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의 강인 지연의존 안정성 판별법

        박명진,권오민,박주현,Park, Myeongjin,Kwon, Ohmin,Park, Ju H.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09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4 No.2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stability analysis for networked control systems with norm-bounded parameter uncertainties is investigated. By construction Lyapunov's functional, a new delay-dependent stability criterion for uncertain networked control system is established in terms of LMIs (linear matrix inequalities) which can be easily by various convex optimization algorithms. One numerical example is includ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criterion.

      • KCI등재

        TV 드라마 <초인가족>에 나타난 웃음 전략과 희망 서사의 아이러니

        박명진(Park, Myeo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TV 드라마 <초인가족>은 30분 분량의 에피소드를 2회씩 방영한 시트콤 장르에 속한다. 이 드라마는 시트콤이라는 장르 명칭 대신에 ‘초감성 미니-드라마’라고 내세웠지만 특성상 시트콤 장르의 범주에 속한다. <초인가족>은 기존의 시트콤과 차별성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이 드라마가 극중 TV 뉴스 장면을 통해 매회 에피소드의 주제 및 소재를 제시하면서 그에 따른 좌충우돌 이야기를 통해 당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풍자하고 있다는 것이다. <초인가족>이 시트콤 장르로서 전경화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첫째는 나천일 가족들이 극중 카메라(또는 시청자)를 바라보며 말을 거는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은 브레히트의 서사극 전략과 유사해 보이지만 그 결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만든다. 왜냐하면 <초인가족>에서 나천일 가족이 카메라를 보고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극중 현실이나 극중 인물들과 시청자 사이에 거리를 형성하기보다는 오히려 공감(共感) 형성과 친밀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나천일과 맹라연의 자기반영적 장치이다. 극중에서 TV를 통해 나천일과 맹라연 역을 맡은 배우 박혁권과 박선영이 출연했던 기존 사극을 등장시키거나 가공의 아침 드라마 또는 뉴스 인터뷰 등에 이들이 등장하면서 자기반영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초인가족>은 나천일 가족과 그의 직장 동료, 동네 주민 등의 애환을 코믹하게 다루고 있지만 이들이 감당해야 하는 극중 현실은 잔인할 정도로 참혹하다. 나천일은 직장을 그만 둔 후 최문석 과장과 치킨집을 개업하지만 파리만 날리는 신세가 된다. 그의 동생 나백일은 취업문을 두드리다가 포기하고 귀향한다. 옆집 남자는 잘 나가는 직장인이었다가 정리 해고되는 바람에 아내 대신 집안일을 도맡게 된다. 맹라연과 나익희가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과 미래상도 그리 호의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이 드라마는 가족의 응원으로 나천일이 곤경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고 이야기하지만 이 표면적인 서사 밑에는 이들이 결코 ‘중간’ 또는 소시민으로 버텨내기 힘들다는 비관적인 미래상도 배경화면으로 남겨두고 있다. The TV drama <The Super Family>, which was broadcast as two 30-minute episodes, has been typically categorized in the genre of sitcoms. However, despite this categorization, the drama has been touted as an “ultra-emotional mini-drama.” <The Super Family> depicts a distinction from traditional sitcoms, wherein the drama satirizes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society by presenting various relevant themes in each episode through its TV news scene. Primarily, two factors place <The Super Family> in the sitcom genre. The first is the strategy of having families of Na Chun-il address the camera (or the viewers) directly. This is similar to Brecht’s epic strategy, but the results have the opposite effect because in <The Super Family>, Na Chun-il’s family tries to talk to the camera instead of creating a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reality of the play. The second is the self-reflective device of Na Chun-il and Maeng Ra-yeon. In the TV drama, actors Park Hyuk-kwon and Park Sun-young, who play Na Chun-il and Maeng Ra-yeon, respectively, appear in historical or fictitious morning dramas, or news interviews, exhibiting their self-reflective characteristics. While <The Super Family> comically deals with the plight of Na Chun-il’s family, his co-workers, and residents in the neighborhood, the reality faced by them is brutal. After quitting his job, Na Chun-il opens a chicken restaurant with Choi Moon-seok. Na Baek-il, his younger brother, gives up on his job search and returns home. Their neighbor, a formerly successful office worker who was fired, takes charge of all the household chores instead of his wife. The reality and future that await Maeng Ra-yeon and Na Ik-hee are not favorable either. Therefore, the drama suggests that while Na Chun-il may b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his family’s support, under the ostensible narrative, there exists a pessimistic vision of the future that they will be unable to survive as “the middle class” or “petty bourgeois.”

