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비나스의 ‘얼굴’, 윤리학적 해석이 가능한가?

        박치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Other(Autre) is often mentioned with Levinas and his ethics. However, how can ethics be related to Levinas' argument which is unfamiliar to general grammar of philosophy? The necessity for Levinas' ethics of Other could raise two matters: indifference about many ethical issues or totally clueless condition of ethics itself. This paper would try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mentioned. It will reconstitute his philosophy focused on Face(visage) which is misunderstood by many researchers. His ethics is basically the ethics of Autre absolu(Infini/Dieu). Accordingly, Visage, lnfini and Dieu mean the same. But suppose this is secularized referred to ethics. This assumption comes from misunderstanding of his intention. It means that we can mistake his messianic vertical ethics for horizontal ethics of other general. In the 21th century the ethics of coexistence and harmony requires more than hospitality of absolute other. Levinas also emphasized that modern ethics should be the care of les hommes including “orphan, widow and stranger". How can Levinas' ethics as the first philosophy accomplish its proper duty? We have to extend our attention from Europe to global world as well as from Jew to all mankind. It is not absolute other but other general that should be included in ethical argument. ‘타자’라는 개념이 언급될 때면 언제나 레비나스가 언급되며, 또한 ‘윤리학’이 언급된다. 하지만 철학의 일반적 문법과는 다소 생소한 레비나스의 주장들은 과연 윤리학과 어떤 긴밀한 관계가 있을까? 그가 주장하는 타자의 윤리학은 우리로 하여금 현대의 무수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무관심하게 하거나 ‘윤리학’ 개념 자체를 오리무중 상태에 빠지게 하는 것은 아닐까?우리는 본고에서 이러한 의문을 해결해보려고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오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을 재구성해볼 생각이다. 기본적으로 그의 윤리학은 ‘절대타자’의 윤리학이다. 즉 그에게 있어 <얼굴=무한=신>은 동일한 의미이다. 그런데 이를 윤리와 연관된 내용으로 세속화시킨다고 가정해보라. 이것은 분명 레비나스의 본래 의도를 곡해한 것이다. 또한 그의 메시아적 수직 윤리를 타자 일반의 수평 윤리로 착각한 것이다. 21세기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공존과 조화의 윤리는 절대타자를 환대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레비나스 역시 자신이 자주 인용하는 성경 구절인 “고아, 과부, 이방인”을 포함해 “사람들”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것이 현대 윤리학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레비나스의 제일철학으로서의 윤리학이 윤리학의 본래적 임무를 수행하는 데 기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답은 간단한데서 찾을 수 있다. 우리의 관심을 절대타자에서 ‘타자들’로, 유럽에서 지구촌으로, 유대인에서 인류로 확장시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윤리학의 과제는 절대타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타자 일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 KCI등재

        미셸 메이에르의 철학적 수사학 : 언어와 주체성에 대한 반성

        박치완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5 No.-

        수사학은 철학의 지도 이념이 붕괴될 때면 예외 없이 등장하곤 하는 술학(術學) 중의 하나이다. 근대의 지도 이념인 이성과 보편성, 확실성에 도전한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후기구조주의와 더불어 철학계에서도 수사학을 논증, 설득, 글쓰기 등과 관련해 널리 그 효용성을 인정하고 있는 편인데, 이는 우리가 철학적으로 자기 변화를 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선두 계열에 우리가 본고에서 살펴보려고 하는 미셸 메이에르(Michel Meyer)가 위치하고 있다. 메이에르는 자신의 신수사학을 문제제기론(proble´matologie)이란 이름으로 정착시켰는데, 그 핵심은 서양 철학사 전체를 물음을 묻고 대답하는 과정(processus de questionnement)을 통해 새롭게 해석한데 있다. 그리고 그 새로운 해석을 통해 메이에르는 사유에 대한 언어(langage de la pense´e) 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촉구하며, 사유에 있어 고유한 언어(Logos)는 이런 저런 대답들에 의해 고착화되지 않는 근본 물음(question radicale)이라는 제안을 한다. 그에 따르면 이 물음이 자기와 타인, 저자와 독자, 발화자와 발화 상대자가 만나는 공간이자 수사학의 모태이다. 그리고 이렇게 양자 사이에서 물음이 교환된다는 것은 곧 자기와는 다른 의견을 가진 자, 즉 차이(Diffe´rence)를 서로 인식하고 교환한다는 것과 연관된다. 물음과 차이가 메이에르의 문제제기론, 즉 그의 신수사학의 두 핵심 개념인 셈이다. 특히 메이에르가 동일성과 보편성의 대(對) 개념이기도 한 차이를 자유로운 개인의 주체성(subjectivite´)의 표현(교환)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라 하겠다. 그에 따르자면 인간의 “보편적 권리(droit universel)인 차이가 존중될 때 진정한 휴머니즘이 가능하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메이에르의 신수사학을 근대의 보편·절대적 주체를 타인과의 관계 속의 주체, 언어를 통해 자신의 주체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인간으로 정립시키려 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나름의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Whenever ideology deconstructs, rhetoric emerges. Many philosophers who have traditional backgrounds treat rhetoric as an art of speaking. They often discuss demonstration, persuasion, philosophical writing, etc., together with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that challenge "reason", "universality", "certainty" as the ideology of modernity. This situation means for us to make a search for something else than the ideology of modernity. This is the reason why we look into Michel Meyer's theory in this article. Meyer calls his new rhetoric problematology. The core of this method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by the process of questioning. In this process, Meyer requests a fundamental reflection about the langage of thought, and proposes a essential question about Logos that is not fixed by such and such answer and is proper to the language of thought. Following his suggestion, the essential question will be the idea that the self meets the other; the author meets the reader; and the speaker meets the hearer. All these could be essential to the matrix of rhetoric. And, the fact that the former exchanges questions with the latter is related with the concept that they can recognize and exchange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question and the difference are the key concepts of Meyer's problematology and rhetoric. It is remarkable that he puts the difference down the expression(exchange) of subjectivity of free individual despite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s undoubtedly a counter concept of identity and universality. According to him, when a difference as the universal right is respected, a true humanism is possible. So in this article, I try to analyse and show his problematological rhetoric with the point that his rhetoric substitutes an individual who freely expresses one's own subjectivity by language and the subject in relation to others for universal and absolute subjects in modern age.

