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정당에 관한 한․일 비교: 청우당과 공명당을 중심으로

        박세준(Park, SeiJo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대한민국과 일본의 헌법에는 종교정당의 활동을 금하는 명확한 내용은 없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종교를 내세운 정당이 의회에 진출한 적이 없다. 일본에서 종교를 내세운 정당이 의회에 진출했고, 연정을 통해 여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양국의 종교정당이 이처럼 다른 모습을 보이는 데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했는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종교정당을 둘러싸고 있는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비교해서 살펴본다. 종교정당의 내부환경은 종교정당의 모체가 되는 종교의 교세와 그 종교의 교리, 종교정당의 정책 그리고 종교정 당의 활동이다. 종교정당의 외부환경은 해당국가의 정치상황, 해당국가의 종교지형 그리고 국제질서다. 내부환경 요인 네 개와 외부환경 요인세 개, 총 일곱 개의 요인을 비교해서 한국과 일본의 종교정당을 비교한 다. 한국의 경우는 남북한의 천도교청우당을, 일본의 경우 공명당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교세의 면에서 남한의 천도교는 20여만 명, 북한은 180여만 명, 창가학 회는 500여만 명이다. 이들은 당시 종교지형에서 남한은 기독교와 불교에 밀려 세 번째였고, 북한은 신도가 제일 많은 종교였다. 창가학회는 불교로 볼 경우 전통신토를 제외한 최대 종교의 일원이고, 불교계 신종 교로 봐도 기독교나 전통신토계 신종교보다 많은 교세를 자랑하고 있다. 천도교와 창가학회 모두 교리에 사회참여와 정치참여에 적극성이 있다. 이러한 교리 실천의 방법으로 종교정당을 만들어 현실정치에 참여한다.천도교청우당의 정책은 “조선적 민주주의”라는 중도좌파에 가까웠고, 창가학회의 정책은 중도주의를 표방했으나 우파에 가까웠다. 이러한 정책 으로 천도교청우당은 남과 북 모두 다른 세력과 연계를 통해 활동했다. 남쪽의 천도교청우당 경우, 신파는 중도좌파를 포함한 좌익계와 구파는 중도우파를 포함한 우익계와 연계했다. 반면 공명당의 경우 보수당과 혁신당이 신경쓰지 않는, 틈새를 파고들며 활동했다. 보수에 유리한 보혁대립이라는 정치지형이 공명당의 “틈새전략”과 맞아떨어진 것이다. 공명당의 정계진출 시작이 됐던 일본의 “55년 체제”는 냉전의 산물이었고, 공명당이 연정의 동반자로 처음 여당이 된 시기는 냉전이 해체되던 시기였다. 남과 북에서 천도교청우당이 활동하던 정치지형은 남쪽은 우익에 유리한 좌우분열이었고, 북쪽은 좌익에 유리한 좌우분열이었다. 이에 중도좌익 노선이었던 천도교청우당은 남쪽에서는 불리한 위치였고, 북 쪽은 유리한 위치였다. 물론 이러한 정치지형은 냉전의 시작기였기 때 문이다. 이상에서 봤을 때, 천도교청우당과 공명당은 국제질서로 인해 구조화된 국내 정치지형에 맞는 종교정당의 정책에 따라 실패와 성공으로 나아가게 됐다. 특히나 중도주의를 표방했던 공명당이 냉전해체 이후 보수 정당과 손을 잡으면서 우편향 됐다는 점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종교정당은 결국 대중정당이기 때문이다. 해당 국가 내에 종교지형이나 교세, 종교정당의 활동과 같은 요소들은 종교정당의 등장이나 종교정당이 정계에 진출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의회에 진출할수 있는, 즉 종교정당의 성공요소는 아니다. Constitutions of South Korea and Japan do not forbid religious political parties to be active. In South Korea, no political party with religious affiliation have entered the National Assembly. In Japan, on the other hand, Komeito as a religious political party entered the parliament successfully and now forms a coalition government with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the ruling par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responsible for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to take such different paths. The focus is on the inner and outer environments surrounding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ner environment refers to the congregation, religious doctrine of specific religions, and policies and action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Outer environment includes political landscapes, religious terrains in a nation, and international order. Variations on seven factors, four inner environmental and three outer environmental, are utilized in making comparison between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and Japan. Cheondoist Chungwoo Party and Komeito are analyzed. When it comes to the congregation, Choendogyo has 200,000 in South Korea and 1,800,000 in North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has 5,000,000. In terms of religious terrains, Cheondogyo was the third largest congregation in South Korea next to Christianity and Buddhism while the largest in North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though categorized as a new religion out of Buddhism, was and still has more followers than Christianity in Japan. Both Cheondogyo and Soka Gakkai International stress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ir doctrines. Religious political parties were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politics as way of practicing what is preached. The policies by Cheondoist Chungwoo Party were close to that of center-left, “Chosun Democracy”. Soka Gakkai International’s policies, though claimed to be centrist, were of rightest orientation. Cheondoist Chungwoo Party, both in South and North Korea, acted in accordance with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Komeito acted alone in the beginning. Komeito first entered politics in Japanese 1955 System born out of the Cold War. Around the time when the Cold War ended, Komeito became one of the ruling parties. Political landscapes around the time Cheondoist Chungwoo Party was active favored the right in South Korea and the left in North Korea. Such political landscape is the outcome of the Cold War at the time. Different paths of Cheondoist Chungwoo Party and Komeito can be explained by the policie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e national political landscapes structurated by international order. The fact that Komeito turned to the right upon connecting to conservative party after the Cold War makes the point clearer. Religious terrains, congregation and specific action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religious political parties to enter the realm of politics. However, they do not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religious political parties in joining the Parliament.

