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박희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박 희 연 가천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차 숙) 본 연구는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1에 의해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가 다음과 같이 진행 되었다. 첫째, 내러티브 사고에 대한 문헌연구와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 활동에 대한 실태와 인식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의 교육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을 선정하였다. 셋째, 선정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유아 교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 모형의 단계를 표지 읽기-그림 훑어보기-글과 그림 읽기-토의하기로 각각 구성하였다. 넷째,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을 실제 교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12권 그림책을 선정하여 각 그림책에 대한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조직하였다. 연구문제 2에 의해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책 읽기 교육계획안을 구성하여 유아 교실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만 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0명씩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는 내러티브 사고 중심 교수 모형을 적용한 교육계획안을 기반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처치기간과 횟수는 12주 동안 12권의 그림책을 주 3회 읽어주었으며, 그림책을 읽어주는 순서와 집단 크기는 두 집단이 동일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사실적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중 사실적 이해 점수에 있어,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어주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읽기 교수는 유아의 추론적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중 추론적 이해에 있어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읽기 교수는 유아의 비평적 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중 비평적 이해에 있어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자발적 이야기 구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중 자발적 이야기 구성에 대한 점수가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그림책 읽기는 유아의 유도적 이야기 구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이야기 구성력 중 유도적 이야기 구성에 대한 점수가 교수 모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 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를 실시한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이야기 구성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교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유아 그림책 읽기 교수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한다. ABSTRACT Development and Effect of Teaching Model of Picture Books Reading based on Narrative Thinking Park, Hee Y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ch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Cha Suk)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velop the teaching model of narrative-focused picture books read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on 5-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the teaching model of narrative-focused picture-book reading was developed. The research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of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narrative thinking as well as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eachers’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and the surveys on their recognition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were selected. Third, processes of the teaching model were organized for applying the selected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methods to the classroom, such as reading covers-scanning pictures-reading letters and pictures-discussion. Forth, in order to apply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to the classroom, 12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teaching plans of the picture-book reading for each book were organiz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2,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odel of narrative-focused picture-book reading were examined. Its effects were analyzed after applying the teaching plans of the picture-book reading to the classroom. Forty 5-year-old preschoolers were divided into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had 20 children. Experimental group was doing the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teaching plans which utilizing the teaching model of narrative-focused picture-book reading. Control group was doing the ordinary picture-book reading activities. Treatments were conducting for 12 weeks; teachers read 12 books for children three times a week; the order of reading books and size of the groups were the same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book reading was effective o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ordinary picture-book reading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facts, which was sub-factor of the preschoolers’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e teaching of the picture-book reading had positive impacts on young children’s inferential 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erms of preschoolers’ inferential abilities among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Third, the teaching of the picture-book reading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itical understand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understanding among preschoolers’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general picture-book reading. Forth, the picture-book reading was positive impact on preschoolers’ voluntary story construction among their story-making 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fth, the picture-book reading was effective on young children’s guided story construction.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guided story construction that was sub-scale of their story-making abilities. As a result, the teaching model of the picture-book reading had effects on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This resear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narrative-focused picture-book reading, and became the basis of the further research on teaching the picture-book reading for young children.

