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남조 시의 영원성 연구

        방승호 ( Bang Seu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시간을 초월한 영원에 대한 갈구는 세상의 모든 존재가 공감하는 문제이다. 한국 서정시의 역사에서는 서정주, 구상과 같은 대표 시인들을 중심으로 영원성의 시학을 구축해 왔다. 본고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김남조의 시에도 영원에 대한 관심과 지향의 태도가 나타난다. 특히 아흔을 넘은 나이에도 시 창작을 지속하고 있는 김남조의 근작들에서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70년여간 축적된 그의 시가 추구했던 ‘사랑의 시학’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귀결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존재의 순환 원리는 영속으로 가까워지기 위한 우선적인 조건이 된다. 그리고 이는 자연물의 생명 이미지와 순환 이미지를 통해 형성된다. 가스통 바슐라르가 언급했던 자연물(공기, 물, 불)이 가지는 역동적 이미지들은 시상 전개에 따라 강화의 과정을 거쳐 점차 영속성을 획득하기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속의 표상들은 서정적 주체가 지향하는 ‘기쁨’이나 ‘사랑’과 같은 긍정적 정서의 영원성을 지향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시간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성찰의 태도는 미래를 연장하게 하는 또 다른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벤야민과 하이데거의 언급들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과거의 경험은 현재와 맞물리며 미래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영원성에 근접해 나가게 되는 힘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존재에 대한 이해와 성찰이 연이어지면서, 서정적 주체가 지향하는 정신의 영원성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김남조의 시세계는 사랑의 시학이라는 큰 테마를 형성해 왔다. 그리고 어느덧 시세계의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다. 미당 서정주가 세상과 시를 함께 떠돌며 영원성의 시학을 지향했다면, 김남조는 끊임없는 존재에 대한 성찰과 탐구의 정신으로 영원성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치지 않는 시에 대한 열정, 그리고 존재와 세상에 대한 사랑과 포용의 정신은 이러한 영원성의 가치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 준다. The craving for timeless eternity is a matter of sympathy for all beings in the world. In the history of lyric poetry in Korea, the poetry of eternity has been constructed centering on characters such as Seo Jeong-ju or Gu Sang poet. In the poems of Kim Nam-Jo, which we will refer to in this article, the attitudes of interest and orientation toward eternity appear. Especially, this aspect can be confirmed in the recent works of Kim Nam-jo, which continues to create poetry even after the age of ninety.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ultimate goal of 'poetry of love' pursued by his poetry accumulated over 70 years. The circular principle of existence becomes a prerequisite for getting closer to the enduring. And this is formed through the life image and the circular image of the natural object. The dynamic images of the natural objects (air, water, fire) mentioned by Gaston Bachelard reach to acquire permanence gradually through the strengthe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hesis expansion. As a result, these representations of perpetuation are characterized by a tendency toward the eternity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or 'love' which the lyrical subject is oriented to. A thorough awareness of time and an attitude of introspection serve as another driving force to prolong the future. The references of Benjamin and Heidegg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the past and the present. Past experience is in tune with the present and creates the future, which ultimately becomes a force that approaches eternity. In other words, as the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existence continue, the emotional subject becomes closer to the eternity of spirit. Kim Nam-jo's poetry world has formed a big theme of poetry of love. And now he is heading towards the end of his world. Seo Jeong-ju wandered the world and poetry together and aimed at the poetry of eternity, and Kim Nam-jo is trying to reach eternity with the spirit of reflection and inquiry. His passion for untiring poetry, and the spirit of love and embrace for being and for the world, deepens the value of this eternity.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자기인식과 진정성