      • KCI등재

        팬데믹 이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 에코페미니즘과 한국 전통 사상

        박세준(Park, SeiJo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세계질서의 변화와 과제에 대한 대답이다. 현재와 같이 자연을 대하지 말자는 것을 전제로 하나의 대안으로써 에코페미니즘을 제안했다. 에코페미니즘은 유일신을 중심으로 하는 이원론,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개발 방식에 대한 비판을 통해 여성해방과 자연보호를 연결하는 이론이자 운동이다. 에코페미니즘의 기본원리는 생태주의와 비슷하다. 바로 내재성, 상호연관성, 공동체다. 여기에 에코페미니즘만의 특징은 직접 투쟁이라고 하는 실천에 있다. 직접 투쟁의 주체는 여성이고, 내용은 자연개발과 가부장제에 맞서 자연을 “돌보고 기르고 키우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과 한국전통사상과 접점은 쉽게 찾을 수 있다. 동양의 신관은 대부분 내재성이고, 연기설이나 화엄사상을 봤을 때 상호연관성은 높다. 공동체성의 경우 동양과 서양이 각각 공동체성을 가진 집단들이 있어 왔다. 한국불교나 원불교는 이러한 기본 원리 속에서 활동이 있으나 주체와 내용이라는 실천 측면에서 에코페미니즘 요소가 약하다. 동학의 경우 수운의 사상과 해월의 사상은 에코페미니즘의 기본원리와 맞닿는다. 한국불교와 원불교와 다르게 동학은 이들 사상을 실천으로 나아갔다. 동학을 계승한 천도교는 한울연대라는 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이 단체의 대표는 여성이고, 이 단체는 방정환한울학교라는 사업을 통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생태사업과 생태교육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자연보호와 돌봄이라는 여성의 직접투쟁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것이 에코페미니즘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에코”페미니즘도 아니고 에코“페미니즘”도 아니다. 에코페미니즘은 환경과 여성의 공존을 통한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꾀할 뿐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에코“페미니즘”이 될 때와 “에코”페미니즘이 될 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달라진다. 또한 주변 비판의 방향과 내용도 달라질 수 있다. 같은 내용이라도 담는 그릇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듯이 같은 이론과 내용이라도 에코페미니즘이 아닌 전통사상으로 접근하는 것도 궁극의 해결책인 환경문제의 해결에 접근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앞으로는 에코페미니즘이 갖고 있는 비판정신과 실천정신을 한국 사회에 더욱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response to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world order after COVID-19. Ecofeminism as an alternative for nature and not the same way now. Eco-feminism is a theory and movement that connects women’s liberation and protection of nature through criticism of dualism centered on the one god, patriarchy, and ways of developing capitalism. The basic principles of ecofeminism are immanence, interconnenction, community, similar to ecologicalism. In addition, the unique feature of ecofeminism is the practice of direct struggle. The main body of the movement is women, and the content is “care, bring up, and rearing the nature”, which is against enviornment development and patriarchy. The interface between ecofeminism and Korean traditional thoughts is easy to find. Eastern divinity is immanence, and the contents of the Buddhistic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or the Huayen thought are interconnenction. In the case of communities, there were groups with communities in the East and the West, respectively. Korean Buddhism and Won Buddhism practice ecofeminism in terms of these activities in the basic principles, but the subject and content is weak. The basic principles of ecofeminism and the ideas of Suwoon and Haewol have many connections. And unlike Korean Buddhism and Won Buddhism, Donghak moved to practice these ideas. Cheondogyo, who succeeded Donghak, has formed an organization called Hanul Solidarity. The representative of the organization is women, and the organization operates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through a project called Bang Jung-hwan Hanul School and conducts programs to teach children ecological projects and ecological education. These activities are linked to women’s direct struggles of conservation and care. And This is Ecofeminism. Ecofeminism is neither “eco”-feminism nor eco- “feminism”. Ecofeminism only seeks co-prosperity between men and women, between man and nature through the coexistence of the nature and women. Ecofeminism depends on what can be explained by “eco”-feminism and eco- “feminism”. In addition,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criticism could be different. Even if it is the same, trea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bowl. Even with the same theory and content, approaching traditional thoughts, not ecofeminism, can be another way to approach the ultimate 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Korean society with the spirit of criticism and practice of ecofeminism.

