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박근주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고령자의 사회복지정책만족도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사회복지 수요가 확대되면서 한국 사회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정책의 추진과 효과에 관심을 두고 있다. 고령자의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고, 궁극적으로 정책의 당사자들의 만족도와 효과성을 높이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고령자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사회서비스에 주목하여,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복지인식의 다차원성을 고려하여 고령자의 복지인식을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각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령자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사회서비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조사한 제 11차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 완료된 만 60세 이상 고령자 1,108명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복지인식의 하위요인 중 복지지출 대한 인식과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복지정책을 위해 복지지출을 더 늘려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와, 복지를 가난한 사람만이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의 경우 현재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자의 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만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고,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령자 복지정책을 위해 복지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할수록 사회복지정책만족도가 낮아지는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를 오히려 강화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복지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인식하는 고령자가 사회서비스를 경험했을 때 사회서비스의 종류 및 범위가 자신의 기대보다 낮다고 판단되어 오히려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과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조절효과로 작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차원적인 복지인식과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을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의 가치와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복지인식에 주목하였으며,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복지정책과 복지현장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복지인식을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 복지대상에 대한 인식, 복지증세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요인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와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령자의 복지지출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고령자의 사회복지정책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함의로는 고령자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질 높은 사회서비스가 제안되어야 하며 사회서비스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 제한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실제 이용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사회서비스 내용 및 이용절차에 대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고령자의 성별, 교육, 경제수준 등을 고려한 차별화된 사회서비스의 개발과 이에 대한 홍보방법 및 전략을 개발하는 질적인 홍보 활동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서비스 이용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이용이 쉬우면서도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내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고령자 관련 사회복지정책을 추진을 위해 고령자를 대상으로 복지정책의 목적과 효과를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가 복지정책을 신뢰하지 못하면 복지정책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자 대상의 복지정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것이 예견되어있는 상황에서 고령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복지정책을 추진하게 되면 그 방향과 목적의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는 정책실패로 평가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분석결과가 주는 함의는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정책의 직접적 수혜자인 고령자가 복지정책의 설계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복지정책의 직접적 수요자의 요구와 이해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을 정교하게 설계하여 복지정책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by verifying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ocial services in their social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olicies. Recently, demands for social welfare have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Korean society is interested in the promotion and effect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roper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needs of the aged, active evaluations of the policies should be made, and ultimately, the policies should be promoted so that the elderly, the person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policies, can be satisfied with them.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e impact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o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suming that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may serve as a factor determining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would show a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by focusing on the social services expanding centered around the elderly. This study divided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to three factors: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the perception of welfare recipients, and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and consider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elfare perception.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the 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check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investigating i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by the elder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rom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11thKoreaWelfarePaneldatasurveyedbytheKoreaInstituteforHealthandSocialAffairsandSeoulNationalUniversityInstituteofSocialWelfare,and1,108seniorcitizensagedover60,whocompletedthesurve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o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perceptions of welfare expenditure and welfare recipient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welfare perception,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lderly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be increased for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who perceived that welfare should be provided universally for all people, not just for the poor, had the lowe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Meanwhile,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only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had a negative reg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decreased in those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expand for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rather improve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is interpreted that for the elderly who perceived that welfare expenditure should be increased (experienced social services), the type and range of the social services were judged to be lower than they expected, which results in low satisfaction, and it seems that there should be an additional study for this. Meanwhile, in the impacts of the perceptions of welfare recipients and raising tax for welfar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did not have a regulating effec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multi-dimensional welfare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together as impact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 an impact factor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elfare perception formed based on individuals’value and subjective perceptions Also, this study sought practical solutions in welfare policies and welfare fields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s helpful for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fare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by dividing welfare perception into three sub-factors: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the perception of welfare recipients, and the perception of raising tax for welfare,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s of each factor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e experience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welfare expenditure by the elderly serves as an important impact factor, and a suggestion was drawn that there might be different determinants of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various, quality social service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review whether they have any limit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on social services.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promote social services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ervices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and procedures of use to enhance the actual accessibility as well as to develop differentiated social services, considering the sex,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level of the elderly and to expand qualitative promotional activities of developing promo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at. In addition, to increase the use of the service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service contents that are easy to use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elderly-related social welfar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xplain to the elderly the purpose and the effect of welfare policies sufficiently. The elderly may not evaluate the effect of welfare policies positively if they do not trust the policies. Especially,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predicted that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will continuously expan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important because the promotion of welfare policies with which the elderly are not satisfied ultimately cannot but be evaluated as a failure in spite of their direction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purpose. In addition, the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a process of designing the welfare policies because they are the direct recipients of social welfar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with welfare policies and to design them elaborately so that they could reflect the needs and understanding of the direct consumers of welfare policies.

