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메탄 활성화반응에서 산화칼슘 촉매의 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

        박종식,공장일,전종호,이성한,Park, Jong Sik,Kong, Jang Il,Jun, Jong Ho,Lee, Sung H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6

        순수한 CaO, Mn-doped CaO, Mn/CaO, K/CaO 촉매를 제조하고 이들의 메탄 활성화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을 600∼800$^{\circ}C$ 온도영역에서 실험하여 산화칼슘의 촉매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촉매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선 분말회절분석(XRD), X-선 광전자분석(XPS), 주사전자현미경분석(SEM), 시차열분석(DSC) 및 열무게분석(TG)을 실시하였다. 촉매반응은 직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단방향 흐름 반응기로서 이루어졌다. 표준반응조건은 $p(CH_4)/p(O_2)=250$ Torr/50 Torr이며 반응기체의 주입속도는 30mL/min, 그리고 He 희석기체와 함께 전체압력은 1 atm이였다. 실험한 촉매들 중에서 6.3 mol% Mn-doped CaO 촉매가 가장 우수한 $C_2$ 선택성을 보였으며 775$^{\circ}C$에서 $C_2$ 선택성과 $C_2$ 수율이 각각 43.2%와 8.0% 이었다. 적은 양의 망간을 도프한 산화칼슘 촉매들은 망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C_2$ 선택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많은 양의 망간([Mn]>6.3 mol%)을 도프한 촉매에서는 $C_2$ 선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속이온이 도프되지 않은 6 wt.% Mn/CaO와 6 wt.% K/CaO 촉매는 700$^{\circ}C$에서 각각 13.2%와 30.9%의 $C_2$ 선택성을 보여 담지효과는 Mn보다도 K가 훨씬 우수함을 보였다. CaO와 Mn-doped CaO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10^{-3}∼10^{-1}\;atm$의 산소분압 영역에서 측정한 결과 모두 p형의 전기적 특성을 보였으며 도프한 망간의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촉매표면에 생성된 틈새형 산소이온이 메탄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틈새형 사소이온의 생성을 고체화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Pure CaO, Mn-doped CaO, Mn/CaO, and K/CaO catalysts were prepared and tested as catalysts for the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 to 800$^{\circ}C$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n- and K-addi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calcium oxide. To characterize the catalysts, X-ray powder diffraction(XRD), XPS, SEM, DSC, and TG analyses were performed. The catalytic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single-pass flow reactor using on-line gas chromatography system. Normalized reaction conditions were generally $p(CH_4)/p(O_2)=250$ Torr/50 Torr, total feed flow rate=30 mL/min, and 1 atm of total pressure with He being used as diluent gas. Among the catalysts tested, 6.3 mol% Mn-doped CaO catalyst showed the best $C_2$ yield of 8.0% with a selectivity of 43.2% at 775$^{\circ}C$. The $C_2$ selectivity increased on lightly doped CaO catalysts, while decreased on heavily doped CaO([Mn] > 6.3 mol%) catalysts. 6 wt.% Mn/CaO and 6 wt.% K/CaO catalysts showed the $C_2$ selectivities of 13.2% and 30.9%, respectively, for the reaction.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aO and Mn-doped CaO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to 1000$^{\circ}C$ at Po2's of $10^{-3}\; to\;10^{-1}\;at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Mn-dop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P0_2$in the range of $10^{-3}\;to\;10^{-1}\;atm,$ indicating the specimens to be p-type semiconductor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rstitial oxygen ions formed near the surface can activate methane and the formation of interstitial oxygen ions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solid-state chemistry.

      • KCI등재

        다중 센서 어레이 신호 검증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박종식,이성수,Park, Jong-Sik,Lee, Seo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1

        최근 환경 감시용 센서장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지능형 로봇의 센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한 감지, 검출 시스템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의 물리적 상태 변화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센서의 노후화나 다양한 측정 환경으로 인하여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에 적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센서 신호 처리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동일 센서를 복수의 어레이 구조로 배치하고 사용하였다. 여러 센서의 측정된 데이터의 시간적 상관관계와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의 이상 유무 확인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랫폼 구성요소 간 통신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As sensor technology grows up in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hazards detecting system, ubiquitous sensor network, intelligent robot, the sensing and detecting system for sensor is increasing. The sensor data is measured by change of chemical and physical status. Because of decrepit sensor or various sensing environment, it is problem that sensor data is inaccurate result. So the reliability of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s a reliable sensor signal processing platform for various sensor. To improve reliability, we use same sensors in multiple array structure. As sensor data is corrected by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or measured sensor data, reliability of sensor data can be improved. The exclusive protocol between platform components is designed in order to verify sensor data and sensor state in various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경남 남부지역 젖소 사육 농가의 소바이러스성설사병(BVD) 감염실태 조사

