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

        캐더린박 ( Katherine Pak ),김수정 ( Su Jung Kim ),임하정 ( Ha Jung Lim ),김은정 ( Eun Jeong Kim ),이원식 ( Won Sik Lee ),오민정 ( Min Jeong Oh ),최준식 ( June Seek Choi ),허걸 ( Kuol Hur ),정상희 ( Sang Hee Jung ),안현경 ( Hyun Ky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산전 초음파검사 중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받은 산모에서 양수 량에 따른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를 통해 양수과다증으로 진단된 170예에서 태아기형 및 주산기 예후를 1군은 양수지표가 20.0-25.0 ㎝으로 2군은 >25.0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양수과다증의 빈도는 0.54% (170/31,358)이였다. 대표적인 태아기형은 위장관계 (10/34, 29.4%), 비뇨생식기계 (9/34, 26.5%), 중추신경계 (6/34, 17.7%), 심혈관계 (3/34, 8.8%), 신경근계 (2/34, 5.9%) 호흡기계 (1/34, 2.9%)와 기타 (3/34, 8.8%)로 분석한 결과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43). 두 군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면, 낮은 5분 Apgar score, 출생 후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환아와 출생 전 자궁 내 태아사망 등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양수과다증과 동반한 태아기형은 20% (34/170)으로 나타났고 두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143), 주산기 예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태아기형의 유형을 보면, 제 2군에서 중추신경계, 위장관계와 심혈관계 기형이 더 흔하게 나타났으며 제 1군은 비뇨생식계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양수지수 25㎝을 기준으로 양수과다증 산모에서 태아기형 빈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한 것으로, 양수지수가 >25㎝인 경우 더 중한 태아기형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polyhydramnios. Methods : Ultrasound examinations from January 1998 to August 2001 were reviewed to identify 170 patients with singleton pregnancy which diagnosed polyhydramnios. Frequency of fetal anomaly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amniotic fluid index (AFI) 20.0-25.0 ㎝ as group 1 and AFI >25.0 ㎝ as group 2. Results : The prevalence of polyhydramnios was 0.54% (170/31,358). The types of structural anomalies were gastrointestinal system (10/34, 29.4%), genitourinary system (9/34, 26.5%), central nervous system (CNS, 6/34, 17.7%), cardiovascular system (CVS, 3/34, 8.8%), neuromuscular system (2/34, 5.9%), respiratory system (1/34, 2.9%) and others (3/34, 8.8%). The structural anomaies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low 5-min Apgar score (<7), large for gestational age (LGL, 95 percentile), Nursery Intensive Care Unit (NICU) visitation and perinatal dea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fetal anomaly was 20% (34/170)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143). However, the perinatal outc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NS, gastrointestinal system and CVS anomalie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2 (AFI>25.0 ㎝) and genitourinary system anomaly was dominant in group 1 (AFI 20.0-25.0 ㎝). Polyhydramnios (AFI>25.0 ㎝) indicated an increased risk of severe fetal anoma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