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문서분류체계와 KDC체계의 비교분석

        박은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survey and analysis were made of both the existing system of document clssification and the same by the Web retrieval engine. Korean standard system of clssification was used for the clssification of bibliographie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made of the libraries of Jeonju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see how well balanced the clssification by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the most widely used one among libraries in Korea, actually i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Lack of inter-relatedness between subjects: This will maximize the efficiency of a user's work through the process of association and browsing in retrieval and use of data. The KDC which is based on the system of DDC, however, is found to be ways from reflecting the inter-relatedness of various studies. 2) Mechanization of system: the KDC makes it a rule to classify all items such as genera, classes, orders and sub-orders based on the decimal clssification system. This rule causes a problem of mechanical clssificatio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specialization of studies takes place, a proper re-clssification work is demanded for clssification or retrieval of newly emerging data, but it is sometimes impossible for the KDC to do that due to its rigid nature. That is to say, the decimal clssification system is too mechanical form to be used for clssification of resources of the internet. 3) Unequal arrangement: in libraries which use the KDC, it is found that allocation of books belonging to each entry including genera shows a state of disproportionateness. 4) Ambiguity of equality or subordinateness: the decimal clss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KDC is based on enumeration of concepts and mechanical arrangement. Accordingly, the concepts or subjects which did not exist at the time of finalizing the enumeration of concepts are not adopted as a proper entry in the KDC. Such a rigidity causes an unseemly result of not treating new concepts or subjects as they deserve, giving them symbols of clssification below orders or sub-orders. The survey targeted Simmani and Naver as its subject of analysis concerning the clssification system by Web retrieval engine, and the resul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Web document clssification and the KDC are as follows: 1) Helping memory: the KDC consistently responds to the entries that need help of memory with its pre-designed table for helping memory to facilitate the work of clssification and retrieval with the help of memory. In contrast with that, the Web document clssification system lacks consistency or uniformity and allows the entries such as "group", "organization", "health" or "computer" to appear both in genera and in classes and in orders, thus causing confusion in the clssification system. 2) Entry of clssification: in the KDC, the closer an entry is to genera, the more it is expressed in a single concept, and the closer an entry is to sub-items such as sub-orders, the more it is expressed in a complex concept. Vice versa in the Web document clssification, however. 3) Subordinateness of clssification system: in the case of the KDC, it is based on logical clssification as in general document clssification system, which means that the clssification is made from the most complex down to the simplest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 contrast with that the Web document clssification system is based on informations now being produced in the internet with an emphasis on practicality. That is to say, it was verified that while the KDC is relatively logical and keeps a certain principle of arrangement, the Web clssification system lacks logicalness compared to the KDC, having itself based on the interest of people who need information of the related fields. It has also verified tha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ntries of the Web document clssification system to the KDC, the latter is not realistically up to adopting newly emerging and diverse subjects of the internet, due to its rigidness and the principle of mechanical arrangement. Accordingly, the conclusion is that a proper clssification system for Web retrieval engine should be something other than the decimal clssification system, and logicalness and systematics should be secured in the design of clssification systems.