      • KCI등재
      • KCI등재

        국민문학 시대, 오영진 작품의 민족주의적 정체성

        박명진(Park Myeongjin),민선희(Min Sunhee)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이 글은 오영진의 해방전 시나리오 <맹진사댁 경사>, <배뱅이굿>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내제된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오영진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부터 오영진과 전통에 대한 논의는 매우 긴밀한 연관을 맺어 왔다. 이는 그를 민족주의적 작가로 정의하고 그 정체성을 전통계승과 재창조의 측면으로 한정해 왔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친일담론에 대한 선입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00년 이후의 논의들은 전통에 대한 담론과 일본의 제국주의적 정책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단선적이었던 이전의 민족주의적 논의들을 보다 예리하게 확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논의들도 두 작품에 내제된 근대적 징후들을 여전히 간과했다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은 무엇보다도 기독교 민족주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그의 민족주의적 자질에 부가해 왔던 전기적인 사실이나 성장과정, 그리고 장르, 그의 관심과 열정의 대상은 모두 서구의 근대적 관념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모더니티의 산물들이다. 무엇보다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한 부르주아 상인들의 청교도적 의식이 강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성과 진보, 자유와 전근대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내포한다. 따라서 일제말 즉 국민문학 시대 일본이 추구했던 동양적 세계와 서구의 근대적 세계의 대립 구도 속에서 그의 작품의 심층적 주제 의식은 후자를 지향하고 있다. 전자의 세계에 대한 부분적인 동의가 최재서의 신지방주의에 의해 표명되는데, 두 작품이 보여 주고 있는 반전통적이며, 기독교적 의식의 징후들은 조선의 로컬리티를 내세운 동양적 전통 혹은 보존 · 계승적 전통과 밀접한 최재서의 방법론과 결을 달리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식민지 시대 근대성에 대한 논의는 근대화에 대한 조선의 주체적인 측면이 식민지 근대화에 대한 거부감에 의해 축소되고, 동시에 친일담론과의 예민한 논쟁성에 빠질지 모르는 위험성에 대한 무의식적 회피로 인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 지지 못했다. 오영진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에 대한 단선적 논의들의 한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전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오영진의 작품에 대한 전통과 민족주의적 논의들의 궁극적 목적은 이것의 해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 또한 그와 동일하다. 다만 오영진의 해방전 작품 속에서 전통은 그 자체로 하나의 목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적 전통을 위한 기표로서 작용하고, 기독교와 근대적 의식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시대적 이상과 관념을 반일적인 맥락속에서 제시했다는 데서, 그의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본질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Oh Young Jin’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in the scenarios in 〈Bebengie Mourning〉, 〈Festivity of the Maeng family〉. It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early investigations of Oh Young Jin and previous discussions about tradition. This connection has resulted in Oh Young Jin being regarded as a nationalist author,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writer is limited to traditional inheritance and recreation. This appears to be affected by the prejudice of his pro-Japanese discourse as well. Some of the discussions about the writer after 2000 have been expanded to other interpretations; however, those discussions also suffered from a limitation due to the underestimation of the modernism symbolism in his works. Oh Young Jin’s nationalism is based on Christian-Nationalism Philosophy. His biography, life, the genre of his works, his concerns, and his passions are the consequences of the modernity that was based on modern western ideologies. In addition, Western modern ideas" had greatly influenced his works. More than anything,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from the puritan concept of bourgeois merchants who lived in northwest Korea. This influence includes rationality, progression, liberty, and a critical attitude against pre modernism. Consequently, the thematic consciousness was directed to western modernity, which was the opposite of the Eastern ideologies of Japan. Choe Jae Seo appropriated the aim of Japan. Therefore,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uthors. The scarcity of discussions on modernity in the colonial era was caused by the diminution of the independence of Cho-sun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the evasion of pro-Japanese discourse. The limited discussions on Oh Young Jin’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can be explained with the same reason. However, tradition should not remain fixed, it should be newly recreated. As such, the ultimate goal, including that of the study, for discussing about Oh Young Jin’s tradition and nationalism is, at all times, to focus on their clarification. However, his tradition(based on his works before independence from Japan) is not studied as an isolated specimen. Instead, this tradition serves as a signifier for a new creative tradition. Furthermore, I study the new era ideal and idea based on Christian and modern consciousness, in an anti-Japan context. Finall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we consider the essence of his nationalistic identification from this study.

