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이머시브 시어터에서 경험을 주도하는 해방된 관객성 연구: 〈댄 쉬 펠 Then She Fell〉과 〈비욘더로드 Beyond the Road〉를 중심으로

        박성연(Park, Sung-Yeon)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본 연구는 현대 공연예술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관객을 고찰하는 데 있어 과거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변화된 성격에 주목하여 분석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 공연예술 중에서도 특히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특성을 가장 집약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머시브 시어터에서의 관객성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한 이머시브 시어터는 기존의 전통연극과 비교하면 시공간과 감각이 크게 확장되고 그 어떤 요소보다도 관객이 우위에 서며 관객의 참여가 중심이 되는 공연 형태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특징을 지닌 이머시브 시어터에서 관객이 적극적으로 자기 주도적인 경험을 만들어간다고 보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머시브 시어터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연 〈댄 쉬 펠〉과 이전보다 진화된 형태의 이머시브 공연 〈비욘더로드〉를 예로 들어 고찰하면서 이 두 공연에서 스스로 경험을 주도하는 관객의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공연 간의 비교를 통하여 이머시브 시어터라는 장르 안에서도 공연의 형태가 점차 관객 중심적으로 수렴하며 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진화 속에서 관객성도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되는데 이때 변화의 핵심을 관객의 해방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이머시브 시어터의 특징들이 관객에게 공연과 연결되는 지점들을 생성해주며 서사를 스스로 메우는 사유를 시작하게 만들어 공연에 몰입하도록 돕고 그 과정에서 관객은 해방감을 느끼며 스스로 경험을 주도하고 작품의 의미를 극대화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오랜 연극 역사 속에서 공연의 한 요소로만 인식되어 수동적으로 머물러 있던 관객을 이머시브 시어터와 같은 현대 공연예술에서 새로운 의미의 관객성으로 규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ectator, which is the hottest topic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by paying attention to its characteristics, which have significantly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spectatorship, especially in the immersive theater, where the attributes of post-dramatic theater can be most intensively confirmed among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The immersive theater,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enre of post-dramatic theater, has dramatically expanded time, space, and sense compared to traditional plays. In addition, it is a form of performance in which the spectator i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element, and its participation is central. The study sees that the spectator actively creates self-directed experiences in immersive theater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Then She Fell,’ said to be on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immersive theater, and ‘Beyond the Road,’ the more evolved form of immersive performance, are examples for discussion. The aspect of the spectators of these two works leading the experienc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two, the performance gradually converged and evolved around the spectator, even within the genre of immersive theater. Also, the spectatorship was developed in more diverse ways. This study discusses the core of the change in terms of the spectator"s emancip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ve theater create points that connect the spectator and the performance and help the spectator immerse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by making them start filling in the narrative. In the process, the spectator felt emancipated, led the experience by themselves, and maximized the meaning of the work. Thus, in the long history of theatre, the spectator, which was recognized as only one element of the performance and stayed passively, could be defined as a new meaning of the spectatorship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such as immersive theater.