      • KCI등재
      • KCI등재

        천도교를 중심으로 본 북한 김일성 개인숭배의 보편성과 특수성

        박세준 ( Park Seijoo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본 연구는 천도교를 중심으로 북한의 개인숭배 현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북한에 대한 연구는 소위 “북한적 현상”이라는 것으로 특수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김일성에 대한 개인숭배 현상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개인숭배현상은 북한만의 특수성이 아닌 소련의 스탈린 시절부터 내려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역사주의 접근법과 비교사회주의 접근법을 사용했다. 역사주의 접근법은 북한의 독특함을 강조하는 것이고, 비교사회주의 접근법은 사회주의국가의 보편성을 밝힌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라 개인숭배현상은 저발전사회주의국가들이 사용하는 보편화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소련의 탈스탈린주의 명령에 탈소련화한 중국, 알바니아, 루마니아, 북한의 경우 그 경향이 심해졌음을 확인했다. 이들 국가는 항일 또는 대독 투쟁이라는 대외항쟁을 개인숭배에 활용한 공통점이 있고, 북한의 경우 이에 더해 천도교라는 민족주의 종교를 적극 활용한 특수성이 나타났다. 김일성은 천도교가 하늘이 아니라 사람을 중시한다는 점과 봉건사회제도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진보종교로 봤다. 그는 항일무장투쟁에 있어서 천도교와 연대하여 큰 성공을 이루기도 했다. 일인독재를 확립하고 세습독재로 나아가는 데 활용한 주체사상에도 천도교 사상을 원용하기도 했다. 김일성은 천도교를 이용했을 뿐 아니라 천도교의 활동을 자신의 업적으로 왜곡하는 것도 서슴치 않았다. 반봉건과 반외세를 표방하는 천도교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이론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고, 김일성 본인의 유년시절 경험과 해방 당시 북한지역의 천도교 교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천도교의 이름을 빌려야 했다. 그 결과 북한에서 개인숭배의 특수성에 천도교가 이용된다. 북한에서 개인숭배의 특수성인 천도교 이용에 관해서는 더 엄밀한 연구가 필요한데, 현재 남한천도교측에서조차 북한의 자료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통일이 되거나 자유로운 자료이용이 가능한 시점에 다시 연구를 하면 보다 풍부하고 자세한 연구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personal worship of North Korea, Kim Ilsung and Kim’s Family. The study of North Korea tends to emphasize the speciality of the so-called “North Korean phenomenon ”. It is the true that the personal worship of Kim IlSung and Kim’ Family. However, the phenomenon of individual worship has not come from North Korea ’s special character but from the Soviet Stalin days.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 comparative socialism approach were used as methodolog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istorical approach emphasizes the uniqueness of North Korea, and the comparative socialism approach reveals the universality of the socialist state. According to this approach, we can confirm that the phenomenon of personal worship is a universal method used by the underdeveloped socialist countries. In particular, it confirmed that the tendency in China, Albania, Romania and North Korea, which had been de-Sovietized in the Soviet order of the Stalinist state, had increased. These countries share the common use of anti-Japanese and anti-Japanese struggle for personal worship. In addition, North Korea has developed a special characteristic of utilizing the religion of nationalism called Chondoism. Kim IlSung assessed the Chondoism as a progressive religion in that it values people rather than heaven and opposes feudal society. He has also achieved great success in his alliance with the Chondoism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e also used the idea of Chondoism to establish a one-man dictatorship and move on to a hereditary dictatorship. Not only did Kim Ilsung use the Chondoism, but he also did not hesitate to distort the activities of the Chondoism as his work.