        방승호 ( Bang Seu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본고는 기형도가 바라보는 스스로에 대한 인식의 문제에 주목한다. 이것은 김현이 언급한 ‘자기 존재의 모습에 대한 앎’의 양상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기형도의 자아는 반복적으로 자신을 비하하며 우울자의 전형을 드러낸다. 자신을 비천한 존재로 인식하는 우울한 주체는 격앙된 표현을 사용하거나, 통사적 담화 호흡에 어긋난 형식을 통해 비정상적인 흐름을 조장한다. 이러한 자기 인식의 양상은 재현 불가능한 것을 형상화하는 문학의 방식이자 진정한 자기 이해에 다가가려는 주체의 가능성으로, 현실의 부정성에 대한 반응에서 나아가 반성적 자아의 실천태로 발전한다. 기형도의 자기인식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죽음에 대한 시인의 인식을 감식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기형도가 사유하는 죽음은 존재론적 부재의 형식을 취하지 않는다. 기형도는 죽음을 ‘가면을 벗는 행위’로 인식하며, 타자와의 대면을 마다하지 않는 윤리적 주체의 모습을 보인다. 기형도에게 죽음이란 삶에서 이탈된 형식이 아니라, 삶과 미묘한 차이를 두고 존재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바디우가 언급한 공제의 원리와 맞닿는다. 때문에 기형도의 자아는 죽음을 두려워 하기보다, 죽음을 전유함으로써 본질적 가치에 다가서려는 진정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기형도 시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함은 부정의 표현이 아닌 참된 자아를 실현하고자하는 열정의 형식으로 풀이 된다. 기형도 시에는 절망과 희망이 공존한다. 절망과 희망의 변증은 파괴의 전범이 아닌 차이의 전범으로 존재한다. 기형도가 지향하는 ‘새벽’의 이미지는 ‘어둠’이 지나가야 오는 것이 아니라, ‘어둠’ 속에 은폐된 빛을 찾을 때 비로소 찾아온다. 기형도가 ‘어둠’을 전유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어둠’을 전유하는 기형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은 죽음의 형식이 아닌, 희망의 역설적 예기를 위한 진정성의 형식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ssue of self-awareness that Gi Hyung-do observes. This is the process of tracking the aspect of "being aware of the appearance of one's existence" mentioned by Kim Hyun. Gi Hyeong-do's persona repeatedly reprimands himself and reveals the typical traits of a depressed individual. The depressed subject, who perceives himself as an insignificant being, uses infuriated expressions or utilizes formats deviating from a discourse's general rhythm to induce abnormal flow in the poem. This aspect of self-awareness is a literary method emboding what cannot be reproduced as it signifies the possibility of a subject approaching understanding of its true self. This reaches beyond the reaction to the negativity of reality and develops into the reflective practice of his own persona. The essential factor regarding Gi Hyung-do's self-awareness is that it is able to detect the poet's perception of death. Death, contemplated by Gi Hyung-do, does not take the form of an ontological absence. Gi Hyung-do views the concept of death as an "act of taking off one's mask" and reveals the appearance of an ethical subject who does not hesitate to face the other. For Gi Hyung-do, death is not a form separated from life, but something that exists with subtle differences from lif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substractive principle mentioned by Badiu. Therefore, Gi Hyung-do's persona reveals the aspects of authenticity in approaching essential values by appropriating death rather than fearing the concept of death. In this manner, the sense of grotesque appearing in Gi Hyung Do's poem is interpreted as not an expression of negativity but a form of passion to realize the true self. Despair and hope coexist in his poem. The dialectics of despair and hope exist as a model of differences, not destruction. The image of "dawn" that Gi Hyung-do pursues does not arrive only when "darkness" passes, but only when the hidden light in "darkness" is discovered. This is why Gi Hyung-do appropriates the concept of "darkness. His "grotesque realism" approaches us not in the form of death but in authenticity to the paradoxical rise of hope. of hope.

