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박숙영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1991년 지방분권화가 시작된 이후 지방공무원들은 관선시대에 비해 업무량의 증가 및 시민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대응, 또한 4년마다 실시하는 지방선거에 의해 결정되는 각종 지자체 장의 변화에 따른 정책의 변화 및 각종 공약의 실행을 위해 직무와 관련된 지속적이고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나아가 우울증상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안산시지방자치단체 5급 이하 공무원 중 직급별, 직렬별 근무지별로 2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나 회수를 83%를 하여 20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문제 1)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증상의 매개효과를 연구문제 2)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가설을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직무특성, 조직분위기, 개인의 역할, 대인관계, 경력개발 별로 가설1-1)부터 가설 1-5)까지 영향이 있다는 연구가설을 수립하였으며, 우울증상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가설 2-1)부터 가설2-5)까지 가설을 수립하여 검증하였다.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의 신뢰도/타당도 분석, 차이검증 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검증 등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영향에서는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경력개발 두 부분에서 유의미 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증상의 매개효과에서는 조직분위기와 개인의 역할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대인관계는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직장에서 선, 후배 및 동료와의 관계가 직무만족도에 많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력개발은 자신의 보직이나 업무에 관련된 부분으로 공무원도 직장인이기에 자신의 경력 및 보수 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과도하고 지속된 직무스트레스는 우울증상 유발시키는데, 본 연구에서는 조직분위기와 개인의 역할이 우울증상의 부분매개효과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지방공무원이 역시 직장에서 많은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우울증상을 매개효과로 투입하였을 때 대인관계와 경략개발이 더욱 하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지방공무원 역시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향상을 위하여 조직적우로나 개인적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Since 1991 when decentralization has started, local officials are under continuous and excessive stress related to their jobs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orks to be done and a necessity to respond to diverse demands from citizens in comparison to the period of central appointment as well as policy changes caused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who are newly elected every 4 years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ublic pledges. Accordingly, an effort was made in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250 public officials below the level of 4th class who are serving in the local government of Ansan city divided by rank, job category, and place of duty as target, and has succeeded in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from 209 respondents (83%). For analytical purpose, two research topics were set up, Research Topic 1 (Influence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Research Topic 2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s for hypotheses, 5 Research Hypotheses (from Hypothesis 1-1 to Hypothesis 1-5) were set up as having influences by sub-factors of job stress (namely,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atmosphere, role of individua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or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5 Hypotheses (from Hypothesis 2-1 to Hypothesis 2-5) were set up.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such analyses a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regarding influence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sub-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areer development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medic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role of individuals reveal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ggests that, in the workplace where one spends most of time, relationship with seniors, juniors, and colleagues has much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lso,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one’s appointment or duty, job stress based on one’s career and remuneration reveals that it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Excessive and continued job stress induces various diseases such as depressive symptoms. In this research,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role of individual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This suggests that local officials also receive much job-related stress in the workplace, which can lead to various diseases including depressive symptom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have discovered that local officials also receive much job-related stress and that much efforts are needed either organizationally or personally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local officials.

