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ng Milwaukee Parental Choice Program with regard to Implementing School Choice Program in Seoul

        Park, Daekwon(박대권)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밀워키 지역의 학교선택 프로그램 (MPCP)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현지에 이르렀는지를 알아보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서울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등학교 학교선택제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밀워키학교선택프로그램은 1990년에 시행되기 시작한 미국 최초로 공적 예산이 집행된 바우처 프로그램이다. 밀워키 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학생이 바우처를 통하여 사립학교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돕는 제도이다. 많은 사립학교들이 천주교 계통의 종교학교들이어서 ‘국가와 종교의 분리’라는 미국연방헌법 위배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었지만, 2002년 미국 연방 대법원의 합헌 선언으로 그 논란은 종식되었다. 밀워키학교선택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하여 레빈이 개발한 4개 기준을 적용하였다. 선택의 자유, 효율성, 형평성, 사회적 통합이라는 기준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현재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시행하고 있는 고등학교 학교 선택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간의 정책 갈등에 대한 패러독스 분석: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박대권(Park, Daekwon),이인수(Lee, In-Su),이예슬(Lee, Ye Seul)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하 자사고)’ 정책을 둘러싼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 사이의 갈등을 정책 패러독스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교육부는 국가 사무인 ‘교육’을 ‘관리, 감독’해야 하고, 주민직선제 하에서 교육감은 위임사무를 수행해야 하지만 이와 동시에 ‘표’를 획득하기 위해 ‘정치적 행위’를 할 수밖에 없기때문에 갈등이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자사고 재지정 취소를 둘러싼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의 갈등은 표면적으로는 중앙과 지방의 갈등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책패러독스 관점으로 접근하면, ‘자유’와 ‘형평’이라는 정책 목표와 ‘학교선택권’과 ‘고교평준화’라는 정책 수단의 갈등이며, 정책 수혜자의 이해관계 충돌이라는 측면에서 ‘서울시교육청과 학부모 및 자사고’의 갈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 본다면, ‘서울시교육청과 타 시·도 교육청’의 갈등 혹은 서울시교육청 내부의 교육정책 일관성 충돌에 따른 갈등이기도 하다. 이러한 갈등은 첫째, 교육감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교육 정책이 변화하고 있고 둘째, 교육감과 교육부 장관의 사무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교육위원의 폐지 및 교육위원회와 광역의회의 통합으로 인해 교육감에 대한 견제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위원회와 교육위원제의 부활 또는 교육감의 소속 정당부여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flicts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on the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policy by the perspective of ‘Policy Paradox’. Although it seems like conflicts between MOE and SMOE on the surface, these conflicts can be regarded as natutral phenomena rather than problems to be solved. Under the popular vote system, the superintendents had no choice but to politicize the education issues in order to get the ballots but MOE had to supervise it for carrying the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Concerning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Policy’, there exist some conflicts between SMOE and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flecting the goal of policy like ‘equity’ vs. ‘excellence’, these phenomena also included conflicts between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and their parents’ and ‘SMOE . Moreover, These can also be seen as conflicts within the SMOE between those who pursued to change and maintain the continuing policy. By the ‘Policy Paradox’ perspective, there could be three alternative ways of reasoning the origins of these conflicts. First, education policy were depending on the superintendent s political ideology. Second, the lack of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asks of the superintendent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Finally, the absence of the mechanism to keep check and balance on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could be a alternative explanation. Paradoxically, this study suggested alternative solutions like reviving‘the independent board of education’and ‘council of education’and allowing party support of the superintendent.

      • KCI등재

        정책 결정방식으로서의 ‘공론화’에 대한 성찰적 검토 -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화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