      • 다개체 시스템에서의 중심성 기반 접근법

        박명진(MyeongJin Park)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의 세계 Vol.70 No.9

        최근 다수의 개체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인 다개체 시스템에 관한 분석과 효율적인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사회과학 분야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관점에서 기존 접근의 한계점과 그 보완방안에 대하여 소개한다. Recently, interest in analysis and efficient approaches to multi-agent systems, which are networks composed of multiple entities, is increas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pproaches and their complementary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 소재 드라마의 섹슈얼리티와 대중 서사 전략 : 텔레비전 드라마 <절대 그이>를 중심으로

        박명진(Park, Myeo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TV 드라마 <절대 그이>는 일본의 원작 만화 《絶對彼氏》, 이를 드라마로 각색한 일본의 <絶対彼 氏-完全無欠の恋人ロボット->, 대만 FTV에서 방영한 <絶對達令> 등을 리메이크, 참조, 모방, 변형한 작품이다. 원작 만화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애인 만들기에 실패한 여주인공에게 ‘연인용로봇’이 제공됨으로써 인간과 기계 사이에 사랑이 생긴다는 것이다. 원작 만화는 여주인공과 인공지능 로봇의 성적 결합을 성사시킴으로써 인간과 기계 사이에성적 교류가 가능할 수 있다고 말한다. 원작 만화에서 로봇은 sex robot(sexbot)으로서 여주인공의 성적 갈증을 풀어 준다. 그러나 만화를 리메크한 3편의 TV 드라마에서는 여주인공과 로봇사이의 성적 결합이 나타나지 않는다. <절대 그이>는 원작 만화의 sex robot을 청춘 로맨스 드라마의 romantic guy로 변환시킨다. 이는 만화책의 독서 상황과 TV 드라마의 시청 상황의 차이에서생긴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절대 그이>는 원작 만화와 일본, 대만의 드라마들을 참조하되 2019년의 한국적 맥락에 맞게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전의 3 작품들은 로봇이 기능 정지됨으로써 여주인공과 헤어지게되고 이후 여주인공이 남자 친구를 사귄다는 줄거리를 보여주는데 반해, <절대 그이>는 로봇이멜트다운(meltdown)되어 로봇 회사의 본부로 회수되기를 기다리는 제로나인에게 엄다다가 작별키스를 함으로써 재가동되어 엄다다 앞에 다시 나타난다는 줄거리로 바꾸었다. 또한 <절대 그이> 는 재벌 상속녀 다이애나라는 캐릭터를 새롭게 추가했는데, 다이애나는 로봇팔을 장착한 이로서집안의 하녀들과 구입한 인공지능 로봇에게 학대를 가하는 악녀형 캐릭터이다. 사이보그인 다이애나는 인간과 로봇 모두를 경멸함으로써 인간과 기계의 공존 가능성을 가로막는다. 또한 <절대그이>는 인공지능 로봇이 자신과 키스를 하는 사람에 따라 캐릭터도 바뀐다는 설정을 함으로써인간과 기술의 상호 관계에 대한 기존의 과학적 상식에 기대고 있다. 인공물이 인간과 흡사할수록 그 인공물에 대해 기괴함과 공포심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uncanny valley라 부른다. <절대 그이>는 로봇을 소재로 하는 SF 영상문화에서 자주 보여주는로봇의 기계 부품들을 장면화하지 않는다. 또한 내러티브 속에서 제로나인이 인공지능 로봇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등장인물들도 경악하거나 혐오감을 갖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대 그이>에서인공지능 로봇은 기계 장치로 묘사되지 않고 지고지순한 젊은이로 그려지고 있다. <절대 그이>는이 드라마의 PD가 밝혔듯이 ‘진정한 사랑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런 만큼인간과 기계의 공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감정이나 정체성 문제에 주목하지 않고절대적인 사랑을 내세우게 된다. The Korean TV drama “My Absolute Boyfriend” is a remake, reference, imi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Japanese manga, “絶對彼氏,” adapted into the Japanese drama, “絶対彼氏-完全無欠の恋人ロボット-” and the Taiwanese drama “絶對達令” that aired on FTV. The basic idea of the original manga is that love is created between humans and machines by providing a “lover robot” to the heroine who fails to make a lover. The original manga shows that sexual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s possible by sexually combining the heroine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the original manga, the robot is a sex robot, which relieves the heroine’s sexual desires. However, in the three adapted television dramas, there is no sexual bond between the heroine and the robot. “My Absolute Boyfriend” transforms the original manga’s sex robot into a romantic guy of melodrama.