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인비행장치측량에 의한 토공량 산출의 정확도 분석 : 단지조성공사를 중싱으로

        박정만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정부(국토교통부)에서는 자율주행차, 드론, 공간정보 등 7대 신산업 육성정잭을 제시하였고 8대 혁신성장동력을 지정하여 육성정책을 펼쳐오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견인할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성과도 본격 가시화해 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한, 코로나19가 불러 온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하여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자율차, 드론 등 신산업 기반을 마련하고 안전한 국토 시설관리를 위해 도로, 지하공간, 항만, 댐 등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고,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핵심기반시설을 디지털화하고 효율적 재난 예방 및 대응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이 드론은 오늘날 4차산업혁명의 신산업으로 육성되고 있으며 국토조사, 순찰, 유지관리,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도제작 등의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분야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건설공사에서도 토공량 산출, 구조물 안전점검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범용단계로 보기 보다는 시작단계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비행장치측량(UAV측량, 드론측량)을 활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함에 있어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토공량은 공사금액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단지조성공사 토공량의 산출은 해당 공사의 경제성 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무인비행장치측량을 통한 토공량 산출시 그 결과에 대한 정확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토공사가 진행 중에 있는 단지조성공사 현장을 테스트베드로선정하여 무인비행장치측량을 실시하고, 수치표면모델,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을 생성하여 정확도 검증절차를 거쳐 이를 활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고 지상 LiDAR에 의한 검사측량 등을 통해 그 정확도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인비행장치측량 성과를 활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함에 있어 지상기준점 측량 성과를 토대로 무인비행장치측량 성과물의 정확도가 허용오차 이내임을 확인하였고, 무인비행장치측량으로 생성한 3차원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고 지상LiDAR 측량으로 구한 토공량과 비교하여 정확성이 확보되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무인비행장치측량은 경제적이고 안정적이고 신속한 결과값을 얻어내는 장점이 있으므로 토공사의 기성고 확정 뿐만아니라 시급성, 안전성 등이 요구되는 구간의 토공량 산출에 유용할 것이며, 시계열 드론촬영영상을 활용하여 단지조성공사 건설모니터링에 활용이 확대된다면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무인비행장지측량을 활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거나 그 사용성 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인비행장치측량 성과를 활용하여 토공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각종 설계지침, 공사 시방서 등의 적기 개정과 구체적인 설계내역 반영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 무인비행장치, 지상기준점 측량, 수치표면모델,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 토공량 Recently, the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posed seven new industries nurturing policie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drones, and spatial information.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policies to foster eight innovative growth engines, including smart cities, autonomous vehicles, and drones.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a plan to make visible the results of innovative growth leading projects that will lead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brought on by COVID-19 and further design a new future for Korea, the “Korean New Deal Comprehensive Plan” has been announced.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new industrie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and drones and to safely manage national facilities, the plan is to build a digital twin such as roads, underground spaces, harbors, and dams to digitize core infrastructure so that people can enjoy a safe and convenient life and to prepare an efficient disaster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As such, drones are currently being nurtured as new industr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and survey, patrol, maintenance and surveillance, especially, drones are actively used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Drones are also used in construction work for calculation of earthwork volume and safety inspection of structures, but it should be viewed as a starting step rather than a general-purpose step. In this study, I intend to analyze the accuracy in calculating the earthwork volum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ing (UAV surveying, drone surveying). The earthwork volume is an important factor direct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amount and since the calculation of the earthwork volume for a complex construction project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relevant construction, the accuracy of the result is important when calculating the earthwork quantity through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ing.