      • KCI등재

        레비나스의 수사학: 그의 어법(語法)과 논법(論法) 재고

        박치완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In the period of the first wave centered on Totality and Infinity, Levinas philosophy promoted ethics as the first philosophy and popularized ‘ethics of other(s)’. In the period of the second wave centered on Otherwise than being, it was a period of debate with colleagues within France.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Judaism” and “God” appear frequently in his writings. The third wave is the period when Levinas‘ research is localized in Africa, Latin America, and Korea, and as his philosophy and ethics spread over the world, it tends to evolve into applied research. One of the things that stands out especially in the third wave of Levinas' research in Africa, Latin America, and Korea is that there are a number articles that argue that Levinas's mode of expression and logic of argument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lso in this study, i) whether there is any misunderstanding in his descriptions and comments about other(s), ii) what difficulties readers face by mixing autrui, Autrui, autre, Autre, les autres, etc. without clearly distinguishing them; iii) And finally, by pointing out the problems inherent in his mode of expression and logic of argumenta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why his ethics cannot be said to be an ethics for “others in general” or for “general others”, and whether his philosophy is criticized for being unsystematic and unstable. 레비나스의 철학은 『전체성과 무한』을 중심으로 한 제1의 물결 시기에 윤리학을 제일철학으로 등극시키며 ‘타자의 윤리학’을 브랜드화는 데 성공했다. 『존재와 다르게』를 중심으로 한 제2의 물결의 시기에는 프랑스 내부에서 P. 리쾨르, J.-F. 리오타르 등 동료들과 논쟁을 거친 시기로, 그의 고유 브랜드인 ‘타자의 윤리학’은 한 발 뒤로 물러나는 경향을 보이며, 유독 이 시기에 그의 글에서 ‘유대주의’, ‘신’이 빈번하게 등장한다. 제3의 물결은 아프리카, 중남미, 한국 등 레비나스의 연구가 제3세계에서 적극 수용되는 시기로, 그의 철학과 윤리학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응용연구로 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제3의 물결의 시기에 특히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레비나스의 어법과 논법에 대해 재고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논문들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도 i) 레비나스의 ‘타자(l’Autre)’, ‘타인(l’Autrui)’에 대한 기술과 언급에 어떤 오해의 소지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며, ii) 특히 그기 l’Autre, l’autre, l’Autrui, l’autrui, les autres 등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혼용함으로써 독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성찰하는 기회를 가져볼 계획이다. iii)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그의 어법과 논법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그의 윤리학이 왜 ‘타자 일반’이나 ‘일반 타자’를 위한 윤리학이라고 평가하기 어려운 것인지, 그의 철학이 비체계적이고 불안정한 구조라는 비판을 받는지를 소개해볼까 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의 창으로 재평가한 홍일식의 문화영토론

