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예지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desires and issues of social welfare recipients are becoming diverse and complicated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systems and the laws are also, therefore, constantly changing accordingly.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at must provide various services, organizational members sometimes feel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nowledge. To cope with such changes,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researching appropriate programs for recipients, securing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are emphasiz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lso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and develop professionalism in various welfare areas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focused on learning organizations that newly accumulate knowledge, and expand the competence of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by sharing and using the knowledge in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n learning organizations; to help understand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s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use the results as basic data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heir members and to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vision. The research questions chosen to achiev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ere (1) social welfare workers’ perception of the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302 workers fr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s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was relatively high.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pay,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xamination of each sub-factor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team learning and shared vis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examination of each sub-factor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team learning, system thinking, individual proficiency, and shared vis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examined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f all the social welfare workers by carrying out the study with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since there ar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various areas. Even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ciliti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was found, the implication is the comprehensive inclusion of subjects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acility types. The present study foun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and make efforts to make organizational life efficient through learning organization, such as actively learning and sharing opinions for organizational and self-development. In addition,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and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intra- organizational meetings and workshops for learning organization, so that personal-level learning becomes organizational-level learning;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also cooperate to improve expertise by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workers. Three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to apply the sub-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that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ites. Second, since the present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observe the persistency and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better research can be produced by using objective measurement instruments that can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 subjective thoughts of social welfare workers.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사회복지 대상자들의 욕구와 문제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그러한 현 사회에 맞춰 제도와 법도 계속 변화되고 있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기존 지식에 한계를 느끼기도 한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의 전문적인 역량강화와, 대상자들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자원 등에 대한 확보, 조직에서의 전문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사회복지조직에서도 다양한 복지 분야의 전문성 향상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하는데, 지식을 새로 축적하고 그 지식을 조직에 공유하고 활용하여 개인과 조직역량을 함께 확대시키는 학습조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조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학습조직 수준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이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과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나아가 기관의 비전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는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 수준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둘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의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셋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충청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조직 수준이 높을수록, 급여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학습조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팀학습, 공유비전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조직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학습조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팀학습, 시스템 사고, 개인적 숙련, 공유비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사회복지관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던 것과 달리 다양한 분야의 사회복지기관이 있는 만큼 사회복지시설과 유관기관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전체적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학습조직 수준을 살펴보았으며, 이용시설과 생활시설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그 두 시설의 차이를 보고자 포괄적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에 함의가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은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조직발전과 스스로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학습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등 학습조직화를 통해 효율적인 조직생활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개인적 차원의 학습이 조직적 차원의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조직에서도 학습조직화를 위한 회의, 워크숍 등을 통하여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종사자들이 역량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은 3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학습조직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유의미한 영향을 보인 학습조직의 하위요인들을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 진행한 것이기 때문에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성 및 차이 등을 보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주관적인 생각 이외에도 조직의 특성, 규모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조직관련 측정도구 등을 활용하면 더 좋은 연구가 될 것이다.

