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철학과 문화학

        신응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5 철학탐구 Vol.17 No.-

        이 글의 목적은 서구의 문화철학과 문화학의 관련성을 해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문화철학과 문화학의 연구 경향 및 연구 방법론을 토대로 특히 문화철학이 문화학 연구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서 필자는 우리에게 가장 대표적인 문화철학자로 알려진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의 입장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현재까지 진행된 서구의 문화학 연구의 대체적인 경향을 읽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또한 문화철학과 문화학 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2장에서는 서구 문화학 연구의 범위, 문화철학과 문화학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서구 문화학의 연구 경향과 연구 방법론에 대해서 논의하도록 한다. 그리고 4장은 이 글 전체의 핵심 부분으로서, 문화학의 측면에서 본 카시러 문화철학의 업적과 영향을 다루도록 한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문화학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카시러의 논의들 가운데 ‘문화와 상징의 관련성’, ‘문화적 기억’, ‘상모적 세계관’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문화철학과 문화학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의 환경에서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해할 측면에 대해 고려해 보면서 논의를 마무리하도록 한다. This thesis aims to show the research and methodology of the western Cultural Science in terms of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y of Culture. Especially, in the study of Cultural Science, we will deal with the research and method of the Philosophy of Culture in Ernst Cassirer.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urrent inclination in the Cultural Science to us, and supply us with the preliminary data for East Asia Cultural Science. In this concerning, firstly we will discuss the scope of the Cultural Science in the relation to the Philosophy of Culture and the Cultural Science. Secondly, we will show the research and methodology of the Western Cultural Science. Thirdly, we will deal with the importance of the Cassirer's Philosophy of Culture in terms of Cultural Science. In this part, we will concentrate on this point, that is, relation of Culture and Symbol, Cultural Memory, namely, Mnemosyne, the Physiognomical viewpoint. Finally, I will suggest some ideas for the sake of research and methodology of East Asia Cultural Science.

      • KCI등재

        W. 딜타이와 G. 짐멜의 삶의 개념과 이해 개념 : 삶의 철학의 복권을 위한 시론

        최성환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5 No.-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딜타이와 짐멜의 삶의 개념과 이해 개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삶의 철학의 복권을 위한 출발점을 마련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이와는 별도로 짐멜에 대한 관심이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된다는 점에서 짐멜 철학에 대한 소개는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짐멜의 사상이 철학보다는 사회학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철학적 탐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의 사회학적 논구의 뿌리가 바로 인간, 사회 그리고 세계에 대한 철학적 이해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가 추구하는 삶의 철학에의 길은 유행에 민감한 오늘날의 철학적 사유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에서 시작한다. 시대를 선도하는 사상이 분명 존재하며, 그런 사상의 눈으로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려는 것도 분명히 의미있는 일이다. 그러나 철학의 본질은 시대 속에 안주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문제점을 부각하여 새로운 좌표를 제시하는 반시대적 고찰에 놓여 있다. 19세기 중반 이후 삶의 철학은 주지하다시피 통일과학을 지향하는 실증주의에 반하여 등장하게 된다. 오늘날 과학주의(혹은 자연주의)의 위력이 더 강해졌고, 여전히 과학적 세계관의 폐해에 관해 담론이 쏟아지면서도 삶에 대한 철학적 논구가 중심적 주제로 등장하지 못한다는 것은 철학의 직무유기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좀 더 적절하고 충실하게 삶의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때 철학을 포함한 인문학에 대한 외면에서 벗어나 그야말로 삶속에 뿌리내리는 철학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Lebensphilosophie hat zur Zeit kein Konjunktur. Aber dies beduetet nicht, daß das Leben nicht mehr einen Gegenstand der philosophischen Reflexion sei. Im Leben versuchen wir zu philosophieren, nicht umgekehrt. Daher ist das Leben ein permanenter Ausgangspunkt, wo sich alle allta¨glichen und wissenschftlichen Bemu¨hungen stattfinden. Es geht in diesem Artikel um eine Selbstbesinnung der Philosophie, die immer zu neuer Mode tendiert. Einer neuen Mode zu folgen, ist an sich problemlos. Aber Philosophie ist ein Versuch, eine Distanz von dem Zeitgeist zu nehmen, und immer kritisch zu sein. Aus diesem Distanz-Nehmen wird es klar, was im menschen Leben bleben soll, d.h. wesentlich ist, und was u¨berwunden werden muß, d,h, oberfla¨chlich ist. Die beide zeitgeno¨ssischen Philosophen, Dilthey und Simmel waren fast gleichzeitig in Berlin ta¨tig gewesen. Aber die Denkfiguren von beiden sind verschieden, aber die beiden sind berhu¨mt als der Philosoph, der das Leben im Mittelpunkt seines Philosophierens stellt. Daher wird heir zunächst der Begriff des Lebens und des Verstehens von beiden miteinander vergleichen. Von da aus wird einen Konvergenzpunkt als eine Lebesphilosophie feststellen, die im heutigen Denken eine neue Aktualita¨t darbieten kann.

