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모둠 독서 토의에서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 연결 양상 연구

        백혜선 ( Paik Hye Su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1

        이 연구는 초.중.고 학생들의 소모둠 독서 토의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 적 연결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프레젠테이션 대회에 참여한 초등학교 8팀, 중학교 8팀, 고등학교 7팀의 독서 동아리를 대상으로 두 편의 글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모습을 녹화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소모둠 독서 토의에서 텍스트 내용 이해와 평가를 위해 상호텍스트적 연결 양상을 보였다. 텍스트 내용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 트적 연결 양상에서는 세부 내용 이해를 위한 사례 제시, 인물 이해를 위한 비교.대조, 텍스트 내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 제시, 주어진 두 텍스트의 주제 연결 양상이 나타났다. 텍스트 평가를 위한 상호텍스트적 연결 양상은 텍스트 내용을 평가와 텍스트 표현 평가에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읽기나 문학 수업에서 하나의 텍스트만으로 수업하기 보다는 관련 주제에 대한 다양한 텍스트를 함께 보면서 이야기할 때, 학생들의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상호텍스트성 관련된 연구들이 문학 텍스 트를 중심으로 연구가 되었는데, 문학과 정보 텍스트를 함께 제공했을 때에 도 다양한 상호텍스트적 연결 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Korean students’ intertextual connections in book discussions. A total of eight elementary, eight middle and seven high school groups qualified for this competition. Students in each group read two designated books and discussed them. All groups’ discussions were recorded with a digital video camera and transcribed.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intertextual connections in book discussions, such as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text. Students used intertextual connections for case presentation, to understand detailed content, compare and contrast characters, and to identify problem -solving methods. Students also made use of intertextual connections during book discussions to evaluate content and expressions within the tex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exts using intertextual connections.

      • KCI등재

        프레젠테이션에 나타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 양상 분석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슬라이드를 중심으로-

        백혜선 ( Hye Sun Paik ),이규만 ( Kew Man Lee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에 나타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프레젠 테이션 대회에 참여한 중학교 8팀, 고등학교 7팀의 슬라이드 생산 과정, 슬라이드 파일, 프레젠테이션 동영상, 설문조사의 자료를 수집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에서는 문자의 이미지화, 내용의 구조화,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내용의 구조화에서는 글머리 기호 사용, 시각 자료 활용, 애니메이션 효과의 복합 양식 문식성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프레젠테이션이 학생들에게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복합양식 문식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프레젠테이션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의미를 표현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Korean adolescents` presentation through observing designing slides. A total of eight middle school teams and seven high school teams qualified for this competition. The size of each team varied from five to six students. We discovered the following multimodality patterns when students practiced their presentation: 1) the visualization of the text by using typography(word arts), 2)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contents in slides by using bulleted lists, graphics(smart arts), and animation, 3) interaction image and text. Slideware, such as PowerPoint and Prezi, a represents a form of cutting-edge technology that generates exciting opportunities for writing and speaking. Through presentation, students are able to produce various multimodal text, including text, images, and video. The study provide empirical accounts of adolescents` presentation.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의 매체 및 복합양식성 교육 내용 분석

        백혜선 ( Paik Hye-sun ),이규만 ( Lee Kew-man ),박소희 ( Park So-h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연구는 `매체 및 복합양식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국어 교과서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세명의 연구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14종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매체 자료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들을 질적 내용 분석 방식으로 비교 하였다. 14종의 교과서에 대한 개방 코딩과 협의를 반복하여 9가지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9가지 분석 기준을 횡적 교차 분석을 통해 `매체 자료의 개념 및 종류`, `매체 자료 활용의 이유와 효과`, `매체 자료의 제작과정`, `매체 자료 이용 윤리`,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하기에 대한 평가`의 다섯 항목으로 재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서 매체 자료를 부정확하게 정의하는 오류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부적절한 학습 내용이 제시된 교과서도 있었다. 부정확한 해석을 막기 위해, 새로운 개념이나 중요한 개념은 교육과정에서 자세히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러 교과서에서 매체 자료의 적절한 활용, 제작, 이용 윤리에 대한 교육 내용이 실제성이 부족하였고, 의사소통 변화를 고려한 내용 제시가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발표하기와 크게 다르지 않아 매체 자료를 활용한 발표하기에 어울리는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standard about presentations with media resources into units in 14 middle-school Korean textbooks. To analyze a total of 14 units, first, each author conducted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two different units(a total of six units). Second, nine criteria were drawn through additional open coding of eight units and discussion of individual analyses. Third, each researcher chose three to four categories and reviewed all fourteen units. Finally, any conflicting opinion was resolved through discussion and nine criteria were collapsed into five categories: (a)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media and media resources, (b) rationales and effects of using media resources, (c) the process of multimodal text design, (d) ethics for use of media and Internet resources, and (e) evaluation of a presentation with media production. The result shows that a number of textbooks misinterpreted the concept of media, which was caused by vague description in the national standard. The misinterpretation, in some cases, caused inappropriate directions in the textbooks.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s a lack of concrete content or methods for lear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in most of the textbooks.