      • KCI등재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에서 관람자와 작품의 상호관계

        박성연 ( Park Sung 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 하나인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작품의 주요 특징인 작품과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소통/관계를 그의 작품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엘리아슨은 예술 외 타학제와 협업을 통해 철학, 과학 등으로 확장된 폭넓은 예술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예술 작품을 존재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했을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의미와 경험들이 작품의 주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일련의 그의 전시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You”는 작품을 응시하고 있는 관람자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의 작품이 관람자의 경험을 중요시한다는 전제하에 그의 작품을 설명하였다. 첫째, 그의 작품은 놀이 개념으로서의 상호관계를 이끌어낸다. 그것은 다음에 열거하는 특징들에 의해 가능하다. 둘째, 그의 작품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빛, 색, 시간, 관람자의 움직임이다. 빛과 색으로 충만한 공간에 관람자가 들어섰을 때의 감각경험과 관람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까지 작품에 개입하게 된다. 셋째, 그의 작품은 일상공간에 낯선 자연풍경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그는 물, 안개 등 실제 자연요소를 낯선 공간에 위치시키거나 인공조명을 통해 유사자연(artificial nature)을 창조해 낸다. 마지막으로, 거울이나 유리처럼 반사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을 그의 작품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반사매질을 이용해 공간 안에 변화하는 빛과 움직임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거울을 통해 관객의 자기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그의 작품은 관람자의 경험이라는 현대미술의 중요한 맥락과 맞닿아 있다. 그는 관람자의 신체적 지각경험을 강조하며 이것이 작품과 촘촘하게 연결되어 다양한 의미를 창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어서 그의 작품의 중심에는 관람자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만든다. 결국 그가 추구하는 바는 하나의 완결된 작품 제작보다 관람자가 만들어내는 소통의 다양성이며, 또한 관람자가 익숙하면서도 낯선 상황에 반응하여 소통의 매개체로서 예술의 역할을 재인식하도록 한다. 하나의 완결된 작품 제작보다 다양성을 갖는 관람자의 소통에 더욱 중점을 두어, 관람자가 익숙하지만 낯선 상황에서 반응하여 소통의 매개체로서 예술의 역할을 재인식하도록 만든다. 이런 점에서 그의 작품은 일상적인 자연풍경이 아닌 새로운 현대적 풍경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Olafur Eliasson makes interrelations and interacts with viewers. Eliasson is known for his experimental installations, which deal with a broad range of subjects such as scientific phenomena. His installations allow viewers to not only observe but also to be a part of the scenery, which marks the completion of his work. Therefore, it is clear that Eliasson leads viewers to become involved in his work.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terrelations between viewers and his work. First of all, his main purpose is that variou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re produced when viewers encounter his work. Secondly, illumination with vivid color, time, and movement are the basic elements that he has used throughout his works. Moreover, he creates artificial nature by relocating natural elements such as water, fog and moss as well as immaterial factors into the gallery space. This contributes to embodying the virtual image in a physical space. Last but not least, he makes use of the reflection of the optical materials, such as mirror and glass, to create changes in light and movement. This enables viewers to have their own perception and self-awareness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Likewise, the experience of viewers is fundamental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exts in contemporary art. By stress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viewers and his work, he focuses on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the viewers. Above all, his work depends entirely on the viewers` contribution to the completion of his work. His work encourages viewers to respond to familiar yet different situations and has a new understanding of artwork as a medium of interaction. In this context, he produces not only replicas of nature but new contemporary phenomena.