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ite of the complex construction currently in progress was selected as a test bed,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 was conducted, and DSM, DEM, and the orthophoto image were generated and the accuracy verific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Using this, the amount of earthwork was calculated, and the accuracy was analyzed and organized through examination surveying by ground LiDA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 results was within the allowable error based on the ground control point survey result in calculating the earthwork volume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 result, and 3D point cloud data generat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ing was used to calculate the earthwork volume and compared it with the earthwork volume obtained by the ground LiDAR survey, and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conclusion that the accuracy was secured. Therefor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ing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economical, stable and quick results, so it will be useful not only to determine the ready-made level of earthworks, but also to calculate the earthwork volume in sections that require urgency and safety. It is expected that the overall work efficiency will be improved if the application is expanded to the construction monitoring of the construction work. In the future, in order to calculate earthwork volum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 or expand its usability, it is necessary to revise various design guidelines and construction specifications so that they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alculating earthwork volume using the results of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ing. It is judged that specific criteria for reflecting budget details are necessary. Keywords: Unmanned Aerial Vehicle, Ground Control Point Survey, Digital Surface Model, Digital Elevation Model, Orthophoto Image, Earthwork Volume

      • 分讓住宅 供給制度 改善方向에 관한 硏究

        박정만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생활의 3대 기본요소인 衣,食,住중에서 주택은 잠자고 편안히 쉬려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려는 것으로써 인간생활의 발달과 함께 관심도가 증대되어 왔다. 그러나 주택이란 異質性, 固定性, 耐久性등 보통의 재화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갖고 있어 많은 문제를 야기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정책을 필요로 한다. 주택정책목표를 달성하는데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하나는 자유시장론적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정부개입론적 입장이다.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형태는 자유시장론적 입장에 바탕을 두면서 정부개입론적 입장을 점차 확대하여 왔다. 주택시장에 정부개입이 시작되면서 나타난 정책중의 하나가 신규주택 분양가격의 통제제도이다. 신규주택 분양가격의 통제는 시장균형가격보다 낮은 수준의 최고가격을 정하여 가격보조를 해주는 효과를 발생케 함으로써 주택수요자에게 내집마련 기회를 확대시켜주는 것이다. 1970년대 중반이후 사회, 경제적 여건에서 비롯된 주택수급 불균형으로 인하여 주택의 실제거래가격이 생산비용보다 훨씬 높은 상황에서 수요자가 적정한 가격으로 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택분양가를 규제하였다. 그러나 주택분양가격 규제는 주택에 대한 과소비 유발, 부동산 투기 발생, 토지이용의 비효율성 발생, 민간주택 공급의 감소, 중고주택시장의 위축등 부작용이 나타났다. 정부의 재정지원을 최소화하면서 주택공급을 늘리기 위하여 주택 선분양제도가 실시되었다. 선분양제도는 주택의 건축공정이 10-20%정도 진척되거나 착공과 동시에 분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택건설업체는 선분양을 통하여 입주자로부터 계약금, 중도금 등을 미리 받아 건설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 택지만 확보되면 자기자금없이도 주택건설사업이 가능하여졌다. 이로 인해 주택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주택건설업체의 건설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함으로써 주택공급물량을 증가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부작용도 많았으며 특히 소비자 입장에서는 금전적 비용 부담 증가뿐만아니라 주택의 품질저하라는 이중의 고통을 받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주택건설업체에서는 일단 분양하기만 하면 판매대금의 회수가 보장되므로 품질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으며 요즈음과 같이 경기 침체로 인하여 주택건설업체가 도산하는 상황에서는 소비자가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공공주택의 건설을 지원하고 개인의 주택구입능력을 제고 주거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국민주택기금을 설치 운용하고 있다. 국민주택기금은 주택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조건하에서 주택자금을 대출하고 회수한다는 측면에서 정부의 재정지원과 구별된다. 