      • 화학기상응축합성 TiO2 기반 망간 산화물 나노촉매 표면특성 및 환경오염물질 저온 분해 특성

        박은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표면특성이 우수한 화학기상응축합성(Chemical Vapor Condensation, CVC) TiO2 기반 망간 산화물 나노촉매를 제조하였다. 연구의 한 축으로 다양한 합성조건에서 제조된 나노촉매의 표면분석을 실시하여 그 물리/화학적 표면특성을 규명하였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이들 촉매의 환경촉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다양한 반응조건에 따른 환경오염물질의 저온 분해 반응특성 연구를 수행 하였다. 실험 결과, 화학기상응축법으로 합성된 TiO2 나노입자는 비표면적(ca. 150 m2/g)이 국내 시판되는 상용촉매인 P25-TiO2 비표면적(ca. 50 m2/g) 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오염물질 분해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 아나타제(anatase) 결정상은 97%이상으로 측정되었다. 표면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합성된 TiO2 나노입자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상용 촉매의 입자 평균입경이 약 30nm 수준인데 비해 합성된 촉매는 10nm이하의 매우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임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화학기상응축법으로 합성된 TiO2 지지체 표면에 망간 산화물을 담지하여 MnOx/TiO2 촉매를 제조하였고 이 촉매의 비표면적은 약 300 m2/g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지체 표면에 산화물이 담지 되면서 망간이 비정질(amorphous) 형태로 분산(dispersion)되어, 촉매표면에서 활성점(active site) 역할을 하는 망간의 뭉침(aggregation)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제조 과정 중 망간 담지량 및 전구체(manganese acetate, nitrate) 종류에 따른 변수를 주어 MnOx/TiO2 촉매를 제조하였고 이 나노촉매의 표면 특성 및 활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5wt%의 망간 산화물이 담지된 촉매가 촉매산화(catalytic oxidation) 반응에 직접 참여하는 산소활성종인 chemisorbed oxygen species(OH group, O2-등의 활성기 산소) 및 O2 uptake(205.17 umol/g) 함량이 가장 높았다. Manganese acetate 전구체를 담지한 촉매의 망간 산화물은 주로 산화분해 선택성(selectivity)이 좋은 Mn2O3 형태로 나타났고, 이 촉매 또한 산소활성종과 촉매 표면상의 산소 이동성(oxygen mobility)이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표면특성이 가장 우수한 나노촉매를 선정하여 환경오염물질의 저온 분해 특성 실험을 수행 하였다. 톨루엔(toluene) 실험 결과, 선정된 촉매는 25℃의 낮은 온도에서 톨루엔 분해효율과 COx 전환율이 각기 95% 이상 및 60% 로 비교군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NOx 산화/환원(oxidation/reduction) 실험 결과, 선정된 촉매는 225℃에서 88% 정도의 NO 산화효율을 보여주었고, 180℃의 저온영역에서는 90% 이상의 NO 환원효율을 나타내었다. 나노촉매의 활성유지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SO2 피독 실험 결과, 선정된 촉매는 촉매 활성점내 (NH4)2SO4(ammonium sulfate) 및 (NH4)HSO4(ammonium bi-sulfate) 등의 피독 물질 생성 속도가 비교군 촉매에 비해 느렸으며 피독 영향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objective of the this study is to synthesis the nanocatalyts for environmental pollutant removal, such as VOCs and NOx. Nanocatalysts composed of metal oxide are well-suited to environmental applications because their smaller particles and synthesis methods result in novel properties, one of which is increased surface area created by the use of smaller crystals. We performed the synthesis of transition metal (Ti, Mn) oxides and metal oxide loading on TiO2 by the CVC process. Using CVC-synthesized catalysts, we focused on the selective catalytic removal of NOx (oxidation and reduction) and VOCs (toluene oxidation) over metal (Mn2O3) loading on TiO2 catalysts. First of all, the TiO2 support material was characterized to better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nanomaterials produced by a CVC method. In addi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Mn loading concentrations on the Mn2O3/TiO2 materials were examined after preparation using the impregnation method. Furthermore, the optimal Mn loading concentration and precursor were determined. The structures of these catalysts were investigated using physical– chemical techniques such as X-ray diffraction (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TPR),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spectroscopy (EXAFS) etc., to understand the structures of the dispersed manganese oxide, redox properties and rel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manganese oxide species and titania support. The specific surface area (SSA) of TiO2 particles synthesized by vapor-phase synthesis (CVC) was three times larger (ca. 150 m2/g) than that of conventional TiO2 particles. Also, when the CVC-TiO2 catalyst was used as a support material and impregnated with MnOx metal catalysts, the SSA increased six times (ca. 299.5 m2/g) more than commercial catalysts. Adding metal components to a CVC-TiO2 particle can reduce particle pore size and enable less pore blocking. Consequently, the metal on synthesized nanocatalysts is dispersed well, creating a monodisperse of spherical shapes with diameters <10 nm, thus increasing the SSA. MnOx/TiO2 nanocatalysts to have higher oxygen mobility, dispersion, oxidation state and redox properties than commercial P25 similarly prepared and loaded with 5 wt% Mn2O3. They had greater amounts of Mn3+ groups on their surfaces. Also, MnOx/TiO2 materials through the impregnation of manganese nitrate or manganese acetate precursors for low-temperature selective NO oxidation. Mn-MA/Ti-CVC showed the highest NO oxidation activity (88% at 225 C, compared with the 69% shown by Mn-MN/Ti-CVC at 250 C), with a gas hourly space velocity of 30000 h-1. Moreover, these nanocatalyst showed good low temperature NO reduction activity and better resistance to sulfur poisoning in presence of SO2. Mn loaded on synthesized TiO2 prepared from manganese acetate precursor especially exhibited a high NO conversion of 98.4% at 150 °C. FT-I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atalyst also contained larger quantities of N−H bonds in NH3, synchronizing with Lewis acid sites on its surface. In the decomposition testing of VOCs (toluene), an excellent removal efficiency was also shown in the overall reaction temperature range, especially near room-temperature. Using MnOx/TiO2 nanocatalysts, overall conversion was good against pollutants compared with commercial catalysts, where the toluene oxidization ability was over 90% (under 40°C). Overall, Mn-MA/TiO2 was shown to have improved NO conversion and VOCs oxidation activity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manganese’s dispersion, crystallinity, oxidation state and redox properties, which gave it the best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s.