        박치완 한국동서철학회 2024 동서철학연구 Vol.0 No.111

        The border walls are soaring into the sky. This can be considered the direct cause of cosmopolitanism not emerging from hibernation. As the world moves towards greater standardization under the conceptof "Oneness," inequality and cultural discrimination between countries will grow proportionally, and “citizens of the world” may never have their original faces(all human beings). Here in lies the reason why global citizenship has not emerged as a central topic in the global intellectual world and always hovers on the periphery. However, mysteriously, globalization has recently been manifesting itself under the guise of cosmopolitanism. The world domination of global capitalism is disguised as cosmopolitanism. The reality of the global community we face today is that the tyranny of barbaric neo-liberalism regards even cosmopolitanism as prey. This is why the anti-globalization or alternative globalization movement has evolved into a form of critical cosmopolitanism. Critical cosmopolitanism can be summarized as the reexamination of "humanity" through the principles of diversity and openness.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al territory”, Hong Il-Sik maintained a critical stance against the tendency of political and economic uniformity centered on powerful countries, which can be considered a hotbed of inequality between countries and cultures, and dreamed of a democratic, humanistic, and peace-oriented world order. This is why we want to provide a place to newly evaluate the cultural philosophy of Hong Il-Sik. The essence of Hong Il-Sik's cultural cosmopolitanism lies in establishing a new "cultural territory" rooted in the particularity of local cultures, and to promote human culture through the principles of altruism, humanism, and peaceful coexistence on the newly constructed territory called “Earth”. Hong Il-Sik's theory is “‘cultural' cosmopolitanism” because it is a cultural theory based on the ‘global community', and because it is a philosophy designed to preserve humanity, thus it can be classified as "neo-humanistic cosmopolitanism."

      • KCI등재
      •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십자가-감성 및 예술(시)과 공존하는 철학을 위해-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03 존재론 연구 Vol.8 No.-

        이성과 형식은 우리에게 편안, 안위를 제공한다. 기술과 과학의 뼈대를 이루는 것도 사실 이성과 형식이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이성과 형식은 인간의 사유터를 축소시켜왔고, 삶의 숨통을 막아왔다는 내적 한계를 갖고 있다. 문명적이나 反자연적인, 효율적이나 反노동적인 것들이 이성과 형식의 비만증을 양산하고 있는 상황이 이를 증명한다 하겠다. 이 과정에서, 하이데거가 말한 대로, 존재자는 성하고 존재는 점점 망각되어간다. 존재가 망각되어 갈수록 세계의 숨결은 거칠어질 것이 뻔하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이러한 상황을 맞게된 근본 원인의 제공자는 다름 아닌 이성과 형식을 신앙처럼 믿어 온 인간 자신에 있다. 하여, 우리에겐 이성, 기술, 과학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는 결단이 절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존적 결단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존재의 현재 모습을 외부가 아닌 자신에게서 문제삼고 반추하는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성과 형식이 아닌 감성, 상상력에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상상력은 사물에서 인간까지, 지상에서 경계 없는 우주까지, 죽을 존재자에서 영원한 존재까지를 연결·소통시켜주는 유일한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우리에게 상상력은 사고의 영원한 모태이자 윤활유이며, 이 상상력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기존에 주어진 철학적 대답들을 다시 물음으로, 또 다시 새로운 물음으로 계속해 이어갈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와 바슐라르의 사상적 괘적을 좇아 이성과 형식의 이면을 존재와 이미지를 화두 삼아 감성의 능력과 상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글로컬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새로운 지형도 - 동서사상의 간발적(間發的) 교류를 위한 시론 -

        박치완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8 No.-

        오늘날 지식정보는 사람과 사람, 매체와 매체, 국가와 국가, 문화와 문화 간의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로까지 논정 (論定)되고 있다. 지식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정보공시가 필요하다는 국내외적 요구는 이러한 지식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의 디지털화와 정보화는 창의적 지식생산의 본래 목적에 부합한다고 간주하기 어렵고, 지식의 공적 사용과 향유에도 위배된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의 디지털화와 정보화가 오히려 지식의 독점화라는 역설을 낳고 있으며, 이는 곧 새로운 유형의 지식의 식민화라 볼 수 있다. 질 들뢰즈의 ‘지리철학’ 개념이며, 조너선 색스의 ‘문 화적 특수성’, 클리포드 기어츠의 ‘지식의 장소성’에 대한 논의가 적지 않은 사람들 로부터 설득력을 얻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식, 특히 인문지식은 자연과학적 지 식이나 기술적 지식과 달리 문화적 로컬리티를 모태로 생산되고 소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예나 지금이나 동서사상 간에 ‘간발적 교류’가 원활하지 않았던 것도 이 때 문이다. 양자 간에 가로놓인 문화적 장벽이나 지식 격차가 디지털시대가 되었음에 도 불구하고 극복되기 쉽지 않은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따라서 서구유럽의 지 역지(savoir local)가 마치 보편지나(savoir universel) 세계지(savoir global)처럼 포 장돼 문화적 개입을 일삼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지식이 글로벌 강자들의 지배 의 논리로 전락하거나 지식의 식민화를 정당화하는 무기로 사용되어서는 곤란하다. 모름지기 지식은 온 인류에게 유익한 공공재, 인류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본질이 있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글로컬 시대’를 맞이해 지식의 공공성, 즉 지 식의 공적 공유가 얼마나 중요하고 시급한지를 우리 모두가 되새겨보아야 할 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