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상 체중 성인에서 체지방률과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관련성
박민형,이근미,정승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 No.1
Background: Obesity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 examined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y percent body fat difference in adult with normal weight adults. Methods: We analysed 353 subjects whose body mass index (BMI) were between 18.5 and 23 kg/m2. They were examined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from Jan. to Dec. 2009. Age, gender, height,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WC),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fasting blood sugar (FBS), hemoglobin A1C, lipid profiles, fat free mass, lean body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BF) were check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F by 25% in men, 30% in women and analysed about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sults: The average age was 47.30±10.83 years old, and BMI was 21.75±1.32 kg/m2, %BF was 22.92±5.53%in men, 26.67±6.32% in women. High %BF group showed increased BMI, WC, SBP, DBP, serum FB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body fat mass decrease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t free mass and lean body mass. High %BF group showed increased frequency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Diabetes was increased in high %BF group of women. The result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ge adjusted, metabolic syndrome,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was related with %BF in men, metabolic syndrome,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was related with %BF in women. Conclusions: High %BF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like hypertension,dyslipidemia in both men and women with normal weight. But, high %BF was associated with diabetes in only women in this study. 연구배경: 비만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상 체중 성인에서도 대사증후군이나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사람들이 있다. 따라서 정상 체중 성인에서 체지방률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수진자 중 체질량지수가 18.5 kg/m2 이상23 kg/m2 미만인 성인 353명(남성 176명, 여성 177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신체계측, 혈압, 공복혈당, 당화혈색소,혈청지질대사치, 과거병력 설문조사, 체성분(생체전기저항분석법)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의 경우 체지방률 25%,여성의 경우 체지방률 30%를 기준으로 낮은 군과 높은 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특성과 대사증후군 인자와 심혈관계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 체지방률이 높은 군에서 체질량지수,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체지방량이 높았고, 고밀도 콜레스테롤, 제지방량, 근육량은 낮았다. 당화혈색소는남성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녀 모두 체지방률이 높은 군에서 대사증후군과 그 구성인자의 빈도가높았으며, 심혈관계 위험인자 중 고혈압, 고지혈증의 빈도가 높았다. 당뇨병은 여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 분석 결과 남녀모두에서 체지방률이 높은 군에서 대사증후군, 고혈압, 고지혈증이 높은 교차비를 보였다. 당뇨병의 경우, 여성에서만 높은 교차비를 보였다. 결론: 정상 체중 성인에서 체지방률이 높으면 남녀 모두대사증후군 및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여성의 경우에는 당뇨병의 위험도도 증가하였다.
박민형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2
The national power is based on the economic power, and it has a huge impact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security. The history clearly show that a state which declined economically could not maintain its international status in terms of security. Therefore, it is apparently true that economy and security are inextricably linked, and economic growth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on the robust national security. It means national security and economy is not independent, but strongly relevant to each other. This is a fundamental principle which could be applied in the cold-war and post cold-war perio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ment of Korean military power might be a promotion of self-reliant defense policy. In other words, the real history of Korean military development is strongly related to that of eradicating pover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corelations between national defense and economy with cases especially Park Chung-hee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 It proves that economic power plays a critical role to establish self-reliant defense policy in two governments by focusing on the history. 경제력은 국력의 기본 바탕이며 경제 발전은 국가의 굳건한 안보 확립에도 지한향을준다. 경제가쇠락한국가가군사안보적으로패권을유지하는 경우가없다는역사적사실이이를증명해주고있다. 따라서경제와국가안보 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경제적 성장이 굳건한 안보를 가져 오는 핵심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국가안보와 경제는 각각의 독립적 분 야가 아니라 그 연계성이 매우 강한 분야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탈냉전시는물론냉전시에도작용했던기본적인원칙이라할수있다. 한국 국방력 발전의 시발점은 자주국방의 기치를 내걸면서라고 해도 과언 이아닐것이다. 즉, 한국국방의역사는빈곤을퇴치하기시작하는한국의경 제력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방사에 있어서 자주국방의 사례를 통해 국방과 경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경제적 뒷받침 이 없으면 달성하기 어려운 자주국방에 한 한국군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분 석함으로써 경제적 능력이 국방정책 수립에 있어 핵심적으로 작용하음을 입증할것이다.