      • 소화 건조 시킨 하수슬러지로부터 열분해를 통한 청정 오일의 회수 연구

        박은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하수슬러지는 1일 213천톤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77%이상이 매립, 해양투기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처리 방법들은 오염물질 발생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매립의 경우 유해한 성분을 포함한 침출수의 침출을 막는 처리방법이 시급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런던협약에 의해 해양투기는 물론이고 직접적인 매립 또한 국내 정부에 의해 제재를 당하고 있다. 따라서 하수슬러지 처리에 대한 새로운 자원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이중 가장 유력한 방법이 열분해 기술로서 하수슬러지로부터 오일을 얻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탄소함유 물질 가운데 낮은 중금속 함량과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으며 생성된 oil의 경우 높은 에너지 가치를 가지고 있어 연료로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열분해 오일은 낮은 발열량과 높은 중금속 함유량, 질소와 염소 함량에 따라 연소하에서 NOX 발생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446~720℃ 온도조건에서 하수슬러지를 열분해하여 열분해 오일을 얻고자 하는 실험을 수행 하였다. 또한 시료의 크기와 feed rate을 변화시켜 비교 실험을 수행 하였다. 이번 열분해 생성물로는 oil, gas, char를 얻을 수 있었다. 열분해 생성가스는 주로 CO, CO2, CH4와 다른 가벼운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발열량의 경우 반응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대 30MJ/kg까지 증가하였다. 생성된 char의 경우 char 내의 높은 무기물 함량으로 인해 발열량이 낮게 나타났다. 생성된 열분해 오일은 점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낮은 반응 온도에서 점도가 매우 높았으며 최대 54wt%의 오일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높은 반응온도에서 열분해 오일은 유동성이 매우 높았으며 30MJ/kg내외의 발열량을 나타내었다. 비교실험을 통해 높은 feed rate과 작은 feed size는 열분해오일 생성에 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GC-MS를 통해 열분해 오일을 분석한 결과 산, 알콜, 알데히드, 그리고 탄화수소로 주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또한 대부분의 유해 중금속 함량이 매우 낮았고 1wt% 내의 황 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높은 발열량과 유해 중금속의 낮은 함량, 그리고 황성분의 낮은 함량은 열분해 오일을 연료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열분해 오일 내 질소 함량이 9wt% 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활성탄소나 제올라이트 촉매를 이용하여 생성된 암모니아를 흡착시킴으로서 오일 내 질소를 줄일 수 있다면 하수슬러지의 열분해는 하수슬러지의 열분해는 슬러지 처리를 위한 대안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duction of sewage sludge in Korea amounts to 2.5million.t/d, and to now more than 77% of sewage sludge in Korea has been disposed by ocean dumping and landfill. In landfill, the soil has to be sealed adequately to prevent the leaching of harmful compounds. Because not only the ocean dumping is strongly confined by the London Convention, but also the direct landfill and the utilization of sewage sludge in agricultural land are prohibited by the Korean government, new approaches to the disposal of sewage sludge must be found.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is the pyrolysis technique. Pyrolysis has some advantages over incineration. Pyrolysis releases less amount of pollutants, and the heavy metals present in the carbonaceous matrix produced by pyrolysis are relatively resistant to natural lixiviation. It furthermore produces oils with a high energetic value which could be used as potential fuels. The pyrolysis oil, however, usually shows undesirable characteristics largely due to low heating value and the high content of heavy metals, chlorine and nitrogen element that would releases NOx under combus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pyrolysis of sewage sludge at a temperature ranges between 446oC and 720oC in a pyrolysis plant equipped with a fluidized bed reactor. As product fractions, we obtained gas, oil and char. The pyrolysis gas is mainly composed of CO, CO2, CH4 and other light hydrocarbons. As the reaction temperature goes higher, the higher heating value of the pyrolysis gas was increased. The maximum higher heating value of the gas was 30MJ/㎏. The higher heating value of the char was relatively low due to high content of inorganic materials in it. The pyrolysis oils produced in the experiments were diverse in viscosity. At lower reaction temperature, the pyrolysis oil was very viscous at a room temperature, and the yield of oil at these temperatures was high with a maximum value of 54 wt% of the product. In contrast, pyrolysis oils obtained at higher temperature was very fluid and have a higher heating value around 30 MJ/㎏. A higher