      • KCI등재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세준(Park, Seijoon),이해니(Lee, Hae-Nee),이승호(Lee, Se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의 혁신학교 운영이 고등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동일 표본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2013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2015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수목적고등학교,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 혁신고등학교 간 연도별 차이와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네 집단 간 시기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일원 분산분석 결과, 학교유형에 따라 연도별 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특목고와 자사고 학생들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와 창의성, 진로성숙도, 자아존중감은 일반고와 혁신고의 학생들에 비해 모두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한 반복측정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학교유형에 따른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영어와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연도*학교유형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혁신고의 학생들과 다른 유형의 고교 학생들 간의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격차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의적 성취에서는 학교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혁신학교 운영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기본소득과 전통사상의 관계 연구 : 동학, 천도교를 중심으로

        박세준(Park, SeiJo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이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논의가 한창인 기본소득에 대한 것이다.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다. 학계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고, 사회에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란이 일고 있다. 다양한 논의를통해 많은 이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론으로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담론”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천도교의 사상과 기본소득의 정당성 연결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서구에서 논의가 시작한 기본소득의 핵심 정신을 살폈다. 그 결과 기본소득의 개념은 서구 문화 규범 속에서 이미 있었던 내용이다. 단지 그 맥락이 이동했다. 그리고 그 핵심정신은 서구 문화의 뿌리인 기독교 정신에서 파생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까닭에 종교와 기본소득의 정당성 연결에 대한 보편성을 확보했다. 다음으로는 나는 한국의 전통사상인 동학/천도교와 기본소득을 정당성차원에서 연결할 수 있는 고리를 알아봤다. 그 결과 동학/천도교의 교리, 교정쌍전과 기본소득 모두 “제도롤 통해 고통받는 사람을 줄이는 것”, 즉 “불평등 해소”가 핵심 사상인 것을 확인했다. 교정쌍전은 종교와 정치가 함께 발전한다라는 뜻이다. 동학/천도교는 이러한 사상 배경을 가지고 실천에 옮겼다. 이 실천 사례들은 기본소득의 정의인 “누구나 아무조건없이 일정한 금액을 개별적으로” 받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핵심 정신인 “제도를 통해 고통받는 사람을 줄이는 불평등 해소”는 공유함을 확인했다. 서양 개념인 기본소득을 한국전통사상으로 살펴보고 설명하고자 함은서양 못지 않게 한국 전통사상도 훌륭하다라는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아니다. 또한 서구사상으로는 한국사회를 설명하기 어려우니 이를 배척하고 전통사상을 추구하자는 것도 아니다. 이는 서구사상과 한국 전통사상 모두 인류를 생각하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즉 서구 사상이든 한국 전통 사상이든, 기본소득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무언가”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무언가”은 결국 “불평등 해소”다. 따라서 기본소득은 복지나 시혜가 아니라 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 기본소득의 정당성 부분에서 종교와 동양사상의 교리가 도울수 있으리라 본다. “신 앞에 모두가 평등”인 서양의 기독교나 “개개인이각자 안에 신이 있는” 동양의 천도교는 모두 평등함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about universal basic income, which has recently been under discussion in South Korea. Discussions on universal basic income in Korea are still underway. There is a lot of research underway in academia, and controversy over pros and cons in society. Through various discussions, I would like to play a role in providing various “discourses” so that they can come to conclusions that many people can ac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he justification of Donghak/Cheondogyo’s ideas and universal basic income. To achieve this purpose, I first looked at the core spirit of universal basic income that the Western discussion began. As a result, the concept of universal basic income has already existed in Western cultural norms. Just the context shif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spirit was derived from the Christian spirit, the root of Western culture. For this reason, universality has been secur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religion and universal basic income. Next, I looked into the link between Donghak/Cheondogyo, a traditional Korean idea, and universal basic income in terms of legitima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educing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through institutional roll” is a key idea for both Donghak/Cheondogyo doctrine, “교정쌍전(Gyojeongssangjeon)” and universal basic income. “교정쌍전(Gyojeongssangjeon)” means that religion and politics develop together. Donghak/Cheondogyo was put into practice with this background of thought. These practice cases do not “individually receive a certain amount of money without any conditions” which is the definition of universal basic incom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spirit, “Let’s reduce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through the system,” was shared. In other words, it is resolving inequality. To examine and explain the universal basic income, which is a Western concept, as a Korean traditional idea, is not to argue that Korean traditional ideas are as good as Western on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Korean society with Western ideas, so it is not to reject them and pursue Korean traditional ideas. This is to confirm that both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ideas have the universality of thinking about humanity. In other words, whether it is Western or Korean traditional ideas, it is to confirm the “something” that is intended to be implemented through universal basic income. And that “something” is, in the end, “resolving inequality.” Therefore, universal basic income is not for welfare or benefits, but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inequality. In terms of the legitimacy of universal basic income, I think the doctrine of religion and Eastern thought can help. This is because Western Christianity, where “everyone is equal in front of God,” and Eastern Cheondogyo, where “individuals have God in each of them,” all value equality.

