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 수술 후 정복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소재완,홍창화,방청원,이재철,신병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s: Loss of fracture reduction after posterior surgery to treat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ontroversy exists about the factors causing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in thoracolumbar fractur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cords of 59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urgery for thoracolumbar unstable fractures and had completed a minimum follow-up of 1 year.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was defined as 30% or more loss of vertebral body height or 15° or more progression of the kyphotic angle at the 1-year follow-up compared to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atients’ gender, age, level of fracture, injury of the posterior column, initial loss of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loadsharing score, Thoraco-Lumbar Injury Classification and Severity score, number of fixed segments, type of pedicle screws, degree of postoperative reduction, degree of postoperative corrected kyphotic angle, changes in the insertion angle of the most proximal and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decreases in the upper and lower disc height of the fractured vertebral body, and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were analyzed. Results: Thirteen patients (22.0%) had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p=0.034), initial loss of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p=0.042), and changes in the insertion angles of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p=0.02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However, the other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Conclus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urgery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frequency of loss of reduction was high in patients more than 45 years old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ith a 50% or more loss of the initial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and with changes of 5° or more in the insertion angles of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의 후방 수술 후 추시 과정에서 정복이 소실되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어, 정복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후 추시 과정에서 골절의 정복이 소실되는 요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로 후방 수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정복 소실의 기준은 수술 직후의 골절 척추체와 비교하여 1년 추시시의 골절 척추체가 30% 이상 척추체 높이의 소실이 있거나, 골절 부위에 15도 이상 후만각이 진행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의 성별, 연령, 골절의 위치, 후방 주 손상 여부, 최초 골절시 추체 높이 소실 정도, load-sharing 분류, TLICS 점수, 고정 분절 수, 척추경 나사못의 종류, 수술 후 골절 정복 정도, 수술 후 후만각 교정 정도, 최근위부 및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 삽입 각도 변화, 골절 추체 상, 하 추간판 높이 감소등의 요인들과 수술 후 정복 소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 후 정복 소실된 환자는 13명이었다. 수술 당시 나이(p=0.034), 최초 골절시 추체 높이 소실 정도(p=0.042),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 삽입 각도변화(p=0.021)는 수술 후 정복 소실에 통계적 연관성이 있었으나, 그 밖의 인자들은 수술 후 정복 소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로 후방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당시 나이가 45세 이상, 최초 골절시 추체의 높이가 50% 이상 소실되었을 경우, 그리고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 각도가 5도 이상 변화될 때 골절 정복의 소실이 많이 나타났다. 약칭제목: 흉-요추부 골절 수술 후 정복 소실

      • KCI등재

        Kummell 씨 병의 이해: 정의, 진단, 병태생리 및 치료

        고영일,고명섭,방청원,박형열,김영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2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1 No.1

        연구 계획: 종설목적: Kummel l씨 병의 정의, 진단 및 병리생리학, 그리고 치료에 대한 현시점의 이해를 정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Hermann Kummell은 외상성 척추 골절 후 지연된 척추 변형 및 임상 증상 악화를 보고하였다. 이후 Kummell 씨 병은 척추 골절이후 지연된 척추 후만 변형과 신경 합병증을 유발하는 상태로 정의되고있으며 현재 Kummell씨 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있다. 대상 및 방법: 관련 연구 고찰결과: Kummell 씨 병의 진단시 임상 증상과 함께 추체내 틈 및 동적 가동성 등의 영상의학적 소견을 고려하여야한다. 병리생리학적으로는 혈행의 문제와불유합이 원인으로 생각되고있다. 치료는 임상 증상과 불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보존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수술적 접근에는 추체내 시멘트 삽입술과 후방 고정술 등 다양한 수술적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결론: Kummell 씨 병은 추체내 틈 및 동적 불안정성을 동반한 진행성의 골다공증성 골절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치료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지만, 환자의 의학적상태 및 척추의 상태에 따라 치료의 방향이 결정된다. 약칭 제목: Kummell 씨 병의 이해 Study design: Review article Objective: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Kummell’s disease, focusing on its definition, diagnosi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approach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Hermann Kummell reported the delayed occurrence of post-traumatic vertebral deformities and worsening of clinical symptoms following minor spinal fractures. Later, Kummell’s disease was defined as a condition that causes delayed kyphotic deformity and neurological problems due to spinal fractures. Numerous research efforts and imaging advancements have been made for Kummell’s disease. Results: The diagnosis of Kummell’s disease requires considering the clinical presentation, radiographic findings, and dynamic mobility. Vascular causes and nonunion are implicated in its pathophysiology. The treatment involves conservative approaches and surgical interventions based on symptoms and instability. Various surgical methods, including vertebroplasty and posterior fixation, have been explored, but limited evidence hinders a consensus. Conclusions: Kummell’s disease presents as a progressive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with the intravertebral cleft, together with and dynamic instability. Conservative and medical treatments are tried first, but if they are unsuccessful or complications arise, surgery may be considered. The choice of treatment depends on analyzing the patient's overall health and spinal condition.

