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liability of Suprahyoid and Infrahyoid Electromyographic Measurements during Swallowing in Healthy Subjects

        박명우,이동헌,서한길,Tai Ryoon Han,이정찬,김희찬,오병모 대한연하장애학회 2021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11 No.2

        Objective: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suprahyoid and infrahyoid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 during swallowing. Methods:In all, 10 healthy volunteers were evaluated for the following surface EMG (sEMG) parameters in the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s during swallowing: onset latency, offset latency, duration, peak latency, maximal amplitude during swallowing, and the area under curve (AUC) of the rectified EMG signal. The sEMG was recorded while the participants swallowed five times each of the four fluid volumes (saliva, 2 ml, 5 ml, and 20 ml of water), totaling to 20 swallows. Moreover, the intra-participant variability per parameter was evaluat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Results:Suprahyoid muscles were activated 0.095 s (95% CI, 0.062-0.128) earlier than the infrahyoid muscles. Maximal amplitudes during the 20 ml swallow were 17.484 (−1.543-36.512) and 13.490 (1.254-25.727) μV higher than values obtained during the 2 ml swallow in the suprahyoid and infrahyoid muscl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AUC of the rectified EMG signal increased with the volume of swallow in both muscle groups (P=0.003, suprahyoid; P=0.002, infrahyoid). The intra-individual variabilities of offset latency, duration, and maximal amplitude were relatively low (30% CV) in both muscle groups with respect to other parameters. The assessment of each parameter using EMG was highly reliable, with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 Conclusion:Among the variable sEMG parameters assessed, the offset latency, duration, and maximal amplitude were the least variable. Although reliability on the rater side showed good results, the swallow-to-swallow variability of the parame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swallowing studies using sEMG

      • KCI등재

        기상청 1-km 해상도 RCP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

        박명우,심현준,박윤경,김상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및 미래기후에서의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곡선의 비교를 통하여 극한 가뭄사상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살펴보았다. 미래기후는 기상청 미래자료 중에서 남한상세 1-km 해상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적용된 기후시나리오는 RCP 2.6, 4.5, 6.0, 8.5이다. 분석 결과 RCP 2.6. 4.5는 대체적으로 미래 가뭄이 현재보다 더 심해지며 RCP 6.0은 현재보다 미래의 가뭄이 더 약해지고 RCP 8.5은 미래 가뭄이 현재와 비슷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extreme drought events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nder present and future climate conditions. In our climate-change impact experiments, the future climate is based on South Korea-detailed 1-km resolution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future climate information. RCP 2.6, 4.5, 6.0 and 8.5 are applied as future climate scenarios. As a result, future drought events under RCP 2.6 and 4.5 are generally worse than the present, future drought events from RCP 6.0 are weaker, and future drought under RCP 8.5 is similar to the present drought as a whole.

      • KCI등재

        장기간 지표유출량 추정을 위한 SMI 기법 적용가능성 타진

        박명우,박윤경,안미진,김상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2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MI method to estimate long-term surface runoff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arameter of SMI method can be estimated for Korean 6 Dam watersheds which have long-term runoff data. Compared to long-term surface runoff using NRCS-CN method, it is shown that long-term surface runoff can be obtained more realistically using SMI method.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use 0.6 as the value of the SMI parameter when applied to ungauged watersheds.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지표유출량을 산출할 수 있는 SMI 기법의 적용성이 탐색된다. 장기간 관측 유량자료가 있는 우리나라 6개 댐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SMI 기법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NRCS-CN 방법을 이용한 장기간 지표유출량 산출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현실성 있는 지표유출량이 산출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경우, SMI 기법의 매개변수로 0.6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 매실추출물의 항산화력 탐색

        박명우,김미라,임계택,박승택,심재한,Park, Myung-Woo,Kim, Mi-Ra,Lim, Kye-Taek,Park, Seung-Taeck,Shim, Jae-Ha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2