      • KCI등재

        해방공간 안에서 천도교청우당의 프레임정렬과정

        박세준 ( Park Seij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해방공간에서 활동한 천도교청우당은 원하는 기회를 잡지 못하고 쇠락했다. 천도교청우당이 기회를 잡지 못한 원인을 프레임 정렬 과정을 통해 분석했다. 해방공간에서 주류 프레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응한 천도교청우당의 프레임 정렬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주요 프레임은 세 시기에 걸쳐 변화했다. “애국과 매국”의 모스크바 3상회의 신탁통치 결정 찬성과 반대 논란, “찬탁과 반탁”의 미소공위의 통일정부와 단독정부 결정, “통일과 분단”의 UN이관이 각 시기다. 주요 프레임에 따라 천도교청우당은 김구와 임시정부의 “민족통일과 반외세” 프레임과 연결, 신탁통치 반대와 임시정부수립으로 증폭, 좌우합작운동으로 확장했다가 민족통일과 반외세 프레임으로 회귀했다. 이후 청우당은 “빨갱이” 프레임에 공격당했고, 이를 부정하는데 실패하고, 해체됐다. 청우당은 통일과 분단 프레임에서 반외세 민족통일 프레임이 아닌 다른 프레임으로 전환했어야 했다. 북조선천도교청우당의 존재는 “빨갱이” 프레임으로 쉽게 공격당하기 때문이다. 프레임 전환의 실패는 청우당의 해체로 이어졌고, 해방공간 내에서 활동했던 유일한 종교정당은 물론 민족종교인 천도교의 몰락이 시작됐다. The Chondogyo Chungwoo Party, who was active in the liberated space, failed to take the desired opportunity and declined. The reason why Chundogyo Chungwoo Party failed to take the opportunity was analyzed through frame alignment process.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nges of master frames in the liberated space and analyzed the frame alignment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Chungwoo Party. As a result, the master frames changed over three periods. The decision of the Moscow Conference which was the Trusteeship in Korea made the master frame as “patriot vs betrayer.” U.S. and Soviet military Joint Commission for Korean government establishment made it as “agreement vs opposition” about the Trusteeship in Korea. The transfer to the U.N. for Korean issue made it as “Unification vs Division.” According to each period, Chungwoo Party was bridging as “Unification and Denounce the foreign power”, amplification as “Opposition about the Trusteeship”, extention as “the left and right joint movement.” But They did not be transformation. The reason why Chungwoo Party failed to take the opportunity was because it had returned to the past when it had to be transformation. Since then, Chungwoo Party had been attacked in the “Red” frame, failing to deny it, and dismantl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