      • KCI등재

        공간 사유(思惟)를 통한 관계맺음

        박성연 ( Sung Yeo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논문은 일상생활공간이 관계를 만드는 공간이라는 맥락 안에서 공간 개념의 이론적 접근과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관계맺음을 관계 미학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공간 경험은 거주공간의 장소적 개념, 사회적 산물로의 사회적 공간, 그리고 이러한 고정된 실체에서 확장된 잠재적 공간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공간 경험에 의해 오히려 공간의 경계는 무의미해졌음을 살펴봄과 동시에,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이나 도시의 장소를 예로 들어 혼종적 공간에 내재된 잠재성, 유동성, 움직이고 살아있는 신체로서의 공간 개념을 설명한다. 이것은 건축 공간을 개방적인 대상으로 인식하고 제3의 공간이라는 개방성을 유도한다는 특징을 지니며, 내부와 외부 또한 그 사이 경계의 공간도 아니다. 완벽히 개방적이지만 무한대로 확장되지 않는, 예측할 수 없는 살아있는 공간 개념이다. 본인은 이 담론을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베르그송의 개념을 포괄하는 엘리자베스 그로스의 공간 개념을 주로 언급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 개념에서 확장하여 다양한 문맥으로 읽힐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상호교류하고 있음을 서술한다. 상호인간적인 관계들로 파악되는 관계의 미학은 유연한 사유와 예술의 사회적 수용을 가능하게 해주어, 관계의 형성이 보여주는 과정과 사회적 문맥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에서 삶의 공간과 일상생활이 형성이 만들어내는 관계를 미학적으로 재조명하고, 주변의 이웃과 타인의 삶에 대한 본질적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the everyday, particularly the way in which we form relationships within the spaces of our daily lives. In illuminating theoretical studies and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on the spaces, this dissertation seeks to elicit a new understanding of the space. Beginning with the spaces that we are most familiar with (e.g. a family house or a hometown), I examine the virtuality and fluidity that is inherent to hybrid spaces, evoking the concept of space as a living, moving body. I consider architectural spaces to be implicitly open, and they evoke that openness as a third space. My theoretical basis primarily draws upon Elizabeth Grosz`s concept of space, which encompasses the ideas of Gilles Deleuze and Henri Bergson. According to Grosz, space is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nor in-between; instead, space is absolutely open, though it does not expand absolutely. It is also alive and impossible to predict. Building upon her ideas of space, my dissertation highlight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conditions, thus utilizing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s to call for a more flexible social consideration and reception of art. In examining how my study represents our modes of co-existence, this dissertation fundamentally seeks a higher understanding of our neighboring communities and people. Based on people`s trust in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my concern is with analyzing spaces and establishing a subject (often absent) to represent our so-existence in the spaces where we form relationships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일상에서의 공감각적 경험과 시각화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박성연 ( Park Sung 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일상에서 발현되는 감각을 재발견하고 이것을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상은 그 반복성으로 인해 무의미해보이지만 그 평범함 안에 지속적인 힘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일상사회학과 일상과 관련된 다양한 학제를 살펴보고, 생활에서 느끼는 감각과 공감각적 발현을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하였다. 또한 감각의 다양성을 오감, 공감각, 공간적인 감수성 등 일상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각의 교차와 중첩으로 설명하였다. 이들은 신체적이면서도 심리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특히 공감각은 일반적인 감각과 다르게 공감각 능력을 지닌 개별 특성에 따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갖고 있다. 미묘하고 추상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감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연구자는 철학과 심리학 연구를 분석하였다. 매일을 총칭하는 일상의 의미와 감각의 중첩, 교차, 혼합 등의 과정과 개인의 경험이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 등을 감각과 공감각 이론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국내외의 일반인들과 진행한 대화 작업을 본론에서 소개하였다. 이 대화 작업은 참가자들의 일상공간에서 진행되었으며 그들의 반복되는 하루와 여가 등 개인적인 대화를 나누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의 소소한 역사를 조명하고 그 대화를 기반으로 한 여러 시각작품을 설명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무의식적인 환기, 추억, 흔적을 통한 기억의 소환, 냄새, 빛, 소리, 감각의 전이 등의 속성을 통해 작품의 내러티브를 더하였다. 감각과 공감각적 경험으로 인해 작품이 갖는 상상과 현실의 결은 더욱 풍부해진다. 이런 점에서 일상생활에서 소음이나 잡음은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었지만, 공간 설치와 사운드를 이용한 작품과 악보 작업으로 발전되었다. 이 연구는 소리(청각), 만지기(촉각), 습기(후각), 열(촉각), 시각의 감각이 서로 전이되고 복합적으로 발현되면서 관객에게 찰나적인 공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결국 본 연구는 다양한 경로로 형성되는 감각과 감성 그리고 공감각적 경험을 작품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를 통한 삶의 재인식과 재발견을 함의하고 있다. 친숙한 일상의 모습이 감각과 공감각적 과정을 통해 작품으로 도출되었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rediscovering roles of senses in everyday life by reflecting those senses into the researcher``s art works. The everyday life seems meaningless routine, but the living has a sustaining energy in commonness. The researcher reflects in this study diverse senses and synesthesia found in diverse research related to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ains overlapping dynamics among five senses, synesthesia and emotional sensibility. The researcher analyzes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o visually express those abstract and ambiguous senses. Also, the researcher interprets meanings of everyday life and individual experiences of overlapping and crossing senses based on a theoretical approach. A major work of the research had occurred in everyday living places of participants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ose participants shared their experiences in their everyday life with the researcher through conversations. It shows diverse visual pieces by reviewing participants`` individual stories and their experiences. By adding narrative effects such as light, sounds, and smell, those pieces cause to arise nostalgia and memories. Through those effects, the participants have more rich experience of meeting between imagination and the reality. Even though people commonly consider noises as waste in their everyday life, the researcher``s pieces sublimate those wasteful noises in art through space establishment and music works.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vides audiences with momentary synesthetic experiences by combining auditory sense, olfactory sense, sense of touch and vision. Therefore, this research implies rediscovery and new light of meanings of everyday life by experiencing diverse senses and emotion in a spac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ransforming daily routine into art through a theoretical study.