      • KCI등재

        김남조 시에 나타난 ‘겨울’의 상징성 연구

        방승호 ( Bang Seu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김남조 시에 나타난 주제의식은 인간의 고독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사랑을 통한 삶의 긍정 정신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동안 김남조 시 연구는 이러한 주제 의식과 관련된 내용 측면의 연구가 주로 거시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김남조 시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시어나 시구에 대한 심층적 의미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김남조 시의 ‘겨울’이라는 시어가 갖는 상징성에 주목하였다. 김남조 시에서 ‘겨울’은 핵심어 가운데 하나로서 시 세계 전체의 주제의식과 깊이 관련된다. ‘겨울’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계절적 배경이자 지배적 시어로서 김남조 시 이해의 열쇠어 구실을 한다. 김남조 시에서 ‘겨울’은 단순히 계절적 배경으로서만 설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여 주제의식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하여 ‘겨울’의 상징성을 고찰하는 일은 김남조 시의 전체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제의와도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김남조 시의 ‘겨울’과 관련된 연구는 비평문이나 단평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직까지 그 상징성을 시 전체의 맥락에서 본격적인 학술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남조 시의 총체성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김남조의 시에 나타난 ‘겨울’의 상징성은 크게 고독의 시간, 성찰의 계기, 정화의 의미 등으로 수렴된다. 이러한 의미는 초기-중기-후기의 시 세계와 일정하게 부합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초기 시에서 ‘겨울’은 주로 존재의 고독과 슬픔의 정서를 드러내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또한 중기 시에 이르러 ‘겨울’은 그 정서의 폭을 확대해 가면서 초기 시를 지배했던 고독의 정서에서 점차 개아의 성찰과 성숙의 의미로 나아가게 된다. 이후 후기 시에서 ‘겨울’은 정화와 사랑이라는 의미와 동시에 상처받은 시적 화자의 내면을 치유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런 점에서 김남조는 ‘겨울’의 시인이라고 명명해도 조금도 부자연스럽지 않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ymbolism of ‘winter’ in Kim Nam-jo’s poetry. The sense of the subject embedded in the poetry starts from the poet’s interest in the solitude of human being and has portrayed optimistic poetry about life and lov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in the broad framework with regard to the aspects of the subject. This is often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adjust the limi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and the symbolism of the poetic languages that compose Kim Nam-jo’s poetry. To illustrate specifically, ‘winter’ is a seasonal background that is repeatedly presented in the poetr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dominant poetic language. ‘Winter’ is a recurring theme in Kim Nam-jo’s poetry and works as a dominant poetic language that constitutes a large part of the background. The symbolism of winter in Kim’s poetry can be mainly summed up in three meanings: solitude - reflection - exaltation. This is a corollary from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change in his poems’ backgrounds from ‘early - middle - late’ phases. His early poetry is charactered mainly by the expression of the ‘loneliness and griefs of human being’ through the word ‘winter’ In the middle phase, the sentiment of the solitude that has dominated the poetry gradually becomes the symbol of ‘an individual’s reflection and growth’ Furthermore, in his late poetry, winter represents the meaning of ‘exaltation and love’ and works as a means to heal the inner world of the poetic narrator. It is noteworthy that ‘winter’ does not merely act as a seasonal background, but also plays a role in representing the sense of subject via various mediums that constitutes the poetic situation. In addition, the image of winter that forms the external space of the poetic narrator also portrays the inner world of the narrator in the end. As discussed, ‘winter’ is repeatedly presented and its symbolism is firmly established throughout Kim’s poetic world. As a result, the use of symbolism works as an image that dominates the poetic space, which is crucial in conveying the sense of subject the poet intended to portray. ‘Winter’ is still frequently used in Kim’s recent works and beautifully compose the poetic spac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남조 초기시에 나타난 분노와 멜랑콜리 연구