      • KCI등재

        블루멘베르크(H. Blumenberg)의 은유의 해석학 : 「은유학의 범형들」을 중심으로

        최성환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본 연구는 수사학에 대한 재평가 작업과 병행해서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유를 통해 철학적 개념의 확장을 도모했던 블루멘베르크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철학적 글쓰기는 철학적 사유의 반영이며, 철학적 사유는 현실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급격히 변화하는 현실세계를 고려할 때 새로운 사유와 그에 상응하는 글쓰기의 형식에 대한 물음은 매우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 전통적으로 이성중심주의(Logozentrismus)의 개념적-논리적 사고를 강조해온 철학에서도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요구와 함께 철학의 표현방식에 대한 입장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철학적 개념과 언어에서 ‘은유’가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장식기’(裝飾期)에서 ‘본질기’(本質期)로의 이행 즉 ‘수사학의 르네상스’와 함께 특히 은유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은유가 가진 엄청난 ‘영향사’와 그와 연관된 적용 범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가장 탁월한 수사법을 간주된 은유는 그러나 철학의 전통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은유는 현실의 다양한 층위를 드러내주는 매체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획득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개념적-논리적 사유의 한계와 이와 연관된 은유의 불가피성을 블루멘베르크의 관점을 빌려 살펴보고, 그러한 은유의 정당성 근거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는 은유는 대체될 수 없으며, 심지어 철학적 개념을 포함한 과학의 모든 핵심적 용어들의 근거에 은유가 놓여 있다는 테제를 제시한다. 그런 배경에서 ‘절대적 은유’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개념적-논리적 사고에 숙달된 오성의 입장에서는 접근 불가능한 영역을 주제로 다루고자 할 때, 그 주제에 관한 내용을 인간에게 (이미지로서) 전달하고 사유의 길을 열어줄 수 있는 길이 필요하며, 이러한 매체가 바로 ‘은유’라는 것이다. 은유는 인간 현존재의 근거로부터 던져지는 ‘답할 수 없는 물음’에 답하고자한다. 물론 이 연구가 직접적으로 ‘철학적 글쓰기’의 물음을 다루지는 않지만, 은유에 대한 이런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철학적 글쓰기의 방향설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도 새롭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Zur Zeit hat die Rhetorik Konjuntur. Wenn man sich die Herabwurdigung der Rhetorik in der Neuzeit vorstellt, ist die heutige Stellung der Rhetorik ein bewundernswurdiges Ereignis. In der Rhetotik spielt die Methapher eine große Rolle. Was eine Metapher mitteilen will, hat nicht mit einem begrifflich-logischen Gedanken zu tun. Nach Blumenberg sind Metaphern keine Restbestande, die sich im Verlauf der Wissensentwicklung durch logische Begriffe ersetzen und verdrangen lassen, sondern Grundbestande der philosophischen Sprache. Dies bedeutet, daß durch die Metaphern der Umfang des philosophischen Denkens erweitert werden kann. Blumenberg fragt bemerkenswerterweise nicht nach dem Hintersinn, sondern nach der Funktion von Metaphern. Diese besteht fuh ihn darin, Sinnerwartungen, Orientierungen und Sichtweisen von der Welt und dem Menschen zu charakterisieren. Metaphern sind absoult, wenn sie sich nicht durch Begriffe ersetzen lassen. Absolute Metaphern erfassen umgreifende Zusammenhange und geschichtliche Sinnhorizonte, die dem wissenschaftlichen und begrifflichen Denken unzuganglich sind. So sehr Blumenberg in seiner Metaphoroligie auch einen eigenstandigen Standpunkt vertritt, so wenig kommt doch bereits hier sein eigentlicher Grundgedanke zum Durchbruch.