      • KCI등재

        독서 토론 수업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연구 : 중학교 방과 후 독서 토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백혜선 ( Paik Hye-sun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solve problems teachers faced in leading book discussion classes by observing and analyzing instructional design and execution of classes on the part of teachers first experiencing such programs. Through case studies, we found that teachers encountered the following difficulties in leading book discussion classes. First, in designing a book-reading program, teachers felt difficulty in selecting books to read, as the decision should be made based on both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he content of courses. Responses indicate that providing a single book for multiple students was not easy. Second, teachers were excited and felt anxious about the class at the same time. They were worried about whether students w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and asked themselves whether they could teach the students well. Third, the role of student and teacher has changed during the year-long course of the program. In the early stages of the class, teachers mostly led the class in a manner where teachers asked questions and students answered. After the middle stage of the program, howeve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on equal footing with teachers. To address the challenges teachers face would require that, first, book recommendations covering multiple topics be drawn up and that schools and the Offices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upport for the purchase of books. Also, teachers need to receive training on book discussion classes. Such training programs should offer teachers with the opportunity to directly engage in book discussions, while also guiding teachers on their role in the classes.

      • KCI등재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실태 및 거주자 만족도 조사에 의한 지표 개선방안 연구

        백혜선(Paik, Hae-Sun),김종엽(Kim, Jong-Yeob),정윤혜(Jung, Yoon-Hye),송옥희(Song, Ok-Hee)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regulations and to improve the design guidelines an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based on green-certified score, field survey, resident satisfaction survey of green-certified apartment complex. The 6 green-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It found that eco-friendly environment factor has higher correlation with green-certified score and resident satisfaction than the other factors, such as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indoor environment. 2)Defects of unit and outdoor space after occupancy have impacts on the satisfaction for eco-friendly environment factors due to a link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for eco-friendly environment factors. Thererfore, post management system with relation to green-certified score is required for manage the green-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consistently. 3)Authors also suggested improvements on community center and facility, pedestrian road in apartment complexes, bicycle parking lot and bicycle road, separating the household recyclables from the garbage, offering the user’s manual, and aquatic biotope and land biotop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연구

        정혜승 ( Hye Seung Chung ),김정자 ( Jeong Ja Kim ),민병곤 ( Byeong Gon Min ),손원숙 ( Won Sook Sohn ),백혜선 ( Hye Sun Paik ),백정이 ( Jeong Yi Baik ),박치범 ( Chi Beom Park ),오은하 ( Eun Ha Oh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양상을 살펴 초등학생들의 언어 발달과 국어 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문식성 교육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3~6학년으로, 총 13개 초등학교와 각 학교별로 평균 397명, 총 5,1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 밖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읽기와 쓰기 활동의 내용, 매체, 시간, 학습 시간, 독서량 등의 문식 활동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주는 부모, 선생님, 친구, TV, 대화 등의 영향 요인 및 국어 수업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실태를 학년별, 성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발견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은 쓰기보다 읽기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미, 스포츠, 연예, 게임 등의 오락적 내용의 독서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성별로 학교 밖 문식 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거의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읽기, 쓰기를 더 많이 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 읍면지역 학생들의 문식 활동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밖에서 문식 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적지 않았다. 여섯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쇄 매체인 책은 점차 덜 읽는 반면, 문자메시지, 스마트폰 무료 문자 서비스, 인터넷 자료, 전자우편, SNS를 읽는다는 응답이 5학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쓰기 역시 학년이 올라 갈수록 전통적인 의미에서 글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점점 덜 쓰고, 휴대전화나 컴퓨터 등 매체 기반 쓰기는 점점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곱째, 학교 밖 문식 활동을 하는 시간보다 사교육 관련 학습을 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 여덟째, 학생들은 국어 수업의 영향을 받아 학교 밖에서 자발적인 읽기, 쓰기를 더 하게 되었다는 것보다 자발적인 읽기, 쓰기 활동을 하면 국어 수업 시간에 하는 읽기, 쓰기가 좋아진다는 것에 더 긍정적인 응답을 했다. 이것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교 밖 문식 활동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of-literacy practice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5,110 children from third to sixth grade in 13 elementary schools (average 397 children in each school) in Gyeonggi-do and Incheon, South Korea. A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s on the content and medium of the students`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the time they spend on their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on their studies; how many books they read over the course of one month; how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television, dialogues with their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Korean classes might affect their voluntary reading and wri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es, genders, and the areas where they liv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 more readily than they write in out-of-school environments. Second, in terms of the content of reading, older students (upper-graders) read about hobbies, sports, entertainment and games more than younger students (lower-graders) do. Third, girls tend to read and write more than boys. Fourth, city-dwellers read and write more than rural residents. Fifth, a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do not read or write voluntarily at all. Sixth, older students (upper-graders), particularly fifth- and sixth-graders, read fewer books and more text messages on their cellphones, messag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web page content, and e-mails. They also write less on paper and more on computers and cellphones, especially smartphones. Seventh, children spend more time studying or being tutored at "cram schools" after school than they do reading and writing voluntarily. Last, the more children read and write voluntarily, the more enjoyable they find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class. As such, these children evaluate their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more positively than other children.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친환경인증단지의 에너지성능지표 비교분석 연구