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conditions associated with reading comic books and watching TV dramas. “My Absolute Boyfriend” refers to the original manga and dramas from Japan and Taiwan but adds new content to the Korean context of 2019. While the previous three texts show that the robot was suspended, it broke up with the heroine, and, later, the heroine got a boyfriend, “My Absolute Boyfriend” changed the story to Zero Nine, who waited for the robot to melt down and be recalled to the robot company’s headquarters to be restarted and reappear. In addition, “My Absolute Boyfriend” added a new character, Diana, an heiress in a large monopolistic family. Equipped with robotic arms, Diana is a malicious cyborg who abuses domestic maids and purchase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Diana interferes with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robots by despising both. In addition, “My Absolute Boyfriend” relies on existing scientific common sense concerning human-technology interrelationships by establishing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lso change characters depending on who kisses them. The more an artifact resembles a human being, the more bizarre and frightening it is, a situation referred to as “uncanny valley.” “My Absolute Boyfriend” does not show the robot’s mechanical parts, which is common in SF culture based on robots. Moreover, characters who find out that Zero Nine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the course of the narrative are not shocked or disgusted. As a resul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re not portrayed as mechanical devices in “My Absolute Boyfriend” but as young romantic guys. As the drama’s producer revealed, “My Absolute Boyfriend” focuses on “What is the true meaning of love?” As such, absolute love is put forward without attention to various emotions or identity problems that can arise in the symbiosis of humans and machines. “My Absolute Boyfriend” is a drama with post humanist elements. However, the drama focuses on humanistic love, rather than on the subject of posthumanism.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행태 분석

        박명진(Park, Myeongjin),주서령(Ju, Seo Ryeung)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1 No.2

        As part of a series studying high-rise apartments in Jakart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eople live in these apartments and how their design reflects the housing behavior of residents, thereby revealing how the behavior of Indonesian has been transformed along with their society and environmental contexts. A field survey conducted in January 2019 includes the measurement of 10 apartment and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Most of the residents explained that they had moved into apartments as a consequence of traffic congestion on the way to work. A large proportion of them felt that, although apartments were smaller than landed house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of the public facilities provided by apartments. Among the diverse housing activities undertaken by residents, washing entailed the greatest discrepancy between behavior and spatial setting. Spaces for washing machines were not provided in four units, the residents of which had to use external laundry services. Based on a precedent study, Indonesian prefer natural drying under sunlight. However, in many cases, yards or utility spaces open to the outside air were either not provided or too small. It is ideal for activities to be elaborately reflected in housing design. However, in high-rise apartment plans in Jakarta,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housing design and behavior. To be accepted as popular housing typologies, high-rise apartment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address tropical climatic conditions and to adhere to housing behavior in Indonesia.