      • KCI등재

        셸링의 동일성철학과 유한성의 문제

        박영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5 No.-

        셸링은 동일성철학 단계에서 비로소 자연과 자유, 무의식적 행위와 의식적 행위, 자연철학과 선험철학의 이분을 통일한다. 객관적 주체-객체로서의 자연과 주관적 주체-객체로서의 정신은 절대자의 차별적인 현상방식일 뿐이다. 자연과 정신은 내면적으로 절대자와 동일한 것이며, 그 결과 존재하는 모든 것은 절대적 동일성 자체이다. 따라서 비존재는 영원히 불가능하며, 존재는 필연적이라는 인식에 도달한다. 신과 함께 필연적으로 주어진 사물은 그 자체로 고찰해 보면 유한적이 아니다. 모든 것은 본질에 따라 보면 하나Eins일 뿐이다. 따라서 인간도 그 자체로 자율적이 아니며, 인간을 고유한 삶에 따라 보면 필연성과 운명에 귀속된다. 이는 우리가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필연성이 우리 내부에서 활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필연성에 따라 우리는 목적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유한적 사물과 인간의 자유 뿐 아니라 불완전성 및 악이 세계로부터 제거되었다. 불완전성과 악은 본질을 상실한 그림자에 불과하며 참된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동일성철학은 나름의 장점을 지니는데, 이는 오직 세계와 삶이 지닌 어두움, 비합리성, 유한적 사물로부터 눈을 돌릴 때이다. 그러나 1806년 이후 셸링은 동일성철학을 포기하는데, 왜냐하면 유한적 사물의 현존은 그에게 거부하지 못할 정도로 자명하게 보였기 때문이다. 헤겔의 ‘모든 소가 검게 보이는 밤’의 비유에서 드러나듯이 유한적 사물의 부정은 곧 무세계주의(Akosmismus)를 의미한다. 이제, 유한적 세계 및 악의 존재는 존재의 결핍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세계는 근원원천에서 나온 것(유출설)이 아니며, 신에 의해 자유롭게 창조된 것(창조설)도 아니다. 셸링에 의하면 절대자에서 현실세계에 이르는 어떠한 항구적인 과정도 존재하지 않는다. 유한적 세계, 물질, 악의 존재는 단지 절대성으로부터의 완전한 단절로서만, 즉 비약에 의해서만 생각되어 질 수 있다. 절대자로부터의 이탈(타락) 가운데 존재하는 유한적 사물의 근원은 신이 아니라 비약이다. 따라서 유한적 사물의 참된 근거는 “오직 타락(탈락, 이탈)한 존재 자체에서만(einzig im Abgefallenen selbst)” 찾아져야 하며, 신에게서 발견될 수 없다. 왜냐하면 신으로부터는 어떠한 유한적인 것도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Schelling versucht erst in der Phase der Identitätsphilosophie, die Unterscheidung zwischen Natur und Freiheit, Naturphilosophie und Transzendentalphilosophie, unbewußter und bewußter Handlung aufzuheben. Natur als objektitives Subjekt-Objektiv und Geist als subjektives Subjekt-Objekt sind jetzt bloß als die unterschiedlichen Erscheinungsweisen ein und desselben Absoluten. Beide sind im Innersten mit dem Absoluten identisch, woraus folgt nun, daß Alles, was ist, die absolute Identität selbst sein muß. Die mit Gott notwendig gegebenen Dinge sind nicht nur unentstanden und unvergänglich, sondern auch nicht endlich. Die verschieden uns erscheinenden Dingen sind nicht wahrhaft verschieden, sondern wirklich Eins. Daraus folgt nun, daß der Mensch nicht für sich selbst frei ist, sondern er der Notwendigket des Universum fällt. Dies bedeutet weiter, daß nicht wir hadeln, sondern eine göttliche Notwendigkeit in uns handelt. Damit sind die endlichen Dinge, die menschliche Freiheit, das Unvollkommene und das Böse aus der Welt verschwunden. In der Identitätsphilosophie kann sich die Tugend finden nur so lange, daß man den Blick aus der dunkeln Seite der Welt abwendet. Seit 1806 verläßt Schelling die Identitätsphilosophie, weil die Existenz der endlichen Welt ihm offensichtlich zu sein scheint. Wie Hegel in der Phänomenologie des Geistes die Identätsphilosophie Schellings verspottet, bedeutet die Negation des Endlichen einen Akosmismus. Die Existenz der endlichen Dingen und des Bösen bedeutet also nicht mehr einen Mangel des Seins. Die Welt fließt weder aus dem Göttlichen, noch wird sie von einem Gott in Freiheit erschaffen. Nach Schelling führt keine Brücke von dem Absoluten zu den endlichen Dingen. Dies bedeutet nun sowohl, daß es keinen stetigen Übergang vom Absoluten zum Wirklichen, als auch daß der Ursprung der Sinnenwelt nur als ein vollkommenes Abbrechen von der Absolutheit, durch einen Sprung denkbar ist. Der wahre Grund der endlichen Welt ist also einzig im Abgefallen zu suchen, weil aus Gott nichts Endliches hervorgehen kann.

