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 교사,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성덕 ( Park Sung-deok ),장연주 ( Chang Youn-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부모-유아, 교사-유아, 또래-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가 패널자료인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662명의 만 5세 유아 및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응별 결측값 제외 방법을 활용하여 변인별로 1215명에서 1610명 유아의 측정치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전에 각 독립변인들 간 다중 공선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각 독립변인들의 다중공선성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또래-유아상호작용, 부모-유아상호작용의 순으로 유아의 언어발달의 총 변량의 14.1%을 설명하고 있었다. 유아의 인지발달은 또래-유아상호작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지발달 총 변량의 15.9%을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유아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아동패널 데이터를 통해 종단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그 시사적 영향력이 클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preschooler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their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6th-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tilized, which were the national panel data releas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62 five-year-old preschoolers,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 number of the preschoolers whos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1,125 to 1,610 depending on the variables, and paired missing values were excluded.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ossibility of multicollinearit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investigated before th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ppeared no multi collinearit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variable that exercised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was interaction with peers, followed by parent-preschooler interaction. The two variables had a 14.3% explainability of the entir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Their cognitive development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interaction with peers only, which had a 15.9% explainability of entire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성덕 ( Sung Deok Park ),서연실 ( Youn Sil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부부갈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에 조사된 총 1,706명의 어머니 설문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 부부갈등,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Hayes의 “PROCESS”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integrated the processes of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In this model,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or variable. Social support was select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moderated mediator variable, and fa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data from 1,706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yea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and four different scales were used, which respectively dealt with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marital conflict,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and to make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tiliz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To analyze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se’s SPSS “PROCESS” was put to use. As a result,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produced both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both discussed.

      • KCI등재

        게임기반학습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

        형성(Park, Hyung-Sung),박성덕(Park, Sung-Deok) 한국게임학회 201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을 활용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게임기반학습의 확산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교사들이 게임을 사용하는데 있어 교육과정과 관련된 학습주제와 내용을 지닌 게임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에 따른 게임 활용 수업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가 게임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관련기관에서 다양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재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educational use of a game as a supportive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The result will be used as a good index to spread the game-based learning in the future. We hav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e investigation. Firstly, teachers have some limitation to get the topics and contents for game-based learning curriculum. Secondly, they were frequently required to design and arrange their teaching process by the level of learner's ability in the game-based learning. Thirdly, public institution has to supply various information and guideline for teachers to use the game-based learning. Finally, they demand systematic approach and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encourage the game-based learning.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성덕(Park, Sung-Deok),김경철(Kim, Kyung-Chul),김은정(Kim, Eu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2년에서 2012년 사이 발표된 국내 관련 연구 35편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정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1.325로,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범주형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접근유형, 내용,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종속변인 유형에 따라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속형 조절변인인 학급의 크기 및 처치기간, 출판 연도에 따라 효과크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치기간과 출판연도에 따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은 큰 효과가 있었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러한 활동들이 더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 및 다양한 조절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geared toward improving the science ability of preschoolers. The meta-analysis was used and it was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The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2 and 2012 were analyzed, and 35 effect sizes were select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and activities geared toward improving sciences ability was 1.325, which indicated that they produced huge eff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any possible differences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ominal moderating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the program type, subject type and dependent variables. Finally, a meta-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ffect size to class size, year of publication and the period of program or activity that was continuous moderating variabl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size and the period of the program or year of pub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s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geared toward improving the sciences ability of preschoolers had great effects on the science ability of preschoolers,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and a wide variety of moderating variables should all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produce better effects in the sect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숲유치원이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성덕 ( Sung Deok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미치는 숲유치원의 효과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조절변인들의 관계와 효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 년에서 2014년 사이 발표된 국내 관련 연구 52편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정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 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숲유치원의 효과크기는 1.20로, Cohen 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범주형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속변수 유형, 숲유치원 유형, 활동방법, 계절, 대상연령, 지역유형에 따라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숲유치원은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숲유치원은 유아들에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숲유치원의 효과는 다양한 조절, 종속변인들에 따라 이질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이분법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다양한 숲유치원 관련 변인 및 교육 환경, 유아들의 특 성을 고려한 심도 있는 해석이 필요하며, 앞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forest kindergarten effect on young children in general by a way of meta analysis and, by extension, to examine a correlation with moderator variables. First, the researchers performed Test of Homogeneity for 52 domestic researches done between 2005 and 2014, then introduced Random Effect Model, to reveal the result of each of the effect sizes. Eventually, overall effect size of the forest kindergarten on young children was 1.20, proven to be at the large level in light of Cohen``s Interpretation Standard for effect size. After analyzing gaps of effect sizes with different categorical moderator variables, the study also present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oderator variable, forest kindergarten type, activity method, season, age and area type. To sum it up, activities with forest kindergarten on young children had a positive influence overall, judging from the fact that it had large effect sizes, but the influence can be divergent depending on features of various independent,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However,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result of study with a dichotomous view, in-depth analysis for the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with an additional study on it.