그러나 국민주택기금의 자금조달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자금 조성액 가운데 부동산경기에 의존하는 성격의 국민주택채권과 청약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국민주택기금에서 경기의존적 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경기 활황시에는 50-80%에 달하지만 경기 침체시에는 3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와 같이 경기의존적 재원의 비중이 높다는 것은 자금조달구조가 매우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우리나라 분양주택공급제도에 대하여 그 내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분양제도는 다른 산업에 비해 재무구조가 취약하여 자기자본 비율이 낮고 타인자본 차입도 어려운 주택건설업의 자금조달원이 됨으로써 주택산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주택공급을 늘려 주택보급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주택소비자는 자금부담이 과중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상품을 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주택을 구입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읍니다. 선분양제도는 주택보급율이 높아지고 미분양이 늘어난 현시점에서 준공후 분양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먼저 국영기업체인 대한주택공사를 통하여 시범 실시하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둘째, 신규분양가격 규제는 부동산 가격안정에 기여하였으나 주택의 품질저하를 가져오고 주택건설업체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분양가를 자율화할 경우 소비자는 보다 다양한 품질의 주택을 선택할 수 있고 주택건설업체는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다. 저소득층에 대하여는 주택을 낮은 가격으로 공급하는 것보다 주택보조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주택금융은 대부분 신규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금융으로서 대출대상이 되는 주택규모 및 융자의 최고 한도를 제한하고 있다. 주택은행의 주택관련 예금제도는 여유자금의 저축수단이라기보다는 융자 또는 청약우선순위 획득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민복지적 차원의 주택금융의 역할이 상당히 미진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현행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은 상당히 복잡하고 자주 바뀌어 소비자는 물론 주택건설업체가 상당히 혼란스러워하고 있으며 정부의 관리감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이 있다. 주택공급정책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적으로 시행될 것이 아니라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주택공급제도는 보다 단순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그동안의 우리나라 주택정책은 기존 주택의 보전보다는 신규주택 공급확대에 더 중점을 두어왔으나 앞으로는 신규주택의 공급확대 못지않게 이미 건축된 주택을 온전하게 보전하는 정책도 주택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택정책은 법규, 규칙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유도책과 정부의 리더쉽이 더욱 중요하다. WTO 출범으로 말미암아 자유시장을 억압하는 모든 규정·규칙은 개방화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앞으로는 지금과 같은 직접적인 규제가 어려워질 것이다. 정부의 유도책으로는 금융지원과 조세지원, 기술지원 등을 들 수 있다.

      • 지반-구조물 경계면 흐름거동과 파이핑 안정성

        박정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파이핑은 제방의 설계 시 고려해야할 사항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파이핑 현상이 구조물과 지반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루핑(Roofing)이라 칭하며, 주로 제방의 관로 하부에서 발견된다. 루핑(Roofing)현상에 대해서 널리 인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론적 고찰은 좀처럼 찾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향인자를 고려한 모형실험을 통해 루핑(Roofing)현상의 매커니즘을 조사하였다. 또한 루핑파괴를 평가하는 새로운 실험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모형실험에 대한 FLAC과 PFC의 연계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루핑파괴의 가능성은 시료 간극비가 클수록, 구조물 경계면이 매끄러울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기존 Creep비 평가방법과의 비교 결과 Creep비 평가법은 과한 안전계수를 적용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경계면 투수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실험 장비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경계면 흐름거동에 대한 새로운 방법의 모델링과 테스트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 투수특성은 루핑 매커니즘과 루핑파괴의 영향인자에 영향력을 정의할 수 있다. Pip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concerns in levee design. A type of pip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structure-ground is termed as roofing, and frequently found beneath conduit in the levee. Although roofing is widely recognized but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is is hardly found. In this study, mechanism of roofing was investigated by model tests consideri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The model tests were simulated by the FLAC/PFC coupled numerical analysis, to develop a new method examining roofing failur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roofing potential has increased with an increased in void ratio and roughness of the structure. And the Creep ratio evaluation had been applied to excessive safety factor. While performing this research, a new test equipment for the evaluate of interface permeability has developed. It has shown the new method modeling and testing the interface flow behavior and permeability has enabled to identify roofing mechanism and the effect of influencing factor on the roofing failure.