      • 통일교육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사회과교과서를 중심으로

        박근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분단 상황은 영토적인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정치, 경제 등 제도적 측면과 함께 사상, 문화 등 일상생활의 측면까지 포함하는 총체적이며 체제적 특성을 갖는다. 그동안 남북통일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은 주로 정치체계와 이데올로기의 통일정책에 국한되어 이질적인 두 사회문화체계의 만남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문화충돌과 갈등양상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그에 기초하여 대응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이장희 외, 2001). 그러므로 이전 시기의 우리의 통일교육내용은 그 본질적인 역할을 갖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을 분단의 극복에 대한 의지를 갖추고,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합리적 가치판단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라 할 때 통일 환경요인에 따라 통일교육이 어떠한 변천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치적 시기를 분류하여 통일 환경요인(국제적·국내적·남북관계)이 반영된 각 시기의 통일정책을 살펴보고, 이에 해당하는 교과과정기의 중학교 사회과교과서의 내용구성맥락 속에 나타나는 통일 관련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통일’이라는 과제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정치적 통일 환경요인에 따른 시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사회과교육의 목표가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것이라 할 때, 현재의 사회과교육에서 구성되어 있는 통일교육의 내용은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사회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과 교육전문가들 역시 현행 교육내용에 개선점이 많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으로 북한에 대해 학생들이 스스로 비판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의 구성과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한 자료의 개발과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사회과교육에서 통일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우리의 통일교육은 단순히 북한에 대한 객관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장기적 안목에서 설정되어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의 생활세계의 내부에 뿌리박고 있는 분단 체제의 모순들을 찾아내며,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성찰은 공교육에서 통일교육의 접근법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concerning to the social studies from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7st, and to find out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a future curriculum for unification education. It closely looks into the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1st~3rd grade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and trie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political unification environment factors, containing in international, internal, and South-North re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s have been kept o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of that time as it was. Despite of the purposes for social studies to build up a reasonable democratic citizen with a critical attitude, the unification education have not carried out properly. Moreover,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in charge of social studies have not satisfied on the contents. The students have to learn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e the separation of nation, therefor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that students could fertilize the sense of discrimination to judge by themselves on reality of north korea, and make the logic for unification affirmatively and concretely.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ed to develop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ntents or approaches for unification education have to be established in the view of long time period so that they should be maintained a continuity. Secon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s have to be developed so that the factors of changing environment fo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Third, re-education of teacher in charg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systematically and activated.

      • 은 나노입자의 합성과 이를 활용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

        박근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etal nanoparticles have an attractive attention because they have superior properties to other nano-sized particles, such as their electrical conductivities, optical properties, catalytic activity, and magnetic properties. Above all things, silver particles are an important substance of conductive inks, pastes and adhesives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imple and effective synthesis method of nano-sized silver particles on a large scale. Recently, one-dimensional (1D) silver nanostructur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ecause the rod-like silver particles have an dvantage for adhesive strength on a substrate in silver electrod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for heat treatment by application of nano-sized silver particles. In this work, nano-sized silver 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chemical reduction method using surfactants.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morphology of the prepared silver nanoparticles was investigated and we intended to synthesize a rod-like silver particle with high aspect ratio using nano-sized silver seeds prepared by the chemical reduction method. The molar ratio of surfactants and silver nitrate was controlled to prepare the rod-like silver particles. lastly, silver paste using nano-sized silver particles were prepared. Microstructures and related specific resistance of metallized silver thick films with sintering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orphology of silver nanoparticles was changed with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e, kind of surfactants, For example, the shape and size distribution of silver nanoparticles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molar ratio of PVP/AgNO3 and SDS/AgNO3. Rod-like silver particles were also prepared by using a nano-sized silver seeds. When the molar ratio of silver nitrate and CTAB was 0.5, the rod-like silver particles were obtained. In addition, When the molar ratio of silver nitrate and SDS was 0.1, rod-like particles were formed with a mean aspect ratio of from 5 to 12. Lastly, silver paste prepared from nano-sized silver particles showed the low electrical resistance and sintering temperature.

      •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놀이성, 어머니 - 유아 간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근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율적 선택에 따른 결정능력은 유아기에는 물론 생애 전반에 걸쳐 활용되어지는 주요능력일 뿐 아니라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다양한 대안들 중 가장 적합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발달과업이다. 발달적 관점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이루어지는 유아기는 환경적 요인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 학습되고 변화되는 시기이므로 초등이상의 연령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주요 능력들은 초등 이전의 어린 시기부터 준비되고 연습되어 발달의 연장선상에서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가소성을 바탕으로 자기결정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변인들의 관련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자기결정력과 변인들과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The self-determination is a skill that needs to be acquired by people throughout their lifetime, let alone during early years of life. From a development perspective, early childhood is filled with meaningful and critical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to grown and learn with their self-determin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premise that the critical skills and abil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prepared since early childhood. Thus, it is imperative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variables a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in preschoolers.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ed above,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their playfulness, self-regulation, and self-esteem as well as goodness of fit between mother and child were taken into account as study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riables of interest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elf-esteem in the effects of study variables on their self-esteem was examined. Three hundred thirty seven child(aged 6-7 years old)-mother pairs who attended public subsidized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i Province were sampl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mother-filled surveys, and on-site observations from both head teachers of the children sampled and trained researcher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Furthermor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tested with AMO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 the following. First, it was proven that self-determination of the preschoolers’ influenced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ir self-esteem, their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as well as goodness of mother-child fit. Second, the result pertaining to the mediational effect of child’s self-esteem in the effects of study variables of interest on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was revealed. This study found tha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were mutually connected and influenced one another. From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in preschoolers is considered that it is influenced by a set of variables, and the child’s self-esteem plays a mediational ro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of interest. Along with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strong need to empower the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through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s well as in family settings.

      • 대학에 대한 정부 연구비 지원의 변화가 기술이전 수입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관계 분석

        박근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는 대학 연구비 지원에 기반하여, 기술사업화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정부지원 연구비는 대학들에게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동형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었고, 동형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대학들은 기술사업화 실적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지역에 정착된 구성요소에 의해 기술의 혁신과 파급효과가 차이를 보이게 되어, 대학의 소재지역에 따라서 동형화의 불균형성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의 연구비 지원 변화가 기술사업화 성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대학 소재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시간적 변화 분석에 통용되는 구조방정식 모형(SEM) 기반의 잠재성장곡선 모형(LGM)을 활용하여, 2009년~2017년 9년 간 전국 4년제 138개 대학의 종단 데이터 변수의 증가율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간 정부지원 연구비의 변화는 당해 년도와 차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정부지원 연구비는 비수도권 대학보다 수도권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료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연구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