      • 학교 무용교육의 효과성 분석 연구

        박숙영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무용교육이 중ㆍ고ㆍ대학생의 창의성ㆍ사회성ㆍ자아존 중감ㆍ신체상에 얼마만큼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를 밝혀봄으로써 학교 무용교 육의 효과성을 추론해 보고, 무용교육의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려는 것이다. 학교 무용교육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한 준거변인은 지적 특성으로서 창의 성, 사회적 특성으로서 사회성, 정의적 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 그리고 심동적 특성으로서 신체상 등 4개 변인을 선정하였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계열별(무용전공과 비전공) 및 성별에 따라서 4개 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무용전공자의 전공 별, 성별, 활동기간별, 연습시간별로 4개 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비전공자 의 무용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4개 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비전공자 의 무용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무용교육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있는가? 등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에의 해답을 찾기 위해 전라북도 소재 중학교ㆍ고등학교ㆍ대 학교 재학중인 무용전공학생 242명(남 53명, 여 189명)과 일반학생 245명(남 87 명, 여 158명) 등 48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검사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열별 효과성의 비교 첫째, 학교무용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성, 사회성, 자아존중감, 신체상 등에 미치 는 효과는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크며, 창의성과 사회성에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 그러나 무용교육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나타나 지 않았다. 둘째, 학교무용교육은 창의성 변인 중 상상력과 민감성, 독창성 등의 하위요인 에 미치는 효과가 있으며, 이들 요인에 미치는 효과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더 크다. 셋째, 무용교육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에게서 더 크다. 특히, 무용교육은 여학생의 ‘지배성’ 요인에 유의한 효과를 지닌다. 넷째, 무용교육이 신체상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 이러한 무용교육의 효과는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없다. 2. 무용교육 전공자의 효과성 비교 첫째, 무용교육이 창의성, 사회성, 자아존중감, 신체상 등의 변인에 미치는 영 향은 무용전공 중 현대무용전공이 창의성에 창의적 동기의 ‘유희성’ 요인과 창의 적 태도의 ’모험심‘ 요인 등에서 한국무용이나 발레전공에 비해 더 크다. 또 현 대무용이 다른 전공에 비해 스포츠 유능감과 근력요인 및 신체전반에 대한 자아 개념 등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성이 크다. 그러나 무용전공별 사회성과 자아존중 감의 차이는 없다. 둘째, 무용교육이 창의성, 사회성, 자아존중감, 신체상 등의 변인에 미치는 효 과는 무용전공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다. 셋째, 무용전공학생의 무용활동 기간이 길수록, 1일 연습량이 많을수록 창의 성, 사회성, 자아존중감, 신체상 등 4개 변인 모두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3. 일반학생의 무용교육 효과성과 태도 분석 첫째, 무용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학생들의 경우, 무용교육 경험 유?무별 무용 교육의 효과성 4개 준거(창의성, 사회성, 자아존중감, 신체상)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생 중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의 무용교육에 대한 태도 가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더 적극적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학교무용교육이 학생들의 신체상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도 부분적으로 효 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향후 조사연구가 지니는 일반적인 한계를 해결할 수 있 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fer the effectiveness of dancing education in school by revealing the effects of dancing education in school on creativity, sociability, self-respect, and body,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dancing education. 4 reference variables - creativity as an intellectual characteristic, sociability as a social characteristic, self-respect as an emotional characteristic, and body as a physical characteristic - were chosen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dancing education in school. Research subjects established to attain the goa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4 variables according to departments (majors and minors) and sex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4 variables according to departments, sexes, duration, practice hours of dancing major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4 variabl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experiences of dancing education in case of dance minors? Fourth,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danc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experiences of dancing education in case of dance minors? To find out the answers of the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bout 242 dance majors (53 males and 189 females) and 245 other students (87 males and 158 females) in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n Chollabukdo.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Departmental Effectiveness First, dancing education in school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body, and partial effects on creativity and sociability. But it is shown that there is no effect of dancing education on self-respect. Second, dancing education in school has effects on sub-elements such as imagination, sensitivity, and originality out of creativity variables. This effect is greater to female students than to male students. Third,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is greater to female students. Especially, dancing education has signigicant effects on the element of 'dominance' of female students. Fourth, dancing education has much to do with the body developmen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according to sex. 2.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dancing Education Majors First,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on creativity, sociability, self-respect, and body is greater to modern dancing in elements such as 'amusement' and 'adventure' than to Korean dancing and ballet. Modern dancing has greater effects on sports competence, muscles and general self-concept of body than other areas. There is no difference in sociability and self-respect among dance majors.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sexes in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on creativity, sociability, self-respect, and body. Third, as dance-majoring students perform dancing and practice per day longer and longer, the effect on four variables is getting greater. 3. Analysis of Attitudes and Effectiveness of dancing Education of General Students First, in case of students not majoring in dancing,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4 variables (creativity, sociability, self-respect, and body) of effectiveness of danc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dancing education. Second, the attitudes that general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getting dancing education have toward dancing education are more active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any experiences.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in school on body development is very great. And it has parti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ciability. Further research to go beyond general limits of established studies is expected to be performed.

