, p=0.84). 2. 제 2가설 :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승모판막치환술 환자군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흉골봉합 후에 평균동맥압이 상승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평균동맥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군 모두 상승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10.96, p=0.00),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므로(F=0.03, p=0.85)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없었다(F=0.82, p=0.51). 3. 제 3가설 :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승모판막치환술 환자군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흉골봉합 후에 심박출지수가 상승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심박출지수는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직후(T4)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므로(F=0.14, p=0.71) 집단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은 없었다(F=1.07, p=0.37). 4. 제 4가설 :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승모판막치환술 환자군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흉골봉합 후에 평균폐동맥압이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평균폐동맥압은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므로(F=0.03, p=0.58)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62, p=0.64). 5. 제 5가설 : 변형초여과법을 시행한 승모판막치환술 환자군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보다 흉골봉합 후에 중심정맥압이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중심정맥압은 T4에서 두 군 모두 0.8mmHg가 감소하였고, T5에서는 두 군 모두 증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3.11, p=0.01),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므로(F=0.13, p=0.71)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2.31, p=0.06). 6. 헤마토크릿트치는 T4에서 실험군의 경우 23.2%에서 27.8%로 3.6%가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0.9%가 증가하였다(F=57.9, p=0.00). T5에서 대조군 중 5명의 환자가 동종혈액을 수혈받아 헤마토크릿트치의 차이가 적어져 측정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F=0.35, p=0.55),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6.61, p=0.00). 그러므로 헤마토크릿트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형초여과법은 승모판막치환술을 시행받은 성인 환자의 우심실 기능 향상과 혈류역학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으나, 헤마토크릿트치를 상승시켜 동종혈액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dified ultrafiltration on right ventricular function and hemodynamics after cardiopulmonary bypass(CPB) in the patients undergone mitral valve replacement(MV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osttest design with control group(non filtration) and experimental group(modified ultrafilt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ho were received MVR at Yonsei University Cardiovascular Center in Seoul from Sep., 1, 2002 to Jun., 10, 2003 and selected using selection criteria. Among them, 15 patients were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5 patients were assigned as a control group. Right ventricular function variables were righ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RVEF), right ventricular end-systolic volume index(RVESVI) and right ventricular end-diastolic volume index(RVEDVI). Hemodynam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mean arterial pressure, cardiac index,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and central venous pressure. The variables were measured at pre induction(T1), post induction(T2), post cardiopulmonary bypass(T3), after modified ultrafiltration(T4), after sternum closure(T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Chi-squre test, t-test, repeated measured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VEF(F=0.34, p=0.84), RVESVI(F=0.75, p=0.55) and RVEDVI(F=0.34, p=0.84) after sternum 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hypothesis is rejected. Hypothesis 2 : In both groups, mean arterial pressure were increased after sternum clos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rterial pressure after sternum 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F=0.82, p=0.51). This hypothesis is rejected. Hypothesis 3 : In both groups, cardiac index were increased after T3, T4. After sternum closure(T5), cardiac index were decreased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ac index after sternum 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F=1.07, p=0.37). This hypothesis is rejected. Hypothesis 4 :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decreased two groups after modified ultrafiltr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after sternum 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F=0.62, p=0.64). This hypothesis is rejected. Hypothesis 5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entral venous pressure after sternum 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F=2.31, p=0.06). This hypothesis is rejected as well. 6.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atocrit after modified ultrafiltration(T4) and sternum closure(T5) between the two groups(F=6.61, p=0.00) In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atocrit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difference in right ventricular function, mean arterial pressure, cardiac index,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and central venous pressur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modified ultrafiltration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can be an useful technique of hemoconcentration and a lower blood transfusion requirements.

      • 결합재무제표 도입후의 결과 분석

        방현정 홍익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IMF이후에 사회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회계제도 중에서는 회계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결합재무제표의 작성이 강조되었다. 기존 연결재무제표는 지배, 종속 관계를 회사대 회사간 지분을 중심으로 작성하도록 하고있다. 그러나 연결재무제표는 실질소유 경영자가 특수 관계인 등을 통해서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회사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우리기업의 경영소유 구조현실과 괴리되어 기업집단에 대한 회계정보를 제공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영소유구조를 볼때 기업집단이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움직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재무제표제도는 이에 대한 회계정보를 제공하지 뭇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런 비판이 있었기에 결합재무제표의 도입에 대한 주장은 지속되었다. 그러나 결합재무제표는 선진국제회계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결합재무제표가 지닌 한계점과 형평성에 대한 문제 때문에 논쟁이 계속되었다. 본 논문은 먼저 1980년대부터 도입의 필요성은 제기되었으나 몇 년이 지난후에야 결합재무제표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 7월말 제시된 16개 기업집단(720개사)의 결합재무제표를 중심으로 수치상의 분석을 통해 단순합산 재무제표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함이며, 이런 결합재무제표의 분석의 결과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활용범위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After IMF, Korea has been changed various challenges in terms of several social ways. Among account system,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had emphasized for transparency of account. Befor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made related to subordination with superintendence to company to company. But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has limited various problems. On account of the fact the structure of korean companies was much too complex and abnormal, internal transactions and guarantees among the companies were generalized. thus, current account systems have been criticized on their limitation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investors and the other affiliated parties. For that reason,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have been drawn up in Korea since 1999.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contain the linked financial status and cash flows of a group of companied that are legally dependent but in fact controlled by the owner or other related parties of the corporation. My study will start with analysis presented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of 16 companies at 2000. Then focus on looking into a scope of property, liabilities, selling amount etc. I research how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can influence to investors managers and investigate about a scope practical use. Finally liabilities of 4 big business is increased and selling amount is re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