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절초점이 기부 유형(금전 vs. 시간)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요인 탐구

        박기경,류강석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5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antecedents affecting real donation behavior using PLS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ost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altruism or emotion evoked from donation recipients.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based on consumer’s motivational tendency focused on both attitude toward helping others and perceived risk. And we found the relationship of those variables affecting real don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s, regarding attitude toward helping other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omotion focused tendency and prevention focused tendency. With perceived risk,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promotion focused tendency whereas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evention focused tendency. In addition, two mechanisms have a different affect on each donation type. Specifically, attitude toward helping others positively affects both monetary and time donations, whereas perceived risks negatively affects monetary donations. The current study has a meaningful implication on academia and practical usage. 최근 몇 년간 기부와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 이타주의나 기부 수혜자와 직접 접촉하였을 때 느끼는 감정 요인 등 기부를 일으키는 긍정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기부 결정 시 지각하게 되는 위험과 같이 기부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탐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동기적 요인이 타인을 돕는 행동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인지적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균형 잡힌 시각에서 검증하고 두 가지 매개요인이 최종적으로 기부 행동의 두 가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기적 요인 두 가지는 타인을 돕는 행동에 대한 태도와는 모두 긍정적 영향관계를 갖지만, 기부 시 지각된 위험에 있어서, 향상초점적 경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예방초점적 경향과는 긍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타인을 돕는 행동에 대한 태도는 금전 기부와 시간 기부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지각된 위험은 금전 기부에는 부정적 영향을, 시간기부와는 아무런 영향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부행동을 일으키는 요인 간 상충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 기부의 두 가지 유형인 금전기부와 시간기부에 대한 실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기업 및 비영리 기관에 기부유형에 따른 구분된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대상과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구매한 제품 반응에 미치는 영향

        박기경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0 마케팅논집 Vol.28 No.2

        This study explored how the targe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ffects consumers’ responses to purchased products depending on their motivational tendency. Previous research regarding regulatory focus theory says that prevention-focused consumers have a strong tendency to form their product attitude based on perceived similarity among objects and have thinking styles with lower level construal whereas promotion-focused consumers understand relationships among objects and judge th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ingroup bias caused by whether the activity of domestic firms’ CSR was domestic or foreign would influence differently consumers’ responses to their purchased products by their motivational tendencies. To achieve this goa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n experiment based on the scenario whi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purchase a jacket. The results showed that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displayed a more favorable attitude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when they learned their purchased brand engaged in domestic- versus foreign-focused CSR. In contrast,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did not showed different responses regardless of the CSR target. Additionally, perceived quality was attributable to the interactional effect. As this study focused on ingroup bia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applied it to the CSR area,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ecuting CSR.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대상에 따른 제품 반응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즉 국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국내 혹은 해외인지에 따라 발생되는 내집단 편향이 소비자의 동기적 성향에 의해 제품 반응에 달리 반영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 간 유사성에 근거하여 제품 반응을 형성하고 단기적인 관점에서 대상을 판단하는 경향이 강한 예방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구매한 브랜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국내를 대상으로 할 때, 해외를 대상으로 한 조건에 비하여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반면, 대상 간 관계성을 잘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상을 판단하는 경향이 강한 향상초점 성향의 소비자는 구매한 브랜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대상 국가에 따른 제품 반응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제품에 대한 지각된 품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처리 관점에서 내집단 편향이 구매 후 시점에서 기업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반영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학문적 공헌점을 제안함과 동시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전략 수행에 있어서 실무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농산물 구매 시 지역명 브랜드 효과의 심리적 기제 탐구