      • KCI등재

        들뢰즈 철학에 나타난 성(性)과 신체의 문제

        정익순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4 철학탐구 Vol.16 No.-

        들뢰즈 철학에는 많은 명령어와 용어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들뢰즈의 철학은 서구 전통 형이상학에 기본 토대를 두고 다양한 학문적 분야를 두루 섭렵한 결과의 산물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가 철학적 재현의 문제를 다룬 여러 가지 분야 중에서 성과 신체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과 신체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들뢰즈의 주요 저작인 『의미의 논리』와 『앙티 오이디푸스』에 대한언급이 필수적이다. 『의미의 논리』에서 들뢰즈는 기본적으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사건이 던져주는 심층적인 즐거움은 의미와 무의미의 놀이와 사건을 통한 다양한 만남이다. 사건은 서구 철학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특이한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와 역설의 계열로 구성되는가에 달려 있다. 들뢰즈는 사건과 의미를 동시에 사유함으로써 서양철학을 한 차원 높이 끌어 올린다. 『앙티 오이디프스』에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독자적인 철학적 견지에서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정신분석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비판하면서 인간의 성적 충동의 원인과 욕망하는 기계 그리고 유목민적 주체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사유에 대한'탈주의 선'을 보여주고 있다. 들뢰즈 읽기는 우회의 논리와 새로운 지형의 확립에 대한 철학을 배우는 것이다. 과거의 철학을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 하는 것과 그것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것은 새로운 사회의 장을 만들어 보려는 들뢰즈의 욕망이며 철학이다.우리는 인간의 내면과 외면을 탐색하고 언어의 장으로 사유의 선을 그리게 된다. In Deleuze's philosophy there are a lot of decrees and terms existed. The philosophy in Deleuze is based on the traditionally western metaphysics and it is derived from the production of various studying fields that he devoted himself to.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exuality and body that Deleuze studied for the representation of problems in philosophy. In order to deal with them, we must discuss his major works, The Logic of Sense and Anti-Eedipus. In The Logic of Sense, Deleuze basically treats the event The deep pleasure the event gave is an encounter through sense and nonsense of game and event And the event depends on the way how metaphysics is singularly developed in the western philosophy and how the structure of it is made up in the series of paradox. Deleuze had in mind the event and sense at the same time so that he drew the western philosophy up in its scale. In Anti-0deipus, Deleuze and Guattari, with their particular point of view, criticized modem civilization and newly opened the horizon for the psychology. Especially, criticizing Freud's psychology, they taught us the line of flight to analyze the cause of human's sexual motivation, desiring machine and nomadic subject The reading of Deleuze means to learn about the logic of detour and establishing new territory of philosophy. It is Deleuze's philosophy and desire that we can reinterpret the past philosophy into modem sense and open new field where we make new locus of society. Therefore, we can explore the human mind inside and outside and map the line of thought.

      • KCI등재

        인식적 확실성, 원초 문장, 실험의 비단일성

        이상원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논리 실증주의의 과학관, 즉 원초 문장(protocol sentences)(관찰 문장(observation sentences))과 과학의 단일성(unity of science)에 기초한 과학관이 현대 실험 과학의 성격에 비추어 어떻게 재평가될 수 있느냐를 논의한다. 20세기 전반기에 유행한 논리 실증주의 과학철학에서 과학의 합리성이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검토할 것이며, 또한 ‘실험 과학’에 기초한 합리성이 어떻게 성립 가능하며 그것이 논리 실증주의적 합리성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언어적 접근 방식에 기초한 과학의 합리성 이해와 ‘도구사용’(instrumentation)에 기초하는 실험에 근거한 과학의 합리성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논변한다.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전반기에 유행한 논리 실증주의 과학철학에서 과학의 합리성이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논의할 것이며, 또한 ‘실험 과학’에 기초한 합리성이 어떻게 성립 가능하며 그것이 논리 실증주의적 합리성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논리 실증주의의 과학관, 즉 ‘원초 문장’(protocol sentences)(관찰 문장(observation sentences))과 ‘과학의 단일성’(unity of science)에 기초한 과학관이 현대 실험 과학의 성격에 비추어 어떻게 재평가될 수 있느냐를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언어적 접근에 방식에 기초한 과학의 합리성 이해와 ‘도구사용’(instrumentation)에 기초하는 실험에 근거한 과학의 합리성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논변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성찰을 심화할 수 있다. It is argued that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view of rationality of the logical positivism and that based on modern experimental science. Logical positivists supported their concept of rationality by the notion of protocol sentences and unity of science. However, rationality from the side of experimental science is very far from the concept of rationality by logical positivists. Understanding of rationality from instrumentation sheds several lights on the concept of rationality based on experimentation.