      • KCI등재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김경철(Kim Kyung-Chul),박성덕(Park Sung-Deok),김은정(Kim Eun-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치원 교육 현장에 r-learning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공립 및 사립유치원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들은 수업보조도구로서의 로봇활용에 대해선 긍정적 인식을 나타내었고, 유아들의 주의집중이나, 동기유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 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그러나 수업을 대신하는 로봇,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로봇의 외형적 특징으로는 특정성별을 띠지 않는 팻 형태의 로봇을 선호하였으며, 필수적인 특성으로는 안전성을, 로봇의 역할로는 교수-학습 매체나 교실 관리를 요구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o that r-learning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an intelligent robot and a teaching assistant robo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 teaching assistant robot, using a questionnaire for 280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Chungcheong province. The analysis said preschool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classroom teaching aids, for getting children's attention and for arousing children's motivation. However, it also said teacher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n using a robot for teaching children and for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eachers preferred a robot like a pet without any particular gender for a shape and chose safety for an essential quality. They asked a robot to be used as a role of teaching-learning media and as a role of classroom management in the field.

      • KCI등재

        유아를 대상으로 한 로봇기반교육(R-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김경철(Kim, Kyung-Chul),박성덕(Park, Sung-De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R-러닝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현장의 R-러닝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8년에서 2013년 사이 발표된 국내 관련 연구 18편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정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 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R-러닝의 효과크기는 0.693으로, Cohen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중상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범주형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분석한 결과 플랫폼유형, 활동유형, R-러닝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종속변인 유형, 연령에 따라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처치기간, 출판연도 등의 연속형 조절변인과 효과크기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출판연도에 따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를 대상으로 한 R-러닝은 평균 이상의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사회관계 능력 향상 등 다양한 변인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언어발달 등 몇몇 변인은 평균 이하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analyze the R-learning effect on targeting young children and based on this suggests an R-learning developmental plan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ased on this. The study estimates effect size by applying random-effect model following homogeneity test targeting 18 pieces of domestically relevant studies(published between 2008 and 2013). The effect size of R-learning targeting young children was found to 0.693. There was also foun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platform type, activity type, dependent variable type for measuring R-learning effect, and age. Finally,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learning of targeting young children was indicated to have effect in more than the average a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diverse variables such as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s social-relation ability. However, some variables such as language development showed a lower-than-average effect size.

      • KCI등재후보

        R-러닝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R-러닝 수용에 대한 인식 연구

        김경철(Kim Kyung-Chul),박성덕(Park Sung-Deok),정재엽(Jung Jae-Yeob)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교사보조로봇이 일반 유치원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R-러닝을 선도적으로 경험한 유아교사들이 일반적으로 R-러닝을 어떻게 인식하고, 구체적으로 콘텐츠나 플랫폼에 대해서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R-러닝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R-러닝을 경험한 현장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R-러닝을 경험한 유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사보조로봇을 활용에 대해서 긍정적인 수용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사보조로봇에 탑재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플랫폼(로봇)에 대한 수용성은 교수매체적합성, 상호작용성, 유아의 정서 발달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수용성을 나타내었지만, 유아의 언어발달, 신체발달, 사회성 발달에는 부정적인 수용성을 나타내었다. 사전연수의 유무에 따른 R-러닝 수용성에는 일부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사전연수가 현장교사들이 교사보조로봇을 유치원에 적용하고 활용하는데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하지만, 연수의 효과성 측면에서는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R-learning in advance before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into ordinary kindergartens accept R-learning in general and specifically how they receive contents or platform,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R-learning.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62 fiel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 learning and analyzed their acceptance of R-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learning were generally positive toward the utilizatio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However, they were generally negative toward contents embedded in teaching assistant robots. Their acceptance of platform (robot) was positive in terms of adequacy as a teaching medium, interactivit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but was negative in term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e acceptance of R-lear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preliminary training. This means that preliminary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field teachers’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in kindergarten.