        박기경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논집 Vol.27 No.4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regional branding on consumers’ purchase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xplor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that effect. Study 1 showed that consumers selected agricultural products with regional branding more than products without it. Study 2 used a scenario-based experiment and showed a higher probability of consumers choos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regional branding than products without. Moreover, the study found two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the main effect of regional branding on product choice. Specifically, a two-stage mechanism is proposed for the effect – the extent of regional imagination drawn from the regional branding and the reliability of product quality. According to a mediation analysis, regional imaging played an immediate mediating role and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the product quality played a distant mediating role. This study adds to the academic implication by explor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the regional branding effect and suggests effective practical branding strategies for individual farmers. 본 연구는 농산물의 지역명 브랜드의 효과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그 효과에 내재된 심리적 기제들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실제 판매되는 농산물에 대해서 지역명 브랜드가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고, 실험 2는 시나리오에 기반한 실험법을 사용하여 가상의 농산물 브랜드에 대해서 지역명 효과에 내재된 심리적 기제들이 어떤 관계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명을 지칭하는 브랜드의 농산물에 대한 선택률이 지역명이 없는 브랜드의 농산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공통된 수식 브랜드 하에 지역명 유무에 따른 가상의 농산물 선택률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지역명 브랜드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기제는 지역 이미지에 대한 상상정도와 품질 신뢰성으로 나타났고, 이 두 가지 기제는 선⦁후행 순서로 매개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농산물 구매 시 지역명의 중요함을 보고한 기존 연구에서 나아가 지역명의 효과를 실험법으로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심리적 기제들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관련 농가나 기업에 지속가능한 농산물 판매를 위한 효과적인 브랜드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대한 MZ 세대 소비자 반응

        박기경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4

        작년에 있었던 국내 최대 유통업체인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는 향후 유통 시장의 격변을 예상하게 하였다. 코로나 19 이전부터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위기가 감지되어 왔던 만큼 이마트의 이번 인수 결정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인수 후 이마트의 업계 시장점유율은 증가하였는데 이마트 소비자는 실제 어떠한 반응을 형성하는 지에 대한 탐색도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마트의 사업확장 – 이베이코리아 인수 – 소식만으로 소비자가 보이게 되는 반응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베이코리아 인수라는 이마트 기업전략에 대한 유용성 지각이 쇼핑 즐거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브랜드 독특성과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제안한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 사실을 아는 국내 밀레니얼-제네레이션(MZ) 세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가 브랜드 인지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략 유용성은 쇼핑 즐거움과 구매의도 각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략 유용성의 각 영향은 브랜드 독특성과 상호작용 효과를 가졌는데, 브랜드 독특성을 높게 판단하는 소비자에게 전략 유용성의 긍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브랜드 독특성을 낮게 판단하는 소비자에게는 그러한 긍정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탐색적으로 매개검증을 실시해본 결과, 쇼핑 즐거움은 전략 유용성과 브랜드 독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영향에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유통업체의 사업영역 확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기업 향방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무엇보다 실제 기업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업 재무관점에서의 파급효과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포털 사이트 서비스 요인이 포털 사이트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정보검색 목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기경,김학수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1 마케팅관리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온라인 시장의 치열한 경쟁 환경과 국내 포털 사이트의 사세 확장으로 인하여 기존 포털 사이트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털 사이트 적합성에 대한 판단을 중심으로 그 선행요인의 영향력과 그 영향력에 정보검색 목적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탐구하였다. 먼저, 오락성, 이용용이성, 정보풍부성, 검색내용 신뢰성을 포털 사이트 적합성의 선행요인 으로 설정하고, 포털 사이트 적합성은 포털 사이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체 연구모형을 제안 하였다. 다음으로 포털 사이트 적합성의 4가지 선행요인의 영향력은 정보검색 목적 여부에 따라 차별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오락성을 제외하고 3가지 선행요인이 포털 사이트 적합 성에 정(+)의 영향을 갖고, 둘째, 포털 사이트 적합성은 포털 사이트 태도에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검색 목적의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정보검색 목적으로 포털 사이트를 방문하는 이용자는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하여 오락성이 포털 사이트 적합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약하게 나타났고, 검색내용 신뢰성의 정(+)의 영향은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용이성과 정보풍부성은 정 보검색 목적 방문에 따른 차별된 영향력을 갖지 않았다. 즉, 정보검색 목적으로 방문한 이용자는 검색 내용 신뢰성이 포털 사이트 적합성 판단에 중요한 반면, 비 정보검색 목적으로 방문한 이용자는 오락성 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털 사이트 역할에 대한 이용자의 최근 반응을 전반적으로 확인하고, 나아가 정보검색 목적 방문 여부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관련 기업의 향후 마케팅 전략 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whether there was a recent change in user perception of portal sites due to the fiercely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online market. To this end, focusing on the perceived compatibility of portal sites, it explored users’ responses to portal sites and a moderating effect of visit of information search goal. We suggested entertainment, ease of use, information abundance, and search content reliability as factors that determine portal site compatibility. We explored that these four factors affect portal site compatibility and eventually affect portal site attitude. It also expected how the purpose of information search differentiates the impact of these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irst, the fitness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 met the standard of academia. Second, users who visited for information searching goals (vs. non-information search goals) have a weaker impa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ertainment and portal site compatibility and a more substantial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content reliability and portal site compatibility. The users who visited for information searching goals regarded search content reliability as relatively necessary for portal site compatibility. In contrast, those who stayed for non-information search goals believed entertainment was more important. Third, portal site compati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portal site attitude.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portal sites’ future strategy as a search engine by revealing Naver’s users’ responses.

