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화기 독본의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에 관한 연구

        박치범 ( Chi Beom Park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7

        이 글은 개화기 독본에 수록된 한글 깨치기 관련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의 특징을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개화기에 발간된 국어 과 교재 중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가 수록된 『심상소학』, 『초등소학』, 『국어독본』, 『초등소학』, 『신찬초등소학』 등 5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한글 깨치기지도법에 따른 특징’과 ‘반절표 제시 양상에 따른 특징’, ‘한자 사용 여부에 따른 특징’ 등의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이들 교재에 수록된 한글 깨치기 학습자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글 깨치기 지도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심상소학』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들은 발음 중심 지도 자료와 의미 중심 지도 자료를 병용한 ‘절충적지도 자료’를 수록하였다. 이 중 의미 중심 지도 자료가 다소 우세하게 나타난『초등소학』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들은 두 가지 지도 자료가 거의 대등한 형태로 제시되었다. 또 반절표 제시 양상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심상소학』이 가장 먼저 182개 음절을 제시한 반절표를 수록한 가운데, 『초등소학』은 『심상소학』과 똑같은 반절표를 수록하였다. 그러나 『신찬소학』과 『국어독본』은 『신찬소학』의 그것을 체계화시키고 확장시킨 반절표를 각각 수록하였다. 한편 한자 사용 여부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한글과 한자를 혼용한 교재가『초등소학』, 『신찬소학』 등 2종, 한글만을 사용한 교재가 『심상소학』, 『국어독본』, 『최신소학』 등 3종이었다. This study focus on the feature of the ‘Hangul’(meant Korean character) learning material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y analysis of its contents and composition. There are 14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era, but textbook that contained the Hangul learning material is only 5, so a subject of study is that 5 textbooks. And I applied 3 criterions of analysis: teaching method; feature of ‘Banjul-pyo’(meant table that arranged Korean syllabic in ‘Banjeol’ style); using a Chinese character. In teaching method, all textbook except 『Sim-Snag-So-Hak』 had a learning material that arranged by eclectic teaching method. And in feature of ‘Banjul-pyo’, 『Sim-Snag-So-Hak』 is the first textbook which has the ‘Banjul-pyo’, and 『Chodung- So-Hak』 has same ‘Banjul-pyo’ as 『Sim-Snag-So-Hak』, but 『Sin-Chan-So- Hak』 and 『Guk-Uh-Dok-Bon』 developed it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inally, in using a Chinese character, there are 2 textbooks hat used both Hanhul and Chinese character, 『Cho-dung-So-Hak』 and 『Sin-Chan-So-Hak』, but the rest used only Hangul in the Hangul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 연구

        박치범 ( Park Chi-beo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8

        이 글은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의 문장 구성 방식과 특징을 해명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방란장 주인」의 문장을 쉼표를 기준으로 272개의 의미소로 나누고 의미소의 연결 방식과 의미소에 나타난 서술자 발화의 기능 및 서술자 발화가 다루는 시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란장 주인」은 다양한 종류의 형식 형태소를 동원하여 문장을 이어나갔고, 때때로 어미나 조사를 변형하거나 생략함으로써 문장 연결의 새로운 방식을 고안해 내기도 했다. 또 의미소의 맨 앞에 맥락의 단절이나 우발적인 장면 전환을 뜻하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서사의 국면을 자연스럽게 전환하고 인물의 내면을 핍진하게 형상화하였다. 또 서술자 발화는 인물의 내면 기술, 장면 묘사, 사건의 경과 제시, 서술자 논평 등의 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소설의 진행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루었다. 동시에 서술자 발화는 작품의 초반에서 과거와 현재를 번갈아가며 다루었지만, 중반 이후부터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는 「방란장 주인」이 인물의 내면을 현재 시점에서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은 문장 구성 방식과 서술 방식은 한 문장으로 된 형식으로 형상화되는 동시에 고독으로 집약되는 예술가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는 내용과 조응하면서 「방란장 주인」의 미학을 이루었다.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used in "Bangnanjang Juin" of Park, Tae-won`s short novel, and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work. "Bangnanjang Juin" continued its sentences with various types of fomal morphemes, and occasionally devised a new way of linking sentences by modifying or omitting the ending or the postposition. Also, at the beginning of the semantic space, it were uesd the words of the meaning of disconnection of the context or accidental transitions. In addition, narrator utterances functioned as internal descriptions of characters, scene descriptions, event progression, narrator commentaries, etc., and various combinations were made as the novel progressed. And, the narrator discussed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but after the middle of the novel, the narrator focuses on dealing with the inside of the character at the present moment. As mentioned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sentence and the narrative method are shaped in the form of one sentenc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come the aesthetics of "Bangnanjang Juin" in correspondence with contents dealing with the life of the individual artist concentrated in solitude.