      • 무용예술강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희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lives of dance art instructors Hee-youn Par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lives of dance art instructors in a social context.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followed the procedure of the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 Connelly(2000). Taking a close look at lives of dance art instructor is to comprehend their lives until the present day, and to penetrate lives before they became dance art instructors, present lives and future lives through contextual understanding of current situations. For this objective, materials about dance art instructors were analysed through the process of telling and retelling to understand their lives. For the study, three dance art instructors in Cheonbuk Province were chose as research participants. Then,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preceding studies, related documents, e-mails, tele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were used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s of lives that they've experienced, more deeply and contextually. For gathering data, firstly, interview sheet for an in-depth interview was written through open survey and preliminary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research participants, based on interview materials. In-depth interview materials were tape-recorded, and data collected from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recorded in the record sheet, in detail to be used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 reliable and honest data, words spoken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transcribed without any omission, and tape-recorded interviews, telephone calls and e-mails were collected to observe patterns, threads and research which continued to appear, when they repeatedly read field texts several times. The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which were understood from experiences of dance art instructors and their meanings. First, dance art instructors were going through conflict and confusion evaluating their capabilities and choosing occupations, due to the gap between education that they learned in university, and reality. This has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in relation to experience in going through conflict and difficulty after graduation from university as above, the narrative inquiry points out problems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dancing. Second, they felt uncomfortable with behaviors of school teachers who didn't properly understand the art instructors support project. There is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conflict and confusion caused by the gap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reality which art instructors experience, and reveals problems betwee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schools. Third, art instructors felt much pressure by one-year contract jobs. It demonstrates that the renewal of contract depending on annual evaluations lays much strain on them, and the lack of lesson hours may negatively affect them, as a factor which reduces efficiency and continuity of roles of art instruct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endeavoring to find resolutions for mental burden coming from one-year contract jobs and financial status during vacations after art instructors finish all assigned lessons. Based on these findings,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urther study needs to subdivide and expand research targets. Second of all, this study didn't reflect opinions of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 persons concerned i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since it is focused on experiences of art instructo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has to listen to various opinions of art instructors,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the persons concerned i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ogether. keywords : Narrative Inquiry, dance art instructors

      • 의료기관의 의료분쟁과 관련된 위험관리 활동 현황조사 연구

        박희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의료분쟁의 현황을 파악하여 반복되는 형태의 의료소송 형태를 통해 그에 따른 의료기관의 위험관리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의 위험관리활동 현황 분석을 통해 의료분쟁에 대한 개선활동을 파악하며, 위험관리 활동의 실례를 통해 의료분쟁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위험관리 활동의 형태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의료기관에서의 의료분쟁을 궁극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관리 활동을 통한 관리를 도입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연구 방법으로 최근 10년간 의료소송 중 귀책사유의 과실을 인정한 판례 218건을 대상으로 과실의 형태의 반복성의 경향을 파악하고, 문헌 고찰을 통해 위험관리 활동의 정의와 과정을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위험관리 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32개 병원의 QA 전담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위험관리 활동의 내용은 QA 학회 연제와 의료기관평가내용, 한 의료기관의 실례를 통해 분석하였다.주요 연구결과 첫째, 수술 및 시술에 관한 설명․동의의무 위반(17.9%)과 산부인과 분만 관련 주의의무 위반(11.9%)등에서 과실의 형태가 유사하게 반복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둘째, 위험관리 활동의 현황에서 문항별 시행정도의 평균이 61.95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시행빈도를 보면 사건보고체계 운영, 개선안 마련, 위험관리 활동에 대한 직원교육, 임상지침 개발 및 적용활동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고 동료검토와 의료소송 및 분쟁관련 개선안에 대한 효과평가 활동이 낮은 빈도를 보였다. 일반적인 위험관리 활동과 의료소송 및 분쟁과 관련된 위험관리 활동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의료소송 및 분쟁과 관련된 위험관리 활동이 유의하게 낮은 시행정도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제시한 판례에 대하여, 유사한 의료분쟁을 경험한 병원에서 재발방지를 위한 개선활동의 시행정도는 매우 낮았다.