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박수연(Park, SuYeon),김경미(Kim, KyoungMi)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2 동서정신과학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남자 91명(20.7%), 여자 339명(77.2%)의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랫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정체감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부모애착을 통해 일관성을 가진 자기개념인 자아정체감을 가짐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parent attachment and self-identity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self-ident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430 people, 91 male students (20.7%) and 339 female students (77.2%), were measured for parental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elf-ident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ent attachment,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identit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ident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in college students, and discuss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mproved by having a sense of self-identity, a consistent self-concept through parent attachment.

      • KCI등재

        재매개에 따른 뉴미디어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연 ( Suyeon Park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급진적으로 성장하며 그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생겨난다. 그러나 뉴미디어가 생겨난다고 해서 기존의 미디어가 전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모든 미디어는 끊임없이 다른 미디어에 영향을 주고받아 변화한다. 즉 어떤 미디어도 고립되어 존재할 수 없고, 상호 관계 속에서 기존의 미디어와 뉴미디어가 서로 다양한 재매개의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재매개는 공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공간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안겨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의 재매개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현시점에서 뉴미디어와 재매개의 본질적인 부분과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뉴미디어가 적용된 공간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뉴미디어 공간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의 표현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뉴미디어 공간과 재매개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뉴미디어와 재매개의 전반적인 이론을 고찰한다. 이를 토대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뉴미디어와 공간의 상관성을 통해 연구에서 사용될 뉴미디어 공간의 정의를 확립하고자 한다. 앞서 정의된 뉴미디어 공간과 재매개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볼터와 그루신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의 재매개의 특성을 재해석한다. 재 매개에 따른 뉴미디어 공간의 표현특성을 밝히기 위해 체계성을 띤 접근방법으로 도출한다. 접근방법으로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과 공간을 매개로한 재매개의 특성을 분석하여 표현특성을 찾아냄으로써 결론에 도달한다. (결과) 기본적인 이론 고찰을 토대로 뉴미디어 변화에 따른 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공간의 특성인 상호작용, 경험, 확장의 연속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간을 매개로 한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의 특성을 재해석한 공간의 재현, 공간의 확장, 공간의 개조, 공간의 흡수를 뉴미디어 공간의 3가지 특성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가 표현되는 12가지의 표현특성을 도출해 유형화하고 공간에 적용해 개념화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뉴미디어 환경의 현시점을 기준으로 한 이론 고찰과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의 표현특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공간 디자이너가 뉴미디어를 활용한 재매개적 공간계획에 있어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grows rapidly, bringing with it rapid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media keeps emerging, although all the existing media does not completely disappear overnight. Each media change affects another. In other words, no media can exist in isolation, and the existing media and new one must coexist in some form of remediation (bidirectionally interchangeable) if progress is to continue. Therefore, remediation has a great effect on spac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s well. Furthermore, it would also change the paradigm of pac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arts and flow of new media and remediation at the point when remediation of new media is active. In addition, it examines the space where new media is applied, and, based on its application, suggest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shown in new media space. Thus, it aim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new media space and remediation in modern society. (Method) This study first contemplates the overall theory of new media and remediation that the researcher is trying to explain. It also establishes a definition of new media space that will be used in the study: the relativity between new media that has recently been catching attention and space. The study the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ly defined new media space and remediation, and, based on the theories of Bolter and Grusin, re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remediation.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new media by remediation, the study deduces its conclusion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Results) Viewed against the framework of new media theory and Bolter and Grusin`s remediation theory, the study interpreted the interaction between new media space and interaction, experience, and extension. It also applied the representation of space that was a re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by representation (fidelity, refashion, absorb) t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space. As a result, it was categorized by deducing the twelv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remediation expressed in new media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regards that spatial designers consider the relative impermanence of every generation of new media, and plan for change. They should consider the ever-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and provide a basis for a remediation space plan, as new media will be used by space designers in the future. Keywords Expressional