        김종엽,정윤혜,백혜선,Kim, Jong-Yeob,Jung, Yoon-Hye,Paik, Hae-S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Although many certification work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as enforced in 2002, analyses of the effects and efforts to improve this system are still poor. In the certification system, the energy performance was usually assessed by Energy Performance Index(EPI) of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s. However, due to the inadequacy of analyses on current situation of the Index, there are difficulties to reform it. In this research of green-certified apartments, the autho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energy performance indexes and aimed to improve the Index by analyzing the scores based on point distribution of respective fields. The average EPI score of green-certified apartments was 74.68, and there was wide variations in min 63.4 and max 90. Furthermore, the average score of energy consumption, which was allotted the most points, was 7.04 out of 12. Therefore, betterments in the Index such as reinforcement in grade ranges and adjustment of the calculation method are necessary. 2002년에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많은 인증 수행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의 효과분석이나 개선방안 노력이 저조하다. 특히 인증제도에서 에너지성능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있는 에너지성능지표(EPI)로 평가되지만 지금까지 지표에 대한 현황분석이 미비하여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성능지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에너지성능지표의 각 부문별 에너지 기본 배점에 따른 점수 현황을 분석하여 지표 개선을 도모하였다.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EPI 평균득점은 약 74.68점, 최소 63.40점, 최대 90점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지표 중에서 최고의 배점으로 편성된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최대 12점 배점에서 평균 7.04점으로 평균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향후 에너지소비량 인증지표에서 등급구간의 강화 또는 산출식의 조정 등의 지표 개선이 필요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 국가수준 국어과 평가

        박혜영 ( Park Hye Young ),백혜선 ( Paik Hye Su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9

        This study was to purpose to draw on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in relation to 21st century key competencies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Japan. In particular, with focus on mother tongue education, this study seek to discover how the discourse of key competencies dialogued/dialogue with traditional discourse of school education(i.e. educational policy,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Japan. Wha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1) what procedure of competency education are for Japan and what lessons from them are; 2) what is the country-level assessment of key competencies in detail and what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are of them; 3) In regarding appropriation of the notion of key competencies, what would be future directions for competency education and assessment in school. Consequently, for the future directions for 21st century education with focus on key competencie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In more autonomous stance, the discourse of key competencies as global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be delved into and dialogue with Korean traditional school contexts. Educational stake holders needs for the long- term and deliberation to make decision with evidence basis.

      • KCI등재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 평가 득점분석을 통한 인증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정윤혜(Jung Yoon-Hye),김종엽(Kim Jong-Yeob),백혜선(Paik Hae-Sun),송옥희(Song Ok-Hee)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2

        Many business enterprises in domestic housing industry a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friendly apartment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by upgrading their company"s image through differentiation of the qualities and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s. The aims to provide improvement of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through the average score to allotted point ratio analysis of each assessment of KGBCC(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certified apartments. For the purpose, statistical research is conducted average score to allotted pont ratio of 198 apartments that are certified by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through SPS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are the followings; Generally, green apartments are failed to obtain 10 out of 44 assessment items in of KGBCC certified. Also there are 12 assessment items that are less effective. Therefore, 22 of total assessment items are needed improv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s follows; The range of this study are targeted green-certified apartments from 2007 to 2010. Thus, this study is not analyzed green certified apartments since 2010. The limits of this study will complement through the follow up studies.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아동 도서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최건아 ( Geon Ah Choi ),백혜선 ( Hye Sun Pai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50명이 교육 활동에 쓸 아동 도서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크게 ‘도서에 권위를 부여하는 사회적 지표’, ‘초등학교 교육과정’, ‘예비 교사의 개인적인 독서 경험’, ‘예비 교사의 개인적인 교육 경험’, ‘아동 독자의 특성 및 교육 환경을 둘러싼 사회적 요구’, ‘아동 독자의 이해’, ‘아동 독자의 흥미’, ‘교육 제재로서 도서의 특성’, ‘태도 측면 교육’, ‘심동 측면 교육’ 등의 기준을 고려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문학 도서를 선택할 때와 정보 도서를 선택할 때 주목하는 요인이 서로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기준을 사용해 도서를 꼽았지만 문학 장르에 편향하여 도서를 선정했다는 점, 도서 선정 목적에 어울리는 구체적 교육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개인적 취향에 따라 도서를 선정하기도 한다는 점 등의 제한점도 드러내었다. 이에 따라 이들이 아동 도서 및 아동 독자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적극적인 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two researchers analysed how 5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ect children’s book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selected children’s books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indicators’, ‘pre-service teacher’s unofficial teaching experience’, ‘children readers’ nature and social needs’, ‘children readers’ comprehension’, ‘children readers’ interest’, ‘book’s trait as teaching material’, ‘attitude education’ and ‘behavior education’. And participants considered different elements due to the genre of the texts.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various elements selecting books, there were, however, inadequacies that they couldn’t present proper teaching methods, overvalued literature books, focused on personal tas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active support to understand the traits of children’s books and children r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