      • 의료기관의 인적서비스, 물리적환경, 병원이미지가 지각가치에 미치는 영향 : 관여수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숙영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의료외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는 인적서비스, 물리적 환경과 환자가 병원에 대해 가지고 있는 병원이미지가 지각하는 가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는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가설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서비스는 품질가치, 가격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의 의료기술 이외에 의료관계자들이 환자에게 친절하고, 개별적인 관심과 성의를 다한다고 느낄 때 환자가 지각하는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물리적 환경은 품질가치, 가격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의료서비스업과 같은 경우는 서비스의 결과를 판단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주변요소로 병원의 가치를 판단하기 쉽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양질의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며, 병원의 청결과 편의성은 필수적인 사항이며, 의료서비스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기공간의 충분한 확보 및 디자인설계, 인테리어 등 매력적인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병원이미지 또한 품질가치, 가격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평소 병원에 가지고 있던 이미지가 병원 이용 시 느끼는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므로, 의료기관은 의료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늘 좋은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및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재이용의사에 정(+)의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를 Sweeny (2001)의 연구에 기초하여 품질 가치, 가격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나누어 네 가지 요인들의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 중 가격가치를 제외한, 사회적 가치, 품질 가치, 감정적 가치 순으로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료서비스는 다른 서비스와 달리 생명, 즉 인간의 존엄성을 다루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환자가 가격적으로 느끼는 가치가 만족을 하지 못한 경우라도, 다른 가치가 만족을 하였거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했을 때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관여수준에 따라서 인적서비스, 물리적환경, 병원이미지가 지각된 가치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병원을 방문하는 고관여 환자들은 만족평가를 하는데 인지적 요소가 감정적 요소보다 더 크게 작용할 것이며 저관여 방문객들은 만족평가를 하는데 감정적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따라서 고관여 집단이 저관여 집단 보다 품질가치와 사회적 가치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저관여 집단이 고관여 집단 보다 가격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결과는 독립변수가 어떤 요인인가에 따라 고관여 집단과 저관여 집단이 각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숙영 이화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정보와 지식이 여러 산업에서 중요한 생산요소로서 작용하고, 지식근로자가 많이 부상하게 됨을 이미 우리는 최근의 기업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Drucker, 1991). 이렇게 지식근로자, 지식경영의 개념이 대두되고 실제적으로 우리 주위에서 이를 흔히 접하게 됨으로써 기업과 학계의 관심은 이들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선행 요인이 필요한지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다. 지식근로자의 경우 지식이 팀 효과성에 핵심요소이고 이러한 지식이 공유되기 위하여 그들의 인지적인 측면을 고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초점을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인 공유멘탈모델에 맞추고, 이와 비교하여 팀의 속인적 유사성 역시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과업의 다양성이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작용 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검토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에 따른 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IT 산업에 속하는 83개의 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이 높을수록 팀 효과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둘째, 팀 구성원의 속인적 유사성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본 결과 팀 구성원 연령, 팀 근속년수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 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전공의 유사성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과업 다양성이 팀 구성원의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을 조절하는지를 검증해본 결과,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은 지식근로자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다. 팀과 과업에 관한 지식, 태도, 신념, 가치 등을 공유함으로써 팀 구성원이 인지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은 팀의 효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근로자 팀의 경우, 관리자는 팀원들의 인지적 유사성이 팀 효과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둘째, 팀 구성원의 속인적 유사성 또한 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팀효과성을 설명함에 있어 인지적 유사성이 속인적 유사성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이는 속인적 측면의 유사성도 중요하지만, 팀원들이 인지적으로 유사하도록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적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원이 인지적으로 유사할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가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를 고찰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둘째, 공유멘탈모델은 지식공유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지식경영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지식 공유의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공유멘탈모델은 팀 구성원이 과업과 관련된 지식 뿐만 아니라 팀과 관련한 지식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유멘탈모델은 지식공유의 의미보다 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문헌을 토대로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공유멘탈모델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룰 개발하였다. 이는 공유멘탈모델이라는 개념이 도입 초기에 있고 아직까지 그 구성개념에 대한 특징이 명확치 않은 시점임을 감안 할때 중요한 실증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해 볼 수 있다. 