      • KCI등재

        베넷(Bennett)의「사물에 대한 정치생태학」으로 바라본 생동하는 물질과 유아교육의 조우

        박수연(Suyeon Park)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고에서는 Bennett의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유아교육과 얽혀 사유하는 데 목적이 있다. Bennett의 생동하는 물질로서의 사물에 대한 정치생태학은 환경주의와 고전적인 생기론-기계론을 넘어선 생기론적 유물론, 사물-권력과 배치의 행위성, 의인화와 평평한 존재론을 통한 사물에 대한 정치생태학의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이론은 첫째, 평평한 존재론을 실천하는 감수성을 지닌 유아, 둘째, 사물 권력과 조우하며 교육적 순간을 포착하는 ‘배치의 변환기’로서의 교사, 셋째, 프로그램화된 환경교육을 넘어서는 정치생태학적 교육과정으로 유아교육과 조우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Bennett의 이론을 통해 미래 유아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교육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중요 논제를 제기하고 유아교육 실천의 변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아동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던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consider Bennett's main theories in conne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Bennett's political ecology of objects as living substances had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ism and the political ecology of objects through the behavior of objects-power and arrangement, personification, and flat ontology beyond classical ontology-mechanism. This theory was able to meet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transition period of deployment” that encounters object power and captures educational moments, and third, as a political and ecological education content that goes beyond ecological education programmed by environmentalism. In this way, the review of new theories and the encounter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expected to consider infants, teachers, and educational content from a new perspective and provide the feedforward necessary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수술 계획을 위한 다중 사용자 가상현실 시스템

        박수연 ( Suyeon Park ),서가연 ( Gayun Suh ),신형환 ( Hyeonghwan Shin ),조준수 ( Junsu Cho ),정재준 ( Jaejoon Jeong ),강세이 ( Sei Kang ),서보경 ( Bogyeong Seo ),이민서 ( Minseo Lee ),김승원 ( Seungw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은 더 나은 3차원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의료계에서 해부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사용되고 있다. 우리는 몰입형 가상현실에서 다중 사용자가 함께 MRI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볼륨 렌더링 된 객체를 관찰하고 수술을 계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베어링 진단을 위한 진동 신호 기반의 딥러닝 모델

        박수연(Park, SuYeon ),김재광(Kim, Jaekwa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6

        최근 자동차, 철도차량 등 사용자가 있는 기계 시스템에서의 고장 발생 시 사용자의 안전과 관련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부품에 대한 모니터링 및 고장 여부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부품 중에서 베어링은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는 물체 사이에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인데, 베어링에 결함이 발생하게 될 경우, 기계 시스템이 정지하거나, 마찰 열에 의해 화재 등의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Resnet과 오토인코더를 활용하여 진동 신호 기반의 베어링의 고장을 감지하고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raw data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입력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근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를 최대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제안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공개된 데이터셋으로 학습/검증 하였고, 제안 방법이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F1 Score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공학교육에서의 팀 학습 운영 실태 분석

        한지영,박수연,방재현,Han, Jiyoung,Park, Suyeon,Bang, Jae-h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eam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professors and 627 students in engineering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team should b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for effective team learning activiti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in the team learning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ditions for students to immerse in team learn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of team members, tightening management of free riding in team learning, and optimizing team learning period.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am learning evaluation method in harmony with the team, individual and peer evaluation.

      • KCI등재

        The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Words Contributing to Expressive Vocabulary in 18- to 36-Month-Old Toddlers

        Yoonhee Yang(양윤희),Suyeon Park(박수연),Ye Eun Hong(홍예은),Suyeon Lee(이수연),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검사인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를 사용하여 18-36개월 유아가 지닌 어휘를 통해 단어의 음운유사도 양상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표현어휘력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음운유사도 유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1에서는 약 8개월간의 시간 차를 두고 음운유사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18-36개월의 총 18명의 유아들이 T1, T2에 각각 참여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아동과 말늦은 아동 집단 각각에서 음운유사도가 표현어휘력을 얼마나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18-36개월의 총 151명 유아들이 참여하였다. 음운유사도 점수는 두 단어 간 음운론적 공유 비율에 따라 P1 (66%), P2 (75%), P3 (80%)으로 나누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18-36개월 유아의 급격한 표현어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어 간 음소 공유가 상대적으로 적은 P1이 일관적으로 가장 좋은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 TD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 P3, P2 순으로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지녔으며, LT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이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적어도 만 3세까지는, 공유하는 음소가 더 적을 때 각 단어가 더 쉽게 구별되기 때문에 어휘를 산출할 때는 음운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이 더욱 기여도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a standardized parent-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vocabulary development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18- to 36-month-old toddler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honological similarity explains the expressiv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s in Experiment 1 and the group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a total of 18 toddlers aged 18-36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 2, a total of 151 toddl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134, late talkers [LT]=17) participated. Phonological similarity scores wer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rate between two words. Phonological similarity was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and defined as P1 (66%), P2 (75%), and P3 (80%). We obtained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similarity through the K M-B CDI. Results: In Experiment 1,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seems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consistently. In Experiment 2, all the phonological similarity conditions explained the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in the TD group, but P1 was a significant explaining factor for expressive vocabulary in LT group. Conclusion: Although expressive vocabulary increased sharply,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consistently appear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t least until the age of three, words with low phonological similarity are more easily distinguished, and this ability also seems to contribute to expressive vocabul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