      • KCI등재

        한국철학의 발전 : 1945년 이후

        崔旼洪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1977 철학탐구 Vol.5 No.-

        1945년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4반세기를 조금 더 지나는 동안에 한국 철학은 높은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이같은 발전은 우연적으로 된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발전할 수 있는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 한 두가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는 사상적으로 체질개선(체질개선)을 한 것이고 둘째는 자기의 주체의식을 확립한 것이다. 물론 이 문제들은 한국철학의 발전 과정상 시한 어려운 고비를 거쳐서 생긴 것이다. 즉 내부적인 낡은 보수사상과 또 밖에서 들어오는 이질적(이질적) 외래사상의 갈등(갈등)은 한국철학에 적지않은 통증(통증)을 주었던 것이다. 그래서 한국철학은 이같은 「갈등」에서 오는 「통증」을 치료 구제하여 줄 수 있는 유명한 의사와 좋은 약을 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침 이 병에 저명한 의사를 만나 그분의 진단과 처방에 의하여 병을 치료한 셈이다. 따라서 오늘 한국 철학에는 새로운 우주관, 진리관, 가치관이 세워지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죽음의 눈 : 김수영 시의 하이데거적 해석 The Heideggerian interpretation of the Kim, Su-Yung's Poet

        김동규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4 철학탐구 Vol.16 No.-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 시학을 통해 한국의 시인 김수영의 '눈'이라는 시를 새롭게 해석해 보는 데 있다. 실제로 김수영은 하이데거의 저작을 밀도있게(intensiv) 독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해석방향에 따르면 '눈(Nun)'은 Schnee로 읽혔던 반면, 우리의 해석에 따르면 Auge로 해석된다. 한국어에서 눈은 동음이의어로서 Schnee와 Auge라는 의미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기존의 해석방향과는 달리 눈을 Auge로 해석하는 결정적인 근거는 3연에 등장하는 '죽음' 때문이다. 종전의 해석은 이 중요한 시어를 놓치고 있다. 그러나 죽음을 진지하게 해석하려고 하자마자, 눈은 Auge, 특히 하이데거적 의미의 존재 또는 죽음의 눈으로 해석된다. In dieser Arbeit geht es damn, das Gedicht 「눈 [nun:]」 von Kim, Su-Yung, einem der wichtigsten Dicker in der koreanischen Moderne, anhand der PhilosophieHeideggers neu zu inteapretieren. Bekanntlich hat Kim seinerseits die Werke Heideggers intensiv gelesen. Das Wort '눈 [nun:]' ist im Koreanischen das Homonym, and bedeutet sowohl den Schnee wie das Auge. In den bisherigen Untersuchungen uber dieses Gedicht hat man das Wort ' 눈 [nun:] ' imnrer als Schnee gelesen, wohingegen es bier als Auge gedeutet wind Der entscheidende Grund dafUr befindet sich im Wort '죽음(Tod)' in der dritten Strophe, dessen wesentliche Bedeutung den bisherigen Interpretationen entgeht. Kaum daß man auf das Wort '죽음 (Tod)' aufmerksam wird, kann man das Wort ' 눈 [nun: ] ' nicht umhin, als Auge zu interpretieren, nicht zuletzt als Auge des Seins bzw. des Todes im Heideggerschen Sinne.