      • 멘델스존의 엄격변주곡 Op.54에 대한 분석과 연구

        박예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멘델스존의 엄격변주곡을 변주곡 1-17까지 세세히 분석하는 것에 있다. 엄격변주곡 no52는 형식적인면만 강조하던 고전주의와 자유롭고 창작자 내면의 감정을 표현했던 낭만주의의 요소가 잘 조화된 곡이다. 17개의 변주로 이루어진 이 곡은, 각 변주곡들이 주제의 구성음과 기본틀의 통일성을 지키면서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주의적인 면이 드러난다. 또한 조성에 있어서 제14변주만이 D장조로 조성이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d단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2/4박자로 구성되어 박자의 변화가 많았던 낭만주의 변주곡들과는 상반되는 모습 등, 곡에 있어 고전적인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낭만주의 요소로는 다양한 음형, 스타카토, 아르페지오 음형, 리듬의 변화 등 다양한 변주기법을 활용하여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 중 하나인 색채적인 효과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전조, 증6화음 사용, 싱코페이션 리듬형태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곡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멘델스존의 엄격변주곡 no.52는 고전주의의 요소와 낭만주의의 요소가 잘 조화시킨 그의 걸작품인 걸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tions Serigeuses by Mendelssohn to Variations from Variation 1 to Variation 17. Variation No. 52 is a harmonious blend of classicism emphasizing the formal aspects only and romanticism expressing inner feelings of the creator. This note composed of 17 variations variation reveals the influence of classicism in that each variation strictly keep the compositional sound of the subject and the unity of the basic framework.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d-minor, except the Variation 14 which is composed of D-major, and it keeps 2/4 beats throughout the note. These are characteristics of Classicism that the variations in Romanticism do not hav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romantic elements such as diverse motifs, staccato, arpeggio, changes in the rhythm. It uses various variation techniques to express the color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of romantic music. It also uses modulation, use of augmented sixth chord, syncopation and rhythm patterns effectively to brilliantly decorate the music piece.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Variations Serigeuses No. 52 by Mendelssohn is a masterpiece that harmonizes the elements of classicism and the romanticism.

      • 한국 드랙킹씬의 탄생과 퀴어 페미니스트 정치학

        박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018년 태동한 한국 드랙킹씬이 2010년대 중반 이후 페미니즘 대 중화 현상의 자장 안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드랙킹’은 남 성 복장을 하고 퍼포먼스를 하며 사회적 남성성을 풍자하고 재해석하는 드랙 퍼 포머를 뜻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 한국에서 활동했던 드랙킹의 기록이 몇 남아있긴 하지만 그들의 활동은 하나의 씬을 이루거나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 했다. 연구자는 2018년 이후 한국에서 드랙킹씬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이유를 페미니즘 리부트 현상에서 찾고, 드랙킹들의 활동을 페미니즘 운동의 한 갈래로 의미화한다. 2015년 디지털 공간에서 시작된 한국의 새로운 래디컬 페미니즘 물결은 ‘여성’ 이라는 범주에 동일시하는 정체성 운동을 펼쳐나갔다. 그러나 드랙킹 퍼포머들 은 ‘여성’ 뿐만 아니라 ‘퀴어’이자 ‘드랙애호가’라는 다중적 정체성으로 인해 이 운동이 주체로 상정하는 ‘여성’에 자신이 온전히 포함되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 었다. 이들은 게이 중심의 드랙퀸 문화와 지정성별 여성 중심의 래디컬 페미니 스트 운동 사이에서 자신들의 다중적 정체성에 맞는 방향성을 모색했다. 이들의 드랙킹 퍼포먼스는 퀴어 여성의 몸으로 한국 사회를 살아가면서 경험 한 남성성을 표현하며 이뤄졌다. 때로 그 남성성은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폭력성 이기도 했고, 무력하고 비굴한 주변적 남성성이기도 했으며, 또는 여성들만이 표현할 수 있는 판타지적 남성성이기도 했다. 이 다양한 남성성들은 지정 성별 여성 신체에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모두 ‘여성의 남성성’이며, 남성 신체와는 상 관없이 존재할 수 있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퍼포먼스로 이 가능성을 실현함으로써 드랙킹들은 자신의 퀴어한 몸을 새로운 방식으로 긍정하거나, 공 연을 통해 습득한 새로운 젠더 표현 방식을 일상에서도 실천하게 되었다. 올헤 일은 매우 제한된 커뮤니티 안에서 공연을 홍보함으로써 같은 문화를 공유하며 공연의 복잡한 맥락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퀴어 페미니스트 관객을 모집했으며, 관객과 퍼포머의 이런 유사성은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시켰다. 퍼포머가 공연을 통해 자신의 몸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하고 정화효과를 얻거나 이행한 것처럼, 관객 또한 공연을 보며 기존에 갖고 있던 자신의 몸과 젠더, 섹슈얼리티에 대한 관념이 흔들리는 문지방 효과를 경험하게 되었다. 관객들은 드랙킹 퍼포머들이 공연에서 표현하는 여성 신체에 대한 긍정, 여성의 남성성, 다양한 종류의 섹슈 얼리티 표현에 큰 감화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역치성을 느끼고 공연 후 다른 상 태로 이행하게 되었다. 드랙킹 공연은 지정 성별 여성 퀴어가 평소에 자신의 신체에서 억압되었던 남 성성을 표현한다는 공연이라는 점, 숙련이 필요한 전문성 있는 공연이 아닌, 자 신의 정체성과 남성성에 대한 컨셉을 갖고 짧은 기간 내에 연습하여 선보일 수 있는 공연이라는 점에서 기존 대중문화와는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다. 대중 문 화가 그 전문성과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고정적이며 창작자과 수용자 사이의 거 리가 비교적 멀다면, 드랙킹 공연은 그 아마추어성과 퀴어 여성의 문화라는 특 수성 때문에 퍼포머와 관객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고 언제든 뒤섞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때문에 드랙킹 공연에서는 일시적으로 퍼포머와 관객 사이에 매우 강렬한 대항공중이 형성되며, 젠더를 패러디하고 전복하는 공연의 특성으 로 인해 관객들에게 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는 교육과 이행의 효과를 발휘한다.