      • 방아잎 분말 첨가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 및 품질특성 연구

        박정만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e for emulsion type sausage with Added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Park Jung Man Dept. of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In this study, Agastache rugosa that is our endemic spices was utilized for manufacturing emulsified sausage that is typical meat processed product having high consumer preference. Optimal powder added sausage recipe was established by measuring quality features of sausage added with Agastache rugosa powder by each added group and performing its sensory evaluation and together with an effect of Agastache rugosa powder on general product features of sausag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y of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emulsified sausage were intended to be observed. Addition ratio of Agastache rugosa powder was established based on a range of 1-4% compared with hind leg meat and its fat amount and after manufacturing sausage by each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group, quality featur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performed and in order to measure oxidation stability and total bacterial counts, it was used as sample while keeping it under cold storage for 28 days. The result of its study is as follows. Moisture contents of sausage added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samples. Increasing the amount of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in the sausage tended to decrease the pH. Increasing the amount of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in the sausage tended to decrease the lightness(L), redness(a) values, but yellowness(b) values was decreased.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increased the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sample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Agastache rugosa powder being used in this study was measured as 213.62 mg GAE/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79.38%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sausage as well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added ratio of Agastache rugosa. TBARS value was generally increased depending on lapse of storage period but on 28th day of storage, the more added ratio of Agastache rugosa powder was increased, TBARS val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Agastache rugosa powder is effective for inhibiting oxidation of sausage. VBN content by each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as storage period passes and its increasing width was reduced depending on increase of added ratio of Agastache rugosa powder. Total bacterial counts of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sausage was increased in all the samples as storage period passes and on 28th day of storage, the more added ratio of Agastache rugosa powder was increased, total bacterial count was decreased. In view of above results, Agastache rugosa powder was considered to be food material suitable not only for functionality but also for developing sausage product of which preservation property is improved. Color thickness, Agastache rugosa O. Kuntze smell intensity, & savory odor among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usages added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were thickened, intensified, and decreased as added rate of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was increased. It was evaluated that Off-flavor of S4(the addition of 4% Agastache rugosa O. Kuntze leaf powder) was the strongest. Taste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was increased and oily taste was weakened as added rate of leaf powde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 was increased. Sensory preference of S2(the addition of 2% Agastache rugosa O. Kuntze leaf powder) was evaluated to be the most excellent in preference item of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As a result of observing preference difference between Agastache rugosa powder 2% added group (S2) that showed the best preference in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for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sausage and general hand-made sausage being manufactured and sold at 'W' hotel through paired comparison test, as preference of Agastache rugosa powder added sausage was much higher, its commercialization possibility was considered to be very favorable. 방아잎 분말 첨가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 및 품질특성 연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 향신료인 방아잎을 육가공제품의 대표적인 제품인 유화형 소시지 제조에 활용하였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는 각 첨가구별로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의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레시피 확립하고 방아잎 분말 첨가 유화형 소시지 제품화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아잎 분말의 수분함량은 10.61%로 측정되었으며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수분함량은 방아잎 분말의 첨가 유무와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없이 54.72-56.00% 범위를 나타내었다. pH는 방아잎 분말이 6.02로 측정되었고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pH가 낮아졌으나, 각 시료별 pH의 유의적 차이가 최대 0.2 정도로 매우 미미하였다. 