        박종식 ( Jong Sik Park ),박종규 ( Jong Kyu Park ),조은정 ( Eun Jung Cho ),김은경 ( Eun Gyeong Kim ),이종민 ( Jong Min Lee ),김도경 ( Do Kyung Kim ),손성기 ( Seon Ki Son ) 한국동물위생학회 2013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6 No.1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 viruses in cattle that can cause severe economical losses due to decreased fertility, abortion, diarrhea, and respiratory symptom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BVDV infection (Transiently infection, Persistently infection) in dairy cattle in Gyeongnam southern area, Korea and use this data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eradication program and policy. A total of 44 bulk-tank milk samples (farms) collected in milk collecting center were tested for BVDV antibody using an ELISA. As the result, out of a total of 44 bulk-tank milk samples (farms), 38 (86.4%) samples were BVDV antibody positive. Blood samples (17 farms, n=543) were collected from BVDV antibody positive farms in bulk-tank milk, tested for BVDV antigen with ELISA and PCR. BVDV infected farms were 47% (8/17) and BVDV infected head were 2.2% (12/543). Persistently infected cattle (PI) were detected at 6 (35.3%) farms out of 17 farms and a total of 6 (1.1%) out of 543 head of cattle were identified as PI. The seropositive of BVDV antibody at farms and head were 100% (17/17) and 49.45% (91/184), respectively. The seroprevalence of BVDV antibody in PI infected farms (67.35%) much higher than that of BVDV antibody in transiently infected cattle (TI) infected farms (45%) and uninfected farms (34.48%). For eradication of BVDV infection in cattle populations, First of all, we should remove PI and need vaccination.

      • KCI등재

        칸트 이율배반과 붓다 무기설(無記說)의 논쟁구조

        박종식(Park, Jong-Si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이 논문에서 필자는 칸트 이율배반의 해결방식과 밧차곳따, 말룽끼야뿟따의 형이상학적 물음에 대한 붓다의 논쟁방식의 구조를 탐구하고자 한다. 칸트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를 통해서 대상 중심적 인식론에서 주관 중심적 인식론으로 이행한다. 주관이 선천적으로 지닌 인식형식을 통해서 대상은 비로소 이차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감성형식으로서 시간과 공간을, 오성형식으로서 12범주를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감성형식인 시간, 공간에 어떤 무엇인가가 주어지면 이것을 오감을 통해서 감성적으로 수용한다. 감성적 수용대상을 오성형식을 통해서 사유함으로써 비로소 보편적, 필연적인 인식이 성립된다. 모든 인식은 감성과 오성의 한계 안에서만 성립한다. 경험의 한계를 넘어선 형이상학적 물음에 대해서는 어떤 대답도 정당하지 않다. 따라서 칸트는 경험의 한계를 넘어선 형이상학적 물음인 네 가지 이율배반에 대해서는 어떤 대답도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칸트는 이율배반을 이론적 측면보다는 실천적 측면에서 접근한다. 이와 유사하게 붓다는 형이상학적 물음에는 대답하지 않고 침묵한다. 이러한 대응방식을 ‘무기(無記)’라고 한다. 붓다가 형이상학적 물음 10가지 또는 14가지에 대해서 침묵한 것은 그런 물음은 대답할 수 없는 물음이며,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쌍윳따 니까야』에서 밧차곳따는 ‘세상은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 세상은 유한한가, 무한한가? 영혼은 신체와 같은가, 다른가? 여래는 死後에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존재하면서 존재하지 않는가, 존재하지도 않고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닌가(世有常 世無有常,世有底 世無底,命即是身 為命異身異,如來終 如來不終 如來終不終 如來亦非終亦非不終)?’라고 묻는다. 이에 붓다는 침묵을 지킨다. 붓다는 항상 제법무아(諸法無我)을 가르쳤다. 그러므로 붓다의 침묵은 대답할 수 없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답을 거부하는 것이다. 붓다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상이한 근기(根氣)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진리를 설한다. 붓다는 밧차곳따와 말룽끼야뿟따의 질문방식에 따라서 대응을 달리한다. 형이상학적 질문인가, 형이상학적 희론(戱論)의 근거에 대한 질문인가에 따라 붓다의 대응방식은 다르다. 밧차곳따에게 세상은 유상(有常)하다 또는 세상은 무상(無常)하다고 대답했다면 밧차곳따는 곧바로 상주론, 단멸론이라는 견해에 빠지게 된다. 밧차곳따는 근기가 높았다면 그런 형이상학적 질문을 하기보다는 그런 견해가 생겨난 근거를 질문했을 것이다. 그때 붓다가 무아론(無我論), 사성체(四聖諦)를 설하면 밧차곳따는 형이상학적 물음이 성립할 수 없다는 사실을 곧바로 깨달았을 것이다. 형이상적 물음은 이론적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실천적으로 해소되어야 한다. 이처럼 칸트와 붓다는 형이상학적 물음에 대해서 이론적 측면보다는 실천적 측면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arguments between Kant’s antinomy and the dialogue on the metaphysical problems between the Buddha and Vacchagotta, Malunkyaputta. In Early Buddhism, the term “avyākata(無記)” refers to a set of ten metaphysical questions on which Buddha has kept silence.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the Buddha gave not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avyākata because they are not helpful to solve the problems of life. The Saṃyutta-Nikāya is organized around such questions. Here Vacchagotta asked the question to Buddha whether the self existed or not, Buddha still kept silence. Buddha always and repeatedly taught that all dharmas are without self-nature(諸法無我). This silence of Buddha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s the refusal to giv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avyākata. Buddha tried to give the eternal truths to a wide range of people of different levels in various circumstances. Therefore he was required to express this message through the various versions of the truth. If Buddha has given the answers to him, Vacchagotta with common levels must have misunderstood the answers. If the Buddha has believed that all the truths were to be spoken to all the people in the same way without regarding their levels, and if he did so, Vacchagotta would have the wrong opinion on the problems. If Vacchagotta will be more spiritually mature, Buddha would have explained ‘Insight into Nonself(無我論, anattā-vāda), he would at once find that the metaphysical problems were wrong problems which could not be established. Therefore Buddha would keep silence on the series of the metaphysical problems by Vacchagotta, because they could not be established. This is the way of the dissolution, not solution, of the metaphysical problems which Buddha would want to show to peop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