      • 상법상 회계규정과 기업회계의 조화방안

        박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에서 상법은 기업회계와 관련된 규범 중 기본법이자 일반법이다. 그러나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이라 한다)의 수권을 받아 제정된 기업회계기준은 외감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영역에서는 특별법으로서 상법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따라서 외감법 적용대상이 아닌 기업들의 경우는 상법이 그 준거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법상 회계 규정은 급변하는 경제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고, 은행이 여신심사를 하거나 과세관청이 세금을 계산함에 있어 기업회계기준에 따른 재무제표를 작성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법이 규율하여야 하는 영역에서도 기업회계기준이 상법을 대신하여 그 준거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그 현실적인 필요성은 불문하고 상법이 적용되어야 할 영역에 기업회계기준이 우선하여 적용되는 현실은 한국 법체계를 흔드는 행위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현대 사회는 점점 더 국제화, 세계화 되고 있어 한 국가 내에서만 타당하고 통용될 수 있는 회계기준은 높이 평가될 수 없다. 따라서 상법이 한국 법체계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국제적 추세에 반하거나 경제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그러한 규정들은 개선되어야 함이 분명하다. 본 논문은 상법의 규범성을 유지하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회계기준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더 나아가 기업 및 회계의 투명성을 고양하기 위하여 상법을 중심으로 기업회계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회계규정의 문제점,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상법상 회계규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기업회계기준과의 조화,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에 따른 대응책으로 상법을 개정하면서 구체적인 계산 규정을 모두 삭제하고, 회계에 필요한 조직법적 절차 및 회사재산보전을 위한 규정만을 남겼으며, 회계처리규정 및 적용범위를 기업회계기준에서 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앞서 본 바와 같은 기업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되나 여전히 상법상 개선이 필요한 규정들이 존재하고, 그 해결책의 도입이 시급하다. 다음으로 국제회계기준과 관련하여 이를 단순 번역하여 도입한 것이 타당한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에 법규성이 인정되는지,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면서 자산, 부채는 공정가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한국에는 이와 관련한 아무런 지침이나 제도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법에서 회계기준의 구체적인 내용을 대부분 기업회계기준으로 이양하면서 회계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규정 중 하나는 배당가능이익 산정과 관련한 규정이다. 기업은 이익이 발생한 경우 이를 모두 투자자에게 분배하지 않고 재투자 등을 이유로 회사에 일정한 금원을 유보하는데, 그 방식은 나라마다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영국 등 다른 나라의 입법례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배당가능이익의 산정방법의 타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자산과 부채를 공정가치로 평가하게 됨에 따라 상법에서 배당가능이익 산정시 미실현이익을 공제하는 규정을 두었는데, 미실현이익이란 개념은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고, 상법에도 미실현이익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규정이 없으며, 다만 상법 시행령에서 미실현이익이란 ‘법 제446조의 2의 회계원칙에 따른 자산 및 부채에 대한 평가로 인하여 증가한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이라는 규정이 있을 뿐이다. 그 외에도 상법이 배당가능이익 계산시 미실현이익과 달리 미실현손실은 가산하지 않는 점, 상계금지 예외 규정에 파생결합증권과 파생상품과 유사한 외화환산이익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들에 대하여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법상 회계규정, 기업회계기준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를 한 후 회계규정에 현존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었다. ........................................................ 주요어 : 상법, 회계규정, 배당가능이익, 미실현이익, 국제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