      • KCI등재

        이현화의 <협종망치>에 나타난 애도와 그 의미

        박종수(Pak, Jongsu),박명진(Park, Myeo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논문은 이현화의 희곡 <협종망치>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나는 애도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이 작품이 지닌 개별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논문이 주목하고자 하는 애도는 <협종망치>에 주목한 소수의연구 안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점이 되고 있음에도, 그것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렇기에 이 작품에 나타나는 애도를 분석하는 것은기존의 논의가 주목하지 못하였던 작품의 개별성을 새롭게 살펴보는 작업이 될 것이다. 1986년 ‘부천서 성고문 사건’을 바탕으로 창작된 이 작품에서 애도의 대상은 국가에 의한 고문에 의해 가족, 그리고 생명까지도 상실하게 된 권선희로 나타나고 있다. 권선희는 자궁암으로얼마 남지 않은 삶을 희생해서라도 자신을 고문한 문근형을 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복수는 암울한 과거를 현재진행형이 아니게 하고, 신세기를 살아갈 사람들의 기억 속으로 이동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애도를 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애도를 실행하는 이, 문근형의 내연녀인강나리는 오히려 권선희가 요구하는 애도를 거부하고 그녀와 함께 평범한 삶을 살아가자고 설득한다. 이때 강나리가 수행하고자 하는 애도는 상실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상실한 대상과의 관계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고자 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강나리를 통해 드러나는 애도의 태도는 권선희의 관계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고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강나리는 애도의 대상인 권선희의 삶에대하여 무지한 것으로 그려지지만, 권선희에게 이루어진 고문을 역할놀이를 통해 체험함으로써상실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 과정에서 강나리가 문근형과의 관계를 타인에게 공개해서는 안 된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협종망치>에서애도가 권선희뿐만 아니라 강나리의 삶 역시 상실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협종망치>는 과거를 어떻게 애도할 것인가에 대한 재성찰을 요구한다. 강나리가 보여주는 것과 같이 애도는 과거를 극복하거나 잊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살아가면서 현재의 삶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독자와 관객에게 타인의 상실에 대한가해자임을 잊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동시에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urning in Lee Hyun-hwa’s play <Hyubjong Mangchi>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 So far,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Especially, the mourning that this paper intends to pay attention to is an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the work in a few studies that focused on <Hyubjongmangchi>, but there is no analysis on how it is done. Therefore, analyzing the condolences that appear in this work will be a new look at the individuality of the works that previous discussions did not pay attention to. In this work, which was created based on the “Bucheon Police Station Sexual Torture Case” the object of mourning appears to be Kwon Sun-hee, who lost her life, family, and even her life by national violence and torture. Kwon Sun-hee is trying to kill Moon Geun-hyung, who tortured him at the expense of his life with uterine cancer. This revenge calls for condolences in that it is intended to move the grim past away from the present and into the memory of those who will live through the new year’s However, Kang Na-ri, Moon Geun-hyung’s lover, refuses the mourning demanded by Kwon Sun-hee and persuades her to live a normal life together. At this time, Kang Na-ri’s condolences are not about overcoming the loss, but about continuing her relationship with the lost object without giving up. The attitude of mourning revealed through Kang Na-ri in <Hyubjongmangchi>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life in that it changes itself through the relationship of Kwon Sun-hee. In this work, Kang Na-ri is portrayed as ignorant of the life of Kwon Sun-hee, the object of mourning, but he is reborn as a person who realizes what he lost by experiencing the torture made by Kwon Sun-hee through ‘role pla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fact that Kang Na-ri was unable to avoid the torture of Kwon Sun-hee was due to the fear that it should not be revealed to others.This process is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loss of Kwon Sun-hee, and also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at the life of Kang Na-ri can also be the object of loss. In this way, <Hyubjongmangchi> shows the concern about how to mourn the past which became the object of mourning. The mourning in <Hyubjong Mangch> aims not to overcome or forget the past but rather to change the present by living with it.In this regard, <Hyubjongmangchi> calls for readers and audiences to ren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ast by recalling the problem of national violence in the 1980s on stage, and through this, it makes the audience and readers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