feed rate and a smaller feed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production of pyrolysis-oil. The pyrolysis oil was mainly composed of acids, alcohols, aldehydes and hydrocarbon compounds. It was almost free of hazardous metals and contained around 1 wt% of sulfur. The higher caloric value of the pyrolysis oil and little content of hazardous metals and sulfur stimulate the application of the pyrolysis oil in fuel applications. One crucial problem is the higher content of nitrogen in pyrolysis oil. For the reduction of nitrogen in pyrolysis oil, the adsorption of ammonia generated during pyrolysis with activated carbon or zeolites would be one of promising measures. From the experiments here reported, we can conclude that the pyrolysis of digested and dried sewage sludge can be an alternative route for the treatment of sewage sludge, only if the nitrogen removal is accomplished.

      • HPLC를 이용한 고실내 덱사메타손주입시 내이에서의 덱사메타손의 분석법 개발

        박은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덱사메타손은 내분비 장애, 류마티스성 장애 및 안과질환과 항암제로도 널리 쓰이는 약물로써 다양한 방면에서 약동학적(Pharmacokinetics)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난청치료에도 덱사메타손의 효과가 입증되면서 난청치료제로써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각종 난청의 치료에 있어서 고실내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 주입술은 전신적인 부작용을 낮추면서 와우 및 청각신경으로의 스테로이드 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실내로 주입한 덱사메타손은 와우 정원창을 통해 흡수되는데 이러한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한 약동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덱사메타손의 약동학적 분석을 위한 분석법은 많이 나와 있지만 주로 혈액의 plasma, serum 및 urine등의 생체시료에서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고실내 내이에서의 약동학적 분석법은 최근들어 연구가 진행중이고, 또한 artificial perilymph를 이용한 분석법은 아직 문서화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실험용 마우스의 내이에서의 덱사메타손 분석법을 확립하는 연구로써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서 적용되는 약동학적 분석법확립의 앞서 동물실험에서의 약동학적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에 이번실험에서는 Artificial perilymph를 이용하여 내이에서 덱사메타손의 약동학적 평가를 위해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내이에서의 덱사메타손을 분리 분석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해서 역상 C18 컬럼과 이동상의 pH 변화에 따른 LC상의 분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 검출을 위해 245nm에서 자외선(UV) 모니터링법을 사용하였고 약동학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시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표준품은 난청의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isodium phosphate. SIGMA 98%)이 표준물질로 선정하였다. 덱사메타손의 분리는 용리 조건에서 용해되는 용매의 조건과 이동상의 조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실내 내이에서의 Perilymph 추출물의 경우 이동상의 Methanol과 완충 용액의 조성에 따라 Dexamethasone의 검출 및 소수성을 가진 기질의 물질들과 분리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분리가 잘되는 조건을 확립한 결과 컬럼은 UnisonUK C18 100A (2.0X75mm 3um, Imatect) 이동상(mobilepahase)으로는 0.1%TFA, 50mM sodium phosphate / Methanol (60:40 (V/V))의 이동상을 사용하였을 때, 9분 이내에 성공적으로 분리되는것을 확인하였다.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때 얻어진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기반으로 0.5㎍/ml ~ 100㎍/ml에서의 덱사메타손의 직선성(Linearity)을 확인하였고, 덱사메타손 표준물질의 머무름 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공시료의 피크와 시료를 넣은 피크를 비교하여 특이성(Specificity)을 확인하였다. 일내 일간의 정밀성(Accuracy)과 정확성(Precision)을 확인하기 위하여 3일간 덱사메타손을 1, 10, 50 ㎍/ml의 3가지 농도에 대하여 3일간 반복 실험하여 확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크로마토 그램의 신호대 잡음비(S/N)가 각각 3과 10이상을 만족하는 농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분석법을 검증한 결과 피크모양도 양호하고 정확성 정밀성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동물(마우스)의 고실내 내이에서 추출한 샘플에서도 덱사메타손의 검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덱사메타손의 약동학적 농도분석법의 개발로 사람을 대상으로 내이에서의 미지의 덱사메타손분석의 연구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고 난청치료에 있어서 약동학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 도심지 굴착에서의 R.J.P 공법과 S.C.W 공법비교