      • KCI등재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의 정서를 다루는 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2009개정 국어와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치범 ( Chi Beom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1

        이 연구는 교과서의 질문을 중심으로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중학교 국어 교과서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 관련단원에 수록되어 있는 질문을 정서적 측면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전체 질문 698개 중 ‘정서 질문’에 해당되는 것은 총 117개로 전체의 16.91%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정서 질문’은 학년(군)이 올라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을 학습 목표로 하는 단원에 수록된 ‘정서 질문’의 비율은 그렇지 않은 단원의 비율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았다. 또한 단원 구성에 따른 위치별 ‘정서 질문’의 양상을 통해 단원의 도입과 정리 부분에서 ‘정서 질문’이 수록된 비율이 더 높았으며, ‘정서 질문’은 제재 작품이 없는 활동에서 더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고, 학년(군)이 올라갈수록 학습자 자신의 정서보다 작품 속 서술자(화자)·작중 인물의 정서를 다루는 ‘정서 질문’의 비율이 높아졌다. 한편 ‘정서 질문’의 구체적인 내용과 맥락을 살펴 교과서의 ‘정서 질문’의 질적 특징을 정리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정서 질문’은 ‘정서 질문’의 특징및 문제점을 ‘정서의 구체화나 소통 과정 안내의 부재’, ‘서술자·작중 인물 정서와 학습자 정서 사이의 공백’, ‘정서의 구체화에 소홀한 표현과 창작’, ‘정서의 도식화와 지식화’, ‘느끼거나 감동하지 않을 가능성의 배제’ 등의 문제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forcuses on the way tha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 deals with the emotions of learner, analysing the questions in the textbook. For this purpose, I selected 18 lessons that relevant to literature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 for every level of school, extracted the questions about emotion( ‘question of emotion’) of learner from these, and finall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se questions. As a result, the higher a level of school was, the lower the rate of ‘question of emotion’ was. And the rate of question of emotion’ is high on the stage of prologue and epilogue in every lesson and in the questions that unrelated to emotion in the textbook. In addition, I examined the qualitative features of ‘question of emotion’, and a finding is as in the following:1) a lack of educational guide for shaping up or sharing the emotions. 2) a gap between emotion of learner and that of narrator·character. 3) dealing emotion with knowledge. 4) learner’s expressing or creation without shaping up the emotion. These feature reflect the common idea that emotion can’t be taught explicitly or it is useless to teach the learner’s response about emotion. And it is a result of attention for outcome of emtional response of learner.

