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격자 결합기를 이용한 금속 팁에서의 광 에너지 집속 최적화

        박형열,구석모,유선규,박남규 한국물리학회 2010 새물리 Vol.60 No.1

        The strong field enhancement at the end of a nanoscale metal tip, can be used to overcome the resolution limit of conventional near-field optical microscopy, and is thus believed to find future applications in high-resolution lithography or/and nanosensing area. In this paper, using a 3D finite-difference time domain (FDTD) analysis, we study the field enhancement factors at the metal tip, and optimize its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PP excitation and tip-coupling efficiencie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get factors higher field enhancement, by several orders of magnitude from the optimal structure, compared to the non-optimal cases, by adjusting the metal tip angle and employing blazed SPP grating couplers. 나노 스케일 크기의 금속 팁 구조에서의 강한 필드의 집속은 근접장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 고해상도 전사법, 나노 센싱 등, 다양한 응용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차분법 전산모사를 통해서 금속 팁에서 필드를 강하게 하기 위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금속 팁 끝에 모이는 표면 플라즈몬과 표면 플라즈몬을 발생시키는 결합기의 효율 증가를 위한 최적화 구조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금속 팁의 각도의 최적화 값과 더불어 기울어진 격자 결합기의 도입을 통해 얻은 구조는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에 비해 강한 필드가 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박형열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69

        This paper Bunju-pottery(墳周土器-Pottery at Decorate around the mound) production method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the methods assume a change in the Bunju-pottery examined in changes gender aspect was investigated in the system are identified. As a result, by the presence of bottom forming, Bunju-pottery can be divided into 1 and 2 type. each 1 and 2 type are estimated it had aspect of morphological changes. 1 type pottery is confirmed with colum forming, number, change of doldae(突帶-Embossed belt), changes in the size of the bottom of perforations. and 2 type show the change aspect of the production technology(stand upright technique(正立技法), partition technique(分割技法),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form change of doldae. In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Bunju-pottery is strongly influenced by haniwa(埴輪) in Japan. but 2 and 3step form in Kyushu appear later than Honam. and in Honam, Upside-down technique(倒立技法) is checked at first. There is no reverse triangle hole in Kyushu From the appearance of matters, Haniwa(埴輪) in Japan is not direct influence to Honam. Therefore, this study has estimated that the change is occurred by Honam itself. by the exchange of culture between baekje(百濟) and japan, Haniwa(埴輪) authoring group exchanged their skills. So some attributes appear in the Honam region is estimated. and Bunju-pottery(墳周土器) attributes in Honam region suggest that spread to Japan. As mentioned above, Bunju-pottery in Honam is taken over Bunju-pottery in Chungcheong. so I think that it has Mahan(馬韓)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can talk with the production simplify, hole, doldae, patterns and the change of each property size and the dadition of decorative. As a result, the change of Bunju-pottery in Honam is extrovert as decorate with around of the mound and tend to maximize the decorative. 본고는 분주토기의 제작방법과 그 방법상의 기술변화를 상정하여 분주토기의 변화상을 살피고 변화양상에서 확인되는계통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분주토기는 저부의 형성유무로 Ⅰ형식과 Ⅱ형식으로 구분되고 Ⅰ형식과 Ⅱ형식은 각각 형태적 변화양상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Ⅰ형식 분주토기는 단의 형성과 단의 수 및 돌대의 변화, 투창의 변화로 변화양상이 확인되며 Ⅱ형식은 제작기술의 변화인 정립, 분할, 도립기법의 변화와 돌대, 투창의 형태변화 등으로 변화양상을 보인다. 기존연구에서 분주토기가 일본 埴輪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일본 구주지역에서는 2조 3단 형식이호남보다 늦게 출현하는 점과 호남지역에서 도립기법이 먼저 확인되는 점, 역삼각형 투창이 없는 점 등으로 미루어 일본埴輪의 직접적인 영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자체적으로 발생하여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변화과정에서 호남지역과 왜의 교류관계에 의해 일본의 埴輪을 제작하는 집단과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埴輪의 일부 속성이 호남지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속성도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해 보면 호남지역 분주토기 변화의 방향은 제작방법의 단순화와 투창, 돌대, 문양(타날) 등 각 속성의 크기변화 및장식성의 첨가로 이야기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변화는 분구의 주변을 장식하는 것으로 외향적이고 장식성을 극대화하는 경향으로 변화한다.