        박은석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접시공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지하구조물 자체의 안전한 축조도 중요하지만, 인접구조물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리기준치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할 것이며, 사전에 합리적인 지반조사를 수행하고, 관련된 program에 의하여 모사(simulation)를 하고, 최적화된 시공 공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다시 토류벽 시설의 보강이 이루어지는 현장 안정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지하철을 비롯한 지하 터파기시 토류벽 안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여러가지 그라우팅 공법들을 알아보고 각 공법들의 장·단점을 살펴 봄으로써 상황에 따른 최적화된 시공 공법을 결정하고자 한다. 둘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법을 모사 하여서 각각의 공법이 얼마나 효과가 있으며 현장 상황에서 얼마나 활용 될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 셋째로 강조되어야 할 점은 굴착공사의 착공과 동시에 인근 구조물에 경사계나 침하 계측장치, 균열의 진전유무 등을 알 수 있는 현장 계측장치를 부착하여 구조물에 유해한 변위 발생유무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역해석에 의한 인근주변의 물성치를 결정하고, 다시 최종변위를 예측하는 한편, 피해보상 등의문제도 해소해야 할 것이다. It is safe article by article of ground structure itself that become head of a family problem in approximation construction. But, must not cause noxious effect in the contiguity construction. Therefore, must observe administration norm strictly. Also, must select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that is achieved reasonable soil survey of site and do simulation by connected program and optimize beforehand. And spt that reinforcement of earths wall equipment consists may have to do stability administration. Therefore, is as following if summarize main conclusion. First, search various kids grouting method of construction to use for earths wall stability in case execute underground digging including the present subway. And wish to decide construction that is optimized vy situation by observing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method of construction. Second, use program and search each method of construction how much each method of construction is effect how because do simulation. And judge how usefully in spot situation can be used. Third, do clinometer or sinking measure chapter in the neighborhood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starting work of excavating work, analyze noxious displacement occurrence closely in the contiguity construction attaching do spot measure chapter who can know development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so on of crack. Decide do properties of matter of neighborhood surrounding through translation with commentary notes seat with these analysis data, and must solved problem of damage compensation and so on by forecastng last displacement

      • 영어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소와 사회환경적 요소에 대한 연구 : EFL 환경을 중심으로

        박은석 광운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의적 요소가 언어습득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연구의 대부분은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환경에서 이루어졌고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ESL 환경과 달리 영어를 제 2언어가 아닌 외국어로써 배우는 환경에서 정의적 요소와 사회환경적 요소가 학습자와 학습 성취도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EFL 환경에서 정의적 요소와 사회환경적 요소가 학습자의 말하기를 방해하고 학습자를 불안하게 만드는 언어불안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됐다. 본 연구는 광운대학교 언어교육원의 영어회화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식은 언어불안에 대한 요인을 깊이 있게 관찰하기 위해 정성적 분석방법(qualitative research)을 사용하였고 결과에 대해 신빙성을 주기 위해서 학습자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설문조사를 하는 정량적 분석방법(quantitative research)도 병행하였다. 따라서 연구가는 1999년 봄 학기부터 여름 학기동안 초급반, 중급 1반, 중급 2반, 고급반을 직접 들어가서 수강생들을 관찰하고 수업을 녹음하고 외국인 교수의 조언과 관찰을 통해서 정보 제공자들(informants)을 선정하고 인터뷰를 했으며, 그들의 인터뷰에서 외국인 교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외국인 교수들과도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1) EFL 환경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모국어의 사용은 모든 교실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초급반에서 모국어 사용은 언어습득에 도움이 되고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동료압박(peer pressure)은 수업인원(class size)과 관련이 깊고, 학습자 간의 친밀도가 언어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Wu, 1991; Allwright and Bailey, 1996)와 달리 집단 따돌림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3) 목표언어능력(문법지식)을 통제하면, 선행연구(Young, 1990; 박영숙, 1996)가 학습자의 언어불안은 언어 유창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 결과 학습자의 언어능력(듣기, 말하기, 문법, 어휘 등) 부족이 언어불안을 가져오며, 결국 말하기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정량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 언어불안에 대한 요인 분석에서 학습자의 요인과 동료의 요인보다 교사의 요인이 제 1요인으로 나타났다.