        박대권(Park, DaeKwon),최상훈(Choi, Sang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화 위원회 사례를 통하여 정책결정방식으로서의 공론화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숙의(deliberation)를 위한 공론화위원회가 도입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론화위원회 자체의 운영방식의 적절성 뿐만 아니라 공론화위원회가 도입되기까지의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한 검토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각에서 대입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화위원회 도입 과정과 그 결과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개편 이후 정책 결정만을 남겨두었던 대입제도 개편 논의가 대통령선거 이후 정책 의제설정 과정으로 회귀된다. 수능 절대평가 도입을 목적으로 동원형 정책의제설정의 과정에서 여론의 지지를 받지 못하자 공론화를 정책결정방식으로 도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론화 범위 선정의 부적절성도 발견되었다. 아울러 공론화 위원회가 정책결정방식기구로서의 운영이 적절하지 못했던 점도 발견하였다.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의사결정 대신 의제설정 대입제도 개편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 간의 첨예한 정치적 대립이 발생하게 되었고,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접근이 필요한 문제조차 과도하게 정치화되게 되면서 숙의를 이끌어내야 할 공론화위원회가 도입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공론화 제도를 통하여 이해집단간 갈등이 첨예한 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리적·기술적 전문성이 우리 사회에서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음과 함께 이들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려면 충분한 준비와 제도 운영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liberative polling as a decision-making method through the case of the Committee for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mmitte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effectively, Examining not on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mmittee itself but also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before the method was execut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deliberative polling were also addre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agenda, which had left only policy decisions since the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turned to the policy agenda setting process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deliberative polling was introduced when the discussed new college entrance system through mobilization model did not get the public support. Second, the inadequacy of selecting the range of public opinion was also found: professional and technological expertise was ignored. Last, inadequate operation of the committee was revealed due to unsatisfactory preparation and overwhelming expectation toward the newly introduced decision making program. A sharp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stakeholders were not abated through the program for couple of months. Social trust is essential for professionals to play a sufficient role through technical and professional expertise in policy decision making, especially public attention is elevated. The introduction of the deliberative polling program have diminished and revealed that the extent of commitment of the professionals on the socio-political issues.

      • KCI등재

        미국 교육감 선출제도의 변화

        박대권(DaeKwon Park),박현석(Hyeon Seok Park)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1

        미국에서는 비교적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장이 교육감 또는 교육위원을 선임하는 단체장통제 (Mayoral Control)를 실시하는 비전통적인 교육 거버넌스가 출현하였다. 1992년 보스턴, 1995년 시카고, 뉴욕은 2002년에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디트로이트(1999년-2004년 시행)와 워싱턴 DC(2000년–2010년 시행)의 경우는 단체장이 임명하던 시절이 있다가 전통적인 방식으로 회귀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새로운 지방교육자지 거버넌스인 단체장 통제의 동향을 살펴보고 성공과 실패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현행 광역자치단체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지방교육자치의 정당성과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하고, 교육감 선출제도 관련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 mayoral control, a new governance structure on the local education, has emerged among major cities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90s. In this system, mayors appoints the members of school committee and the superintendent, instead of the election by the citizens. This type of new governance started and consolidated in Boston(1992), Chicago(2002) and New York(2002). However, Detroit and Washington D.C. adopted the mayoral control on the education and returned to the traditional elected school committee. We survey the trends of the mayoral control in the United States and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the new governance. The analysis will be useful to evaluate the legitimac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local education governance in Kore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scussions on the change of electoral law for superintendent.