      • 고위 합성을 이용한 FFT 가속기의 설계 최적화

        박예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속 푸리에 변환 (FFT)은 오늘날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중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통신 표준이 발전함에 따라 표준에서 요구하는 FFT의 길이가 증가했으며 이를 처리하는 시간 또한 증가했다. 일반적으로 통신 표준에서는 처리 속도에 대한 시간 제약 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에 표준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만족하면서 전력, 면적면에서 효율적인 하드웨어 가속기를 설계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지거나 가장 성능이 좋은 구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x 수신기를 위한 효율적인 FFT 하드웨어 가속기 구조의 설계 공간 탐색 및 최적화 과정을 보인다. 전통적인 설계 방식은 C/C++과 같은 상위 수준 언어를 통해 알고리즘을 검증한 후 Verilog/VHDL과 같은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을 사용하여 Register Transfer Level (RTL)로 기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방법은 설계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상위 수준 언어로부터 바로 RTL을 생성할 수 있는 High-Level Synthesis (HLS)를 사용했다. HLS는 설계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지만 특정 코드 작성 방법을 따르지 않으면 성능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위 수준 언어로 기술된 코드로부터 RTL에 준하는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과정을 보이면서 pragma, 메모리 구성, 알고리즘 등을 변경하여 설계 공간 탐색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여러 FFT 하드웨어 가속기 구조를 보다 빠르게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 레벨에서의 성능 분석을 위하여 SystemC/TLM 기반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FFT 가속기에 요구되는 성능을 확인하고 설계한 FFT 가속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 다양한 설계 파라미터를 가지는 후보 중 성능 요구 조건을 만족하면서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지는 구조를 선택할 수 있었다. 최근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자동화된 툴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RTL 설계에 준하는 성능과 면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HLS와 SystemC/TLM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 후에 다른 시스템 및 알고리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ast Fourier Transform (FFT) is one of the important algorithms in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today. As communication standards evolve, the length of the FFT required by the protocol and its computation time have increased. In general, communication standards have constraints on processing latency and throughpu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hardware accelerator that is efficient in terms of power and area while satisfying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standard.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which has the smallest area or the best performance without considering the requirement of the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we show the optimization process of efficient FFT hardware accelerator for IEEE 802.11ax receiver. In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the algorithm is verified through a high-level language such as C/C++. Then algorithm is described in the Register Transfer Level (RTL) using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 such as Verilog/VHDL. Since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long design time, we used High-Level Synthesis (HLS), which can generate RTL directly from high-level language. HLS can significantly reduce design time, but performance is poor if specific code writing methods are not follow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design space exploration was performed by changing the pragma, memory configuration, and algorithm while showing the process of optimizing the code written in the high-level language to achieve RTL-like performance. By using HLS, we could explore design space much faster than traditional RTL design process. In addition, a SystemC/TLM-based simulator was developed for performance analysis at the system level. The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FFT accelerator in various situations was identified using the simulator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FT accelerator was verified.