      • 쥐의 투과화 심실근 세포에서 기질 및 삼투압 변화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호흡변화

        박은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Mitchell이 1961년 chemiosmosis hypothesis를 제안한 이후 미토콘드리아의 생리적 기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까지 미토콘드리아의 실험적 조건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없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어떤 실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지 불분명하다. 더구나 각종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질환경과 기능의 정량적 관계는 더더욱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질, 이온농도 및 삼투압 변화 등에 의해 심근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확인하고, 향후 심근 내 미토콘드리아의 생리적 기능연구의 기반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쥐 심근세포를 단일세포로 분리하고 세포막 투과화를 유도한 뒤 미토콘드리아의 산소소모율을 측정하였다. Pyruvate, malate 및 glutamate와 같은 미토콘드리아 기질의 영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두 기질의 조합일 경우 pyruvate와 malate 조합 시 단일 세포당 산소소모율이 가장 높았다. Uncoupler인 FCCP (trifluorocarbonylcyanide phenylhydrazone)를 사용하여 전자전달계 시스템을 최대화한 상태에서 Pyruvate 와 malate조합의 농도에 따른 호흡률의 변화를 보았을 때 산소소모율은 기질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 mM에 최대값을 가졌고 더 높은 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기질 농도변화에 따른 삼투압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삼투압에서의 미토콘드리아 호흡량을 측정하였다. 기본 200 mOSM에서 50 mOSM단위로 삼투압을 증가시켰을 때 삼투압 증가에 따라 산소소모율이 증가하여 400 mOSM일 때 최대값을 보였다. 세포질 K+이온은 미토콘드리아 외부환경에서 핵심이온으로 존재한다. 세포질 내 K+농도가 감소할수록 산소소모율이 감소하였다. 이로 볼 때 미토콘드리아는 glycolysis의 최종산물인 pyruvate만으로 그 기능이 유지되지 않으며 malate와 같은 다른 기질이 존재할 때 기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여러 기질 이동기전들의 존재가 실제 미토콘드리아 기능 유지에 핵심적 구성요소일 가능성이 높다. 미토콘드리아는 용적이 수축될 때 산소소모율이 증가하고 확장될 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질 K+ 환경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유지에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생리적 K+농도가 미토콘드리아 기능유지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사 또는 허혈 시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 용적변화 또는 K+ 농도감소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달라지며 허혈 재관류 기전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가 설치된 배전계통에서의 고조파 확대 현상

        박은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력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으로써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전력전자는 전력, 전자, 및 제어의 결합으로 기본적으로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기능에 기초로 하는데 이때 고조파라는 전원장해가 나타나 배전계통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또한,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고조파가 확대되어 더 큰 장해를 주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고조파 확대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 중 하나는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비선형 부하인 무정전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는 배전계통에서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직렬리액터 없이 변압기 2차측에 커패시터만 계통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전원측 임피던스와 병렬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어느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공진이 나타나는 구간에서는 고조파 발생원인 부하측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 크기보다 많은 양의 고조파 전류가 나타나 전원과 커패시터측으로 유출․유입하게 되며 확대된 고조파 전류는 기본파 전류와 중첩되어 계통에는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L-C병렬공진 현상에 관하여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전산부하의 예비전원장치인 무정전전원공급장치 사용으로 인해 많은 양의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여 전원측으로 유출되고 있는 건축물 배전설비 계통에서 설치된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투입할 경우 커패시터 성분과 계통 임피던스와의 병렬공진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공진구간에서 고조파 전류가 확대되는 현상을 실측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배전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As the power electronics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industry, several types of power supply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The proliferation of power conversion systems cause some drawbacks such as harmonics, low power factor, and increased reactive power. In general, power capacitor banks have been installed in the secondary side of the input transformer to improve the input power factor when UPS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is provided in large power-consuming buildings. Recently, advenced technology for power electronics is able to lead UPS to produce a unity power factor. Still, however, UPS with low-order current harmonics has been also used. In this case, power capacitors are installed in order to improve input power factor and provoke a current harmonics expansion along the distribution network. In the distribution section, where power capacitors are installed, the phenomena of harmonic amplification of some special current components are appeared. These amplified harmonics show larger amplitude than the intrinsic components of the UPS input current and largely distort the waveform of the distribution line current. This thesis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Cparallel resonance phenomena occurred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and made clear that there is the parallel resonance between the capacitor and the system impedance when the power factor compensation capacitors are installed in the power distribution. The actual process of harmonic amplification has been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verified by the actual measurements performed in the actual site where UPS and power capacitors are installed.