      • KCI등재

        조기유학 현상 변화(2000-2016년)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박대권(Daekwon Park),장경진(Kyoungjin Ja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조기유학 증감추이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이다. 기존 연구에서 조기유학은 우리나라 공교육의 실패에 기인한 결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 다른 이유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유학생수의 증가는 조기유학 자유화 조치로 인해 촉발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이 다양한 아이디어와 담합하여 자기 강화적 경로 의존을 거치게 된 결과임을 제시한다. (공교육 위기에 대한 아이디어, 사교육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아이디어, 그리고 조기유학이 학생들의 노동시장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아이디어 등이다.) 조기유학 자유화 직후의 시기에는 조기유학에 대한 평가 및 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기에 조기유학을 부추기는 아이디어와 담론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경향이 드러났다. 그러나 조기유학에 대한 정보와 평가가 축적되면서 조기유학이 단순히 긍정적인 측면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사회적으로 학습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세계금융위기라는 외생적 충격이 더해짐으로써 조기유학의 확대 경향은 경로 이탈을 겪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기유학으로부터의 경로 이탈 과정에서 국제학교, 단기어학연수 등이 대안으로 검토되기 시작함에 따라 조기유학생 수의 감소 추세가 고착화되는 현상이 드러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neo-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early study abroad trends in South Korea from 2000 to 2016. Early study abroad has been regarded as a result of the failure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bolition of the regulation, which restricted early study abroad, actually created the trend. The idea of the public education crisis, the idea of the increasing cost of public education, and the idea that early study abroad improves students labor market competitiveness also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trend. The ideas and discourses that encourage early study abroad were widely accepted without much criticism in the early 2000s because the evaluation and information pertaining to early study abroad had not been sufficient. In addition, the exogenous shock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early study abroad. As early study abroad became less appealing, international schools and short-term language studies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 KCI등재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승호(Lee Seung-Ho),박대권(Park, Daekw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혁신학교에 관한 사례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혁신학 교 운영과정에서 학교급, 지역, 교장 리더십, 교사 구성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발견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학교급에 따라 초등 혁신학교 사례와 중등 혁신학교 사례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각각 학교급을 학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 및 지역사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학교장 영역에 서는 초등과 중등 사례에서 모두 민주적 학교운영에 관심을 가지고 권한 위임, 비전 공유 등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영역에서는 두 사례에서 모두 헌신적인 교사들이 존재하였고, 교사 간에 수업공개, 원활한 의사소통, 친근한 인간관계 등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사례 모두 교사들 간의 대립관계가 존재하였으며 이를 각각 다른 용어로 표현하였 다. 학생 영역에서는 초등과 중등의 양상이 다른 영역에 비해 달랐다. 초등에 관한 사례 연구 들에서는 학생에 관한 언급이 거의 없었던 반면, 중등 대상 연구들에서는 학생들의 ‘자치’와 ‘입시’와 관련된 논의들이 많았다. 연구대상 선정배경과 관련하여 과반수의 연구들이 교육청 으로부터 추천을 받았거나 언론에 등장하는 등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혁신학교를 연구대상으 로 삼았다. 한편, 연구대상 선정의 편향성으로 인해 각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이는 양적 메타분석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후속 연구로 혁신학교 운영의 성공사례 뿐만 아니라 평균사례나 실패 사례로의 연구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 Innovation Schools in Korea. For reflecting various patterns based on school level, region,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 composition,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cases of the Innovation Schools. Concerning research materials, half of selected schools were referred from the regional education office (large-scale school board) and the others were covered by media for its successful operation. At principal level, they respected democratic values, shared their visions with the teachers and delegated their powers to the teachers, too. At teacher level, they were dedicated to students, willingly their class to other teachers, were good communicators and had good relationship at school. At student level, most researches were concerning high schools for the researches were focusing on student activity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ositive research outcomes were deducted for the inclination of selecting research cases; ‘publication bias’ that was referred at the quantitative meta-analysis were found. To select more cases from average and/or unsuccessful Innovation Schools will be need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문민정부 교육개혁에서의 OECD의 영향: 국제기구의 영향과 글로벌 교육정책 장으로의 편입

        김용(Kim, Yong),박대권(Park, Daekw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5․31 교육개혁이 국내의 교육정책 주체들만의 활동의 소산일 뿐만 아니라 국제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IO)의 영향력이 있었는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또 한 5․31 교육개혁은 한국교육이 글로벌 교육정책 장(Global Education Policy Field: GEPF)에 편입되는 계기가 되었음을 실증하려고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교육개혁 과정에 관여한 전문가 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특히 당시 OECD에 파견되어 근무하던 교육 관료가 교육부 와 청와대 등에 보낸 각종 활동 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민정부 교육개혁의 1차 보고서와 2차 보고서 간의 차이를 통하여 국 제기구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OECD는 1980년대 들어 학교 자율 운영 담론을 중심으 로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방안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교육개혁위원회의 2 차 보고(1995. 5. 31)를 앞두고, OECD에서 이루어진 논의 내용이 국내의 교육개혁 과정 에 전달되고, 상당한 내용이 수용되었다. 이 연구는 국제 기구가 국내 교육개혁 과정에 일정한 영향을 발휘하였음을 실증하고, 결과적으로 5․31 교육개혁은 한국교육이 글로벌 교육정책 장에 본격적으로 편입되는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ay 31st educational reform was not only the result of activities of domestic education policy actors but also tha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IO), such a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addition, this study overhauled the process how 5.31 education reform offered the motive that Korean education became a part of the Global Education Policy Field (GEPF).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the authors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interviewed with the related germane persons and reviewed the couple of reports from an attache of OEC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as significant through the reports from OECD at that time. This study shedded lights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1st and the 2nd report of Kim Young-Sam administration’s education reform.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author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n the overall education reform policy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hould be addressed.

