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과 동반된 임신 1예

        캐더린,김태진,정환욱,김혜선,이기헌,종택,심재욱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자궁내막암과 관련된 임신은 드물다. 폐경기 여성과 임신을 원하지 않는 여성에서 자궁내막암의 치료는 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절제술이지만, 젊은 가임기 여성은 보존적 치료로 호르몬요법이 행해진다 26세 불임여성이 본원을 내원하여 자궁내막암 진단을 받은 후 황체호르몬으로 약물 치료를 12개월 동안 받았고 약물 치료 종료 10개월 후 임신이 되었으나 계류유산으로 자궁내막 소파술을 시행한 결과 선암과 임신이 동반되어 있었다. 저자들은 임신과 동반된 자궁내막암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Endometrial cancer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endometrial cancer associated with pregnancy is uncommo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are the primary operative procedures for endometrial cancer. The conservative treatment by progestin therapy could be considered to who wished to preserve the childbearing ability. We report a case about a 26-year-old women with focal well 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she was treated with progestin therapy (megesterol acetate) for 12 months. Thereafter, she was diagnosed with missed abortion and underwent a dilatation and curettage.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issue included chorionic villi and focal well 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ocarcinoma. We have experienced the coexistence of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pregnancy.

      • KCI등재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

        캐더린 ( Katherine Pak ),김수정 ( Su Jung Kim ),임하정 ( Ha Jung Lim ),김은정 ( Eun Jeong Kim ),이원식 ( Won Sik Lee ),오민정 ( Min Jeong Oh ),최준식 ( June Seek Choi ),허걸 ( Kuol Hur ),정상희 ( Sang Hee Jung ),안현경 ( Hyun Ky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산전 초음파검사 중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받은 산모에서 양수 량에 따른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를 통해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된 170예에서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1군은 양수지표가 20.0-25.0 ㎝으로 2군은 >25.0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양수과다증의 빈도는 0.54% (170/31,358)이였다. 대표적인 태아기형은 위장관계 (10/34, 29.4%), 비뇨생식기계 (9/34, 26.5%), 중추신경계 (6/34, 17.7%), 심혈관계 (3/34, 8.8%), 신경근계 (2/34, 5.9%) 호흡기계 (1/34, 2.9%)와 기타 (3/34, 8.8%)로 분석한 결과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43). 두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면, 낮은 5분 Apgar score, 출생 후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환아와 출생 전 자궁 내 태아사망 등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양수과다증과 동반한 태아기형은 20% (34/170)으로 나타났고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143), 주산기 예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태아기형의 유형을 보면, 제 2군에서 중추신경계, 위장관계와 심혈관계 기형이 더 흔하게 나타났으며 제 1군은 비뇨생식계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양수지수 25㎝을 기준으로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한 것으로, 양수지수가 >25㎝인 경우 더 중한 태아기형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polyhydramnios. Methods : Ultrasound examinations from January 1998 to August 2001 were reviewed to identify 170 patients with singleton pregnancy which diagnosed polyhydramnios.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amniotic fluid index (AFI) 20.0-25.0 ㎝ as group 1 and AFI >25.0 ㎝ as group 2. Results : The prevalence of polyhydramnios was 0.54% (170/31,358). The types of structural anomalies were gastrointestinal system (10/34, 29.4%), genitourinary system (9/34, 26.5%), central nervous system (CNS, 6/34, 17.7%), cardiovascular system (CVS, 3/34, 8.8%), neuromuscular system (2/34, 5.9%), respiratory system (1/34, 2.9%) and others (3/34, 8.8%). The structural anomaies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low 5-min Apgar score (<7), large for gestational age (LGL, 95 percentile), Nursery Intensive Care Unit (NICU) visitation and perinatal dea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fetal anomaly was 20% (34/170)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143). However, the perinatal outc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NS, gastrointestinal system and CVS anomalie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2 (AFI>25.0 ㎝) and genitourinary system anomaly was dominant in group 1 (AFI 20.0-25.0 ㎝). Polyhydramnios (AFI>25.0 ㎝) indicated an increased risk of severe fetal anomaly.

      • KCI등재

        난소갑상선종의 임상적 다양성

        김수정,박캐더린,임하정,윤경호,성석주,김태진,임경택,정환욱,인서,심재욱,종택,이기헌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양성 기형종에서 발견되는 난소 갑상선종의 다양한 임상적, 초음파적, 그리고 병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저자들은 삼성제일 병원에서 최근 5년 (1997-2001년) 동안 경험한 33예의 난소갑상선종을 토대로 진단 당시의 연령 및 폐경유무, 비특이적 증상에서부터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특이 증상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양상, 초음파적 그리고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난소갑상선종 환자의 평균 연령은 40.5세였고, 대부분 가임기 여성이였다. 14예만이 하복부 통증이나 복부종괴 촉지, 불규칙 자궁 출혈 등의 비특이적 증상을 호소하였고, 그 외의 다수 환자들은 정기 초음파 진단을 통해 난소 종양을 의심하게 되었다. 갑상선 조직이 포함된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11예에서 복수를 동반하였고, 3예에서는 CA-125 증가 소견을 보였다. 초음파상 11예에서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 받았으나, 대부분의 예에서는 난소기형종으로 진단 받았다. 결론 : 난소 갑상선종은 임상양상, 검사실 소견, 영상 진단 소견 등에 있어 특징적 소견없이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종양으로, 수술 후 조직검사 소견으로만 진단 가능하였다. 대부분의 난소갑상선종은 양성으로, 그 치료는 외과적 적출술만으로 충분한 것으로 사료되나, 악성 난소갑상선종의 치료에 있어서는 더 많은 경험이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더글라스와내의 성숙 기형종 1 예

        이원식(Won Sik Lee),김주명(Joo Myung Kim),심규민(Kuy Min Shim),캐더린(Katherine Pak),주관영(Kwan Young Joo),이인국(In Kook Lee),김혜선(Hey Su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3

        The mature cystic teratoma is most common in the ovary, and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mature cystic teratoma in female genitalia such as fallopian tube, uterus and pouch of douglas. The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is very rare, which was reported only twice in the world. The pathogenesis of the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is not established. We experienced a case of mature cystic teratoma in the douglas pouch associated with pregnancy, which was diagnosed by the ultrasonography at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remained at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without change of size. We repor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