      • 환경성평가 시 원형보전지역의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urrent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mentioned below. After examining the actual contents of agre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of a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and examining the state of management after construction, and by selecting as a subject an area damaged from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and by analyzing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by each project and state of the damages, an attempt was made to propose a management process for a reasonable preservation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within the developmental plan site at the tim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proposed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revealed that a definition of the terms that can give the legal basis for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re not provided and it was shown that the terms are not used consistently as well. As a result, at the time of a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t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was written in a way that brought about confusion. Also, the situation is that penalties related to damages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exist only in the form of fines as non-fulfillment of the agre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and there is much societal criticism that the penalties are simply a "slap on the wrist." Thus,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not any clear regulations on penalties or a restriction of activities in the legal system in relation to damages to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t follows that there must be clear definition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aw, and there must be clear ordinances and regulations of the this law and regulations and penalties for each type of damages or offenses related to contributing to harm or damages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Second,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fter construction environmental investigation points of the environmental statements of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and the golf course construction project which were selected as the case subject areas showed that they did not contain any content related to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and the periods of th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for each project were listed differentl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after construc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in connection with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was realistically not able to function properly. Thus, in the case that a project subjected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cludes a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여ring the project development and for 5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a measure for carrying out an environmental investigation is needed. Also, new points should be added to th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for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and, when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s included in a project site, a measure that clearly states that an environmental investigation must be executed is necessary. Third, based on an analysis of cases of damage through satellite images and on site investigation of subjected projects in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dur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case of residential development, in a majority of cases there was a protected forest included on the project site. It was determined that this was being used conveniently as security for fulfilling the quota for the green area ratio by the developer during the planning of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In the case of a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a legal basis for the set up of a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does not exist, so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s designated as a park and so it is difficult to regulate activity in connection to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time either the majority of the boundary areas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is composed of impermeable payment and used exclusively as a park centered on its users or there is a separation through a road or high retaining wall which caused damage or the loss of basic ecological functions of an ordinary forest.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in the case of residential development, when there is agreement of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 subject project and when the conservation area on the plot of l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forest, a principle must be set that the preservation area must be excluded from the project area. In the case that preservation area within a project site is not connected to the outer forest and is in a shape of an island, it is determined that a case by case measure of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rt of the forest that does not exceed a certain area should be allowed for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residential users. Eventually, from both the standpoints of the favorable preservation of the forest and the use by residents, because it is concluded that it will become an efficient preservation measure for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within residential development areas, 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 management measure is needed. The results and proposal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reveal the need for consider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preservation and