셋째, 개별 의료기관의 위험관리 활동의 시행정도는 평균 33.2점으로 낮았고 시행정도의 편차가 의료기관별로 심하게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위험관리 활동 시행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담자 유무, 의료분쟁 및 소송담당 업무부서와 정보 공유여부가 있었으며 1심 소송건수에 있어서 의료소송의 건수가 타 병원에 비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의료분쟁 및 소송과 관련된 위험관리 활동을 전혀 시행하고 있지 않은 3개 병원을 제외하면 1심 소송건수가 많을수록 위험관리 활동의 시행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넷째, 종합전문요양기관과 500병상 이상의 병원에서 1심 소송건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1심 소송건수가 전담자 유무와 일반 위험관리 활동 대비 의료소송 및 분쟁관련 시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유사한 의료소송판례는 반복되는 경향이 있으나 의료소송의 원인이 되는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위험관리 활동의 시행정도는 미비하며, 특히 의료소송 및 분쟁과 관련된 위험관리 활동의 시행정도가 미비하므로 의료기관의 위험관리 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위험관리 활동 전담자를 두고 의료분쟁에 관한 정보를 위험관리 활동 부서와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며 몇몇 병원들은 의료소송의 경험이 타 병원에 비해 많으면서도 의료소송 및 분쟁에 대한 위험관리 활동을 시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병원의 병원 관리 및 경영에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위험관리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위험관리 활동이 의료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궁극적 예방방안으로서 보다 활성화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a ground data for introducing management through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to prevent a medical dispute that recently has been increasing in the medical institution by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edical dispute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position of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by changable medical lawsuits and grasping the improvement motion about the medical dispute through risk management activities analysis of the medical institution and presenting the future study and the shape of right risk management activities to prevent the medical dispute through some examples of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Study was conducted by grasping repetitive tendency of negligence type by 218 precedent that have been approved of negligence of reasons attributable for these ten years and analysing the result that conducted on expert on QA at the hospital that has been operating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with the questionnaire that based on the definition of cause of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and definite details of the risk management activities was analyzed by the QA institute and hospital services evaluation program and the example of some medical institution.Result :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 negligence was disposed to repeat from violation of the explanation an consent duty about operation and performance. Second,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the average of question item star enforcement degree low-end score seemed with 61.95 pieces, when it saw an enforcement frequency and the staff education against the incident report system operation, an improvement preparation and a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clinical gui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ctivity are high the colleague investigation frequency hold and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the effective evaluation activity with the inside dispute relation improving were visible a low-end frequency. When trying to share with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hich relates with a general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and a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a dispute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hich relates with a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a dispute considered and low-end enforcement degree it seemed and against the judicial precedent which it presents concretely, the enforcement degree of the improvement activity for a recurrence prevention from the hospital where it experiences the medical treatment dispute which is similar was low very. Enforcement degree of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of the third, individual medical treatment agency the deviation of low enforcement degree the medical treatment agency appeared especially seriously with even 33.2 piece. The effect which considers to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enforcement degree of the medical treatment agency with the VIP who goes mad exclusive responsibility sleeping presence, from with medical treatment dispute and lawsuit charge business department there is an information sharing yes or no and there is to 1 core lawsuit number of items and the number of items of medical treatment lawsuit compares in the other hospital and and when it excepted 3 hospitals which do not enforce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hich with a medical treatment dispute and a lawsuit in spite of relates entirely the enforcement degree of the recording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hose 1 core lawsuit number of items will be many considered and. 1 core lawsuit number of items considered from the fourth, overview specialty medical treatment agency and the hospital above 500 conditions with the VIP where the high 1 core lawsuit number of items effect goes mad to an exclusive responsibility sleeping presence and a general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preparation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dispute relation enforcement degree it appeared. When seeing with research result above, the medical treatment lawsuit judicial precedent which is similar there is a tendency which is repeated prevents the medical treatment accident where becomes the cause of medical treatment lawsuit the enforcement degree of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for to be deficient, specially the enforcement degree of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hich relates with a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a dispute is activation of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of the deficient medical treatment agency to be necessary. The hazard which will reach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exclusive responsibility which stands it will cut to let and information regarding a medical treatment dispute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station and necessary to own jointly and the some hospitals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lawsuit compare in the other hospital and to be many it does not enforce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with a medical treatment lawsuit and a dispute they are visible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will be necessary in the hospital civil official and management of like this hospital.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grasps the present condition of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of the medical treatment agency and in the base which will reach it does and the dangerous civil official activity prevents a medical treatment dispute as the ultimate prevention plan for sees the questionable matter of the place where it presents the fundamental data which is activated will be two possibilities.