색도는 방아잎 분말이 L값 59.27, a값 –12.75, b값 23.18로 측정되었고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색도는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낮아지고 a값은 (-)의 경향이 강해져 녹색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기계적 조직감 중 경도(hardness)는 방아잎 분말 첨가구(S1-S4)가 무첨가구(S0)보다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으나,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 증가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검성(gumminess)과 부착성(adhesiveness) 및 탄력성(springiness)은 방아잎 분말의 첨가유무 및 첨가비율의 증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응집성(cohesiveness)은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방아잎 분말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213.62 mg GAE/g로 측정되었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9.38%를 나타내어 방아잎이 기능성을 보완한 소시지 제품을 개발을 위한 유용한 식품 소재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방아잎의 첨가비율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또한 방아잎의 첨가비율 증가에 따라 높아졌다. TBARS 값은 방아잎 분말 4% 첨가구(S4)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의 TBARS 값이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저장 28일째에는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TBARS 값이 낮아졌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저장기간별 VBN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VBN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방아잎 분말의 첨가 및 첨가비율의 증가에 따라 증가 폭이 낮아졌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균수의 변화는 모든 시료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균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별로는 저장 28일째에 방아잎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감소하여 방아잎 분말 4% 첨가구(S4)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방아잎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관능적 특성은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색의 진한 정도(intensity of color)는 매우 진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방아잎 냄새(odor of Agastache rugosa O. Kuntze)는 강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구수한 냄새(savory odor)는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취의 정도(off-flavor)는 방아잎 분말 4% 첨가구(S4)가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어 너무 강한 방아잎 향을 불쾌한 냄새(off-flavor)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아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방아 맛(taste of Agastache rugosa O. Kuntze)을 강하게 느꼈으며 구수한 맛(savory taste)은 방아잎 1% 첨가구(S1)이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느끼한 맛(oily taste)을 약하게 느꼈다. 이미(off-taste)는 방아잎 분말의 첨가 유무 및 첨가비율의 증가에 따른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조직감 중 탄력성(springiness)은 방아잎 분말 3% 첨가구(S3)가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 기호도 중 색(color) 기호도는 방아잎 분말 2% 첨가구(S2)가 가장 높았고 냄새(odor) 기호도는 방아잎 분말 1% 첨가구(S1)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방아잎 분말 첨가는 오히려 기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texture)과 맛(taste) 기호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는 방아잎 분말 2% 첨가구(S2)가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에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방아잎 분말 2% 첨가구(S2)와 워커힐호텔에서 제조·판매되고 있는 일반 수제 소시지와의 기호도는 방아잎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더 높아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제품화 가능성은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방아잎 분말을 활용한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할 때에는 돼지 뒷다리육 및 등 지방 양 대비 2%의 방아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관능 기호도까지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방아잎 분말의 첨가에 따라 소시지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적정량의 방아잎 분말 첨가는 관능기호도를 향상시켰으므로 향후, 방아잎 분말 첨가 소시지의 제품화의 가능성은 매우 밝은 것이라 사료된다

      • 대학행정조직의 팀제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만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팀제 도입을 위한 순천 C대학 직원의 개인적인 특성과 관련된 조직변동(팀제 도입)의 태도에 관한 연구로서 순천 C대학 행정 조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에 응답한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제 개념과 조직개혁 이론 등은 기존 문헌과 자료를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95%의 신뢰수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론은 단순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빈도분석에 따라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제 지식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모른다와 보통이다가 각각 가장 높게 나왔으며, 알고 있다, 매우 잘 알고 있다, 전혀 모른다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격적인 팀제 도입 필요성에 대하여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필요하다, 불필요하다, 매우필요하다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절대 불필요하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전혀 없었다. 셋째, 팀제도입이 전면적으로 이뤄져야할 부서에 대한 질문에 기획조정처를 적정한 부서라 답하였으며, 다음이 산학협력처와 교학처, 사무처, 그리고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제의 적합성에 대한 질문에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적합하다, 매우 적합하다, 부적합하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조직원은 전혀 없었다. 다섯째, 팀제가 도입되면 가장 중요한 운영요소에 대해서는 적정한 업무배분을 꼽았으며, 목표달성을 위한 의사소통, 팀장의 리더십, 성과보상, 권한위임 순으로 나타났다. 팀제에 대한 많은 정보와 자료를 갖고 신중히 검토하여 실시하기 전에 조직 구성원들에게 팀제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는 집단적 저항이 없게 하며, 순응을 이끌어내 제도의 성공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조직의 팀제 도입운영 시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검토해 보면 첫째, 설문조사 결과에도 나타났듯이 팀제 도입에 대한 사전 의견조사를 통하여 조직원의 생각을 충분히 수렴해야 한다. 