      • KCI등재

        메타시의 문학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치범(Park Chi beo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poetry and to find a way to utilize meta-poetry in literary educational way. Meta poetry can be defined as a poetry that reflects on oneself or others poetry is the core of meaning or aesthetics. This meta-poetry is characteristic in that poet s reflection on poetry is practiced. In addition,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genre that combines poetry reading and poetry writing, and is an intensive look at various aspects of poetry. The application of meta-poetry to literar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meta-poetry writing and a method to utilize meta-poetry as educational material . First, the teacher can make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the learner s understanding and attitude about poetry through the method of paying attention to the meta - poetic writing process, and the learner has an opportunity to practice what he or she perceives in the poetic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way to use meta-poetry as literary education materials is to connect the appreciation of meta-poetry with learning about poetics.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learning contents that organically combine individual works and literary history, and to create opportunities to educate the poet about the close relation of life. 이 글은 메타시의 개념과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시를 문학 교육적으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시는 자신이나 타인의 시, 시인론, 시론 등에 관한 성찰을 대상으로 하고, 그러한 성찰이 의미나 미학의 핵심을 이루는 시를 말한다. 그것은 무엇보다 시에 관한 창작 주체의 성찰 이 실천 되는 양식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고, 시 읽기와 시 쓰기가 결합된 복합장르의 속성을 가지며, 시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집약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메타시를 문학 교육에 적용하는 일은 크게 메타시 쓰기의 과정에 주목하는 방안 과 메타시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 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메타시 쓰기 과정에 주목하는 방안을 통해 교수자는 시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태도 등을 총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이 시와 관련되어 알게 되거나 느낀 점을 시적 언어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한편 메타시를 문학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은 메타시 감상을 시론과 시인론에 관한 학습과 연결함으로써 개별 작품과 문학사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학습 내용을 구성할 수 있고, 시와 삶의 밀접한 관계에 대하여 교육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학부 발간 『보통학교용 국어독본』(1907) 연구 -`교과서의 위상`에 따른 특징을 중심으로

        박치범 ( Park Chi-beom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이 글은 1907년 학부가 발간한 『普通學校學徒用 國語讀本』(이하 『국어독본』)이 교과서로서 갖는 특징을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독본』은 『신정심상소학』(1896)의 뒤를 잇는 국정 국어교과서이자, 동시대 발간된 다양한 사찬(私撰) 국어교과서들과 경쟁적·대립적 성격을 갖는 교과서이다. 여기에서는 대상이 교과서로서 갖는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교과서의 내적 체제와 본문을 분석하고, 분석의 결과 중 『국어독본』만의 특징이라 판단되는 내용을 모아 `교과서의 위상`에 따라 정리한 뒤, 이를 이전 시대의 국정 국어교과서 및 동시대의 사찬 국어 교과서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국어독본』은 수업 자료로서 한글 깨치기 학습이 강화된 교재라는 특징을 갖으며, 교육 공동체의 신념의 산물로서 교과서 구성이 체계화되고 다양한 서술 방식이 구현된 교재인 동시에, 당대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의 반영물로서 친일(親日) 세계관이 심화되고 견고화된 교재로 평가될 수 있다. 이는 곧 『국어독본』이 일제가 대한제국의 교육을 장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편찬한 교과서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일본식 계몽 혹은 근대화의 단면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 as the textbook of《Guk-uh-Dok-b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meant Korean Language Reader) that was published by Hak-bu(the Korean Empire Ministry of Education) in 1907.《Gukuh- Do-kbon》 is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which was after《Sim- Sang-So-Hak》(meant basal reader), and has the competitive and oppositive position against the privately published textbooks by various publisher in the same period. In this article, to reveal the feature of《Guk-uh-Do-kbon》 as a textbook clearly, I analyzed a system and body of this textbook, then I organized the results following `the status of a textbook` and compared it with a textbooks that was published by government early and a textbook that was published by private in the same period. As a result,《Guk-uh-Do-kbon》 has a developed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to read relatively, has a sytematic system to organize the unit, and has the deepen and strong perspective of pro-japanese colonialism.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 교육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내용 성취 기준의 서술어 분석을 중심으로-