      • 목회자 사모의 미술치료 경험

        박희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회자 사모의 개인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목회자 사모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04년 5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주 일회 60분씩, 개인미술치료 8회기와 마지막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이 진술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18개의 의미들이 도출되었으며, 이것을 개인미술치료에서 보여진 자연스런 흐름에 따라 6개의 주제로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주제 1 : 낯선 미술치료 - 오랜만에 하는 미술작업에 대한 긴장감 - 이미지로 나를 표현하는 것이 어려움 주제 2 : 과거의 기억과 감정을 재 경험 - 과거의 기억들이 떠오름 - 떠오르는 기억이 그 때의 감정을 재 경험하게 함 - 무의식 속에 있었던 기억이 생각남 주제 3 : 미술 재료에 이끌림 - 나를 위해 준비된 재료에 대한 묘한 감정 - 재료의 촉감이 자연스럽게 손을 움직임 - 재료의 특성이 감정에 영향을 미침 주제 4 : 미술표현을 통한 자기표출 - 미술작품 속에 비친 내 모습 - 억누르고 있었던 감정들이 자꾸 올라옴 - 가슴 속에 담아둔 소망을 표현 주제 5 : 사모로서의 내 모습 - 보이지 않는 선이 있는 인간관계 - 두 얼굴의 플레이어 - 다른 사람을 위한 삶 - 남들은 모르는 나만의 외로움 주제 6 : 미술치료를 통한 성장 - 나의 다양한 모습을 인정하고 수용함 - 다른 사람을 향한 이해력과 포용력의 확장 -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 위와 같이 도출한 결과를 통해 첫째, 목회자 사모들은 낯선 미술치료를 시작하면서 긴장감과 표현의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준비된 미술 재료와 주제를 따라 자연스럽게 과거의 경험과 감정, 현재의 마음과 상황에 대해 표현한다. 그리고 둘째, 목회자 사모들은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의 모습을 새롭게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이해력과 포용력을 넓히고, 자존감이 높아지는 경험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목회자 사모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초기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밝힌 사모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은 목회자 사모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미술치료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the essence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that the wives of pastors had by experiencing the individual art therapy. 4 wives of pastors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Gyunggi province for this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8 times of 60-minute individual art therapy once a week and one last interview from May to September 2004.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at Colaizzi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tatements, 18 meanings were founded and these were categorized into 6 subjects according to the natural stream that the individual art therapy presented. The categorized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 1: Strange art therapy - tension of doing the art work because of a big gap since the last time doing it - hard to express myself with images Subject 2: Re-experiencing the memories and feelings from the past - occurrence of the past memories - the memories from the past make me re-experience those feelings - occurrence of the memories that were placed in the unconsciousness Subject 3: Attracted to the art materials - strange feelings from the materials that were prepared just for me - feelings of the materials move my hands freely -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ffect the feeling Subject 4: Finding myself through art expressions - seeing myself reflected in the art work - constant rising of suppressed feelings - expressing the hopes that were inside of the mind Subject 5: My figure as a wife of a pastor - personal relationship with invisible gaps - a player with two faces - life for other people - loneliness that others do not know Subject 6: Growth through the art therapy - recognizing and accepting my various figures - widening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toward the others - recovering self-confidence through the art work First of all, it is shown that the wives of pastors first experienced tensions and difficulties from starting the art therapy that were strange to them. However, they naturally became more comfortable and were able to express their past experiences and feelings as well as the current mind and situations through the prepared art materials and subjects. Secondly, they could search for and understand their figures through the art therapy. Through those experiences, they could widen their understanding and tolerance as well as experience their high self-confiden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aspect since this was first attempt in Korea to conduct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n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wives of pastors. The significance and the essence of this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wives of pastor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art therapists want to practice the art therapy to the pastors' wives.