      • KCI등재

        구내 하악골 상행지 수직골 절단술 후 하악골 우각부의 수평적 길이 변화

        박성연(Sung-Yeon Park),정영수(Young-Soo Jung),최영달(Young-Dal Choi),박형식(Hyung-Sik Par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2 No.5

        Purpose: In order to clarify the correlation of mandibular setback using bilateral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BIVRO) and post-surgical transverse mandibular width (TMW), this study examined the pre- and postsurgical changes in hard and soft tissues of TMW and the relationship of TMW and the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Patients and Methods: One-hundred sev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BIVRO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nges in hard and soft tissue after surgery in all 107 patients was performed with preoperative, 1 month, 3 month, 6 month and 1 year postoperative posteroanterio cephalograms and clinical photographs by tracing. And this changes were evaluated in parts to amounts of mandibular setback.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of TMW in hard and soft tissue from preoperative to postoperative 1 month were seen. TMW in hard tissue from 1 month to 1 year postopertive were gradually decreased. TMW in soft tissue was not changed uniformly but almost equal to pre-operative widt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MW and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mandibular setback using BIVRO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ncreasing of TMW in soft tissue.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기하학적 전통문양의 비교 고찰

        박성연(Park, Sung-Yeon),문희숙(Moon, Hee-So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1

        A Korean traditional pattern can be described as the cultural heritage that contains the identified emotions and history of our ancestors. They created beauty in life by decorating their surroundings with particular and distinct patterns. Now that the interests in culture has been the focus of a lot of research fields, and that is related to rediscovering the cultural identity of our past. One of the recent trends in the field is to apply these cultural aspects, such as historical patterns, into modern design in order to promote the Korean culture and the arts to the world. Therefore, creating designs that contain originality based on the traditional patterns can become the ompetitive advantage of the Korean design as a whole. For example, Japan has already been promoting their traditional patterns as various design products to the world. Similar to what Japan has been doing, Korea needs to emphasis on the traditional patterns in order to create synergy in modern designs by implementing the old into new. Indee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two countries is critical in developing a superb conceptual guideline for Korea’s path in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comparing and analyzing geometric patterns of Korea and Japa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by providing in depth intellectual means of patterns as cultural and traditional heritage. Furthermore, it will be a foundational work to spread distinct Korean designs to the world.

      • KCI우수등재

        형제간 및 또래간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 인구학적 변인

        김상희(Sang Hee Kim),박성연(Seong Yeon Park) 한국아동학회 1990 아동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mily-demographic variables (sibling status, maternal attitude and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sibling sociability and peer sociability. Mothers and teachers of 291 kindergarten children were sampled. Specifically, 206 children of two-child families were studied by sibling statu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ociability among siblings. Factor analysis, F-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Sibling sociability and peer sociability were affected by sibling status. Maternal attitude and sibling soci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important family-demographic variables for both sibling sociability and peer sociability were maternal affective attitudes and sex of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