      • KCI등재

        위암으로 인한 위출구 폐쇄에서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의 유용성

        박형열,강대환,엄재섭,하태인,박찬호,김경엽,최철웅,김도훈,김지영,이혜정,김광하,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2

        목적: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위출구 폐쇄 환자에서 내시경적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self-expandable metal stents) 삽입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수술이 불가능한 위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위출구 폐쇄에서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저자들은 위암으로 인한 위출구 폐쇄에서 내시경적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오심, 구토, 위장 팽만 등의 위출구 폐쇄증상으로 내시경적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를 삽입한 총 116명의 환자 중 수술 불가능한 위암 환자에서 막미부착형 스텐트를 시술한 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스텐트 삽입은 61명(98.4%)에서 성공적이었고 평균 시술시간은 11.5±5.9분이었다. 시술 후 49명(80.3%)에서 임상적으로 호전되었고 위출구 폐쇄 평가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며, 시술과 관련한 중대한 초기 합병증은 없었다. 평균 재원기간은 14.2±11.5일이었고, 22명(36.1%)에서 스텐트 삽입 후 치료를 요하는 위출구 폐쇄증상의 재발이 있었으며, 그 원인은 종양 내발육 18명(29.5%), 종양 과발육 1명(1.6%), 스텐트 일탈 3명(4.9%)이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143.0±142.8일, 평균 스텐트 개방기간은 103.5±102.3일이었다. 결론: 내시경적 막미부착형 자가팽창형 금속제 스텐트는 위출구 폐쇄가 동반된 위암 환자에서 안전한 치료법으로서 성공률이 높고 폐쇄증상을 빠르게 호전시킬 수 있는 유용한 치료 방법이지만 종양 내성장의 예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4~6세기 신라 고배의 문양 변천 -경주 황오동고분군 출토품을 중심으로-

        박형열 영남고고학회 2015 嶺南考古學 Vol.- No.73

        In this paper, Was investigated chronology through the pattern in 5th century Silla High Cup. Silla High Cup has been studied mainly in aspects of morphological changes. However, not onl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t has a feature that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And, do not go yet research on changes in the pattern. So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the pattern type and change. Patterns, the unit patterns 11 is confirm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ppearance of changes via a combination of patterns. Silla High Cup show the appearance of the 5 step chang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attern. Time i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until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Importantly, Step 1, It seems the same pattern in the two regions(Silla and Gaya). And Zipsun-pattern(集 線文) appeared after step 2, and pattern is diversification. After this step 2,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Shilla earthenware stage. 본고에서는 경주 황오동고분군 출토 고배에서 확인되는 문양을 각 단위문양으로 나누고 순서배열을 통해 상대서열하였다. 그 결과 문양은 점열문, 파상문, 집선문, 삼각집선문, 컴퍼스문, 거치문, 연속 ‘ X ’자문, 격자문, 송엽문, 사격자문, 삼각집선+ 컴퍼스문 순으로 발생순서가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각 단위 문양의 발생과 소멸 시기를 기점으로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5단계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면, 1단계는 점열문, 파상문 등 다치구 시문구를 이용한 문양이 나타나는 시기로 고식도질토기단계에서 신라토기단계로이행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2단계 이후는 단치구 시문구를 이용한 단위 문양이 나타나고 문양이 증가하는 시기로 신라토기단계의 요소를 보인다. 3단계에는 다양한 단위 문양이 확인된다. 4단계에는 단위 문양이 조합되어 복합문이 확인되며시문방법과 도구가 단순해진다. 5단계 이후는 단치구 시문구가 주로 사용되며 인화문토기로 전환되기 전 시기로 문양에서도 인화문토기와 연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문양의 변화는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1단계 점열문, 파상문 등과 같이 가야지역과 동일한 문양을 공유하다가 점열집선문 등의 발생을 통해2 단계에 집선문이 등장하면서 가야지역과 다른 신라적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