      • 초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에 관한 실태분석

        박희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급경영 6개 영역, 즉 교과학습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환경 및 시설관리, 사무관리, 가정 및 지역사회관리의 경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근무지역 및 학급규모, 학급 경영자의 특성인 성별, 교직경력, 보직과 담당학년 요인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학급경영의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1) 학급경영 6개 영역인 교과학습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환경 및 시설 관리, 사무 관리, 가정 및 지역사회관리의 경영실태는 어떠한가? 2) 학급경영실태는 학교 지역별, 학급규모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학급경영실태는 학급경영자의 특성, 즉 성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학급경영실태가 담당 학년 및 보직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1.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변인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검증(관련변인:성별, 근무지역, 보직)과 F검증(관련변인:교직경력, 담당학년, 학급규모)을 사용하였으며, F검증의 사후검증을 위해서 Scheffe´의 개별 비교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유의도는 p<.01,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학급경영실태에 대한 하위 6개의 영역 중 교과지도영역에서는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재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요구되었고, 생활지도영역에서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는 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별활동지도영역에서는 교과와 연계한 다양한 현장체험학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경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시설이나 환경정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와 학부모, 지역사회 모두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학교·학급경영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급경영영역 중 교과학습지도에 대한 경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교과지도라는 점에 비추어 보았을 때 반성해 보아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교사들의 업무나 잡무를 경감시켜 교사들이 교재를 연구하고, 교수를 개발하는 데 힘쓸 수 있는 교육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어촌이나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복지와 교육환경에 좀더 세심한 배려가 있을 때 효율적인 학급경영이 이루어 질 것이다. 또한 소규모 학교에서는 교사들의 업무를 보조해 줄 수 있는 보조원을 지원해 주고, 교과전담교사들도 배치하여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급경영자의 특성별로 학급경영실태를 살펴보면, 남교사와 여교사의 학급경영 수행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급경영의 차이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아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교사가 남교사보다는 교과학습지도와 환경 및 시설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므로 남교사들의 교과학습지도나 교육환경에 관한 더 깊은 관심이 요구된다. 교직경력별로 보면 15-24년의 교직경력의 교사들이 가장 높은 학급경영 수행능력 보여주고 있다. 학급경영은 풍부한 교육경험과 전문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교직경력은 학급경영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학급경영능력이 부족한 저경력 교사들을 위해 현직연수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경력이 부족한 교사들은 경력이 많은 동료교사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인 교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교경영자나 정부에서는 학급경영자의 잡무를 경감시켜 학급경영자들이 교과학습지도를 비롯한 학급경영에 힘쓸 수 있고, 교사 본연의 임무인 가르치는 일에 충실할 수 있는 교육여건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어촌이나 학급규모가 작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학급경영 수행의 질을 높이고 교육여건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농·어촌 지역에 우수한 교사를 유치하기 위해 임용과 승진 시 가산점을 부여하고, 소규모 학교에 보조원을 지원해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교사 스스로도 꾸준한 자기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저경력 교사들을 위한 경영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장학, 동료장학을 활성화하고, 연수의 기회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풍부한 교직경험과 전문성을 갖은 전문교사들을 확보해 초임교사들의 수업운영과 교·내외 장학활동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six areas of class managemen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mely, curricular teaching, life guidance, special activity guidance,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family and community management,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school location, class size and class manager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and grade in charge,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 management. For these purposes, we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How 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 management in the six areas - curricular teaching, life guidance, special activity guidance,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family and community management? 2) Is class management different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school location and class size? 3) Is class management different according to the class managers characteristic such as gender and teaching experience? 4) Is class managemen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grade in charge and whether teacher with position or without? In order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 management, this study processed collected data using SPSS 11.0 and performed t-test (with variables gender, school location and position) and F-test (with variables teaching experience, grade in charge and class size) to test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and performed Scheff?s individual comparison for the post-test of the result of F-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significance level of p<.01 and p<.05.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ix sub-areas of teachers class management, curricular teaching required teachers attention to the reorgan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learning, and life guidance required sex education fit fo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Special activity guidance was in need of various field experience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management, there should be support fo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he school, parents and the community should all participate in school and class management with high interest. Second, among the sub-areas of class management, teachers performance in curricular teaching was found to be lowest. Considering that teachers most important role is curricular teaching, teachers must examine themselves concerning their teaching. In addition, they should be relieved from duties irrelevant to teaching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hird, teachers working at rural areas or small schools need government-level supports. For more efficient class management, more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welfa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teachers in rural areas. Moreover, teachers at small schools should be helped by assistant teachers and subject-speciality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ir workload. Fourth, as for cla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lass managers characteristics, class manage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but it wa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difference in class management does not come from the difference in gender but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However,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interest in curricular teaching and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than male ones. Thus, male teachers need to take more interest in curricular teach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15-24 years teac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class management. Because class management demands rich experiences and specialty in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has a huge effect on class management.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training should be expanded for teachers with short teaching experience and, consequently, poor class management abilities. Moreover, teachers with short teaching experience must make efforts to teacher with the help of fellow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chool managers and the government must make efforts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 by reducing class managers miscellaneous duties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class management including curricular teaching and carry out their original job of teaching to the full. In addition, government-level support is necessary for teachers at rural areas and at schools with small class size so that they can perform class management in high quality. In order to induce high-quality teachers to work at rural schools, they should be given incentives in appointment and promotion, and teachers at small-size schools should be provided with assistant teachers to reduce their workload. Teachers themselves also exert themselves for improvement. Particularly for teachers with short experience to improve their level of management, self-supervision and colleague supervision should be activated and opportunities for training should be expanded. Moreover, subject-speciality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and high expertise should be secured and utilized in new teachers class management and internal and external supervisory activities.