the damage of conservation buffer territories and the need for a new establishment of the definitions of the conservation buffer territory and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on activity that are unclear in the current legal system. It is determin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etailed and realistic framework for selection and preservation of conservation buffer territor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현행 환경성평가제도 아래에서 원형보전지역과 관련하여 기존의 법제도를 검토·분석하고 실제 원형보전지역의 환경영향평가서 상 협의 내용 및 사후관리현황을 살펴본 후 원형보전지역의 훼손사례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각 대상사업별 원형보전지역의 지정 및 관리현황과 훼손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 부지 내의 원형보전지역의 합리적인 보전을 위한 관리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형보전지역 관련 법제도 분석결과 현행 법제도 상에는 원형보전지역이 법적근거를 가질 수 있는 용어의 정의가 포함되어있지 않고 법제도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용어 또한 통일되어있지 못하여 각기 다른 유형으로 기술되어 있어 원형보전지역의 법적근거의 부재라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실제 법제도 분석결과 원형보전지역의 훼손 및 임의적 용도변경 등과 관련하여 명확한 벌칙규정이나 행위규제와 관련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업자의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보전의식을 저하시키고 훼손을 방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원형보전지역의 훼손사레분석 대상지로 선정된 택지개발사업과 골프장조성사업의 환경영향평가서 상의 원형보전지역 관련협의 내용과 사후환경조사 항목의 분석결과 대부분의 사업이 사후환경조사 항목에 원형보전지역과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며 원형보전지역에 있어 사후환경조사는 실질적으로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영향평가 시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협의의견이 있는 대상사업의 인공위성사진 및 현장조사를 통한 훼손사례 분석결과 택지개발사업의 경우 대부분의 사업이 부지 내에 양호한 산림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택지개발 사업 부지내의 원형보전지역은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택지개발사업의 경우 사업부지 내의 원형보전지역의 경계부를 중점적으로 불투수포장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이용자중심의 공원으로 전용되거나 도로 및 높은 옹벽으로 인한 단절로 기존산림이 생태적 기능을 상실하고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골프장조성사업의 경우 원형보전지역 훼손지역의 대부분이 인공식재림으로 전용되거나 코스조성을 목적으로 훼손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앞서 제기된 문제점을 토대로 원형보전지역의 효율적인 보전를 위해 본연구자가 제안하는 관리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형보전지역의 법적 개선방안으로, 현행「환경영향평가법」에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명확한 용어정의를 포함하고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 원형보전지역의 훼손과 관련하여 명확한 행위규제 및 벌칙규정을 신설하는 방안과 다음으로 사후환경관리의 개선방안으로,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사후환경조사 기간을 사업시행 중부터 사업완료 후 5년까지 실시하며 또한 사후환경조사 항목에 원형보전지역 관련 내용을 신규로 추가하는 방안, 마지막으로 택지개발사업 시 원형보전지역의 유형별 적용방안으로 사업부지 내 존재하는 양호한 산림이 외부의 녹지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경우 이를 원칙적으로 보전하고 이와 상대적으로 부지 내에 고립되어 섬형태로 잔존하는 양호한 산림의 경우 일정 면적에 한하여 이용자중심으로의 전용을 허용하는 유형별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원형보전지역의 관리 개선방안은 향후 원형보전지역의 효율적인 보전․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와 제안은 현재 원형보전지역의 보전 및 훼손행태에 대한 고찰과 현행 법제도 상에 정립되어 있지 않은 원형보전지역의 정의 및 행위규제와 관련한 내용에 대한 신설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원형보전지역을 선정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세부적이며 실질적인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成果管理시스템 및 組織文化가 職務成果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朴銀錫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가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이동하면서, 경쟁은 심화되고 글로벌 경제 하에서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는 무한 경쟁의 상황 속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성과관리시스템을 도입 운영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하여 등급화와 서열화를 통한 등급의 할당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단기적인 성과에 해당하는 재무중심의 성과지표에 집중되어 미래의 재무적 성공의 토대가 되는 무형자산 특히, 인적자산에 대한 투자나 관리가 소홀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과 창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대안 중의 하나인 성과관리시스템은 효과적인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 시행되어야 한다.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성과에 의한 조직성과의 창출은 기업의 인적자산의 개발과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여 무한 경쟁 속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 패러다임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으로 대체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성과관리시스템과 조직문화 그리고 직무성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우리나라 기업이 적용하고 있는 성과관리시스템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성과관리시스템와 조직문화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성과관리시스템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셋째,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관리시스템은 건설적 조직문화와 수동/방어적 조직문화에 대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관리시스템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설적 조직문화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설적 조직문화는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성과관리시스템은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성과관리시스템의 프로세스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의 방향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성과관리시스템이 성과/평가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과관리시스템과 조직문화, 조직문화와 직무성과의 영향을 살펴보면 건설적 조직문화 만이 성과관리시스템과 직무성과 모두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련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과/평가 패러다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관행은 파괴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기업의 혁신과 지속적인 성과창출에 장애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성과/평가 패러다임 중심의 성과관리시스템은 성취문화, 자아실현문화, 인본주의 문화, 친화적 문화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 건설적 조직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성과관리시스템으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성과에 의한 조직성과의 창출이 기업의 경쟁우위와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직성과를 위해서는 건설적 조직문화의 창출과 성과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성과관리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은 구성원 개개인 직무성과의 향상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으며,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목표달성과정과 과업달성노력, 창의성과 혁신 그리고 열린 의사소통과 구성원의 능동적 참여 등이 바탕인 건설적 조직문화의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