      • 그라피티아트의 상업적 활용사례 분석을통한 조형적특성에 대한 연구 : 여성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박예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그라피티아트의 상업적 활용사례 분석을 통한 조형적 특성 연구: 여성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현재 그라피티 아트는 여러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대중성과 함께 상업성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 예술과 현대 산업의 상업적 측면에서 그라피티 아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히 여성 패션 브랜드에 반영된 그라피티 아트의 조형성을 분석하여, 그라피티 아트가 지닌 조형성과 상업성의 관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또한 그라피티 아트의 상업적 사례를 통한 조형성 분석을 통해 여성패션브랜드에서의 그라피티아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겠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그라피티 아트의 조형적 특성으로 상징성, 자율성, 유희성, 선정성을 선정하고 이러한 조형성이 반영된 여성 패션을 분석하였다. 여성 패션 브랜드는 럭셔리·프리미엄·로·퍼블릭으로 구별하고, 루이비통, 샤넬, 니콜라스 커크우드, 모스키노, 뉴에라와 기타 브랜드 제품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현대 여성 패션 브랜드에 반영된 그라피티 아트의 특징을 선정적 상징성, 자율적 유희성, 선정적 유희성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선정적 상징성은 원색을 사용하여 브랜드명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짧지만 강력한 인상을 심어준다. 둘째, 자율적 유희성은 유아스럽고 과장된 표현을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개성을 강조하는 디자이너나 브랜드는 자신만의 창의성을 자율적으로 적용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선정적 유희성은 대중적인 브랜드를 중심으로 그라피티 아트의 과장된 표현을 제품의 핵심 주제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그라피티 아트의 조형성이 상업적인 면에서 다양한 브랜드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여성 패션 브랜드는 그라피티와의 협업 등을 통해 상호 외연의 확장되고 내용이 풍부해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 할바 자석의 배열을 고려한 자기등가회로 기반 외전형 전동기 설계 연구

        박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드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드론의 운전시간 향상 및 운전시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다. 드론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드론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전동기의 특성 향상도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드론용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외전형이 적용되며 다극 구조로 설계된다. 다극 구조는 저극 구조에 비해 회전자 요크의 포화도가 낮기 때문에 그만큼 요크 두께를 저감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극 구조에서는 극간 누설이 크기 때문에 출력 향상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드론용 전동기의 경량화 및 출력 향상을 동시에 가능케 할 수 있는 할바 배열 자석을 적용한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할바 자석의 자화 방향에 따라 자속 특성 및 철심의 포화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설계를 진행하며, 이때 기존의 자기등가회로망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첩의 원리 개념을 이용하여 축을 기준으로 자속을 방향에 따라 분리하여 자기등가회로를 각각 구축하고, 주요 파마리터 값들을 도출하는 방법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자기등가회로를 이용하여 공극자속밀도를 최대화하여 무게 저감을 할 수 있고, 정격 토크 등 요구 사양과 전동기 파라미터를 만족할 수 있는 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도출된 할바 자석이 적용된 외전형 드론용 전동기의 모델을 제작하였고 성능 시험 및 상용 드론용 전동기와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dron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industries,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 time of drones and secure stability during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rones,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which is a core part of the drone system. Motors for drones are generally applied with an external rotor type and are designed in a multi-pole structure. Since the saturation of the rotor yoke is lower in the multi-pole structure than in the low-pole structure, the yoke thickness can be reduced accordingly. However, in such a multi-pole structure, there is a limit to the power improvement because the inter-pole leakage flux is large. In this study, a design study was conducted using Halbach array magnets that can simultaneously reduce the weight of drone motors and improve power. Since the linkage flux and the saturation of the iron core vary depending on the magnetization direction of the Halbach magnet, the design considering this is carried out. Using the concept of superposition principle, a magnetic equivalent circuit was constructed by separating the flux according to the direction based on the axis, and an algorithm was proposed to derive the main parameter values. A design process that can reduce weight by maximizing the air gap flux density using the proposed magnetic equivalent circuit and satisfy the required specifications and motor parameters is proposed.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sign process proposed in this paper, a model of an external rotor motor applied with a Halbach magnet finally derived was produced, and the validity of this paper was verified through performance experiment and comparison with commercial drone mo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