둘째, 팀제의 명확한 이해를 돕는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되, 팀제 운영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타 기관을 벤치마킹하거나 성공사례 등을 접하는 등 다양한 교육의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셋째, 전면적인 팀제의 도입보다는 단계별 도입을 통한 시대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함과 동시에 조직원들이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시기를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팀 운영 시 적정한 업무분장은 보다 높은 성과를 거두려는 관점이 기본으로 팀 운영의 기본이 된다. 다섯째, 팀 구성원들이 갈등을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은 의사소통의 활성화로부터 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섯째, 팀원들의 교육 및 지도를 위해서는 적정한 업무배분, 목표달성을 위한 의사소통과 더불어 팀장의 리더십의 강화라 생각한다. 끝으로 조직원들이 팀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팀 성과평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면평가활용의 확대도 팀제도입방안의 하나로 제안한다. 본 논문은 순천 C대학 직원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팀제 도입에 대한 태도를 다룬 것으로 향후 팀제가 도입·정착 되었을 시 팀제 도입 전·후의 경영 실적이라든지 종사원에 대한 인식 연구와 더불어 조직문화 등을 비교분석하면 팀제운영의 좋은 연구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On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team system, concerning a progress of an organizational change (introduction of team system) related to individual traits of C University personals, the university located at Suncheon, this thesis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arget at the persons working a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n C University located at Suncheon. As for a conception of team system an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hange, this thesis amended and complemented existing literatures and materials, and produced a statistic with SPSS 10.0, statistic program, and used 95% reliance level. This thesis analyzed frequency and acquired the result as followings. As for a basic analysis, First, about the knowledge on team system, respondents responded, “I don't know or I know in a medium level”, “I know it”, “I know it well”, and “I don't know at all” in order. Second, as for the necessity of a team system introduction in a full scale, respondents recognized, “necessary in a medium level”, “necessary”, “not necessary”, and “necessary very much” in order. But nobody responded, “not necessary at all”. Third, as for the question on the department in which the team system has to be introduced at our organizations in a full scale, respondents responded, “Department of Planning & Coordination”, “Department of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Academy Cooperations and Department of General Affairs”, “Department of Clerical Works”, and Others in order. Fourth, as for the question on the suitability to team system in our organization, respondents responded, “suitable in a medium level”, “necessary”, “necessary very much”, and “not necessary”, in order. But nobody responded, “not necessary at all”. Fifth, as for the question on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respondents responded, “appropriate assignment of affairs”, “communication for achievement of aims”, “leadership of team managers”, “compensation for fruits”, and “delegation of authority” in order. It is necessary to examinate many pieces of information materials about team system by inches to explain team system to organization members and help recognize the system. The precedent subjects that have to be introduced to organizations are; First, as shown from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it is necessary to converge organization members' thoughts on introduction of team system in a full scale through precedent surveys. Second, it is necessary to do a systematic and periodical education on helping organizational members understand team system clearly, so in addition to prepare the way to do various educations such as benchmarking of other organizations or contact of successful cases. Third, Step-by-step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ratehr than a full-scale introduction is necessary. Forth,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operating in a costume appropriate business will be more efficient. Fifth,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communication in operating the base should be activated. Sixth, Team to introduce team-based system of operational leadership is requir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ke incentive for achievement assessment an institution so that team members can participate in the team system. Then, the multilateral-evaluation of the introduction of team-based system in operation is one of the measures introduced. On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team system, according to respective traits of C University persons, this thesis is composed. So the thesis will be used for analyzing management fruits before and after a team system is introduced and fixed, for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employees, and for managing a team system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 도심문화재 주변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 울산동헌 주변가로를 중심으로