      • KCI등재

        기부자의 통제소재와 경험한 사건 극성이 외집단 기부선호에 미치는 영향

        박기경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4

        Alth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onation have mainly focused on the emotional response drawn from the donee or doner's individual difference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ffect of consumers' locus of control and their personal experiences regarding donations toward out-group. Donations toward out-group may involve uncertainty or risk in finance, time and social risk compared to donations toward in-group. Hence, locus of control is predicted to cause interaction effect with experienced events on donation behavior. Drawing upon locus of control and doner's characteristics in the donation context, hypothesis 1 posits that people in an internal control will show greater donation preference toward out-group members when they experience a positive event (vs. a negative event) because they feel control and confidence in the efficiency of their donations. Whereas people in an external control will show greater donation preferences when they experience a negative event(vs. a positive event) due to the motive of social connection. This research adopted a scenario and conducted an experiment. The experiment used a 2(locus of control: internal control vs. external control) X 2(valence of event: positive vs. negative) between subject design with the two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key dependent variable was donation choice toward out-group (vs. in-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in an internal control showed higher preference toward African disadvantaged children (vs. Korean disadvantaged children) when they experienced a positive event, whereas those in an external control showed the opposite pattern. In conclusion, consumers' donation preferences to the out-group depend on the locus of control and valence of experienced event.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various moderators and examine the mediation.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knowledg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locus of control and apply it to consumer psychology and marketing areas. 본 연구는 기부자의 통제소재와 경험한 사건의 극성이 외집단 기부선호에 어떠한 결합효과를 갖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기부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기부수혜자에 대한 정보를 접하는 상황에서 기부여부를 살펴본 데에 반하여 본 연구는 기부를 한다는 전제하에 외집단에 속한 기부수혜자에 대한 기부선택을 살펴봄으로써 소속감이나 유사성이 낮은 대상에 대한 기부가 오히려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모델을 가설로써 설명하면, 내적통제소재자들은 부정적 사건에 비하여 긍정적 사건을 경험할 때 통제력 시행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높게 지각하여 외집단에 대한 기부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 외적통제소재자들은 긍정적 사건에 비하여 부정적 사건을 경험할 때 사회적 연결성을 갖고자 외집단에 대한 기부선호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내적통제소재를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부정적 사건보다 긍정적 사건을 경험할 경우 외집단에 속한 기부수혜자(예, 아프리카의 어려운 아동)에 대한 기부선택율이 내집단에 속한 기부수혜자(예, 우리나라의 어려운 아동)보다 높은 반면, 외적통제소재를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긍정적 사건보다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조건에서 외집단에 속한 기부수혜자에 대한 기부선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제소재에 관한 기존 연구를 기부상황으로 확장하고, 탐색적으로나마 내집단 편향이 덜 나타나는 조건을 밝힘으로써 기부발생동기에 대한 흥미로운 탐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