첫째, 팀의 인지적 유사성이 높을수록 팀의 효과성이 증진한다고 본 연구에서는 밝히고 있으므로, 향후의 연구과제는 팀의 인지적 유사성을 증진시킬수 있는 선행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유멘탈모델의 척도를 계기로,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지 기법보다 더욱 정교한 척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유멘탈모델은 팀 구성원의 인지적인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팀원간의 멘탈모델의 유사성 정도를 측정하는 보다 객관적인 척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횡단적 연구가 아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유멘탈모델과 팀 효과성의 관계를 고찰하는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지식근로자의 경우 지식이 팀 효과성에 핵심요소이고 지식이 공유되기 위하여 그들의 인지적인 측면을 살펴보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볼 때 아직까지 국내기업들은 지식근로자 팀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절실히 깨닫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팀 구성원의 인지적 유사성인 공유멘탈모델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지식근로자의 팀 효과성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학계나 기업 모두에 지식근로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인지적인 측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In 21 century, it is not difficult for us to find that information and knowledge operate as the important production element in many industries and the knowledge workers increase(Drucker, 1991). As knowledge workers increase, corporations and academic world have focused on what kind of antecedents are in th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In case of the knowledge worker, knowledge is a key factor of team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knowledge workers in cognitive point of view. Therefore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brought to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 and with comparing this I observed as well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Also I tried to verify that the task variety will oper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as moderator. The basic frame work used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is model, are as followings: Hypothesis 1-1: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1-2: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1-3: Shared mental model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client satisfaction. Hypothesis 2-1: The similarity of age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2-2: The similarity of tenure of team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2-3: The similarity of major in school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commitment. Hypothesis 3-1: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performance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Hypothesis 3-2: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commitment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Hypothesis 3-3: The relationship with shared mental model and client satisfaction will be moderated by the task variety. For this research , I prepared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After that, I set a model and hypotheses and I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83 teams which belonged to IT industr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shared mental model of team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 effectiveness. Second, the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member influences to team committment. But the similarity of major in school is not related to team commitment significantly while the similarity of age and tenure of team is related to team commitment significantly. Third, the task variety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shared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significantly. As based on a research result, it will be able to presented a discussion point as followings. First, cognitive similarity of team is important antecedent of team effectiveness. By sharing task-related and team-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value, the cognitive similarity is related to team effectiveness positively. Second, demographic similarity of team is related to team's effectiveness positively bu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ed according to statistics cognitive similarity can predict team effectiveness more precisely than demographic similarity. Therefore, managers of knowledge worker team are required to make team members have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cognitive simila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eam's effectiveness-has the significance itself because there are few research into shared mental model. Second, shared mental model includes the concept of information sharing. Nowadays information sharing is issued to knowledge workers team. The concept of shared mental model implies both task-related knowledge and team-related knowledge, so it is wider concept than information sharing. Third, I developed new measure of shared mental model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literature because the accurate measure is not established yet. For knowledge workers, knowledge is key factor to increase team's effectiveness.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knowledge workers in cognitive point of view. However, in overall many domestic corporations have not still realized how important cognitive point is and only a few of them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t. So that I made this research into team's effectiveness by using the concept of cognitive similarity-shared mental model. For this, I tried to remind the academic world and corporations the importance of cognitive view to manage knowledge workers effectively.