      • KCI등재

        국립대자원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의 정책집행 분석

        이의석(Lee, Uisok),박대권(Park, Daekw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정책집행의 시각에서 2015년부터 2년 동안 진행된 국립대자원관리시스템(KORUS) 구축사업의 집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정보화 사업의 집행과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는 정보화 사업을 정책과정의 일부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분석모형의 설정에 있어서는 정책집행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채택된 분석변수를 기본으로 하였다. 거기에 사업수행의 주체가 되는 민간사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관리와 관련된 일부 변수를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러스 구축사업을 위한 적정한 재원의 확보에 실패함으로써 대학 요구사항의 반영, 구축사업자의 순응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구축사업자의 구성과 전문성의 문제로 인해 효율적인 사업 추진에 애로가 있었다. 셋째, 구축사업의 관리를 위한 조직구성과 인력충원이 적절하지 못하여 대학사용자의 참여와 협조를 유도하고 조직 간의 협업과 조정, 집행관계자들의 순응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발견된 문제점의 대부분은 코러스 사업의 집행단계에서 해결이 어려운 사안이었다. 다만, 정책결정자들의 관심이 있었다면 일부분 해결이 가능했지만, 이들의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정보화 사업의 추진 등 유사 정책 집행은 정책결정 단계에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Korean University Resource United System(KORUS)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implementation from 2015 to 2017; it considers the project implementation as a part of whole policy process while most previous researches on IT projects lean on project management perspective for achieving policy goals.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as KORUS project failed to secure appropriat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whole project, it faced with huddles of responding the needs of the universities and securing the conformity of the vendors. Second, the composition and the expertise of the system implementing vendors were considered as a source of inefficient implementation. Third, problems with the construct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procurements brought difficulties in cooperation, coordination and conformity amo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articipants and university-level users. Most of the problems were innate and few option could be found to resolve them during implementation process. If the decision makers had paid more attention on it since inception, they could have resolved the problems in part.

      • KCI등재

        대학통폐합 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이종원(Lee, Jongwon),박대권(Park, Daekw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전문대가 일반대와 통폐합 되는 과정을 신제도주의 관점 중 동형화(isomorphism)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동형화 이론에 기반한 분석틀을 설정하고, 분석틀을 3개의 통폐합 대상대학에 적용하였다. 동형화 결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통폐합 시점으로부터 5년 이상이 경과한 사립대학 중 연구대상을 선정하였고, 해당 대학의 언론보도, 관련 문헌, 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폐합 추진 당시부터 이후 상황을 가까이에서 관찰한 당시 영향력있던 대학 구성원을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각 전문대는 일반대로의 전환을 통해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관련 기회를 확대하였으며 이런 노력들이 외부 평가 및 재정지원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통폐합은 교직원 감축 등 구조조정의 일환인 행·재정적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강했고 교수·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목적은 부차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은 위기 상황일수록 교육과정 개선 등을 통하여 교육목적에 충실하고 대학 사명에 부합하는 조직운영체제를 구축해야함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merging colleges with universities from a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y of isomorphism of new institutionalism, we explored the process of unifying university assimilation. First, an analysis frame based on the theory of isomorphism was established and three universities subject to merger(including school convers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framework of analysis. In order to observe the results of isomorphism,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rivate universities more than five years after merger and analyzed the media reports, related literature data, and the university regulations. It also interviewed responsible university members who observed the situation closely from the time of the merger drive. As a result of the study, each college expanded the opportunities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rough the transition to the general road, and these phenomena were found to affect external evaluation and financial support projects. In addition, merger was not an educational purpose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but was in fact a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nature as part of restructuring such as reduction of faculty members.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universities, in times of crisis, have a long-term purpose and are faithful to the purpose of educ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that is consistent with the university s.

      • KCI등재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따른 재정지원제한대학의 조직 변화 분석

        김송림(Songrim Kim),박대권(Daekwon Park) 한독교육학회 202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5 No.1

        본 연구는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의 재정지원제한대학을 중심으로 대학구조개혁 평가지표와 평가등급과 관련된 대학 내부조직의 변화를 분석하여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따른 대학의 조직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재정지원제한대학에 해당하는 일반대학 26교이며, 대학구조개혁 평가지표와 연계하여 기획, 교무행정, 학생행정에서의 조직 변화, 평가등급 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구조개혁 평가지표와 대학의 조직 변화에서 연계성이 나타났으며, 정성지표와 관련된 조직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둘째, 평가등급과 연계된 재정지원제한 정도가 낮을수록 평가지표와 연계된 조직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학의 조직 변화에 관한 분석결과에서 동형화 현상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정부의 대학평가정책이 대학현장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university structure reform evaluation on university organizational changes related to evaluation indicators and rating focus on government funding constrained universities. It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university organizational structure such as planning, academic and student affairs following the indicators and rating among 26 private 4-year universities with limited government financial ai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he primary result was that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the indicators and organizational changes,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 structure related to qualitative indicators. And also, there were remarkable organizational changes in universities with lower limited government financial aid than higher ones. Finally, it was explored to find isomorphism from the findings and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on the university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