        매실(Prunus mune Sieb. et Zucc.)의 품종간, 그리고 수확기에 따라 매실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항산화력은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thiocyanate, glutathione-Stransferase와 같은 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으로 mouse의 spinal cord culture system에 superoxide anion을 발생시켜 측정했다. 일반적으로 매실 에탄을 추출물은 항산화력을 갖고 있었으며 DPPH, thiocyanate방법에 있어서 butylated hydroxy toluene(BHT)와 비교하였을 때 옥영이 다른 품종보다 97.5%로 제일 높았으나 품종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Glutathione-S-transferas방법으로 butylated hydroxy toluene(BHT)와 매실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비교해본결과 70% 이상의 강한 항산화력을 보여주었다. 생쥐의 척수신경세포 배양시 세포생존율은 옥영, 남고, 고전매추출물을 40 mg처리했을 때 각각 89, 79그리고 62%였고, 6린M의 glutathion을 처리했을때는 90%였다.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fruits from three cultivars of Prunus mune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were determined. Extracts of P. mune cutivar Okyoung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t 97.5%(compared to BHT) using DPPH or thiocyanate method,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measured with glutathione-S-transferase method was over 70% of that of BHT. Survival rates of cells in mouse spinal cord culture challenged by superoxide anion were 89, 79, and 62% at 40 mg/ml of Okyoung, Namgo, and Kochunme extracts, respectively, whereas 90% at 6mM glutathion.

      • KCI등재

        AR5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미래가뭄전망

        박명우,이옥정,박윤경,김상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6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behavior of future drought in South Korea under AR5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is projected.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explicitly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future drought conditions for the region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are analyzed. Using South Korea-detailed 1-km resolution daily precipitation dat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future climate information, annual mean numbers, mean drought event duration, and mean drought event severity of present and future drought events are compared, respectively. As a result, while the annual mean numbers of future drought events are not expected to be increased in most regions, the mean drought event duration and severity are predicted to be increased in the central region. 본 연구에서는 AR5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미래가뭄의 시공간적인 분포가 전망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미래가뭄상황이 분석된다. 미래기후정보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남한상세 1-km 해상도의 강수자료가 이용되며, 현재 대비 미래의 연평균 가뭄사상의 개수, 평균 가뭄지속 기간, 평균 가뭄심도가 비교된다. 연평균 미래 가뭄사상의 개수는 대부분 지역에서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나, 연평균 미래 가뭄사상의 평균 지속기간 및 평균 가뭄심도는 대체적으로 중부지방에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실시간가뭄지수를 이용한 2015년 한반도 가뭄 분석

        박명우,장수형,김상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가뭄지수(RDI)를 이용하여 2015년 한반도에 발생한 가뭄사상의 시공간적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RDI는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가뭄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가뭄지수이며 RDI을 산출하기 위해 전국 60개 관측소의 일 강수량과 164개 시/군의 용수 수요량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강원도에서 시작하여 한 달 만에 중부의 대부분 지역에 가뭄이 확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월 25~27일의 강수로 인하여 대부분 가뭄 지역이 해갈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정도의 강수량으로는 강릉과 같이 심한 가뭄이 들었던 지역의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되돌리기에는 부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적중률 90.4%와 오경보율 9.6%로 매우 좋은 정확도를 보임을 살펴볼 수 있음에 따라 RDI는 실질적인 가뭄모니터링에 적합한 가뭄지수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evolution of the drought event in Korea peninsula which occurred in 2015 was analysed using Real-Time Drought Index(RDI). RDI can be applied to determine actual drought conditions at an area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was not equipped. To calculate RDI, daily precipitation data from 60 observations and water demand of 164 basic local government regions were used. As a result, the 2015 drought event began in Gangwon-do province, and has spread to most parts of the central provinces in one month. Due to June 25-27th rainfall event, the drought was analyzed to disappear in most areas. However, in municipalities encountered a severe drought including Gangneung, it has confirmed that such amount of rainfall was insufficient to turn to back into normal state. In addition to this, according to hit rate 90.4% and false alarm rate 9.6%, RDI is an adequate drought index to monitor dr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