      • KCI등재후보

        로티의 관용에서 가다머의 관용으로

        최유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5 철학탐구 Vol.18 No.-

        오늘날의 다원주의의 세계에서는 서로 다른 전통, 문화, 철학, 이념 등이 만난다. 서로 다른 것이 만날 때는 일반적으로 갈등과 대립이 불가피하다. 다원주의의 세계로 나아갈수록 그만큼 갈등과 대립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 갈등과 대립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느냐가 오늘의 시대의 큰 과제이다. 후현대주의는 일반적으로 타자의 인정을 중요한 이슈로 하고 있다. 역사의 교훈은 나와 다른 타자의 존재를 인정치 않을 때는 결국 모두의 파멸의 교훈을 남겨주었다. 그러므로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는 관용의 문제가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큰 이슈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용의 이론적 정당화에는 몇 가지 이론이 있다. 본 논문은 로티의 이론과 가다머의 이론을 비교 검토하면서 가다머의 관용에 관한 이론이 성숙한 다원주의 사회로 가는 바탕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로티의 관용은 모든 “이야기(story)”나 “종국적 어휘(final vocabulary)”에 얽혀있는 신념과 주장들이 가지고 있는 순전한 우연성에 근거한다. 이러한 관용은 타자에 대한 무관심을 유도하고, 대화의 가치를 중요시하지 않게 되고 자칫하면 모든 회의주의에 근거한 관용이 그렇듯이 최종적으로는 힘이 정의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비하여 가다머의 관용은 타자들의 인격과 전통에 대한 존중과 그들이 진리를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에 뿌리박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 자신의 오류가능성과 합리적인 대화의 가치를 중시한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나의 지평은 넓어지고 결국 지평융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대화에 근거한 관용을 통해서 우리는 다원주의 사회의 갈등을 줄이고 조화롭게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Today various and different traditions, cultures, ideas, and claims meet together and challenge one another in this world of pluralism.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re unavoidable when different things are confronted by one another. As the world goes faster toward pluralistic society,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re increasing. Thus it is the greatest task of this post-modern age how to work out these conflicts. The recognition of other pers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the post-modernism. A historical lesson has taught us that if we don't recognize the existence of others, we are all led to total ruin. That's why the issue of tolerance of the recognition of others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the pluralistic society. There are several justifications for tolerance in pluralism. This thesis compares the tolerance of Rorty with that of Gadamer and shows how and why Gadamer's can offer the basis for a mature pluralistic society. The Rortyian postmodern liberal resolutely accepts the utter contingency of beliefs and claims woven into a specific “story” or “final vocabulary.” Herein the other's stand is recognized, but only as equally arbitrary as one's own. It holds that any beliefs and claims cannot be the truth and have the commonalities. In conclusion the Rortyian tolerance is rooted in the pervasive skepticism, and it results in a very minimal understanding of tolerance as bordering on indifference. It leaves us with either an intolerant objectivism, which maintains that there is a single, ahistorical truth which I most certainly possess, or a tolerant skepticism, which maintains there is no truth to be possessed, so let us be playful and indifferent. On the other hand Gadamer's tolerance is justified by respecting other persons and traditions in their very diversity, and rational inquiry as disclosing truth. But Gadamer rather than rests with the mere respectful acknowledgement of such diversity, he draws us toward engagement rather than disengagement, toward dialogue rather than indifference. Dialogue intends mutual understanding of our very differences, the mutual questioning from the context of a situated horizon. This makes the “fusion of horizon” flourish. This tolerance will make a society of pluralism harmonious and mature.

      • KCI등재후보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인식 비판과 종교생태학의 가능성

        김대식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5 철학탐구 Vol.18 No.-

        이 논문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 인식과 윤리를 살펴보면서 그의 역사철학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특히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당시 그리스도교를 위한 변증적인 시각에서 역사를 기술하면서, 독특한 목적론적 역사관을 피력하게 된다. 그로 인해 타종교와 타국가에 대한 반성이 제외될 수밖에 없었고, 게다가 자연의 역사를 배제하는 잘못을 범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티누스는 가변적인 시간을 초월한 영원한 현재인 신에게서 행복을 추구하는 윤리를 지향한다. 그것은 사랑의 윤리, 즉 타자를 사랑하는 윤리를 말한다. 우리의 역사는 지금 전쟁, 갈등, 투쟁의 역사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처럼, 타자를 배려하는 탈중심적인 덕을 실현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In this paper, I am going to find a historical knowledge and an ethics in St. Augustinus, and examine his philosophy of history, its limits critically. Especially I think St. Augustinus expresses unique teleological view of time, because he describes history in apologetic perspective for contemporary own christianity. By this reason, this within it, I note that he makes except a reflection about other country and religion, moreover he commits a fault to exclude history of nature. Nonetheless St. Augustinus argues that human beings intend ethics of happiness in the Absolute as a permanent present. It may be argued that ethics of love which we will survey, that is, Alter ego in love. In recent years, our history has become history of war, discord trouble, and conflict. Therefore like ethics of St. Augustinus, we are requested to realize concern of Alter ego and decentric virt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