      • KCI등재

        후방 척추 수술 환자에서 ‘PF-72와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혼합액’과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단독사 용’ 및 ‘무처치’ 대조군간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전향적, 단일기관, 피험자 단일 눈가림, 무작위 배정, 탐색 임상시험

        최성우,장해동,강덕원,방청원,이재철,이재준,황창순,오근상,신병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1

        Study Design: Prospective pilot study Objectives: The efficacy and safety of ‘PF-72’ for management of postoperative acute pain through a mixed ‘PF-72’ and 0.75% ropivacaine hydrochloride solution in patients with posterior spine surgery was evaluated as ‘0.75% ropivacaine’ and ‘untreated’ control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operative acute pain is major surgical side effect that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raditional pain control results in variable side effects, and multimodal pain management has been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Local anesthetics is a short-acting time lower than 12 hours.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rmoreactive hydrogel products as a drug delivery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scheduled for posterior spine surgery were enrolled by the inclusion criteria. In the treated group, PF- 72 and ropivacaine mixture was injected to the surgical wound before closure. In control group 1, only 0.75% ropivacaine hydrochloride was injected. In the control group 2, the surgical site was without injection. Ten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and standardized drugs for pain control were applied postoperatively and rescue regimens were applied when necessary. Postoperative pain score and the cumulativ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pain score were compared.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were painless (pain score ≤ 3) was examined at each observation point. The first time of injection and the total dose of the rescue regimen were examine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data. The sum AUC of pain scores in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1 and 2 at all observation times. The proportion of painles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dministration time and the total usage of the rescue regimen,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PONV at all time poi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Conclusion: PF-72 and ropivacaine mixture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pain management up to 72 hours postoperatively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pinal surgery without fatal complications.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탐색 임상시험) 목적: 후방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PF-72’와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국소마취액의 혼합액을 통해 수술 후 급성통증 완화에 대한‘PF-72’의 초기 유효성과 안전성을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단독사용’ 및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수술 후 급성통증은 재원 기간의 증가, 만성 통증, 삶의 질 저하 등을 유발하는 주요 수술부작용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방식의 통증 조절 방법은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중요법이 추천 되고 있다. 수술 부위 국소마취제 투여는 12시간 미만의 짧은 작용시간이 단점이며, 통증조절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온도 반응성 하이드로겔(Hydrogel) 제품의 경우 아직까지 그 효율성과 안정성에 대해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후방 척추 수술이 예정된 환자 중 선정 기준을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다. PF-72는 수술부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고분자화합물로서 시험군에서는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직전에 PF-72와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혼합액을 주입하고, 대조군1에는 PF-72없이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만을 주입하였으며, 대조군 2에서는 약물 주입 없이 일반적인 수술 절차에 따라 수술부위를 봉합하였다. 각 군에 10명의환자가 균등하게 무작위 배정되었다. 수술 후 피험자의 통증 관리를 위하여 기관 표준 절차에 따라 피험자 모두에게 표준화된 약물을 적용하였으며, 필요시 구제약물을 사용하였다. 1차 평가 변수는, 수술 후 통증 평가 점수를 기록하고, 각 관찰 시점까지의 총합(area under the curve, AUC)을 비교하였다. 각관찰 시점마다 무통상태(통증점수 3점 이하)의 피험자 비율도 조사하였다. 2차 평가 변수는 구제 약물이 처음 투여된 시점과 총 투여량을 조사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증상에 대해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분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30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남자 13명, 여자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62.3(27-79)세였다. 각 군에서 피험자의 성별, 연령 등의 인구학적 기초자료 및 기본 병력 등의 자료 분석 결과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차 평가 변수의 경우 모든 관찰시점에서 시험군의 통증점수의 합이대조군 1, 2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무통상태환자의 비율은 시험군이 대조군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08). 2차 평가변수인 구제 약물의 첫 투여 시간과 총 사용량은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관찰시점에서 PONV 척도 별 환자 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세 군의 이상 사례 발현율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경증의 이상 사례로 시험기기와의 인과관계에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후방 척추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PF-72와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혼합액을 수술 부위에 투여하여 수술 후 72시간까지 효과적인 통증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으며, 안전성 면에서도 치명적인 이상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약칭 제목: 후방척추수술에서 PF-72 전달체를 이용한 통증조절

      • KCI등재

        장거리 보행 중 발견된 제 4–5 중족골 결합의 수술적 절제

        조명국,백사무엘,이선근,방청원 대한스포츠의학회 202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8 No.1

        Intermetatarsal coalition (IC) is very rare; although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in foreign orthopedic journals, these have not originated in our country. We report the case of a 20-year-old man who complained of pain in the left forefoot only during long distance running (3 km). On examination, his foot shape, skin appearance, and gait were normal, with no plantar keratosis; however, the radiograph revealed coalition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metatarsals. Surgical excision was performed. In the histopathologic study, fibrous coalition was confirmed. This paper reports an uncommon case involving surgical excision of IC in the military service, involving active spor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