      • KCI등재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경철(Kyung Chul Kim),박성덕(Sung Deok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연구동향과 전체적인 효과수준을 파악하고, 그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독립, 종속, 조절변인들의 효과크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등을 총체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4년에서 2013년 사이 발표된 국내 관련 연구 161편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정 후 랜덤효과모형을 적용 하여 효과크기를 산 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의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0.81으로, Cohen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은 독립변인인 전자미디어 유형, 종속변인인 발달 영역, 활동영역, 조절변인인 연령, 운영방법, 지역유형, 기관유형, 활동 기간 등 다양 한 범주형 및 연속형 변인의 특성에 따라 유아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종합하면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교육활동은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다양한 독립, 조절, 종속 변인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유아 전자미디어 프로그램 및 활동을 개발하려는 유아교육 현장의 노력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이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결론 내릴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early find out current trends in researches of preschool activities with electronic media, gauging an overall level of their educational effect by way of meta-analysis. In this study, to conduct meta-analysis for effect of preschool activities with electronic media, 161 theses are finally classified into research materials among domestic master`s & doctoral dissertations, journal papers, and unpublished national reports written recently from 1994 to 2013. As a result of research, the effect size of preschool activities with electronic media appears 0.81, regarded as large by Cohen`s interpretation.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 size according to categorical moderating variable,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features of various categorical and continuous variables such as dependent variables(type of electronic media), independent variables(developmental and activity area), and moderator variables (age, way of management, area type, type of an institute, activity period). To sum it up, preschool activities with electronic media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 but the influence can be divergent depending on features of various independent,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Therefore, it can be seen as a conclusion in this study that in a preschool education field,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preschool programs and activities with electronic media properly attuned to the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and furthermore to support it,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required on a national level.

      • KCI등재

        남자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에서 Haloperidol과 Nimodipine의 병합사용이 혈장 HVA와 5-HIAA에 미치는 영향

        김형섭,최애경,지성학,김수동,박성덕,김광현,Kim, Hyeong-Seob,Choi, Ai-Kyung,Jee, Sung-Hak,Kim, Soo-Dong,Park, Sung-Deok,Kim, Kwang-Hye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1

        본 연구는 난치성 만성 정신분열병 남자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 올 2주간 일정량으로 유지한후 중추신경계에 비교적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칼슘차단제인 nimodipine을 5주간 병합투여하였고 BPRS, Simpson-Angus Scale Averse events-Somatic Symptoms 등을 이용하여 nimodipine투여전, 투여후 1주, 3주, 5주에 임상반응을 평가하고 혈장 HVA, 5-HIAA농도를 투여전과 투여후 1주, 3주, 5주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modipine과 haloperidol의 병합투여시 전체 BPRS점수 및 사고소검사점수, 편집성소검사점수는 용량에 관계없이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특히 nimodipine 90mg을 병용투여하는 군의 경우 nimodipine투여전과 비교하여 3, 5주째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p<0.05). 2) Nimodipine과 haloperidol의 병합투여에 따른 부작용등은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나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임상적으로 관찰된 소견상 추체외로증상, 안구동통, 정서적 불안정, 심혈관계 부작용 등의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3) Nimodipine의 투여량 및 기간에 따른 혈장 HVA와 5-HIAA의 농도변화는 없었다. 4) BPRS점수가 20% 이상 감소하는 경우를 호전된 것으로 간주했을때 호전군과 비호전군간의 혈장 HVA 및 5-HIAA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각 군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 보아 nimodipine이 혈장 HVA와 5-HIAA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임상적인 호전은 나타내는 바 난치성 정신분열병환자, 노인환자나 항정신병 약물에 대해 부작용이 심한 정신분열병환자에서 nimodipine 병합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an open labeled study, two fixed doses of nimodipine(45mg and 90mg daily) were added to the usual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Haloperidol : mean dose=25mg/day) in 20 male chronic schizophrenics for 5 week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and the effect an the changes of plasma homovanillic acid(HVA)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lev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BPRS score and thought cluster, paranoid cluster subscores showed linear decreasing trend over the course of the study(P<0.05). Especially the thought cluster and paranoid cluster subscor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5mg and 90mg dose of nimodipine(P<0.05). The improvement rates were 45,45% of 90mg and 11.11% of 45m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5mg and 90mg dose of nimodipine. 2) The scores of extrapyramidal symptoms and adverse events-somatic symptoms showed a linear decreasing trends over the course of study. 3) The changes in the mean plasma HVA and 5-H1AA concentrations by the dosages and durations of combining of nimodipi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lasma HVA and 5-HIAA of the improved, non-improved goroup. Nimodipine has a possibility os on adjunctive agent for treatment resistant schizophrenics, elderly patients and liable patients for the Side effects to usual antipsychotic drugs. So we suggest that the dosage of nimodipine must be above 90mg/day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