박민형,박상혁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7
In 2019, the mood of peace in Korean peninsula is very practical and stable. ROK and DPRK have summit in Panmunjeom, USA and DPRK have summit meeting in Singapore and Hanoi. They discuss how to do for denuclearization in korean peninsula. These efforts are making peaceful image to people who lives in korea, DPRK's nuclear bomb and ballistic missile crisis will be fade away. But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would need more time than any other denuclearization cases. This study argue that ROK government have to make appropriate strategy concept and capability about solving crisis by politics or military means. Crisis management progress needs three procedure means conflict-dispute-crisis. In order to prove these procedure, our study discuss about Cuban Missile Crisis. Though the security environment in korean peninsula isn’t appropriate to discuss about military crisis, We have to make strategy concept and capability for countermeasure by culmination from DPRK or other countries. For these study, we studied crisis management and concept of crisis, other argument from various kind of experts. And We discuss about three theories what argued by Graham Allison about decision making procedure in Cuban Missile Crisis. And finally, We studied about the 30years nuclear crisis between ROK and DPRK. These process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why ROK decision makers have to make crisis managing strategy and rise there capabilities. 2019년 현재 한반도에 불고 있는 평화분위기는 현실성 높고 안정적으로 보인다. 미국과 북한간의 1, 2차 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고, 18년 4월 남북 정상 간의 지속적인 만남과 이어서 취해진 군사적 신뢰조치 등은 이러한 시류를 더욱 뒷받침 하고 있다. 그러나 협상과 중재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국면은 과거의 사례를 고려 시 군사적 카드를 손쉽게 꺼낼 수 있는 분위기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갈등적 국면의 도래는 필연적일 수 있음을 가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위기국면을 슬기롭고 안정적으로 극복하는 것은 곧 한국의 국익수호와 향후 협상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위기라는 것은 갈등-분쟁-위기의 단계적인 상황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는 20세기 냉전 갈등의 최고조에 이르렀던 쿠바 미사일위기 당시 케네디 대통령과 국방장관인 맥나마라가 주도하며 이루어졌던 위기관리 정책결정 단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연구와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현재의 안보상황만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는 다소 공격적일 수 있다. 그러나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고 했던 로마의 베게티우스가 남긴 격언처럼 위기는 항시 대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위기의 개념과 발생단계, 위기관리 의사결정모델 등을 우선 살펴본 후, 쿠바 미사일 사태의 배경을 분석하고 이어서 사태의 전개과정에서 미국의 위기관리 절차를 살펴본다. 이 후, 미국의 정책결정적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 쿠바미사일 사태 과정에서 미국이 보여준 행동을 통해 이것이 국가수준에서의 한반도 위기관리 체계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핵보유 이후 국방정책 변화: 인도와 파키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형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9 국방연구 Vol.62 No.3
핵의 보유는 한 국가의 행동양식을 변화시키는데 결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따라서 국가들의 행동양식은 핵 보유 이전과 핵 보유 이후로 분명히 구분하여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이는 핵이 가지고 있는 정치, 안보(군사), 경제적 효과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특히, 핵이 가장 결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국방정책은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핵 보유 이후 국가들의 행동방식 변화 중 국방정책 변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즉, 핵무기 보유 이전과 이후 국방정책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현재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반도의 군사안보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가 추구하는 핵심 연구 목적이다. 연구 결과 지역 핵 보유국들은 평화적인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해서 최초 원자력 능력 보유를 추진하였지만 외부 군사적 위협이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핵 무장을 추진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지역 핵 보유국가들의 핵 정책 기조의 경우 핵을 가진 국가라 할지라도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국가와의 재래식 전력 차이로 인해 핵 정책 기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 핵 보유국들은 군사력 건설 측면에서 공통점도 가지고 있는데 상대적 강대국의 경우 자신들의 제2격 능력 확보를 위해서, 상대적 재래식 전력 약소국의 경우 선제적 핵 공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발수단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Retention of nuclear weapons is a decisive factor in changing the behavior of a country. Therefore, states' behavior pattern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before nuclear stockpiles and after nuclear stockpiles. This means that the nuclear weapons have a great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effects. In particular, defense policy is one that has the most decisive impact on nuclear weapon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of defense policy during the change of behavior of countries after nuclear weapons.