      •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희연 仁濟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시설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에 있는 아동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초등학교1-4학년(만7세-10세)으로 음악치료 경험이 없는 아동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위한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40분씩, 주 2회, 총 16회기에 걸쳐 그룹세션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측정 도구로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우리나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척도를 박은진(2008)이 시설아동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의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디오 녹화 자료 관찰을 통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음악적 반응 및 비음악적 반응 변화를 아동별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 아동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향상되었다.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보면, 평균이 사전 3.47, 사후 4.72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57. p<.05). 또한 개인별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 시설에서의 자아존중감 사후 검사 역시 사전 검사에 비해 향상된 점수 변화를 보였다.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음악적 및 비음악적 반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아동이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진행함에 따라 음악적 및 비음악적으로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창작음악극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시설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Intensive study on the magnetic relaxation properties of the superconducting coated conductor : 초전도 시료의 자기이완 특성에 대한 심층 연구

        박희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초전도체는 전력 기기를 비롯하여 의료분야, 핵융합, 가속기 등 과학 및 산업 여러분야에서 이용 되고 있으나 실용화 하는 데에는 아직까지 장애물이 되는 요인들이 많이 있으며 그 중 자기이완현상(magnetic relaxation)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들 중의 하나이다. 자기이완현상은 시간에 따라 자기 모멘트 (magnetic moment)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초전도체의 마그네틱 모멘트를 측정함으로써 쉽게 관찰할 수 있는데, 이 자기이완현상으로 인해 초전도체 내부에 흐르는 전류도 감소하게 된다. 자기완화현상은 전기적 저항의 영향도 있겠지만 초전도체 내부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된 (thermally activated) 자기력선(flux)들의 운동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자기이완현상이 중요한 연구 주제 중의 하나인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 자기이완현상은 그 자체로서 중요하다. 자기이완현상을 측정함으로써 열적활성화에너지(thermal activation energy)나 차폐 전류(shielding current)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이완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 온도, 자기장, 기하학적인 모양 등과 같은 매개 변수에 따른 자기완화현상의 변화를 분명하게 밝혀야 하며, 열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와 앞서 언급한 매개 변수와 결합된 보다 복잡한 이론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고온초전도체의 상태도(phase diagram), 피닝 메커니즘(pinning mechanism), 및 열역학(thermodynamics)과 관련된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 자기이완현상은 전류-전압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전류 밀도에 대한 온도 및 시간 의존성은 자기부상(magnetic levitation) 또는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에 사용되는 영구 자석과 같은 고온 초전도체의 안정성에 기반을 둔 장치에 대한 한계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기이완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고온 초전도 기술의 상업화에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을 통해 GdBCO 고온 초전도 박막 시료를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patterning) 하여 시간에 따라 자기 모멘트(magnetic moment)의 값이 줄어드는 자기이완현상을 저온 홀 소자 현미경(LTSHPM)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고온초전도체를 응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교류 손실 또한 해결해야할 문제 중의 하나이며, 선재를 필라멘트 형태로 나누어 가공 하였을 때 교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본 실험에서는 시료를 스트립형태로 패터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스트립 형태의 시료, 이중 스트립 형태의 시료 및 삼중 스트립 형태로 시료를 패터닝 하여 자기이완현상을 국소적으로 측정하였다. 이중 스트립 및 삼중 스트립 형태의 시료는 끝 부분이 연결된 것과 연결되지 않은 두가지 형태를 고려하였다. 