        박정만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에서 역사적 장소나 기념물이 있는 곳에는 그 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특성에 따른 경관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즉 역사경관은 역사적인 문화유산과 현재 인간의 생활환경을 포함하는 지역에 형성되며, 각 지역의 문화와 배경의 차이에 의해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심 문화재 주변의 경관을 해당 문화재의 특성에 맞게 정비한다면 그 지역만의 개성 있는 경관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울산 도심에 있는 대표적 전통 건조물이면서 역사·도시사적 가치가 있는 울산동헌 주변 가로를 CG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각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선호 수준을 파악하여 선호도 높은 가로 경관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공간적 범위로는 울산시 도심에 있는 문화재 중에서 현재 복원되어져 있고, 역사·도시사적 의미가 있는 울산등헌 주변의 가로 중에서 주 접근로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가로는 비록 일제시대에 형성된 가로이지만, 현재 복윈 정비되어져 있는 울산동헌의 주접근로이다. 따라서 단순히 역사적 가치가 있는 현 울산 초등학교 앞 남북가로를 정비하는 것 보다 현재 복원되어져 있는 울산동헌 주변 가로부터 정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좀더 효율적인 가로경관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적 범위는 현재 대상가로에 적용되고 있는 제도를 살펴보고, 이론적 고찰 및 현황분석을 통해 얻어진 경관구성요소로 설문조사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로경관 구성요소는 정량적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요소를 기준으로 1차 요소와 2차 요소로 분류하였다. 1차 요소는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며, 2차 요소는 기본적인 공간 구성요소를 제외한 가로시설물에 관한 요소이다. 대상가로는 문화재의 가시표면을 가장 잘 보여주는 주 접근로이면서 울산동헌 주변 가로에서 보행자의 통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따라서 가로시설물(편의시설)에 의한 문화재 가시표면의 인지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가로 시설물로 한정하여 경관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경관 구성요소를 분류하면 1차 요소는 건물, 도로 및 바닥이고, 2차 요소는 가로수, 가로등, 벤치로 구성요소를 선정 하였다. 현재의 CG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많은 변수(상세의 정도, 색상의 특성, 묘사되는 상황 등)에 따라 이미지 결과물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 즉, 이미지에서 투시도 효과나 다른 경관요소를 삽입하여 좀더 세밀한 장면을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경관구성 요소를 제한하였고, 다른 경관요소에 의해 측정할 경관요소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경관구성요소 이외에는 다른 요소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만들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미지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구성되고, 다른 경관요소에 의한 영향은 전문가 군으로 형성된 피험자들의 경험에 의해 보정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재 주변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는 그 문화재와 같은 건축양식, 색채, 패턴 등이었으며, 도로 및 바닥도 문화재 주변이라는 장소성을 나타내고 다른 가로와 차별된 유형을 선호하였다. 가로시설물은 그 문화재의 가시표면의 인지도보다는 보행자의 편의성이 더 우선하였으며, 주변 건축물은 문화재와의 관련성과 보행자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 맞배지붕불전 입면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박정만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role of roof is very important from the view of structure and design. Roof becomes the basis that classifies overall building and characteristic factor of elevation that has 1:1 ratio when it is compared to main building in elevation and that heavy weight of tile, juksim and boto change the elevation of temple through impacting to overall structural system. And roof is the very important factor to show unique Korean traditional design. Gambrel roof is the simple type of roof that has the side of roof only in front and rear of building and has a simple roof structure when it is compared to woojingak roof or paljak roof. When comparing to two types of roofs, it is generally regarded as inferior thing in perfection and grade of building but it is used as roof of Buddhist temple building in contrast to royal palace building Buddhist temple building contains ritual element to deliver ceremony of religion, religious instruction for worshiped subject and religious experience unlike other buildings. From the view of the meaning of protection-building that enshrines Buddhist image, the entry of iljoomun, kumkangmun that organizes the ideal of Buddhism as architectural space and the place that means final devoting place of worshiper, organization of Buddhist building are changed by various factor like religious factor to show religious zenith, the method of construction as architectural structure and change of detail technique. Namely, in decision of the type of roof in Buddhist building, the main stream of selection was changed by numerous external and internal architectural factor like the characteristic of overall Buddhist building, change of worship ceremony, change of required internal space for Buddhist building, grade of building, the state of supply and demand of wood, design, periodical state, development of wood technique, development of processing tool and economic capacity of temple. Through paying attention to optional appliance and change of detail form, understanding type of change in elevation and the cause that appear in Buddhist building of gambrel roof, using it as material and comparing it to the material of analysis on form of temple building with being based on existing gongpo, it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to fix wrong restoration of temple building that is being built in present age and reappear wooden structure that has general elevation and form of temple building in contemporary ag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compare, analyze and materialize the factor that become the cause of change with being based on change in elevation, classify the cause of change in elevation by article and understand which impact the factors of changes give to change in elevation of overall Buddhist building on the basis of change in elevation of existing Buddhist building from late Koryo Dynasty to late Lee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