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defense policy before and after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to derive the military security implic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urrently working on resolving the nuclear issu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nuclear powers have pursued the first nuclear power capability to develop peaceful energy sources, but as the external military threat increased, it changed to the nuclear weapons. In the case of the nuclear policy of regional nuclear states, even they have different nuclear policy bases due to the difference of conventional power with the military counterpart. In addition, regional nuclear powers have commonalities in terms of military build-up. In the case of relatively a strong power, in order to secure their second-strike capability, it has increased it's missile powers. Whereas a relatively small power has tried to have strong missile power to secure its first attack capability.
박민형,김강윤 세종연구소 2018 국가전략 Vol.24 No.2
The debate 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ems to be progressing rapidly and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it seems higher than ever. However, even if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re resolved, North Korea's large-scale conventional military power will be South Korea's most serious security threat. Therefore, Korea needs to prepare for North Korean conventional power until the day when peaceful reunification takes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Korea is currently building an effective strategy to achieve military superiority in North Korea. ROK forces are trying to develop advanced weapons systems and asymmetric strategies to counteract the numerical advantage of North Korean conventional forces.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North Korea's "low-cost and low-tech" system has led to South Korea's "high cost" preparations, which have not show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reat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ilitary strategy for the future by advocating the necessity of Exhaustion Strategy that can induce the "high cost" preparation of the North Korean forces by utilizing the "low cost and high technology" ability of Korea. 현재 한반도는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기를 지나고 있는 듯하다. 북한의 비핵화 논의가 급진전 되고 그 해결 가능성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 보인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이 해결된다고 해도 북한의 대규모 재래식 군사력은 상당기간 한국의 가장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평화통일이 이루어지는 그날까지 북한의 재래식 전력에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은 현재 대북군사력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과연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군은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의 수적우세를 상쇄하기 위해 첨단 무기체계와 비대칭 전략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 상황은 북한의 “저비용·저기술” 체계가 한국의 “고비용” 대비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대비 위협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저비용·고기술” 능력을 활용하여 북한군의 “고비용” 대비를 유도할 수 있는 군사전략의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미래 대북군사전략의 개념의 확대를 주장한다.
불량 웨이퍼 탐지를 위한 함수형 부정 탐지 지지 벡터기계
박민형,신승준,Park, Minhyoung,Shin, Seung Jun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5
빈번하지는 않지만 한번 발생하면 상대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오는 사례를 통칭하여 부정 사례(Fraud)라고 부르며, 부정 탐지의 문제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부정 사례는 정상 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측치가 매우 적고 오분류의 비용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이항분류 기법을 바로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부정 탐지 지지 벡터기계(FDSVM)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변량이 함수형일 때 활용 가능한 함수형 부정 탐지 지지 벡터기계(F<sup>2</sup>DSVM)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함수형 공변량을 가진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목표하는 부정 탐지의 성능을 만족시키는 제약하에서 최적의 예측력을 가지는 분류기를 학습시킬 수 있다. 뿐만아니라, 통상적인 SVM과 마찬가지로, F<sup>2</sup>DSVM도 자취해의 조각별 선형성을 보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취해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고 분류기의 학습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도체 웨이퍼 불량 탐지 문제에 제안된 F<sup>2</sup>DSVM을 적용해 보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