        방승호(Bang, Seung-H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한국전쟁 발생 70년. 한반도의 역사는 한국전쟁을 비롯한 여러 가지 고통과 함께해 왔다. 특히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아직까지 여러 후유증을 유발하고 있는 한국전쟁은 이념과 정치뿐만 아니라, 당시를 살아간 사람들의 개인적 차원의 문제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역사적 굴곡을 함께 한 개인의 역사와 일련의 감정들은 시대의 흐름 속에 잊혀가는 단순한 파편에 불과할 수 있으나, 반대로 생각하면 이러한 파편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이 역사를 최대한 온전하게 바라볼 수 있는 뼈아픈 숙제라 할 수 있다. 김남조는 한국전쟁을 겪은 피해 당사자로서 여성주체다. 때문에 그의 초기시에는 ‘사랑의 시인’이라는 명칭과 어울리지 않은 주체의 분노가 표출된다. 김남조의 분노는 인고와 함께 나타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그는 감정 그대로를 분출하지 않고, 정제된 표현을 통해 ‘담대한 분노’를 드러낸다. 김남조 특유의 경어체는 감정을 의도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하려는 ‘감정 노동’의 주체로서 여성의 모습을 확인하게 한다. 김남조는 ‘이행분노의 길’을 선택하여 분노로 인한 ‘감정 노동’을 현명하게 승화한다. 멜랑콜리는 한국전쟁을 겪은 김남조의 내면을 대변하는 또 다른 현상이다. 김남조의 멜랑콜리는 반복되는 슬픔, 이상과 현실과의 괴리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주목되는 점은 김남조가 멜랑콜리를 수용하는 방법과 자세다. 김남조는 내면의 멜랑콜리를 천문학적 상상력과 연결시킨다. 전쟁으로 인해 닥쳐온 반복된 슬픔에도 불구하고 김남조는 ‘별’, ‘달’과 같은 천체를 바라보며 미래를 향해 발을 내딛는다. 그럼으로써 전쟁으로 인한 상처와 아픔을 피하려 하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승화시키려 노력한다. 이러한 점에서 김남조는 현실의 비극을 기억하고 기록함으로써 자신만의 방법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한 실천적 주체라 할 수 있다. Sev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This long and turbul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ccompanied by painful memories. Indeed, there still remain a number of aftermaths of the Korean War, a tragedy of fratricidal war, not only in terms of ideology and politics but also in the personal dimension. The history and emotions an individual experiences as he or she is washed back and forth by the wave of history might be merely fragments forgotten in the flow of time.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se fragments is a painful task that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look at history holistically. Kim Nam-jo was a woman who suffered during the Korean War. Thus, in her early poems, we sense anger erupting from this poet that does not match her name as a “poet of love.” This anger is special in its persistence. Her emotions do not erupt as they are, but her “bold anger” is revealed through refined expressions. Indeed, the unique honorific expressions of Kim Nam-jo examine the appearance of women as the subject of “emotional labor” who intentionally control and manage their emotions. Kim Nam-jo chooses “transition anger,” sublimating the emotional labor of anger. Melancholy is another inner phenomenon reflecting Kim Nam-jo’s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 complex manifestation of repeated sadness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s how Kim Nam-jo embraces melancholy and her attitude toward it. Kim Nam-jo connects melancholy with her astronomical imagination. Despite the repeated sadness caused by the war, Kim Nam-jo steps into the future by observing celestial bodies like stars or the moon. Through these endeavors, she does not evade the wounds and pain caused by the war but tries to accept and sublimate them. In this regard, Kim Nam-jo is a practical figure who tries to overcome pain by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 tragedy of reality in an individual way.

      • KCI등재후보

        유방암 치료후에 발생한 속발성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김용주(Young Joo Kim),문한림(Han Lim Moon),김병욱(Byung Wook Kim),김희열(Hee Yeol Kim),방승호(Seung Ho Bang),안중현(Joong Hyun Ahn),한상국(Sang Kook Han),강진형(Jin Hyung Kang),홍영선(Young Seon Hong),김훈교(Hoon Kyo Kim),이경식(Kyun 대한내과학회 1995 대한내과학회지 Vol.48 No.5

        N/A Acute leukemia after chemotherapy and/or radio- therapy for malignant disorder is called secondary acute leukemia(SAL) or therapy related leukemia. Typically, SAL is preceded by a prodrome phase or myelodysplastic syndrome (MDS) resulting in trilineage dysplasia manifested by pancytopenia, associated with cytogenetic abnormalities involving chromosome 5 and 7, and carries a poor prognosis. Although FAB M3 type(acute promyelocytic leukemia) of SAL had been rarely reported, recently there was a report on 16 cases of therapy-related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We hereby report a case of secondary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fter treatment of advanced breast cancer. A 62-year-old woman was admitted because of pancytopenia, purpura of legs and gingival bleeding. Since six years before admission when she was diagnosed as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of breast with metastases to lung, She had received CMF(cyclophosphamide, methotrexate, 5-fluorouracil)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underwen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after complete disappearance of pulmonary nodules, She had received further chemotherapy with cumulative doses of chemotherapeutic agents as following; 21g of cyclophosphamide, 410mg of doxorubicin, 21g of 5-fluorouracil, and 600 mg of methotrexate. Radiation doses to chest wall, axilla and supraclavicular area were 2880 to 3400cGy. The examination of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showed acute promylocytic leukemia(FAR M3). Cytogenetic analysis of peripheral blood demonstrated 46XX[1]/46XX, t(7; 11) (p15; p15) [12]. The patient did not achieved a complete remission despite retinoic acid therapy and intensive chemotherapy with Ara-C and AMSA, and died 10 months after diagnosis of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