      • 自己表現 訓練 프로그램이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效果

        박숙영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제2의 탄생이라고 불려질 정도로 신체적, 정서적, 지적, 사회적으로 급격하게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자기신뢰감이나 자기존중감이 부족하면 공격성과 방어기제 수준이 높아져서 대인관계나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게 되며 학업성취에도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불안이 심화되어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우울, 강박감 등의 정신적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여 자아를 존중하고, 적극적이고 성실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생산적이고 능률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구는 이시기의 학생들에게 매우 필요하고 절실한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프로그램이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전라북도 정읍시에 소재한 종합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 실시하고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여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표현정도 및 자아존중감이 의미 있게 증가할 것이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과별, 성별간에 자기표현정도 및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셋째, 자기표현훈련을 통해 향상된 자기표현정도 및 자아존중감의 효과는 지속적일 것이다. 넷째,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자기표현평정척도가 낮은 학생들 중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선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배정한 후 사전·사후·추후검사를 실시하여 SPSS 1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 가설의 검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표현평정을 받은 실험집단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표현정도 및 자아존중감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과별, 성별간에 자기표현정도 및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자기표현훈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효과가 지속되었다. 이와 같이 자기표현훈련이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주제는 긍정적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은 남·녀 공학이며 종합고등학교 학생들이므로 모든 고등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효과가 남학교·여학교·남녀공학의 주변 환경에 의해 직접적으로 얼마만큼 관계가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보면 10부의 14시간 교육 후에도 비교적 지속적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학생들에게 이러한 프로그램을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좀 더 자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An adolescent period called " the second birth" is the change of time in physical, mental and intellectual, social life. If they were lack of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we would not be on good terms with their individual and family relationships. An aggressive charter and a defensive measure get high as well. For these reasons, they interfere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an anxiety becomes deepen, in addition to, it may come out not only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but also a mental disorder. So,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lf- expression training to this one, they can express and respect themselves. The study that help them to live productive and efficiency life is very necessary and urgent for person living in this adolescent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ression and high school self- esteem through the experi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 students of a general and coeducational high school in Jeong-eup. I used the reorganized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ublished by Educational office of Jallabuk-Do and got the effect on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hrough the pre and post test among the participated students. All subjects met twice a week for 7 weeks. (60 minutes each)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raining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a increase of the level of self- express and self-esteem among the tested group as compared with the untested group. Second, There will be no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level of self-express a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effect acquired through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raining will increase continually. Forth,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will have an interrelation I analyzed the average marks, to find out the same quality and the different among through t-test of pre and post test among the participated students. The data of the self-express and self -esteem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raining increased effectively among the experimental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level of self-express a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effect acquired through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raining increased continually. Forth, The self-express and the self-esteem had an interrelat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training program has increased the expressive behavior significantly. Howev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 students of coedu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so it would be unacceptable to generalized it to all high school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figure out how much effects of the self-express and self-esteem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surroundings, by comparing those of male, female and coed students.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received these programs continually, they have more chance to improve their problems.