        박치범 ( Chi-beom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8 No.-

        본 연구는 문학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분석을 통해 역대 문학 교육과정 내용의 변천과 특징을 살피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문학 교육 설계와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4차 교육과정 이후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83종의 서술어가 총 708번 사용되었다. 그리고 내용 성취 기준에 사용된 서술어는 그것이 의도하는 학습자의 행동 특성을 기준으로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 등의 세 가지 범주로 묶일 수 있는데, 역대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이 중 수용과 생산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지식과 태도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지식 범주에 속한 서술어는 지식을 갖추게 된 결과를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수용과 생산에 속하는 서술어는 대부분 학습자의 인지적 정신 과정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이해하다’, ‘감상하다’, ‘해석하다’, ‘수용하다’ 등과 같이 수용과 생산에 속하는 서술어의 상당수는 의미의 변별적 자질에 대한 고려 없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태도에 속하는 서술어의 경우에는 학습자에 대한 태도보다 문학이나 작품에 대한 태도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서술어를 중심으로 추출한 문학 교육 내용의 교육과정기별 변천을 살펴본 결과 4차 이후 문학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의 비율이 점차 줄고 수용과 생산의 비율이 늘었으며, 학교급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년급이 높아질수록 지식의 비율이 늘고 수용과 생산의 비율이 줄어들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featur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litera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redicate, and deducts some implications for design of curriculum in literature and research in the future from it. As a result,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from 4th to 2009-revision, 83 kinds of predicate have be used at 708times. And predicate that used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can be classify in ‘knowledge’,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attitude’ in the accordance with behavior characteristic of learner, and while propor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is highest, proportion of attitude is lowest among them. Almost predicate including knowledge means the result of getting a knowledge. In addition, almost that including reception and production present the cognitive processes about literature-reader and have a diversity without consideration of distinct feature of predicate. Besides, among predicate including attitude, there are much predicates that present a attitude about literature or literary works than about reader or learner. On the other hand, as time passes literature curriculum has have higher propor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lower proportion of knowledge. And the higher school year advance, propor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has decreased and proportion of knowledge has increa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연구

        정혜승 ( Hye Seung Chung ),김정자 ( Jeong Ja Kim ),민병곤 ( Byeong Gon Min ),손원숙 ( Won Sook Sohn ),백혜선 ( Hye Sun Paik ),백정이 ( Jeong Yi Baik ),박치범 ( Chi Beom Park ),오은하 ( Eun Ha Oh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양상을 살펴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문식성 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3~6학년으로, 총 13개 초등학교와 각 학교별로 평균 397명, 총 5,1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 밖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읽기와 쓰기 활동의 내용, 매체, 시간, 학습 시간, 독서량 등의 문식 활동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주는 부모, 선생님, 친구, TV, 대화 등의 영향 요인 및 국어 수업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실태를 학년별, 성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발견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은 쓰기보다 읽기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미, 스포츠, 연예, 게임 등의 오락적 내용의 독서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성별로 학교 밖 문식 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거의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읽기, 쓰기를 더 많이 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 읍면지역 학생들의 문식 활동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밖에서 문식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적지 않았다. 여섯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쇄 매체인 책은 점차 덜 읽는 반면, 문자메시지, 스마트폰 무료 문자 서비스, 인터넷 자료, 전자우편, SNS를 읽는다는 응답이 5학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쓰기 역시 학년이 올라 갈수록 전통적인 의미에서 글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점점 덜 쓰고, 휴대전화나 컴퓨터 등 매체 기반 쓰기는 점점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곱째, 학교 밖 문식 활동을 하는 시간보다 사교육 관련 학습을 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 여덟째, 학생들은 국어 수업의 영향을 받아 학교 밖에서 자발적인 읽기, 쓰기를 더 하게 되었다는 것보다 자발적인 읽기, 쓰기 활동을 하면 국어 수업 시간에 하는 읽기, 쓰기가 좋아진다는 것에 더 긍정적인 응답을 했다. 이것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of-literacy practice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5,110 children from third to sixth grade in 13 elementary schools (average 397 children in each school) in Gyeonggi-do and Incheo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s on the content and medium of the students`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the time they spend on their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on their studies; how many books they read over the course of one month; how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television, dialogues with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Korean classes might affect their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es, genders, and the areas where they liv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 more readily than they write in out-of-school environments. Second, in terms of the content of reading, older students (upper-graders) read about hobbies, sports, entertainment and games more than younger students (lower-graders) do. Third, girls tend to read and write more than boys. Fourth, city-dwellers read and write more than rural residents. Fifth,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do not read or write voluntarily at all. Sixth, older students (upper-graders), particularly fifth- and sixth-graders, read fewer books and more text messages on their cellphones, messag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web page content, and e-mails. They also write less on paper and more on computers and cellphones, especially smartphones. Seventh, children spend more time studying or being tutored at "cram schools" after school than they do reading and writing voluntarily. Last, the more children read and write voluntarily, the more enjoyable they find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class. As such, these children evaluate their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more positively than othe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