단일 스트립의 경우, 시료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 큰 자기이완율(magnetic relation rate)을 보였으며 가장자리로 위치를 옮겨갈수록 자기이완율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시료의 가운데 부분이 연결된 이중 스트립과 삼중스트립의 자기이완율을 시료 끝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것과 비교하였을 때, 끝 부분이 연결된 시료는 단일 스트립 형태의 시료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이중 스트립의 경우, 단일 스트립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하는 왼쪽 스트립의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 오른쪽 스트립의 왼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장 큰 자기이완율을 보였으며, 이중 스트립을 단일 스트립으로 생각하였을 때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하는 왼쪽 스트립의 왼쪽 가장자리, 오른쪽 스트립의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자기이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의 끝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스트립의 경우에는 시료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스트립이 단일 스트립처럼 시료의 가운데서 가장 큰 자기이완율을 보였으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자기이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시료 전체의 평균적인 자기이완율을 하나의 값으로 나타내는 MPMS와는 달리 각 영역에서의 자기이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앞서 측정한 자기 이완 데이터로부터 단일 스트립과 이중스트립의 열적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열적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여러가지 모델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확산 방정식(diffusion equation)으로부터 열적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전류에 따른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여 이를 전류 밀도에 따른 전기장의 크기로 변환하여 점성률(viscosity coefficient)을 계산하였으며, 앞서 측정한 자기이완 및 위치에 따른 자기이완 변화율을 이용하여 열적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였다. 표준편차의 오차 내에서 위치와 일정함을 보였으며, 잘 알려진 열적활성화식, 즉 시간에 따라 열적활성화에너지가 증가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잔류자기장(remanent magnet field), 자기 이력 손실, (magnetic hysteresis loss), 그리고 자기이완현상(magnetic relaxation)을 동일한 조건,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하였으며, 정규화(normalization) 하여 비교하였을 때, 서로 비례관계에 있는 것을 실험 데이터로부터 확인하였다. 이러한 비례관계를 원반 모양의 원통형(disc-shaped cylinder) 시료 에 박막 근사치(thin-film approximation)를 취하여 본 실험의 사용된 박막 시료에 적용할 수 있는 수식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local magnetic relaxation properties of GdBa2Cu3O7-δ (GdBCO) coated conductor were investigated using low-temperature scanning Hall probe microscopy (LTSHPM). The loss of alternating current remains a problem i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however, it can be reduced when the superconductor is processed into filaments as alternating current loss is related to the width of the sample. Here, samples were patterned into filaments by photolithography and processed into single, double, and triple strips placed in parallel. In addition, two types of double and triple strip samples were considered: connected and unconnected. First, the local magnetic relaxation of patterned samples with various shapes is presented, and the features of local magnetic relaxation dependent on the sample shape are described. In addition, the local magnetic relaxation was compared with data obtained using a magnetic property measurement system (MPMS), showing the average magnetic relaxation rate of an entire sample with one value, and characterizing each sample with different relaxation rates at each position. Next, the thermal activation energies of single and double strips were calculated from the magnetic relaxation data. Various models suggest methods different methods to calculate thermal activation energy; however, in this study, the thermal activation energy was calculated from the diffusion equation without reference to a specific model. The variation of activation energy with time and position is described. Finally, the proportional relations between the remanent field, hysteresis loss, and magnetic relaxation are provided. Thin-film samples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however, there is no appropriate equation for thin films. Therefore, a mathematical relation was derived by taking a thin-film approximation of the formula for a disc-shaped cyli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