      • 비만 체형 클리닉에 내원한 여성의 식사태도와 우울 및 불안, 스트레스 정도와의 연관성

        박숙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비만과 체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식사장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만클리닉이 많이 개설되면서 식사장애의 고위험군이라 할 수 있는 비만클리닉 방문 환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식사장애 환자의 조기 선별, 동반 질환의 진단,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준임상적 식사장애는 임상적 식사장애로 진행할 위험이 매우 크며 다양한 정신과적인 문제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는 면에서 중요하다.방법: 서울시 한 개인의원의 비만클리닉에 2004년 6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처음 방문한 만 19세에서 64세의 여성 157명을 대상으로 연령, 키, 체중을 측정하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식사태도검사, 우울수준검사, 불안수준검사, 스트레스검사를 실시하였다. 식사태도와 우울, 불안수준, 스트레스, 비만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정상군과 식사태도 이상군의 각 척도의 차이의 유효성은 Wilcoxon rank-sum test로 검정하였다. 식사태도에 미치는 우울, 불안, 스트레스, 비만도의 영향에 대한 조사는 Path analysis를 이용하였다.결과: 연구대상자 중 식사태도 이상군이 40.1%였다. 분석 결과 식사태도는 불안수준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스트레스량, 우울수준과의 관계 순이었다. 식사태도점수는 비만도와 관계가 없었다. 정상군과 식사태도 이상군으로 나누었을 때 식사태도 이상군에서 우울, 불안수준, 스트레스량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군 사이에 비만도의 차이는 없었다. 식사태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path analysis에서 식사태도점수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는 불안수준이었다. 비만도는 식사태도점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우울수준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인 영향을 동시에 주는 인자였다. 환자의 연령과 비만도는 우울수준과 불안 수준에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수준은 불안수준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식사태도점수에 영향을 주었다.결론: 비만클리닉에 내원한 여성들은 식사태도가 불량한 식사장애 고위험군이라고 할 수 있다. 식사태도가 불량할수록 우울, 불안수준, 스트레스량이 높았으며 비만도와는 무관하였다. Objective: The seriousness of eating disorders has been brought to spotlight due to growing interest towards weight concern and body shape. The number of weight management clinics have grown, and the need for research involving patients visiting these clinics have also grown. Early diagnosis of eating disorders, diagnosis of concurrent diseases, and a higher chance for appropriate treatment has increased due to current active reaserches. Subclinical eating disorders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likely to develop into clinical eating disorders and that they usually accompany various psychiatric problems as well.Method: 157 female outpatients of a private weight management clinic in Seoul, ranging from ages 18 to 64, were assessed for their age, height, and weight. Through questionairres their eating attitude, stress level, depression level, and anxiety level were also assess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attitude, age, and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obesity. Each criterion of the normal group and the group with eating disorder was examined with Wilcoxon rank-sum test for statistical relevence. The effect that age and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obesity have towards eating attitude was assessed through Path analysis.Result: 40.1% of the studied subjects were suffering from subclinical and clinical eating disorders. Of the different criteria, anxiety level affected eating attitude the most, followed by stress level with depression level being last. The group with subclinical and clinical eating disorders ha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 obesity level of the two groups were not evident. In the course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attitude and the different critera, high anxiety level was the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eating attitude score the most. Obesity level affected eating attitude directly and indirectly, by affecting anxiety level. The age and stress level affected eating attitude indirectly through affecting depression level and anxiety level, and depression level affected anxiety level which indirectly affected eating attitude.Conclusion: The female outpatients visiting weight management clinics have poor eating attitudes and they are more prone to develping eating disorders. The levels of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poorer eating attitudes, but the obesity level had no effect.

      •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닭 간 단백질의 가수분해 조건과 기능성

        박숙영 강릉대학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cken liver protein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using two kinds of protease, Alcalase and Neutrase.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hydrolysis process, the parameter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pH, and enzyme to substrate ratio(E/S ratio)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lysate, water and oil absorption capacities, emulsifying activity and viscosity were measured. Sensory tests by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also carried ou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hydrolysis were 60℃, pH 8.0 in alkaline protease and 50℃, pH 6.0 in neutral protease and degree of hydrolysis increased with increasing E/S ratio. Water and oil absorption capacities tended to be decreased and viscosity was increased in the extent of hydrolysis by alkaline protease and neutral protease. Emulsifying activity was decreased during the hydrolysis with neutral protease showed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fter 1 hr in alkaline protease. The sensory evaluation of odor and color of freeze dried chicken liver after proteolytic hydrolysis showed that a little increase in the odor of spoiled, nauseous and boiled meat was found from alkaline protease while a significant increase in spoiled and nauseous was resulted from neutral protease hydrolysis(p<0.01).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teolytic hydrolysis caused the color of chicken liver to be brighter, less redish and more green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